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065A - 로봇 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065A
KR20220091065A KR1020200182204A KR20200182204A KR20220091065A KR 20220091065 A KR20220091065 A KR 20220091065A KR 1020200182204 A KR1020200182204 A KR 1020200182204A KR 20200182204 A KR20200182204 A KR 20200182204A KR 20220091065 A KR20220091065 A KR 20220091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low path
cleaner
distribution member
liqui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6711B1 (ko
Inventor
정우철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에브리봇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브리봇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브리봇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711B1/ko
Priority to PCT/KR2021/015696 priority patent/WO2022139160A1/ko
Priority to US17/776,787 priority patent/US20230157512A1/en
Publication of KR2022009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클리너로 균일한 액체 공급이 가능하고, 누수 등 불량 발생의 경우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한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습식 청소를 위한 복수의 클리너가 각각 고정 가능한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액체를 저장하여 상기 복수의 클리너 중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상기 저장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클리너 중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상기 액체를 직접 공급하는 액체 분배 부재; 및 상기 액체 공급부에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까지 상기 액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流路)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클리너로 균일한 액체 공급이 가능하고, 누수 등 불량 발생의 경우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한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습식 청소를 위한 로봇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상부에 물통과 같은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고, 로봇 청소기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로봇 청소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클리너로 액체가 공급된다.
그러나, 종래의 습식 청소를 위한 로봇 청소기는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호스로 구성되고, 여러 개의 상기 호스가 복잡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호스의 길이가 서로 달라 상기 복수의 클리너로 균일한 물 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습식 청소를 위한 로봇 청소기는 상기 복잡한 호스 구조로 인하여 불량의 원인이 상존하고, 불량 발생의 경우 그 점검 및 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액체가 출수되는 노즐이 구비된 액체 분배 부재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노즐의 막힘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한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로봇 청소기 내부에 구비된 액체 이동을 위한 유로부의 제조가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로봇 청소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클리너에 서로 균일한 액체 공급이 가능한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액체 분배 부재가 로봇 청소기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누수 발생시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고,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로봇 청소기의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습식 청소를 위한 복수의 클리너가 각각 고정 가능한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액체를 저장하여 상기 복수의 클리너 중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상기 저장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클리너 중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상기 액체를 직접 공급하는 액체 분배 부재; 및 상기 액체 공급부에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까지 상기 액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流路)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액체가 출수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상기 액체를 직접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기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 중 특정 노즐은 바닥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특정 노즐을 통해 상기 바닥면으로 상기 액체가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리너, 상기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은 각각 3개이고,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기 3개의 클리너 고정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3개의 노즐 중 상기 특정 노즐은, 상기 3개의 클리너 중 어느 클리너에도 상기 액체를 직접 공급하지 않고 상기 바닥면으로 상기 액체를 직접 공급하도록 상기 액체 분배 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호 결합되는 제1 상부 케이스 및 제1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 케이스와 상기 유로부 사이에 제1 누수 방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와 상기 액체 분배 부재 사이에 제2 누수 방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의 상부에 상기 유로부의 끝단과 연결되는 홀(hol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유로부로부터 상기 액체를 공급받고, 상기 액체 분배 부재의 하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를 향해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로에 상기 액체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호 결합되는 제2 상부 케이스 및 제2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은 상기 제2 하부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케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본체부와는 별개의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와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사이에는 제3 누수 방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유로부를 통과하는 상기 액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pump)와, 상기 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로부 내에 존재하는 상기 액체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외부로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check valv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액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액체가 최초로 통과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제2 유로, 상기 펌프와 상기 체크밸브를 연결하는 제3 유로 및 상기 체크밸브와 상기 액체 분배 부재를 연결하는 제4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액체는, 상기 제1 유로, 상기 제2 유로, 상기 펌프, 상기 제3 유로, 상기 체크밸브 및 상기 제4 유로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상기 액체 분배 부재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 상기 제3 유로 및 상기 제4 