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830A -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9830A KR20220089830A KR1020200180388A KR20200180388A KR20220089830A KR 20220089830 A KR20220089830 A KR 20220089830A KR 1020200180388 A KR1020200180388 A KR 1020200180388A KR 20200180388 A KR20200180388 A KR 20200180388A KR 20220089830 A KR20220089830 A KR 202200898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ting
- base
- stopper
- circumferential surface
- base colum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좌판과 함께 의자의 수직축인 베이스컬럼이 일체로 임의 방향으로 틸팅이 가능하며, 의자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틸팅 제한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아예 틸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는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판과 함께 의자의 수직축인 베이스컬럼이 일체로 임의 방향으로 틸팅이 가능하며, 의자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틸팅 제한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아예 틸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는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용 용도와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의자의 기본적인 구조는 바닥과 접하여 의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다리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좌판으로 이루어지며, 이외에도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기 위한 등받이와, 착석한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기 위한 팔걸이,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한 헤드레스트 등이 필요에 따라 더 구비되기도 한다.
사무용 의자의 경우에 상기 다리부는 좌판을 지지하는 수직축과, 수직축의 하단에 구비되는 바퀴가 달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로 이루어지며, 스툴(Stool)의 경우에 상기 다리부는 역시 좌판을 지지하는 수직축과, 수직축의 하단에 구비되는 일정 넓이의 원형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대다수의 사무용 의자는 장시간 착석하여 업무를 보아야 하는 사용자의 착석감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게 좌판의 높낮이와 등받이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함께 채택하고 있으며, 스툴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구조가 대다수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사무용 의자와 스툴을 비롯한 대다수의 일반적인 의자는 등받이 각도와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 이외에 좌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지는 않으며, 몇몇 사무용 의자의 경우에는 등받이를 뒤쪽으로 기울이는 경우 등받이와 일체로 좌판이 수직축에 대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서는 좌판이 후방으로 기울여지는 것 이외에 좌판을 전방이나 측방 등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임, 즉 틸팅(Tilting)이 가능한 의자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수직축에 대하여 좌판이 틸팅하는 것이 아니라 좌판과 수직축이 일체로 틸팅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69729호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받침부에 대해 레그와 좌판부의 기울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레그를 신축 가능하게 하여 좌판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의자’는 스툴의 구조를 가지면서도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와 함께, 좌판이 수직축과 일체로 임의 방향으로 틸팅이 가능한 구조를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의자’는 하단의 바닥받침부에 대하여 레그와 좌판부가 틸팅하는 경우, ‘레그의 틸팅에 따른 탄성지지부재의 탄성 압축량을 제한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회동 각도를 설정하기 위해 탄성지지부재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의자’가 제안하고 있는 전체적인 구조를 고려하여 보았을 때, 사용자가 좌판을 기울이고자 임의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의자’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토퍼’만으로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대항하여 특정 각도를 넘어서는 틸팅을 방지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0837호 ‘의자’를 비롯하여, 좌판과 수직축이 함께 틸팅하는 기술과 관련된 대다수의 종래 기술은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다양한 구조를 제안하고 있지만, 물리적으로 보았을 때 사용자의 외력에 대하여 충분히 대항할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인지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한 틸팅 구조 및 틸팅 각도 제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어 실제 의자의 제조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좌판과 수직축이 일체로 틸팅하는 기술에 관한 종래 기술은 특정한 각도 이상의 틸팅을 제한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지만, 그 특정한 각도는 설계 시 세팅된 각도로 고정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는 없다는 다른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임의 방향으로 좌판과 수직축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아예 수직축과 좌판이 틸팅되지 않는 것을 원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좌판과 수직축이 어느 방향으로든 틸팅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세팅할 수 있는 구조는 종래 기술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좌판과 함께 의자의 수직축인 베이스컬럼이 일체로 임의 방향으로 틸팅이 가능하며, 의자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틸팅 제한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아예 틸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는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는, 상단에 결합되는 의자 좌판을 지지하는 수직봉 형태의 베이스컬럼; 상부의 의자 구조물을 지지하며, 중심부에 틸팅모듈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베이스; 상기 하단베이스의 틸팅모듈 안착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컬럼의 하단을 지지하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컬럼과 함께 수직 기준선을 중심으로 임의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으며, 외력 제거 시 수직 기준선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틸팅모듈; 상기 베이스컬럼의 상면을 커버하며, 상기 틸팅모듈이 위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틸팅모듈 수용부가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틸팅모듈 수용부의 외주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광상협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틸팅모듈 