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543A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543A
KR20220089543A KR1020200180276A KR20200180276A KR20220089543A KR 20220089543 A KR20220089543 A KR 20220089543A KR 1020200180276 A KR1020200180276 A KR 1020200180276A KR 20200180276 A KR20200180276 A KR 20200180276A KR 20220089543 A KR20220089543 A KR 20220089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content
image
prov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6902B1 (en
Inventor
최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젠
Priority to KR102020018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02B1/en
Publication of KR20220089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5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7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e.g. using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대상 전기차가 주차되는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설치되는 충전유닛과, 상기 충전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전기차가 충전되는 동안 운전자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wherein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 charging unit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a parking lot where an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is parked, and the electric vehicle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charging unit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image content to an occupant of 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Sinc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the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mage content to passengers including the driver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river's boredom can be eliminated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Description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가 충전 중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capable of providing image content to passengers including a driver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전기차는 전기만을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친환경자동차로, 고전압 배터리에서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이다.An electric vehicle is an eco-friendly vehicle that uses only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to generate driving power by supplying electric energy from a high-voltage battery to an electric motor.

이러한 전기차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CO2)나 질소산화물(NOx) 등과 같이 배기가스 배출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소음이 없는 이점 등이 있다.Since these electric vehicles do not use fossil fuels, almost no exhaust gas emissions such as carbon dioxide (CO 2 ) or nitrogen oxides (NOx) are generated, and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no noise.

또한, 점차 증가하는 환경오염 및 자원부족을 막기 위해 전기차의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차 충전소의 설치도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차를 충전하는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운전자가 장시간 지루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mmercialization of electric vehicles is progressing in order to prevent the increas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lack of resources, and accordingly, installat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has become necessary. The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charger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river feels bored for a long time.

등록특허공보 제10-1864197호: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64197: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기차를 충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capable of providing image content to passengers, including a driver,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대상 전기차가 주차되는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설치되는 충전유닛과, 상기 충전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구비한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the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harging unit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a parking lot where a charging target electric vehicle is parked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charging unit.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image content to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charging.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주차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크린와, 상기 충전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조사하는 영상 조사모듈과,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상기 탑승자에게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모듈을 구비한다. The content providing unit includes a screen installed on one edge of the parking space, an image irradi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charging unit to irradiate a moving image of the image content with the screen, and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moving image of the image content to the passenger and a sound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sound.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가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라디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해당 사운드를 상기 라디오의 수신 가능 주파수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may transmit a corresponding sound to a receivable frequency of the radio so that the sound of the image content is output through a radio mounted in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다수의 상기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영상 컨텐츠들에 대한 보유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보유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영상 조사부 및 사운드 출력부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제공하는 제1제공모듈을 구비한다. The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image contents are stored, a holding list for the image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passenger, and stores the image content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holding list into the database. and a first providing module for receiving a video and sound of the corresponding image content to the image irradiation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respectively.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컨텐츠 제공서버와 통신하며,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들에 대한 영상 리스트를 상기 탑승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영상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영상 조사부 및 사운드 출력부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제공하는 제2제공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unit communicates with a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es an image list of image contents stored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passenger, and receives the image content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image li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image irradiation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a moving picture and sound of the corresponding image content, respectively.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탑승자가 소유한 단말기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상기 영상 조사부 및 사운드 출력부에 제공하는 제3제공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roviding module that receives image content from a terminal owned by the passenger and provides a moving image and sound of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the image irradiation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respectively.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스크린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에 마련되는 가림막 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hield member provided on the screen to prevent sunlight from being incident on the screen.

상기 가림막 부재는 상기 스크린의 상측 가장자리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공간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The shield member is installed on the upper edge or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creen,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ther edge of the parking space.

상기 가림막 부재는 상기 스크린에서 상기 주차공간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주차공간에 주차된 전기차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스크린에 설치되며, 상기 인입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태양광이 상기 인입공간으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광부재와, 상기 스크린 또는 주차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센서와, 상기 광량 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크린 또는 주차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차광부재가 펼쳐지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creen member is slidably installed from the screen to the other edge of the parking space, and at least one support frame provided with an inlet space so that an electric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can be introduced therein, and one side is on the screen is installed, is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so as to cover the entrance space and blocks sunlight from entering the entrance space; When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creen or parking spa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based on a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to detect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the support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screen so that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unfolde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support frame may be provided.

