KR20220091118A -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기판조립체 - Google Patents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기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118A
KR20220091118A KR1020200182322A KR20200182322A KR20220091118A KR 20220091118 A KR20220091118 A KR 20220091118A KR 1020200182322 A KR1020200182322 A KR 1020200182322A KR 20200182322 A KR20200182322 A KR 20200182322A KR 20220091118 A KR20220091118 A KR 20220091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reinforcing
connection
main body
flexibl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1118A/ko
Publication of KR20220091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05K1/0281Reinforcement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10) 및 이를 구비한 기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에서 분기되고,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내장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생략된 보강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부(50)의 양단은 각각 상기 본체부(11) 및 상기 연결부(30)에 연결되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본체부(11) 또는 연결부(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기판조립체{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FPCB assembly having this}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기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FPCB(연성회로기판)는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약자로 PCB(인쇄회로기판)의 한 종류이며, 연성재료인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주요 소재로 사용하여 만든 굴곡성을 가진 PCB이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은 구부릴 수 있고, 소형화와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기존 Rigid(경성) PCB의 대체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위성장비, 군사장비, 의료기기 등의 첨단장비에도 활용도가 높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기기의 수요 급증과 다양한 가전제품으로 연성회로기판의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연성회로기판은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특징 때문에 전자장치 내부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회로기판은 ICB(Inter Connection Board)에도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ICB는 전기자동차에 설치된 고전압 배터리의 각 셀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전장품으로,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이용하여 각 셀의 전압측정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연성회로기판은 얇은 두께로 인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CB 등에 설치된 연성회로기판에는 여러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끊어지면서 파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성회로기판의 전체 크기를 크게 하거나, 회로부분 주변을 보강하는 등 연성회로기판의 구조변경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규격이 정해진 제품(ICB 등)에 연성회로기판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성회로기판의 회로구조도 그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므로 구조를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자동차와 같이 지속적인 진동이 가해지는 환경에서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된다면,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더욱 파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644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6137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회로기판의 회로구조는 변경하지 않으면서, 보강부를 추가하여 연성회로기판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조는 연성회로기판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회로부분 대신 보강부가 먼저 파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분기되고,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내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생략된 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본체부 또는 연결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 또는 상기 보강부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파단유도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단유도부는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연결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단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의 길이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연결되는 제1보강몸체와 일단부는 상기 제1보강몸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보강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몸체와 상기 제2보강몸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몸체와 상기 제2보강몸체의 사이각은 90도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부, 상기 제1보강몸체 및 상기 제2보강몸체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기판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연성회로기판에는 회로배선이 내장된 연결부에 보강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보강부는 본체부와 연결부 사이를 연결해서, 연결부 부분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으므로, 연성회로기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강부의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생략되고, 기존의 연결부와 인접한 위치에 추가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연성회로기판의 회로구조는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보강부를 추가해서 연성회로기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보강부-본체부, 보강부-연결부 사이에는 파단유도부가 형성되어서, 큰 외력이 가해지면 파단유도부가 끊어지게 된다. 즉, 외력에 의해 본체부나 연결부가 파손되지 않고, 회로배선이 생략된 보강부가 끊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연성회로기판의 기능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보강부는 연결부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서, 외력이 작용하면 보강부에 상대적으로 더 큰 장력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보강부가 먼저 파단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연결부는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보강부가 끊어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연성회로기판에 큰 장력이 가해진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이처럼 작업자는 연성회로기판의 상태를 확인하여 미리 조치를 취함으로써 제품의 작동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성회로기판이 구비된 기판조립체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성회로기판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회로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제1회로부에 구비된 파단유도부가 파단된 형태를 각각 보인 예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회로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제2회로부에 구비된 파단유도부가 파단된 형태를 각각 보인 예시도.