수용부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컬럼이 통과할 수 있는 제1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커버; 및 상기 베이스커버의 틸팅모듈 수용부 내에서 상기 틸팅모듈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심부에는 상기 베이스컬럼이 통과하여 하부의 상기 틸팅모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를 관통하는 제2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광상협의 형상을 이루고 있되, 상기 베이스커버의 제1 관통구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상단면과 상기 베이스커버의 제1 관통구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하단면을 가지는 틸팅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컬럼과 틸팅모듈, 틸팅스토퍼가 일체로 임의 각도로 틸팅하되, 상기 틸팅스토퍼의 외주면과 상기 베이스커버의 틸팅모듈 수용부의 제1 관통구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최대 틸팅 각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틸팅스토퍼는, 상기 베이스컬럼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컬럼에 결합되며, 상기 틸팅스토퍼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틸팅스토퍼의 외주면과 상기 베이스커버의 틸팅모듈 수용부의 제1 관통구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 최대 틸팅 각도도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컬럼의 외주면과 상기 틸팅스토퍼의 제2 관통구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컬럼과 틸팅스토퍼가 나사 결합 할 수 있으며, 상기 틸팅스토퍼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컬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컬럼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깊이의 요홈이 동일한 높이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되,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스토퍼의 제2 관통구 내주면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한 높이로 볼플런저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 스토퍼가 상기 베이스컬럼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되, 상기 베이스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에 상기 틸팅스토퍼의 볼플런저의 볼이 삽입되는 위치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 틸팅스토퍼 상부에는 외주면과 제2 관통구 내주면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핀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스토퍼의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컬럼에 수평으로 힘을 가하는 고정핀에 의하여 상기 틸팅스토퍼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하단베이스의 틸팅모듈 안착부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지지판과, 상기 베이스컬럽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컬럼삽입관이 상면에서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컬럼삽입관의 틸팅에 의한 상부지지판의 기울어짐에 대하여 압축 반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단에 좌판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컬럼이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틸팅모듈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틸팅이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수직 원상태로 복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커버와 틸팅스토퍼에 의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안정감을 줌과 동시에 의자에 대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커버와 틸팅스토퍼에 의하여 수직축인 베이스컬럼 자체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틸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직축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틸팅 수단 자체에 틸팅 제한 수단을 구성하여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실제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데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틸팅스토퍼를 수직축인 베이스컬럼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틸팅스토퍼와 베이스커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틸팅스토퍼와 베이스 커버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베이스컬럼이 틸팅이 가능한 각도 또한 조절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베이스컬럼의 틸팅 각도를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아예 베이스컬럼의 틸팅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의 하단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틸팅스토퍼와 ?K팅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컬럼과 틸팅스토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컬럼과 틸팅스토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의 하단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틸팅스토퍼와 ?K팅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컬럼과 틸팅스토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컬럼과 틸팅스토퍼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10)는 상단에 의자 좌판(100)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컬럼(200)과,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틸팅모듈(300)과, 상기 틸팅모듈(300)이 안착되는 하단베이스(400)와, 상기 ?K팅모듈의 상단에서 상기 베이스컬럼(200)에 결합되는 틸팅스토퍼(600)와, 상기 하단베이스(400)와 틸팅모듈(300)과 틸팅스토퍼(600)를 커버하는 베이스커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컬럼(200)은 단순히 일자 형태의 수직봉을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가스실린더와 수직봉의 결합 형태를 이루어 가스실린더에 의하여 베이스컬럼(200) 상단에 구비되는 좌판(100)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하단베이스(4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닥에 직접 접하는 원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겠지만, 상기 하단베이스(40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는 바퀴를 더 구비함으로써 의자(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하단베이스(400)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기 틸팅모듈(300)이 안착할 수 있는 틸팅모듈 안착부(410)가 형성되었으며, 상기 틸팅모듈(300)은 그 기능을 고려하면 상기 하단베이스(400)의 틸팅모듈 안착부(410)에 단순히 위치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매우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틸팅모듈(300)과 하단베이스(400) 상호 간에 나사 등과 같은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단베이스(400)의 틸팅모듈 안착부(410)에 나사 등과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틸팅모듈(300)을 단단히 