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958B1 -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958B1
KR102649958B1 KR1020220101954A KR20220101954A KR102649958B1 KR 102649958 B1 KR102649958 B1 KR 102649958B1 KR 1020220101954 A KR1020220101954 A KR 1020220101954A KR 20220101954 A KR20220101954 A KR 20220101954A KR 102649958 B1 KR102649958 B1 KR 10264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elastic member
slab
prevention device
nois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23804A (ko
Inventor
구자경
Original Assignee
이승구
구자경
안정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구, 구자경, 안정임 filed Critical 이승구
Priority to KR1020220101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958B1/ko
Publication of KR20240023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단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오목한 원호 형태로 라운딩되며 양 끝단으로 축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축파지부에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 양단에 각각 로울러가 형성되는 상부탄성부재; 양측단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볼록한 원호 형태로 라운딩되어 중앙측과 상기 상부탄성부재의 중앙측이 접하며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탄성부재; 상기 상부탄성부재는 바닥재의 저면부와 접하여 상기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로울러의 작용에 따라 탄성력이 발휘되고, 상기 하부탄성부재는 슬래브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상부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응되며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력과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하여,
바닥재 등에 가해지는 충격력 등이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게재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에 의해 충격력을 완전히 흡수 분산시켜 아래층으로의 소음 전달 경로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소음 방지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어, 층간 소음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 등이 야기되지 않을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 효과와,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요소 중 양단에 각각 로울러가 구비되는 상부탄성부재가, 바닥재에 가해지는 반복적 충격력에 의한 롤링 작용에 의해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서의 이동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바, 이러한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가 배열되는 위치로부터의 이탈 현상을 완벽히 방지함으로써 바닥재 하부측 어느 한측으로 층간소음 방지장치가 쏠리는 문제를 해소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Rolling-typ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device provided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 and the slab}
본 발명은 바닥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주거 환경에서 거주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 건축물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어지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거주형 건축물에서는 바닥충격음이나 거주자간의 대화 소리, 각종 생활 소음 등이 바닥 슬래브와 천장, 벽체 등을 통하여 하층 세대측으로 방사되는 경향이 강하다.
통상적인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에서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는 공기 전파음 차단성이 우수하여 좋은 차음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에 직접적인 충격이나 진동이 가하여지면 고체전파음으로 변하여 감쇠되지 않는 상태에서 인접한 다른 세대에 그대로 전달되는 등 소음으로 방사하게 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의해 시공되는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등의 모든 건물에는 아래층과 윗층을 구분하는 슬래브를 시공하여 윗층은 바닥이 되고 아래층은 천장이 되는 구조를 이루며 시공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윗층의 생활 소음 등이 콘크리트 슬래브를 통하여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어 아래층 거주자에게 생활 소음으로 인한 고통을 주게 된다.
이러한 층간 소음은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되어, 윗세대와 아랫세대간 갈등으로 인한 범죄로까지 이어지는 경향이 점차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세대 연립주택, 빌라, 아파트 등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건축 구조물에서, 이러한 생활소음이 아랫세대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는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 특허 제1113544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층을 갖는 진동소음 차단판의 기술을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차단판의 성형시 그 내부에 성형봉제를 삽입하여 성형한 후 이를 제거하여 성형봉제가 끼워졌던 구멍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나, 충격 및 진동파가 공기층을 따라 차단판의 측면으로 이동하여 완전히 소멸되는 효과를 달성하기가 힘들고, 차단판은 복수의 시트를 서로 부착 형성하게 되어 제작공정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특허등록 제10-1890416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문헌의 경우, 다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면서 함몰되는 복수의 흡수홀을 갖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공기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공간을 갖는 돌기 또는 함몰되는 공기홀을 갖는 중간판 및 습기 등을 차단하면서 하중을 분산시키는 분산판의 적층 구조를 갖는 층간 소음 방지 패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에, 다수의 복층을 이루는 패널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시공이 번거로운 단점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며, 바닥재의 전체 두께가 두터워,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면에 설치되는 난방 호스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충분히 바닥재에까지 전달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어, 난방 효율성이 떨어질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566776호(2015.11.02.)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에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한 국내 특허의 경우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는 외부로부터 상부하우징으로의 가압에 따른 판스프링의 이완에 따라 체결볼트가 상부하우징과 함께 하강되지 못하면서 고른 완충효과는 물론, 안정된 착지감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국내 특허등록 제 10-1712986 호에 의해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갖으며 내부에 발포폴리에틸렌 시트 및 다양한 구성요소 등을 구비하는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들을 결속하는 바닥재의 구성에서 승강지지부, 체결부재, 탄성부재, 상하 승강되는 체결볼트 등의 구성요소들의 결합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상기한 구성들의 결합에 의해 제공되는 선행 기술의 경우 전술한 것처럼 복잡한 구성요소들의 상호 결합에 의존하고 있어 설치 코스트가 상당히 증가될 수 있음을 예견할 수 있고, 바닥재를 통하여 제공되는 충격소음이 상하 승강되는 체결볼트 및 탄성부재, 상하부하우징 내부의 판스프링 등에 의해 상쇄 가능하다.