도 7는 도 2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5회로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제5회로부에 구비된 파단유도부가 파단된 형태를 각각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10)과, 연성회로기판(10)이 구비된 기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성회로기판(10)의 회로구조는 변경하지 않으면서, 보강부(50)를 추가하여 연성회로기판(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성회로기판(10)의 보강부(50)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연성회로기판(10)이 구비되는 기판조립체를 설명하면, 도 1에서 보듯이 기판조립체는 베이스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100)는 전기회로구성을 위한 블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바디(100)는 배터리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기판조립체일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100)에는 접점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점부(110)는 전기적 연결 기능을 담당하는 부품으로, 예를 들어 버스바일 수도 있다. 상기 접점부(110)가 배터리셀들에 각각 연결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연성회로기판(10)의 각 회로부들(A)의 연결부(30)는 상기 접점부(110)에 안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베이스바디(100)의 구조 및 상기 접점부(110)의 형태 및 개수 등은 기판조립체가 적용되는 부품과 환경, 또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연성회로기판(10)을 살펴보면, 상기 연성회로기판(10)은 매우 얇은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0)은 약 10㎛ 두께의 얇은 절연필름(PI, polyimide)위에 동박을 붙인 회로기판으로, 두께가 얇고 유연하다. 따라서, 휘어짐이 필요한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성회로기판(10)을 볼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0)은 상기 베이스바디(100)에 안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바디(100)의 형태에 맞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1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에서 분기되는 다수의 회로부들(A)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부(A)는 다른 부품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2에서 가장 좌측의 회로부는 외부의 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전달부(K)일 수 있다. 상기 전달부(K)에는 외부의 커넥터 또는 다른 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외부접촉단(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0)에는 다수개의 회로부(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로부(A)는 앞서 설명한 상기 베이스바디(100)의 접점부(110)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제1회로부 내지 제5회로부(A1~A5)로 구성된다. 제1회로부 내지 제5회로부(A1~A5)는 상기 본체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서로 다른 접점부(110)에 연결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회로부 내지 제5회로부(A1~A5)는 각각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제1회로부(A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회로부(A1)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회로부(A1)는 본체부(11)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의 내부에는 메인회로(18)(예를 들어 구리동박)이 내장될 수 있는데, 상기 본체부(11)의 메인회로(18)는 상기 제1회로부(A1)에 연속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에는 연결부(30)가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의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회로배선은 상기 본체부(11)의 메인회로(18)와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회로(35)이다. 물론, 상기 메인회로(18)와 연결회로(35)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므로, 하나의 구조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3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연결부(30)는 제1연결몸체(31)와 제2연결몸체(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몸체(31)와 상기 제2연결몸체(33)는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회로부(A1)에서 상기 제1연결몸체(31)와 상기 제2연결몸체(33)는 대략 U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연결부(30)는 어느 정도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연결부(30)가 늘어나면서 장력을 극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회로(35)는 상기 제1연결몸체(31)와 상기 제2연결몸체(33)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몸체(33)의 끝부분에는 연결단부(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36)는 상기 접점부(110)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36)에는 상기 연결회로(35)에서 연결된 랜드부인 단자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37)는 판상구조일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접점부(110)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와 상기 본체부(11)의 사이에는 보강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0)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본체부(11) 및 상기 연결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0)는 상기 연결부(30)와 상기 본체부(11) 사이의 약한 연결구조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0)의 양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본체부(11) 또는 연결부(30)에서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보강부(50)는 양단이 각각 상기 본체부(11) 및 연결부(30)에 연결될 뿐이며, 나머지 부분은 이들과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의 장력이 가해지면, 장력은 상기 보강부(50)-본체부(11) 사이 또는 상기 보강부(50)-연결부(30) 사이에 집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50)의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i) 상기 보강부(50)는 끊어지거나 파손되어도 회로구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ii) 종래의 회로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보강부(50)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0)의 폭은 상기 연결부(30)와 비슷하지만,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생략되므로 전기적 연결기능은 전혀 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보강부(50)는 상기 본체부(11)에서 연결되는 제1보강몸체(51)와, 상기 제1보강몸체(51)에서 연결된 제2보강몸체(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몸체(53)의 일단부는 상기 제1보강몸체(5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보강몸체(51)와 상기 제2보강몸체(5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보강몸체(51)와 상기 제2보강몸체(53)는 어느 정도 늘어나면서 장력을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보강몸체(51)와 상기 제2보강몸체(53)의 사이각은 90도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보강몸체(51)와 상기 제2보강몸체(53)의 사이각이 90도 이하가 되면, 상기 제1보강몸체(51)와 상기 제2보강몸체(53) 사이가 펴질 수 있는 여유각도가 커질 수 있고, 따라서 보다 큰 장력에 대항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보강몸체(51)와 상기 제2보강몸체(53)의 연결형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데, 도 3에서 보듯이 제1회로부(A1)의 보강부(50)를 구성하는 상기 제1보강몸체(51)와 상기 제2보강몸체(53)의 사이각은 예각일 수 있다. 그리고 도 5, 도 7에서 보듯이, 제2회로부(A2)와 제5회로부(A5)의 보강부(50)를 구성하는 상기 제1보강몸체(51)와 상기 제2보강몸체(53)의 사이각은 약 90도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5회로부(A5)의 보강부(50)를 구성하는 제1보강몸체(51)는 제2보강몸체(53) 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태이다.
한편, 상기 보강부(50)와 상기 연결부(30)의 사이 또는 상기 보강부(50)와 상기 본체부(11)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파단유도부(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단유도부(55)는 외력이 작용했을 때, 끊어지도록 유도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파단유도부(55)는 상기 보강부(50)와 상기 본체부(11)의 사이에 구비된 제1유도부(55A)와, 상기 보강부(50)와 상기 연결부(30)의 사이에 구비된 제2유도부(55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파단유도부(55)는 상기 본체부(11)의 가장자리와, 상기 연결부(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단홀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파단홀의 개수와 폭은 달라질 수 있고, 상기 파단유도부(55)는 구멍형태가 아니라 함몰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50)의 길이는 상기 연결부(30)의 길이 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외부의 장력이 가해졌을 때, 장력은 상기 보강부(50)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고, 따라서 연결부(30) 보다 보강부(50)가 파단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7을 보면, 상기 연결부(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부(11), 상기 제1보강몸체(51) 및 상기 제2보강몸체(53)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강몸체(51)와 제2보강몸체(53)로 구성되므로,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강몸체(51)와 제2보강몸체(53)와 함께 상기 본체부(11)는 상기 연결부(3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이 연결부(30)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강부(50)가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연성회로기판(10)이 파단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4(a)에서 보듯이 X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유도부(55B)는 그대로 남아 있지만, 제1유도부(55A)는 파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에서 보듯이, Y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유도부(55A)는 그대로 남아 있지만, 제2유도부(55B)는 파단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파단유도부(55)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 연결부(30) 보다 먼저 파단될 수 있어서, 상기 연결부(30)와 본체부(11)는 보호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강부(50)는 연결부(30) 보다 짧아서 외력이 가해지면 더 큰 장력이 작용될 수 있다.
