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597A -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 Google Patents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597A
KR20220089597A KR1020210030183A KR20210030183A KR20220089597A KR 20220089597 A KR20220089597 A KR 20220089597A KR 1020210030183 A KR1020210030183 A KR 1020210030183A KR 20210030183 A KR20210030183 A KR 20210030183A KR 20220089597 A KR20220089597 A KR 20220089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coupling
elastic member
piece
floor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경
Original Assignee
이승구
구자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구, 구자경 filed Critical 이승구
Publication of KR2022008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바닥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띠 형태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타원형태를 이루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측으로 상기 바닥재 하부면으로 돌출되는 수직돌출결합부가 삽입되기 위하여 다수개 등간격 이격되며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몸체부의 측면은 원호 형태로 절곡되어지며 양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며 슬래브 상면과 접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건축물에서, 슬래브를 통하여 전달되는 생활 소음 등 층간 소음이 아래 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층간 소음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 등이 야기되지 않을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Noise Structure Between Floors Using Elastic Materials}
본 발명은 바닥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주거 환경에서 거주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 건축물에서의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거주형 건축물에서는 바닥충격음이나 거주자간의 대화 소리, 각종 생활 소음 등이 바닥 슬래브와 천장, 벽체 등을 통하여 하층 세대측으로 방사되는 경향이 강하다.
통상적인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에서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는 공기 전파음 차단성이 우수하여 좋은 차음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에 직접적인 충격이나 진동이 가하여지면 고체전파음으로 변하여 감쇠되지 않는 상태에서 인접한 다른 세대에 그대로 전달되는 등 소음으로 방사하게 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의해 시공되는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등의 모든 건물에는 아래층과 윗층을 구분하는 슬래브를 시공하여 윗층은 바닥이 되고, 아래층은 천장이 되는 구조를 이루며 시공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윗층의 생활 소음 등이 콘크리트 슬래브를 통하여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어 아래층 거주자에게 생활 소음으로 인한 고통을 주게 된다.
이러한 층간 소음은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되어, 윗세대와 아랫세대간 갈등으로 인한 범죄로까지 이어지는 경향이 점차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세대 연립주택, 빌라, 아파트 등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건축 구조물에서, 이러한 생활소음이 아랫세대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는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 특허 제1113544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층을 갖는 진동소음 차단판의 기술을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차단판의 성형시 그 내부에 성형봉제를 삽입하여 성형한 후 이를 제거하여 성형봉제가 끼워졌던 구멍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나, 충격 및 진동파가 공기층을 따라 차단판의 측면으로 이동하여 완전히 소멸되는 효과를 달성하기가 힘들고, 차단판은 복수의 시트를 서로 부착 형성하게 되어 제작공정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특허등록 제10-1890416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문헌의 경우, 다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면서 함몰되는 복수의 흡수홀을 갖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공기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공간을 갖는 돌기 또는 함몰되는 공기홀을 갖는 중간판 및 습기 등을 차단하면서 하중을 분산시키는 분산판의 적층 구조를 갖는 층간 소음 방지 패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에, 다수의 복층을 이루는 패널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시공이 번거로운 단점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며, 바닥재의 전체 두께가 두터워,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설치되는 난방 호스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충분히 바닥재에까지 전달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어, 난방 효율성이 떨어질 우려가 존재한다.
국내 특허등록 제10-1113544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89041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건축물에서, 슬래브를 통하여 전달되는 생활 소음 등 층간 소음이 아래 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바닥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띠 형태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타원형태를 이루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측으로 상기 바닥재 하부면으로 돌출되는 수직돌출결합부가 삽입되기 위하여 다수개 등간격 이격되며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몸체부의 측면은 원호 형태로 절곡되어지며 양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며 슬래브 상면과 접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건축물에서, 슬래브를 통하여 전달되는 생활 소음 등 층간 소음이 아래 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층간 소음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 등이 야기되지 않을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닥재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탄성부재와 도 2의 바닥재간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의한 분리된 탄성부재와 바닥재간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바닥재와 결합된 상태의 개괄적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부재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의한 탄성부재가 적용된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의한 실시예를 변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의한 변형 상태에서의 또다른 변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 내지 도 11의 변형에 의한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의 개괄적 단면도
도 13은 탄성부재를 하나의 소재를 활용하여 실시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건축구조물 특히 연립·다세대·아파트 등의 주거 건물에서 윗층과 아래층간 층간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게재되는 탄성수단을 제시하여, 윗층에서 발생되는 각종 생활 소음 등이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바닥재(1)와 슬래브(2) 사이에 게재되는 탄성부재(100)를 제시한다.