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틸팅모듈(300)의 하단부에 판 형상의 하부지지판(320)으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하부지지판(320)은 일반적으로 원형 판 형상을 이루고 있겠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각형 판 형상을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틸팅모듈(300)의 하부지지판(320) 상면에는 탄성부재(3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면에는 판 형성의 상부지지판(31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상부지지판(310)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320)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원형 판 형상을 이루고 있겠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각형 판 형상을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지지판(310)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컬럼삽입관(3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틸팅모듈(300)의 탄성부재(330)는 상기 베이스컬럼(200)이 외력에 의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상부지지판(310)에 의하여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압축력을 받게 되며, 이에 대한 압축 반발력을 상기 상부지지판(310)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컬럼(2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지지판(310)을 수평으로 복원시키며, 상기 상부지지판(310) 상부에 결합된 베이스컬럼(200) 또한 수직으로 복원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압축 반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30)는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겠지만, 보다 내구력이 좋고 길이 등에 비하여 우수한 압축 반발력을 제공하는 멀티-턴 웨이브 스프링(Multi-turn Wave Spring)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판(320)과 틸팅모듈(300)을 커버하기 위하여 베이스커버(50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베이스커버(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모듈이 위치하고 있는 공간인 틸팅모듈 수용부(51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며, 단순히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광상협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최상단, 즉 틸팅모듈 수용부(510)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컬럼(200)이 통과하여 틸팅모듈 수용부(510)에 위치하고 있는 틸팅모듈(300)의 컬럼삽입관(31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관통구(5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를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구성한 것은 단순히 미적 요소를 위한 것이 아니라 상기 틸팅모듈(300)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틸팅스토퍼(600)와 함께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틸팅스토퍼(600)는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 형상과 유사하게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광상협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중심부에는 상기 베이스컬럼(2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제2 관통구(6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틸팅스토퍼(600)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제1 관통구(52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틸팅스토퍼(600)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제1 관통구(52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틸팅스토퍼(600)의 제2 관통구(610)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기 베이스컬럼(200)이 통과할 수 있는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할 수 있겠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상기 베이스컬럼(200) 외주면의 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하부는 상기 틸팅모듈(300)의 컬럼삽입관(311) 외주면의 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형성하여 중간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틸팅스토퍼(600)는 상기 틸팅모듈(300)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움직이다가는 단턱에 의하여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되며, 상방으로 움직이다가는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제1 관통구(520)에 의하여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상기 틸팅스토퍼(600)가 상기 베이스컬럼(200)을 따라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틸팅스토퍼(600)의 외주면과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간격 만큼만 상기 베이스컬럼(200)이 틸팅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좌판(100)에 착석하여 임의의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좌판(100) 하부에 결합하고 있는 상기 베이스컬럼(200)도 함께 기울어질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컬럼(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틸팅스토퍼(600)도 기울어지다가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와 접하게 되면 기울어짐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와 상기 틸팅스토퍼(600) 모두 하광상협의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틸팅스토퍼(600)가 기울어지면서 틸팅스토퍼(600)의 외주면이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 내주면과 접하게 되는 부분은 점이나 선이 아니라 면을 이루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기울어짐에 대한 저항을 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의 내주면과 더욱 안정적으로 접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틸팅모듈(300)을 금속과 같은 매우 단단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질 수 있는 연질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 상기 베이스커버(500)는 상기 베이스컬럼(200)과 좌판(100)과 상기 좌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단단한 재질로 일정 두께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틸팅스토퍼(600)와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 사이의 간격은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최대 틸팅 각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특정 위치에 완전히 고정시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최대 틸팅 각도가 하나로 결정되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함에 따라, 상기 틸팅스토퍼(600)와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 사이의 간격도 변화되게 될 것이며, 결국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최대 틸팅 각도 또한 변화하게 될 것이다.