도 6(a)를 보면, 제2회로부(A2)의 보강부(50)에서 제1유도부(55A)가 파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제2회로부(A2)의 보강부(50)에서 제2유도부(55B)가 파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은 X방향의 외력이 작용했을 때의 결과이고, 도 6(b)은 Y방향의 외력이 작용했을 때의 결과이다.
마찬가지로, 도 7(a)를 보면, 제5회로부(A5)의 보강부(50)에서 제1유도부(55A)가 파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제5회로부(A5)의 보강부(50)에서 제2유도부(55B)가 파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은 X방향의 외력이 작용했을 때의 결과이고, 도 7(b)은 Y방향의 외력이 작용했을 때의 결과이다.
이처럼, 본 실시례의 보강부(50)의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생략되고, 기존의 연결부(30)와 인접한 위치에 추가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보강부(50)는 파단되도 무방한 부분이다. 또한, 종래의 연성회로기판(10)의 회로구조는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보강부(50)를 추가해서 연성회로기판(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연성회로기판 11: 본체부
30: 연결부 31: 제1연결몸체
33: 제2연결몸체 50: 보강부
51: 제1보강몸체 53: 제2보강몸체
55: 파단유도부

Claims (9)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분기되고,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내장되는 연결부;와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생략되고, 양단은 각각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본체부 또는 연결부에서 분리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연성회로기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 또는 상기 보강부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파단유도부가 구비되는 연성회로기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단유도부는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연결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단홀로 구성되는 연성회로기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길이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 보다 짧은 연성회로기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연결되는 제1보강몸체;와
    일단부는 상기 제1보강몸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보강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강몸체와 상기 제2보강몸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성회로기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몸체와 상기 제2보강몸체의 사이각은 90도 보다 작은 연성회로기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부, 상기 제1보강몸체 및 상기 제2보강몸체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서로 연결되는 제1연결몸체와 제2연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몸체와 상기 제2연결몸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성회로기판.
  9. 다수개의 접점부를 갖는 베이스바디;와
    상기 베이스바디에 안착되고, 상기 다수개의 접점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분기되고,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내장되는 연결부;와
    내부에는 회로배선이 생략되고, 양단은 각각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본체부 또는 연결부에서 분리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연성회로기판이 구비된 기판조립체.
KR1020200182322A 2020-12-23 2020-12-23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기판조립체 KR20220091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322A KR20220091118A (ko) 2020-12-23 2020-12-23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기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322A KR20220091118A (ko) 2020-12-23 2020-12-23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기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118A true KR20220091118A (ko) 2022-06-30

Family

ID=8221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322A KR20220091118A (ko) 2020-12-23 2020-12-23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기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11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241A (ko) 2022-10-17 2024-04-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378A (ko)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배터리팩
KR101996449B1 (ko) 2017-09-06 2019-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성회로기판의 보호구조가 구비된 배터리 셀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449B1 (ko) 2017-09-06 2019-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성회로기판의 보호구조가 구비된 배터리 셀 모듈
KR20190061378A (ko)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배터리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241A (ko) 2022-10-17 2024-04-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0773B2 (en) Electronic apparatus
JP5574030B2 (ja) 多層基板
US20070089900A1 (en) Flexible board
JP7403240B2 (ja) 配線材及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20080057752A1 (en) Mount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949368B2 (en) Resin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US9414491B2 (en) Jumper module mounting circuit board and circuit board assembly
JP5600428B2 (ja) メス型コネクタブロック及びコネクタ
EP3755128B1 (en) Bending fixture and support components for a semi-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US8197284B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KR20220091118A (ko)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기판조립체
US10869395B2 (en) Flexible substrate, flexible substrate-attached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substrate-attached component
JPH0888448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4793230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2009038121A (ja) 車載装置
JP2007281012A (ja)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該フレキシブル基板が実装された実装機器
US20090163049A1 (en) Electronic module
JP6021744B2 (ja) 高周波ノイズ対策電気機器
KR102638823B1 (ko)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JP4572140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接続構造
JP2007287363A (ja) 可撓性フラット回路基板同士の接続構造
US9437992B2 (en) Busbar
JP2010050305A (ja) フレキシブル基板、配線ケーブル保持構造、および配線ケーブル保持方法
JP5845792B2 (ja) 電子部品
JP2002076525A (ja) プリント配線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