상기한 바닥재(1)는 통상적인 단위 패널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폭 100 mm × 길이 1,000 mm 의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닥재(1)들은 도 6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교호 배치 형성되며 슬래브(2)의 상면에 시공 처리된다.
이러한 바닥재(1)은 도 2 에서 보듯이, 하단측으로 다수개 등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수직돌출결합부(11)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재(1)와 슬래브(2) 사이에 본 발명의 탄성부재(100)가 결합되어지는데, 상기 탄성부재(100)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 상면으로 구비되는 결합홈(120)과,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부측으로 연하여 이어지는 탄성지지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10)는 바닥재(1)와 슬래브(2) 사이에 게재되어지며 상기 바닥재(1)를 슬래브(2)로부타 탄성 지지하기 위해 띠 형태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타원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측으로는 상기 바닥재(1)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직돌출결합부(11)가 삽입되기 위하여 다수개 등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홈(1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홈(120)에 의해 바닥재(1)가 본 발명의 탄성부재(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건축물의 슬래브(2) 상면에서 일정거리 즉 탄성부재(100)의 높이만큼의 이격 위치에 바닥재(1)가 고정 설치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측면측으로 곡률을 이루며 원호 형태를 갖도록 연하여 절곡 형성된 후 양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며 슬래브(2) 상면과 접하는 탄성지지부(130)를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탄성부재(100)의 구조는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 1 에서 보듯이, 탄성부재(100)는 하나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성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여 성형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100)의 몸체부(110) 양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며 원호 형태로 절곡된 후 이어서 수평선상으로 연장되어지는 탄성지지부(130)는 탄성부재(100)의 양단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양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절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탄성부재(100)의 양 끝단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양 끝단부가 절개된 상태를 이루며 슬래브(2)와 접하는 부분을 본 발명에서는 탄성지지부(130)라 명명한다. 상기 절개된 부분에 의해 슬래브(2)에 접한 상태에서 바닥재(1)를 통하여 충격력 및 하중이 탄성부재(100)의 몸체부(110)에 전달될 때 완충 역할이 가능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130)는 건축물의 슬래브(2) 상면측에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탄성지지부(130)로부터 연하여 원호 형태로 절곡 성형되는 측면측에 실질적인 바닥재(1)와 실내 거주민 및 실내 가구재 등의 하중이 실리게 되어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고, 상기 결합홈(120)으로는 전술한 바닥재(1)의 수직돌출결합부(11)와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서 바닥재(1)를 상향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부재(100)의 상면측 결합홈(120)에는 바닥재(1)와 바닥재(1)가 측면으로 접하는 위치의 직하방에 돌출형성되는 수직돌출결합부(11)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바닥재(1)의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이, 폭 100 mm × 길이 1,000 mm 의 사이즈로 대부분 규격화 되어 제공되어지고, 목재로 이루어지는 바닥재(1)의 특성상 외부로부터의 수분 흡수와 배출 현상에 의해 팽창과 수축이 일어나게 되어 상기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질 때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통상적인 