유로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가 출수되는 노즐이 구비된 액체 분배 부재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노즐의 막힘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봇 청소기 내부에 구비된 액체 이동을 위한 유로부의 제조가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봇 청소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클리너에 서로 균일한 액체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액체 분배 부재가 로봇 청소기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누수 발생시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고,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로봇 청소기의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상부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하부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일부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 부재가 로봇 청소기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 부재의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 부재가 로봇 청소기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 부재가 로봇 청소기의 하부에 장착된 모습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클리너에 액체가 공급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액체 분배 부재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 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아울러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 예에 의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상부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하부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는, 본체부(20), 액체 공급부(30),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40) 및 액체 분배 부재(5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제1 상부 케이스(21) 및 제1 하부 케이스(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1) 및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는 상호 결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의 하우징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40; 40a, 40b, 40c)는, 상기 본체부(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습식 청소를 위한 복수의 클리너(42; 42a, 42b, 42c)가 각각 고정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10)에 상기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40) 및 상기 복수의 클리너(42)가 각각 3개씩 구비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40) 및 상기 복수의 클리너(42)가 3개로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액체 공급부(30)는, 상기 본체부(20)에 구비되고 액체를 저장하여 상기 복수의 클리너(42) 중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상기 저장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부(30)에 저장된 액체는, 물일 수도 있고, 물에 세제와 같은 기타 다른 성분이 섞인 것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일부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체 공급부(30)는 상기 본체부(20)와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액체 공급부(30)를 상기 본체부(2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액체 공급부(30)에 물과 같은 액체를 채운 후 다시 상기 본체부(2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는, 상기 본체부(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클리너(42) 중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상기 액체를 직접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액체 공급부(30)에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까지 상기 액체 공급부(30)에 저장된 상기 액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流路)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부는,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의 액체 공급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액체 공급부(30)에서 출발하는 액체가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까지 도달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상기 유로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부는, 후술하는 펌프(pump, 60), 체크밸브(check valve, 62), 제1 유로(64), 제2 유로(65), 제3 유로(66) 및 제4 유로(6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로부는, 상기 액체 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상기 액체가 최초로 통과하는 상기 제1 유로(64, 도 4에서 화살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6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유로(6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부를 통과하는 상기 액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펌프(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65)를 통과한 상기 액체는 상기 펌프(60)를 통해 펌핑되어 상기 펌프(60)와 상기 체크밸브(62)를 연결하는 상기 제3 유로(66)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유로(66)를 통과한 상기 액체는 상기 체크밸브(62)를 통과하여 상기 체크밸브(62)와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를 연결하는 상기 제4 유로(67)를 통과하여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에 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체 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상기 액체는, 상기 제1 유로(64), 상기 제2 유로(65), 상기 펌프(60), 상기 제3 유로(66), 상기 체크밸브(62) 및 상기 제4 유로(67)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에 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크밸브(62)는, 상기 펌프(6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로부 내에 존재하는 상기 액체가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외부로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 특정 청소 알고리즘 또는 특정 이동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수의 클리너(42)로의 액체 공급이 중단된 경우, 상기 체크밸브(62)는 상기 체크밸브(62)의 전단에 존재하는 상기 액체가 상기 체크밸브(62)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62)에 의해, 상기 액체 공급부(30)에 저장된 상기 액체가 자유낙하 운동에 의해 방바닥과 같은 피청소면으로 누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64), 상기 제2 유로(65), 상기 제3 유로(66) 및 상기 제4 유로(67)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유로(64)는,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로(64)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리지드(rigid)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유로(65), 상기 제3 유로(66) 및 상기 제4 유로(67)는, 실리콘 재질과 같이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는, 상기 본체부(20)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 부재가 로봇 청소기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는,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1)와 상기 유로부가 시작되는 상기 제1 유로(64) 사이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제1 