하지만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며 스프링이 구성되는 승강지지부 및 하단부측으로 이어지는 판스프링이 상하부하우징 내부에 구성되어 있어 충격력이 효과적으로 상쇄되지 못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해 본원인 중 일인에 의해 출원공개된 제 10-2022-0005881 호에 의해,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바닥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서 전체적으로 산영역과 골영역을 이루는 파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산영역으로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바닥재의 측면 하방으로 이어지는 수직부와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구성하여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주거 환경에서 거주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 건축물에서의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특허의 경우 소망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텐션력 또는 탄성력이 다소 미흡하여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바닥재에서 분산시키는 작용이 크지 않는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1113544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890416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566776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712986호 국내 특허공개 제10-2022-0005881호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인에 의해 기 출원되어 공개되어 있는 선행특허로부터 감안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발견하여 후속 모델로의 개발을 지속한 결과물인 본 발명에 의해, 상기한 선행문헌들의 기술들에서 예견되거나 이미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게재되는 구름운동 가능한 타입인 롤타입으로 제시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충격력을 완전히 흡수 분산시켜 아래층으로의 소음 전달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양측단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오목한 원호 형태로 라운딩되며 양 끝단으로 축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축파지부에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 양단에 각각 로울러가 형성되는 상부탄성부재;
양측단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볼록한 원호 형태로 라운딩되어 중앙측과 상기 상부탄성부재의 중앙측이 접하며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탄성부재;
상기 상부탄성부재는 바닥재의 저면부와 접하여 상기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로울러의 작용에 따라 탄성력이 발휘되고, 상기 하부탄성부재는 슬래브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상부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응되며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력과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재 등에 가해지는 충격력 등이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게재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에 의해 충격력을 완전히 흡수 분산시켜 아래층으로의 소음 전달 경로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소음 방지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어, 층간 소음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 등이 야기되지 않을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요소 중 양단에 각각 로울러가 구비되는 상부탄성부재가, 바닥재에 가해지는 반복적 충격력에 의한 롤링 작용에 의해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서의 이동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바, 이러한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가 배열되는 위치로부터의 이탈 현상을 완벽히 방지함으로써 바닥재 하부측 어느 한측으로 층간소음 방지장치가 쏠리는 문제를 해소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실시예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의한 본 발명을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재에 하중 등이 가해질 때의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3은 도 1 의 본 발명에서, 상하부탄성부재 사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플렉시블연결바를 형성하여 바닥재와 고정되는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을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설치하여 바닥재에 하중 등이 가해질 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바닥재의 저면에 로울러홈을 형성하여 상부탄성부재의 로울러의 유동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이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서 초기 설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닥재의 저면에 일정폭으로 스토퍼를 구성하여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 특히 연립·다세대·아파트 등의 주거 건물에서 윗층과 아래층간 층간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게재되는 탄성수단을 제시하여, 윗층에서 발생되는 각종 생활 소음 등이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탄성부재(110)와 하부탄성부재(120)가 서로 상하로 대향되며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상부탄성부재(110)는 양측단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오목한 원호 형태로 라운딩되며 양 끝단으로 축파지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축파지부(111)에 회동축(112)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112) 양단에 각각 로울러(113)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부탄성부재(120)는 양측단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볼록한 원호 형태로 라운딩되어 중앙측과 상기 상부탄성부재(110)의 중앙측이 접하며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상부탄성부재(110)는 오목한 형태로 라운딩 되며 양단부측의 회동축(112)에 축설되는 로울러(113)가 바닥재(10)의 저면과 접하는 상태이며, 상기 하부탄성부재(120)는 볼록한 형태로 라운딩되며 상기 상부탄성부재(110)의 중앙과 접하며 결합되는 상태에서 양단부측이 슬래브(20)와 접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탄성부재(110)와 하부탄성부재(120)의 중앙은 서로 접하며 체결부(130)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탄성부재(110)와 하부탄성부재(120) 사이의 접하는 중앙 부분을 직교되는 상태로 가로지르며 상기 상부탄성부재(110)와 하부탄성부재(120)간을 결합하고, 그 양단측에 각각 결합공(141)을 갖는 플렉시블연결바(1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연결바(140)는 고무재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하는 바람직하다.