바닥재(1)이 경우에는 이와 같이 수축 및 팽창시 바닥재(1)를 직선상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바닥재(1)와 바닥재(1)간 양단부의 구조를 결합 가능하도록 가공되어야 하고, 아울러 바닥재(1)와 인접하는 측면의 바닥재(1) 측면간 결합 구조도 별도로 가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바닥재(1)의 양단부와 양측면을 바닥재(1)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이딩되도록 하는 구조를 채택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바닥재(1)의 양단부측과 측면을 상호간 결합 및 지지하기 위한 요철부 등의 구조 없이 편평한 측면과 단부면을 갖더라도 본 발명에서의 탄성부재(100)를 구성하는 몸체부(110)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20)에 수직돌출결합부(11)가 끼워지며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바닥재(1)가 직선상으로 이송 가능한 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목재로 이루어지는 바닥재(1)가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생활상 발생되는 수분 등에 의해 팽창되거나 또는 수축되는 현상이 반복되더라도 이에 대응되며 바닥재(1)가 미세하게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재(1)와 바닥재(1)간 측면 직하방으로 돌출되는 수직돌출결합부(11)가 접하며 탄성부재(100)의 결합홈(120)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직돌출결합부(11) 중 어느 하나의 수직돌출결합부(11) 측면으로는 돌부(12)를 형성하고, 이와 접하는 타 수직돌출결합부(11)의 측면으로는 요홈(13)을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슬래브(2)와 바닥재(1) 사이에 탄성부재(100)가 게재된 상태에서 탄성부재(100)의 결합홈(120)과 결합되어 있는 바닥재(1)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력 등이 탄성부재(100)에 의해 상쇄되어 생활소음 등이 슬래브(2)측으로 전달되는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바닥재(1)가 슬래브(2) 상면을 따라 시공 설치되는 과정에서 바닥재(1)의 저면측으로 본 발명의 탄성부재(100)를 배치하며 시공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바닥재(1)와 바닥재(1)간 접하는 영역 직하방으로 이어지는 수직돌출결합부(11)가 한 조를 구성하며 본 발명의 탄성부재(100) 상면에 구성되는 결합홈(120)에 삽입되며 바닥재(1) 전체를 매우 용이하게 설치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탄성부재(100)의 결합홈(120)을 다수개 등간격 이격시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7에서 보는 것처럼 결합홈(120)을 하나로 구성하여서 되는 탄성부재(100)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홈(120)이 하나로 구성되는 탄성부재(100)의 경우에는 바닥재(1)와 바닥재(1)간 접하는 영역은 물론이지만, 접하지 않는 개별 단위의 바닥재(1) 저면으로 돌출되는 수직돌출결합부(11)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은 결합홈(120)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100)를 활용하여 바닥재(1)와 바닥재(1)간 접하는 영역에 시공 설치함과 동시에, 개별 단위의 바닥재(1) 저면으로도 탄성 지지 가능하도록 혼합하여 시공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에 의핸 탄성부재(100)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데 도 8과 같은 형태의 탄성부재(100)의 예시가 가능할 수 있는바, 도면에서 보듯이 하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며 슬래브(2)와 접하는 탄성지지부(130)를 갖는 타원형태의 몸체부(110)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측에 고정되어 바닥재(1)의 저면부와 결합되는 결합부(140)를 구성한다.
상기 탄성지지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은 원호 형태로 절곡되어지며 양단부가 절개된 상태에서 상호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며 슬래브(2) 상면과 접하여 탄성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140)는 몸체부(110)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몸체부결합편(141)과, 상기 몸체부결합편(141) 양단부에서 각각 직교되는 양방향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재(1) 저면과 피스(144) 등에 의해 결합도록 결합공(143)이 등간격 다수 천공되는 바닥재결합편(142)을 구성한다.