누수 방지 부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와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 사이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제2 누수 방지 부재(26)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누수 방지 부재(25) 및 상기 제2 누수 방지 부재(26)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 재질(예를 들어, NBR; nitrile-butadiene rubber)의 패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1), 상기 제1 누수 방지 부재(25),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 상기 제2 누수 방지 부재(26) 및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된 모습의 예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 부재의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 부재는, 제2 상부 케이스(57) 및 제2 하부 케이스(5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58)는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하우징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하부 케이스(58)는, 방바닥과 같은 피청소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 및 제2 하부 케이스(58)에는 복수의 체결부(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 및 제2 하부 케이스(58)는 상기 복수의 체결부(70)를 통해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체결부(70)에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 및 제2 하부 케이스(58)가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 부재가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에 결합되는 구조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 부재(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탈착 수단(도면 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에는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에 구비된 상기 별도의 탈착 수단에 대응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58) 사이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제3 누수 방지 부재(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누수 방지 부재(59)는, 상기 제1 누수 방지 부재(25) 및 상기 제2 누수 방지 부재(26)와 마찬가지로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 재질의 패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의 구성이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와는 별개의 객체일 수도 있고, 상기 본체부(20)의 하부에 상기 본체부(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는, 상기 본체부(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가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를 제외한 상기 제3 누수 방지 부재(59)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58)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제2 하부 케이스(58)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가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 상기 제3 누수 방지 부재(59)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58)을 모두 포함한 개념으로 파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가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3 누수 방지 부재(59)는, 상기 제2 누수 방지 부재(26)로 대체되어, 상기 제3 누수 방지 부재(59)와 상기 제2 누수 방지 부재(26)는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 부재가 로봇 청소기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 상기 제3 누수 방지 부재(59) 및 상기 제2 하부 케이스(58)가 상기 복수의 체결부(70)를 통해 상기 제1 하부 케이스(23)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는 별도의 독립적인 구성요소가 아니라 상기 제2 하부 케이스(58)에 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 케이스(58)가 상기 제2 누수 방지 부재(26) 또는 상기 제3 누수 방지 부재(59)와 함께 상기 제2 하부 케이스(58)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의 상부, 즉 상기 제2 상부 케이스(57)에는 상기 유로부의 끝단, 즉 상기 제4 유로(67)의 끝단이 결합될 수 있는 홀(hole, 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는 상기 홀(55)을 통해 상기 유로부로부터 상기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는 내부에 상기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40a, 40b, 40c)를 향해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관로(5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관로(5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홀(55)을 통해 상기 유로부로부터 공급된 액체는 상기 복수의 관로(56)에 채워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 부재가 로봇 청소기의 하부에 장착된 모습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는 상기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40,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적으로 3개)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는, 상기 복수의 클리너(42a, 42b, 42c) 중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액체 분배 부재(50) 내부에 채워진 상기 액체가 출수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52a, 52b, 52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52a, 52b, 52c)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부 케이스(58)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노즐이 3개의 클리너 모두에 각각 대응되는 3개의 위치에 구비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참조번호 52a에 해당되는 노즐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52a, 52b, 52c)을 통해 상기 복수의 클리너(42a, 42b, 42c) 중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상기 액체가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클리너에 액체가 공급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액체 분배 부재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노즐(52b)를 통해 제2 클리너(42b)에 액체가 직접 공급되고, 제3 노즐(52c)를 통해 제3 클리너(42c)에 액체가 직접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 노즐(52a)을 통해 제1 클리너(42a)에도 액체가 직접 공급될 수도 있다(도면 미도시).
그러나, 도 14 및 도 15는 제1 노즐(52a)을 통해 출수되는 액체는 상기 제1 클리너(42a)에 직접 공급되지 않고 바닥면으로 공급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노즐(52a, 52b, 52c) 중 특정 노즐은 바닥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특정 노즐을 통해 상기 바닥면으로 상기 액체가 직접 공급될 수 있는 구성이 가능하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노즐(52a)을 통해 피청소면인 바닥면으로 액체가 출수되고, 제1 클리너(42a)는 위쪽으로 이동되면서 바닥면으로 출수된 액체를 닦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로봇 청소기 20: 본체부
21: 제1 상부 케이스 23: 제1 하부 케이스
25: 제1 누수 방지 부재 26: 제2 누수 방지 부재
30: 액체 공급부 40a, 40b, 40c: 클리너 고정부
42a, 42b, 42c: 클리너 50: 액체 분배 부재
52a, 52b, 52c: 노즐 55: 홀(hole)
56: 관로 57: 제2 상부 케이스
58: 제2 하부 케이스 59: 제3 누수 방지 부재
60: 펌프 62: 체크밸브
64: 제1 유로 65: 제2 유로
66: 제3 유로 67: 제4 유로
70: 체결부