플렉시블연결바(140)는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재(10)의 저면부에 피스(142) 등에 의해 고정된다.
바닥재(10)의 저면부에 고정되는 플렉시블연결바(140)에 의해 본 발명의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100)는 동일한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예컨데, 입주자 등의 생활에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한 충격하중이 바닥재(10)에 빈번하게 가해질 때마다 상부탄성부재(110)의 로울러(113)의 롤링 운동과 함께 상부탄성부재(110)가 탄성력을 발휘한 후 원상복귀 되는 반복적인 과정에서,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100)의 원래 설치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즉, 처음 설치할 때에는 바닥재(10)와 슬래브(20) 사이에 균등한 간격으로 본 발명을 설치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본 발명인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100)의 위치가 변위되어 어느 한 영역으로 몰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몰림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바닥재(10)에 가해지는 충격력의 흡수 및 소음 상쇄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100)의 이동에 의해 어느 영역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게 되어, 생활과정에서 바닥재(1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바닥재(10) 자체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플렉시블연결바(14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연결바(140)는 고무재질이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의 소재에 의해 띠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여,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100)를 바닥재(10)와 슬래브(20) 사이에 설치할 때, 상기 플렉시블연결바(140)와 바닥재(10) 저면간을 피스(142)등을 활용하여 먼저 고정한 후 바닥재(10) 설치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외에도, 도 6 에서 보는 것과 같이 플렉시블연결바(140)를 채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바닥재(10)의 저면부측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로울러홈(11)을 형성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상기 바닥재(10)의 저면부측으로 상기 상부탄성부재(110)의 로울러(113)가 내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울러홈(11)에 의해, 상기 로울러(113)는 로울러홈(11) 내부에서만 롤링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탄성부재(110)의 로울러(113)의 운동 영역을 로울러홈(11)에 의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인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100)는 설정 된 위치에서 변위를 발생하지 않고 초기 설정 위치를 고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달리 또 다른 실시예의 형태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재(10)의 저면측으로 상기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10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간격을 갖도록 양측에 스토퍼(12)를 고정할 수 있다.
충격력(P)이 가해지게 되면 상부탄성부재(110)가 탄성적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로울러(113)가 상기 스트포(12)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되면,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100)가 최초 설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고유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바닥재(10)는 가로와 세로가 규격화되는 편자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설치 영역별로 바닥재(10)를 설치할 때 용이하게 본 발명인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100)를 설치,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연결바(140)를 활용하여 바닥재(10) 저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재(10)와 슬래브(20) 사이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100)를 설치하게 되면, 바닥재(10)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장치가 일정한 영역에서 각각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로울러(113)의 롤링 및 상부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재(1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시키면서도 충격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탄성부재(110)는 바닥재(10)의 저면부와 접하여 상기 바닥재(1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로울러(113)의 구름운동 작용에 따라 탄성력이 발휘되고, 상기 하부탄성부재(120)는 슬래브(20)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상부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 대응되며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바닥재(10)에 가해지는 충격력과 소음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바닥재(1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하단에 하부고무판층(13)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무판층(13) 상면으로 합판패털층(14)과 방음재테이프(14), 방음재층(16) 및 상기 방음재층(16) 상면으로 상부고무판층(17)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고무판층(17) 상면으로 콘크리트모르타르층(18)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 바닥재(10)의 저면측과 고정되고 상기 슬래브(2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며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100)의 영역을 에워싸는 차음부재(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음부재(30)가 바닥재(10)의 저면측과는 고정되고 슬래브(20)의 상면으로부터는 고정되지 않은 채 이격되도록 하는 것은, 바닥재(10)에 충격이 가해질 때 본 발명의 상부탄성부재(110)가 로울러(113)의 롤링 작용에 의해 양측 전방향으로 밀려가며 충격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차음부재(30)가 바닥재(10)와 동일하게 하방향으로 하강하며 슬래브(20) 상면과 접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차음부재(30)는 바닥재(10) 저면측에만 고정되고 슬래브(20)와는 고정되지 않은 채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바닥재 11; 로울러홈
12; 스토퍼 13; 하부고무판층
14; 합판패널층 15; 방음재테이프
16; 방음재층 17; 상부고무판층
18; 콘크리트모르타르층 20; 슬래브