도면에서는 몸체부결합편(141)과 바닥재결합편(142)이 동일 수평선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결합편(141) 및 바닥재결합편(142)이 동시에 바닥재(1)의 하면과 접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에는 바닥재(1)를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균일하게 탄성부재(10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즉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몸체결합편(141)을 형성하되, 상기 몸체결합편(141)의 양단부에서 각각 직교되는 양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 절곡되는 절곡부(142a)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142a)로부터 수평 연장되며 다수의 결합공이 천공되는 절곡수평연장편(142b)를 형성하여 피스에 의해 상기 바닥재 저면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몸체부결합편(141)의 양단부 즉 끝단에서 양측방향으로 각각 상향 절곡되며 절곡수평연장편(142b)이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 11 에서 보는 것과 같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1 에 의한 결합부(140)는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몸체부결합편(141)을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결합편(141)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절곡부(142a)를 구성하고 상기 절곡부(142a)로부터 수평 연장되며 다수의 결합공(143)이 천공되는 절곡수평연장편(142b)를 구성하여, 피스(144)에 의해 상기 바닥재(1) 저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를 갖는 결합부(140)의 경우 전술한 것과 달리 몸체부결합편(141)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절곡부(142a)를 이룬 후 상기 절곡부(142a)에서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절곡수평연장편(142b)을 구성하게 되어 바닥재(1)와의 접촉 면적이 더 커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결합부(140)의 경우 바닥재(1)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절곡부(142a)를 통하여 전달되어지는데, 상기 절곡부(142a)에 의한 1차 탄성력이 발휘된 후, 이어서 탄성부재(100)의 몸체부(110)에서 2차 탄성력이 발휘될 수 있어 바닥재(1)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더욱 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소음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재(100) 이외에 또 다른 실시형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내용의 탄성부재(100)는 주로 몸체부(110)의 상면측에 별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40)를 고정하여 형성하는 예를 들었으나, 이와 달리 도 13 에서 보듯이, 탄성부재(100)와 결합부(140)를 일체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평판재의 양측단을 중앙영역까지 절개 형성하여 피스에 의해 바닥재의 저면과 접하며 고정되도록 하는 바닥재결합편(142)을 구성하고, 상기 중앙영역까지 절개되는 상기 양측 바닥재결합편(142)의 내부 영역 띠 형태를 이루는 소재를 타원체로 절곡 성형하는 몸체부(110)를 구성하되, 상기 몸체부(110)의 양단은 원호 형태로 절곡되어지며 양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며 슬래브(2) 상면과 접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130)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한 도 13에 의한 탄성부재(100)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지되 양 단부측으로 각각 바닥재(1)와 결합되도록 결합공(143)이 등간격 천공되는 바닥재결합편(142)을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바닥재결합편(142)의 내측부위가 절개되며 등근 타원체를 형성하여 양단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하는 몸체부(110)를 구성하게 된다.
즉 판재 형태를 이루는 소재에서 양측으로부터 일정 폭을 갖으며 중앙으로 절개되도록 하여 그 절개되는 부위가 전술한 바닥재결합편(142)이 되도록 구성하게 되고, 양 측의 바닥재결합편(142) 사이의 띠 형태를 갖는 편재를 타원형태로 절곡 성형하여 몸체부(110)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탄성부재(10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도 8 내지 도 12의 각 실시예들은 탄성지지부(130)를 포함하는 몸체부(110)와 바닥재결합편(142) 및 몸체부결합편(141)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40)를 구성하는 소재를 상기 몸체부(110) 상면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고정하는 것임에 반하여, 상기한 도 13 등의 실시예는 하나의 단일 소재를 활용하여 절개함으로써, 바닥재결합편(142)과 몸체부(110) 및 탄성지지부(130)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나의 소재를 활용함에 따른 원자재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들에 의하여 실시 가능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방향으로 길이방향 배치 시공되면서 측방향으로 교호 배치되는 통상의 바닥재(1) 시공 과정에서 탄성부재(100)들을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 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작업성 및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설치 시공 후 바닥재(1)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력 등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량을 적절하게 분산 시킬 수 있고, 동시에 충격력에 의한 소음 발생이 상기 탄성부재(100)에 의하여 충분한 완충 작용을 기대할 수 있어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바닥재 2; 슬래브
11; 수직돌출결합부 100; 탄성부재
110; 몸체부 120; 결합홈
130; 탄성지지부 140; 결합부
141; 몸체부결합편 142; 바닥재결합편
142a; 절곡부 143; 결합공
144; 피스

Claims (8)