Claims (1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습식 청소를 위한 복수의 클리너가 각각 고정 가능한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액체를 저장하여 상기 복수의 클리너 중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상기 저장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클리너 중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상기 액체를 직접 공급하는 액체 분배 부재; 및
    상기 액체 공급부에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까지 상기 액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流路)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액체가 출수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리너에 상기 액체를 직접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기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 중 특정 노즐은 바닥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특정 노즐을 통해 상기 바닥면으로 상기 액체를 직접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리너, 상기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은 각각 3개이고,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기 3개의 클리너 고정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3개의 노즐 중 상기 특정 노즐은, 상기 3개의 클리너 중 어느 클리너에도 상기 액체를 직접 공급하지 않고 상기 바닥면으로 상기 액체를 직접 공급하도록 상기 액체 분배 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호 결합되는 제1 상부 케이스 및 제1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 케이스와 상기 유로부 사이에 제1 누수 방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와 상기 액체 분배 부재 사이에 제2 누수 방지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의 상부에 상기 유로부의 끝단과 연결되는 홀(hol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유로부로부터 상기 액체를 공급받고,
    상기 액체 분배 부재의 하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클리너 고정부를 향해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로에 상기 액체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배 부재는, 상호 결합되는 제2 상부 케이스 및 제2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은 상기 제2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케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본체부와는 별개의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와 상기 제2 하부 케이스 사이에는 제3 누수 방지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유로부를 통과하는 상기 액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pump)와, 상기 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로부 내에 존재하는 상기 액체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외부로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check valve)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액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액체가 최초로 통과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제2 유로, 상기 펌프와 상기 체크밸브를 연결하는 제3 유로 및 상기 체크밸브와 상기 액체 분배 부재를 연결하는 제4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액체는, 상기 제1 유로, 상기 제2 유로, 상기 펌프, 상기 제3 유로, 상기 체크밸브 및 상기 제4 유로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상기 액체 분배 부재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 상기 제3 유로 및 상기 제4 유로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KR1020200182204A 2020-12-23 2020-12-23 로봇 청소기 KR10247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204A KR102476711B1 (ko) 2020-12-23 2020-12-23 로봇 청소기
PCT/KR2021/015696 WO2022139160A1 (ko) 2020-12-23 2021-11-02 로봇 청소기
US17/776,787 US20230157512A1 (en) 2020-12-23 2021-11-02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204A KR102476711B1 (ko) 2020-12-23 2020-12-23 로봇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065A true KR20220091065A (ko) 2022-06-30
KR102476711B1 KR102476711B1 (ko) 2022-12-12

Family

ID=8215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204A KR102476711B1 (ko) 2020-12-23 2020-12-23 로봇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57512A1 (ko)
KR (1) KR102476711B1 (ko)
WO (1) WO202213916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41B1 (ko) * 2005-08-19 2006-10-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척수가 비산되는 로봇 청소기
KR101613446B1 (ko) * 2015-02-06 2016-04-19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25971A (ko) * 2017-01-26 2019-03-12 선전 록 타임즈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액체 수납 케이스 및 이것을 구비하는 지능 청소 장치
KR20190125912A (ko) * 2018-04-30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0196A (zh) * 2020-08-27 2020-11-03 苏州三六零机器人科技有限公司 拖地组件和扫地机器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41B1 (ko) * 2005-08-19 2006-10-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척수가 비산되는 로봇 청소기
KR101613446B1 (ko) * 2015-02-06 2016-04-19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25971A (ko) * 2017-01-26 2019-03-12 선전 록 타임즈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액체 수납 케이스 및 이것을 구비하는 지능 청소 장치
KR20190125912A (ko) * 2018-04-30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711B1 (ko) 2022-12-12
US20230157512A1 (en) 2023-05-25
WO2022139160A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006B1 (ko) 관로 세척장치
CA2932419C (en) Product dispensing system
CN101209197B (zh) 内窥镜清洗消毒装置
JP4892116B1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連結具、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4744571B2 (ja) ピグ洗浄具及び配管のピグ洗浄方法
JP5160964B2 (ja) ディスペンサ
CN1332616A (zh) 可伸缩的喷雾臂
US10314466B2 (en) Conduit control device
KR102476711B1 (ko) 로봇 청소기
CN101505877A (zh) 弹性下悬管及其使用方法
KR100973707B1 (ko) 유체공급장치
JP2017115386A (ja) 掃除口付管継手
JP5658583B2 (ja) 管路内ピグ移動装置、並びに、その管路内ピグ移動装置を用いた管路内残留ガス排気方法、管路内検査方法、管路内面ライニング方法、管路内洗浄方法及び管路内通線方法
US20060048820A1 (en) Proportioning system
KR20090080772A (ko) 역류방지장치
JP2008080827A (ja) ウォッシャ装置
CN219331519U (zh) 一种清洁机器人及清洁设备
KR102387858B1 (ko) Lcd(oled) 세정장치의 샤워파이프 검사 시스템
KR200496394Y1 (ko) 가스감지센서용 테스트장치
US20110318196A1 (en) Integrated pump priming system
US20220194326A1 (en) Device for supplying air to a suction side of a pump, component unit having such a device and wiper system
ITBS990111U1 (it) Nebulizzatore per acqua o liquidi detersivati in macchine a vapore per la pulizia.
JP5999904B2 (ja) バルブ一体型エジェクタ
JPH0767831A (ja) 内視鏡の送気送水機構
JP2011148348A (ja) 車両用灯具洗浄装置の配管ジョイン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