상기 틸팅스토퍼(600)와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위쪽으로 이동시킬수록 상기 틸팅스토퍼(600)와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 사이의 간격은 좁아질 것이며, 반대로 아래쪽으로 이동시킬수록 간격은 넓어질 것이다. 상기 틸팅스토퍼(600)와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최대 틸팅 각도는 작아지게 될 것이고, 반대로 간격이 넓어지면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최대 틸팅 각도는 커지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틸팅스토퍼(600)는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외주면을 따라 아무런 제한없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틸팅스토퍼(600)의 하단부 지름이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제1 관통구(520)의 지름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1 관통구(520)에 걸려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되며, 상기 틸팅스토퍼(600)의 제2 관통구(610)의 단턱에 상기 틸팅모듈(300)의 컬럼삽입관(311) 상단이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게 된다. 만약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최대한 상부로 올려 상기 베이스커버(500)의 틸팅모듈 수용부(510) 내주면과 접하게 되면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최대 틸팅 각도는 0도가 될 것이며, 이는 상기 베이스컬럼(200)을 더 이상 틸팅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느 한 위치에 상기 틸팅스토퍼(6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스토퍼(600)의 상부에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핀홀(620)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핀홀(620)을 통하여 삽입되는 고정핀(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상기 베이스컬럼(200)에 수평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틸팅스토퍼(6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핀이 핀홀(620)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컬럼(200)에 수평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핀이 힘을 가하는 동안 상기 핀홀(620)을 따라 후방으로 밀려나지 못하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구조로는 상기 핀홀(62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핀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을 하도록 하는 것이 있을 것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과 구조를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고정핀에 의하여 보다 단단하게 상기 틸팅스토퍼(6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상기 고정핀이 상기 베이스컬럼(200)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곳에서 수평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틸팅스토퍼(600)의 둘레를 따라 180° 각도를 두고 한 쌍의 핀홀(620)을 형성하여야 할 것인데, 즉, 2개의 핀홀(62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180°, 4개의 핀홀(62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90°, 6개의 핀홀(62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60°의 각도를 두고 각각 핀홀(620)을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핀이 단순히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측면을 수평으로 압박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틸팅스토퍼(600)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겟지만,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외주면에 일정 깊이의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핀의 단부가 일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외주면과 상기 틸팅스토퍼(600)의 제2 관통구(610)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컬럼(200)과 상기 틸팅스토퍼(600)는 상호 나사결합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컬럼(20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외주면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거나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컬럼(200)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틸팅스토퍼(6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한계까지만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틸팅스토퍼(600) 역시 제2 관통구(610) 전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2 관통구(610)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의 상부, 즉 상기 베이스컬럼(200) 외주면에 접하게 되는 부분만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에는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컬럼(20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높이로 일렬의 요홈(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또 다른 일렬의 요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틸팅스토퍼(600)의 제2 관통구(610) 내주면을 따라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한 높이로 볼플런저(ball plunger, 630)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볼플런저(630)는 볼베어링과 스프링이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요소로써, 볼베어링이 케이스의 개방된 일단에 일정 부분 돌출되어 있다가 후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뒤로 밀려나게 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케이스의 개방된 일단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컬럼(200)에 형성된 요홈(210)과 상기 틸팅스토퍼(600)에 구비되는 볼플런저(630)에 의하여 상기 틸팅스토퍼(600)는 사용자의 힘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의 요홈(210)에 상기 볼플런저(630)를 위치시키면, 요홈(210)에 볼플런저(630)의 볼이 삽입되어 그 높이에서 상기 틸팅스토퍼(600)가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상기 베이스컬럼(200) 외주면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상기 베이스컬럼(200)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의자(10)의 좌판 하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베이스컬럼(200)과 틸팅모듈(300), 틸팅스토퍼(600), 하단베이스(400)와 베이스커버(500)를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좌판(100)과 함께 상기 베이스컬럼(200)이 임의의 방향으로 틸팅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틸팅스토퍼(600)를 상기 베이스컬럼(200)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좌판(100)과 베이스컬럼(200)이 기울어지는 최대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아예 틸팅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틸팅모듈(300)과 틸팅스토퍼(600), 베이스커버(500)에 의한 틸팅 구조와 틸팅 제한 구조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보다 안정적이고 우월한 틸팅 및 틸팅 제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 의자
100 - 좌판
200 - 베이스컬럼 210 - 요홈
300 - 틸팅모듈
310 - 상부지지판 311 - 컬럼삽입관
320 - 하부지지판 330 - 탄성부재
400 - 하단베이스 410 - 틸팅모듈 안착부
500 - 베이스커버 510 - 틸팅모듈 수용부
520 - 제1 관통구
600 - 틸팅스토퍼
610 - 제2 관통구 620 - 핀홀
630 - 볼플런저
100 - 좌판
200 - 베이스컬럼 210 - 요홈
300 - 틸팅모듈
310 - 상부지지판 311 - 컬럼삽입관
320 - 하부지지판 330 - 탄성부재
400 - 하단베이스 410 - 틸팅모듈 안착부
500 - 베이스커버 510 - 틸팅모듈 수용부