100;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110; 상부탄성부재
111; 축파지부 112; 회동축
113; 로울러 120; 하부탄성부재
130; 체결부 140; 플렉시블연결바
141; 결합공 142; 피스

Claims (7)

  1. 양측단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오목한 원호 형태로 라운딩되며 양 끝단으로 축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축파지부에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 양단에 각각 로울러가 형성되는 상부탄성부재;
    양측단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볼록한 원호 형태로 라운딩되어 중앙측과 상기 상부탄성부재의 중앙측이 접하는 하부탄성부재;
    상기 상부탄성부재는 바닥재의 저면부와 접하여 상기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로울러의 구름운동 작용에 따라 탄성력이 발휘되고, 상기 하부탄성부재는 슬래브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상부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응되며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력과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탄성부재와 하부탄성부재 사이의 접하는 중앙 부분을 직교되는 상태로 가로지르며 상기 상하부탄성부재와 결합되고 양단측에 각각 결합공을 갖는 플렉시블연결바;
    를 포함하는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탄성부재와 하부탄성부재의 중앙은 서로 접하며 체결부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저면부측으로 상기 로울러가 내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울러홈;
    을 포함하는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저면측으로 한 조의 이격되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 간격내에서 상기 상부탄성부재의 로울러가 유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최하단에 구비되는 하부고무판층 상면으로 합판패털층과 방음재테이프, 방음재층 및 상기 방음재층 상면으로 상부고무판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고무판층 상면으로 콘크리트모르타르층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저면측에 고정되어지되 상기 슬래브의 상면과는 이격되며,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의 영역을 에워싸며 구비되는 차음부재;
    를 포함하는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KR1020220101954A 2022-08-16 2022-08-16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KR10264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954A KR102649958B1 (ko) 2022-08-16 2022-08-16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954A KR102649958B1 (ko) 2022-08-16 2022-08-16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804A KR20240023804A (ko) 2024-02-23
KR102649958B1 true KR102649958B1 (ko) 2024-03-22

Family

ID=9004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954A KR102649958B1 (ko) 2022-08-16 2022-08-16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9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00B1 (ko) * 2008-08-22 2009-10-06 유니슨엔지니어링(주) 제진합판을 사용한 플라이우드패널 방식의 이중바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877B1 (ko) * 2005-09-09 2007-07-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물
KR101113544B1 (ko) 2009-07-20 2012-02-24 박기성 공기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KR20150078304A (ko) * 2013-12-30 2015-07-08 김경중 충격 진동 흡수 시트
KR101566776B1 (ko) 2015-07-15 2015-11-06 (주)원양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890416B1 (ko) 2016-02-15 2018-09-28 한설희 층간 소음 방지 패드
KR101712986B1 (ko) 2016-11-03 2017-03-07 합자회사 건축사사무소태백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2045627B1 (ko) * 2017-10-30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복합패널유닛 및, 복합패널구조체
KR20210003642A (ko) * 2019-07-02 2021-01-12 구자경 층간소음보드
KR20220005881A (ko) 2020-07-07 2022-01-14 구자경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00B1 (ko) * 2008-08-22 2009-10-06 유니슨엔지니어링(주) 제진합판을 사용한 플라이우드패널 방식의 이중바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804A (ko)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776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US7721498B2 (en) Floor system
KR101712986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589525B1 (ko)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KR200431410Y1 (ko)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KR101607546B1 (ko) 건축 자재
KR10225560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해 벽체-고정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뜬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38631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에서의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100827424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 온돌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JPH0332673Y2 (ko)
KR102649958B1 (ko) 바닥재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롤링타입 층간소음 방지장치
KR20060094292A (ko) 층간차음재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20220005881A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20100001719U (ko) 층간소음차단용 소음 방지 조립체
KR100698410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100744973B1 (ko) 건축물 조립식 바닥패널
KR102649980B1 (ko) 롤링 타입의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100645116B1 (ko) 제진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2361502B1 (ko) 층간 차음용 단독 패널
KR20220089597A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2015011117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JPH0546420B2 (ko)
KR20220142805A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