  1.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바닥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띠 형태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타원형태를 이루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측으로 상기 바닥재 하부면으로 돌출되는 수직돌출결합부가 삽입되기 위하여 다수개 등간격 이격되며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몸체부의 양단은 원호 형태로 절곡되어지며 양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며 슬래브 상면과 접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바닥재와 바닥재간 측면이 접하여지는 영역 직하방으로 연하여 형성되는 수직돌출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바닥재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와 바닥재의 측면 접하는 영역의 상기 각각의 수직돌출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수직돌출결합부에는 돌부를 형성하고, 이와 접하며 대응되는 타측 수직돌출결합부의 측면에는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4.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바닥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띠 형태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타원형태를 이루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은 원호 형태로 절곡되어지며 양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며 슬래브 상면과 접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측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재의 저면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몸체부결합편;
    상기 몸체부결합편의 양단부에서 각각 직교되는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재 저면과 피스에 의해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등간격 다수 천공되는 바닥재결합편;
    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몸체결합편;
    상기 몸체결합편의 양단부에서 각각 직교되는 양방향으로 연장되며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로부터 수평 연장되며 다수의 결합공이 천공되는 절곡수평연장편;
    을 형성하여 피스에 의해 상기 바닥재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몸체결합편;
    상기 몸체결합편의 양측면으로 연장되며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로부터 수평 연장되며 다수의 결합공이 천공되는 절곡수평연장편;
    을 형성하여 피스에 의해 상기 바닥재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8. 평판재의 양측단을 중앙영역까지 절개 형성하여 피스에 의해 바닥재의 저면과 접하며 고정되도록 하는 바닥재결합편;
    상기 중앙영역까지 절개되는 상기 양측 바닥재결합편의 내부 영역의 띠 형태를 이루는 소재를 전체적으로 타원체로 절곡 성형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은 원호 형태로 절곡되어지며 양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며 슬래브 상면과 접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1020210030183A 2020-12-21 2021-03-08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20220089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518 2020-12-21
KR20200179518 2020-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97A true KR20220089597A (ko) 2022-06-28

Family

ID=8226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183A KR20220089597A (ko) 2020-12-21 2021-03-08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95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1838A (zh) * 2019-07-15 2019-10-15 金华市安索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地板基件、地板组件及地板
KR102617529B1 (ko) * 2022-11-07 2023-12-28 임재훈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완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44B1 (ko) 2009-07-20 2012-02-24 박기성 공기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KR101890416B1 (ko) 2016-02-15 2018-09-28 한설희 층간 소음 방지 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44B1 (ko) 2009-07-20 2012-02-24 박기성 공기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KR101890416B1 (ko) 2016-02-15 2018-09-28 한설희 층간 소음 방지 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1838A (zh) * 2019-07-15 2019-10-15 金华市安索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地板基件、地板组件及地板
KR102617529B1 (ko) * 2022-11-07 2023-12-28 임재훈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완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9597A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US7721498B2 (en) Floor system
KR200431410Y1 (ko)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KR100884158B1 (ko) 층간 차음재
KR10238631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에서의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20220005881A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200394587Y1 (ko) 건물의 층간차음재
KR100744973B1 (ko) 건축물 조립식 바닥패널
KR101448010B1 (ko) 바닥 시공재
KR101322735B1 (ko) 공용주택 층간 소음 방지 재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28821A (ko) 시스템 건식 난방장치
KR20150047723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1674737B1 (ko) 바닥구조물
KR200470304Y1 (ko) 고차음 경량 철골 벽체 시스템
KR2015011117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0645116B1 (ko) 제진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20130036982A (ko) 고차음 경량 철골 벽체 시스템
KR20110137921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2649958B1 (ko)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454900B1 (ko) 층간차음재
KR101858591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내진성능이 향상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2649980B1 (ko) 롤링 타입의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200359819Y1 (ko) 건물의방음 및 단열세라믹바닥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