520 - 제1 관통구
600 - 틸팅스토퍼
610 - 제2 관통구 620 - 핀홀
630 - 볼플런저
Claims (6)
- 상단에 결합되는 의자 좌판을 지지하는 수직봉 형태의 베이스컬럼;
상부의 의자 구조물을 지지하며, 중심부에 틸팅모듈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베이스;
상기 하단베이스의 틸팅모듈 안착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컬럼의 하단을 지지하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컬럼과 함께 수직 기준선을 중심으로 임의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으며, 외력 제거 시 수직 기준선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틸팅모듈;
상기 베이스컬럼의 상면을 커버하며, 상기 틸팅모듈이 위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틸팅모듈 수용부가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틸팅모듈 수용부의 외주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광상협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틸팅모듈 수용부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컬럼이 통과할 수 있는 제1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커버; 및
상기 베이스커버의 틸팅모듈 수용부 내에서 상기 틸팅모듈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심부에는 상기 베이스컬럼이 통과하여 하부의 상기 틸팅모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를 관통하는 제2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광상협의 형상을 이루고 있되, 상기 베이스커버의 제1 관통구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상단면과 상기 베이스커버의 제1관통구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하단면을 가지는 틸팅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컬럼과 틸팅모듈, 틸팅스토퍼가 일체로 임의 각도로 틸팅하되, 상기 틸팅스토퍼의 외주면과 상기 베이스커버의 틸팅모듈 수용부의 제1 관통구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최대 틸팅 각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스토퍼는,
상기 베이스컬럼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컬럼에 결합되며,
상기 틸팅스토퍼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틸팅스토퍼의 외주면과 상기 베이스커버의 틸팅모듈 수용부의 제1 관통구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 최대 틸팅 각도도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컬럼의 외주면과 상기 틸팅스토퍼의 제2 관통구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컬럼과 틸팅스토퍼가 나사 결합 할 수 있으며,
상기 틸팅스토퍼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컬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컬럼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깊이의 요홈이 동일한 높이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되,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스토퍼의 제2 관통구 내주면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한 높이로 볼플런저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 스토퍼가 상기 베이스컬럼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되, 상기 베이스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에 상기 틸팅스토퍼의 볼플런저의 볼이 삽입되는 위치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틸팅스토퍼 상부에는 외주면과 제2 관통구 내주면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핀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스토퍼의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컬럼에 수평으로 힘을 가하는 고정핀에 의하여 상기 틸팅스토퍼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하단베이스의 틸팅모듈 안착부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지지판과,
상기 베이스컬럽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컬럼삽입관이 상면에서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컬럼삽입관의 틸팅에 의한 상부지지판의 기울어짐에 대하여 압축 반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0388A KR102437284B1 (ko) | 2020-12-22 | 2020-12-22 |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0388A KR102437284B1 (ko) | 2020-12-22 | 2020-12-22 |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9830A true KR20220089830A (ko) | 2022-06-29 |
KR102437284B1 KR102437284B1 (ko) | 2022-08-29 |
Family
ID=8227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0388A KR102437284B1 (ko) | 2020-12-22 | 2020-12-22 |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728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1670A (ko) * | 2016-08-18 | 2018-03-28 |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 경동 가능한 스툴 또는 라운지체어 |
KR102193566B1 (ko) * | 2019-09-19 | 2020-12-21 |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 경동 의자 |
-
2020
- 2020-12-22 KR KR1020200180388A patent/KR1024372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1670A (ko) * | 2016-08-18 | 2018-03-28 |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 경동 가능한 스툴 또는 라운지체어 |
KR101930837B1 (ko) | 2016-08-18 | 2018-12-19 |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 경동 가능한 체어 |
KR102193566B1 (ko) * | 2019-09-19 | 2020-12-21 |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 경동 의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7284B1 (ko) | 2022-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289547B (zh) | 可倾斜的凳子或可倾斜的休闲椅 | |
US6003944A (en) | Bar stool | |
US20060138840A1 (en) | Tilt and swivel chair and mechanism therefor | |
JP2009540970A (ja) | 腰掛または椅子の背もたれ、およびかかる背もたれを備えた腰掛または椅子 | |
US20030164633A1 (en) | Dynamic sitting device | |
US5836555A (en) | Industrial chair | |
US3655239A (en) | Chair having identical and interchangeable seat and backrest | |
JPH07505547A (ja) | 能動型動的シート装置 | |
US6942295B1 (en) | Reclining chair system | |
KR102437284B1 (ko) |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 |
US9750348B2 (en) | User stabilized stool | |
US20230083858A1 (en) | Chair device and star-shaped base thereof | |
US20080238165A1 (en) | Recline Mechanism For Seating Furniture | |
US20220378208A1 (en) | Tilt chair | |
KR200472419Y1 (ko) | 의자 | |
JP2013000446A (ja) | 椅子 | |
KR20160096358A (ko) |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 |
KR101074020B1 (ko) | 등판기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의자 | |
US20010028187A1 (en) | Seating furniture with rocking seat | |
KR20120003573U (ko) | 다기능 낚시의자 | |
US10702066B2 (en) | Office chair | |
JP2021142212A (ja) | 椅子の座板の支持機構 | |
GB2565537B (en) | Office chair | |
KR102321996B1 (ko) | 좌판모듈 틸팅이 가능한 의자 | |
US20070182232A1 (en) | Adjustable, locking armrest for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