상기 주차장은 각각 상기 충전유닛 및 컨텐츠 제공부가 마련된 다수의 상기 주차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진입하는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유닛을 통해 전기차가 충전 중인 상기 주차공간들 중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의 종료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이 가장 적은 주차공간을 기준 공간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기준 공간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한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안내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parking lot has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provided with the charging unit and the content providing unit, respectively, and is installed on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lo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 among the parking spaces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unit, a parking space having the smallest remaining time until the end of the video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nit is selected as the reference space, and the parking space adjacent to the selected reference space is selected as the reference space. A guide module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of the location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전기차가 충전되는 동안 운전자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the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mage content to passengers including the driver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river's boredom can be eliminated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가림막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가림막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가림막 부재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the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reen membe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reen membe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the shield member of Figure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ent providing uni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1 and 2 show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은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대상 전기차가 주차되는 주차장(10)의 주차공간(11)에 설치되는 충전유닛(200)과, 상기 충전유닛(200)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3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주차장(10)은 전기차가 진입하는 입구와, 전기차가 출차하는 출구가 마련되며, 입구가 출구 사이에 다수의 주차공간(11)이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주차공간(11)에는 각각 상기 충전유닛(200) 및 컨텐츠 제공부(300)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provided with the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includes a charging unit 200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11 of a parking lot 10 in which an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is parked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300 that provides image content to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charging unit 200 . Here, the parking lot 10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for the electric vehicle to enter and an exit for the electric vehicle to exit, and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11 are sequentially provided between the entrances and the exits. The charging unit 200 and the content providing unit 300 are independently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11 , respectively.

상기 충전유닛(200)은 주차공간(11)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며, 전기차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으며,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충전유닛(200)은 커넥터에 연결된 전기차의 충전에 소요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전력량 산출부와, 커넥터에 연결된 전기차로부터 해당 전기차의 배터리의 충전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정보 수집부와, 상기 전력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전력량 정보를 토대로 결제금액을 산출하는 결제금액 산출부와, 상기 결제금액 산출부, 전력량 산출부 및 차량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운전자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다. The charging unit 200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a connector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and is configured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harging unit 200 includes a power amoun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power required for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a vehicle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a charge rate of a battery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 vehicle from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 payment amount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payment amount based on the electricity amount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payment amount calculation unit,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and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re displayed in the driver It is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provided to be able to.

한편, 상기 충전유닛(200)은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시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harging unit 200 is a charging facility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컨텐츠 제공부(300)는 상기 주차공간(11)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크린(310)과, 상기 스크린(310)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310)에 마련되는 가림막 부재(320)와, 상기 충전유닛(20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310)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조사하는 영상 조사모듈(330)과,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상기 탑승자에게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모듈(340)과, 상기 영상 조사모듈(330) 및 사운드 출력모듈(340)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유닛(350)을 구비한다. The content providing unit 300 includes a screen 310 installed on one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and a shield member provided on the screen 310 to prevent sunlight from being incident on the screen 310 . 320, an image irradiation module 330 installed in the charging unit 200 to irradiate a moving image of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310, and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moving image of the image content to the passenger and a sound output module 340,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50 that provides video and sound of the corresponding image content to the image irradiation module 330 and the sound output module 340.

스크린(310)은 주차공간(11)의 전방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주차공간(11)의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또한, 스크린(310)은 주차공간(11)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린(310)은 영상 조사모듈(330)로부터 영상이 조사되는 조사면이 흰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creen 310 is installed on the front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and extends upward a predetermined length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11 so that an image can be projected. In addition, the screen 310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parking space (1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en 310 has a white irradiated surface on which an image is irradiated from the image irradiating module 330 .

가림막 부재(320)는 스크린(3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차광부재(321)와, 상기 제1차광부재(321)의 좌우단에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차광부재(322)를 구비한다. The shielding member 320 includes a first light blocking member 321 installed on the upper edge of the screen 310 ,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 blocking members 322 extending downwar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light blocking member 321 , respectively. ) is provided.

상기 제1차광부재(321)는 스크린(310)의 상측 가장자리에,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며, 스크린(31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차공부재는 광이 투과되는 것이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light blocking member 321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screen 310 to protrude rea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creen 310 . The first primary member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blocks light from being transmitted.

상기 제2차광부재(322)는 제1차광부재(321)의 좌우단부에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며, 스크린(310)의 상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제2차광부재(322)는 스크린(310)에 대해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며, 광이 투과되는 것이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light blocking member 322 extends downwar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light blocking member 321 , respectively, and extends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screen 310 . The second light blocking member 322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creen 310 and blocks light from being transmitted.

상술된 바와 같이 가림막 부재(320)는 상기 스크린(310)의 상측 가장자리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스크린(310)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스크린(310)에 투사된 영상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member 320 is installed at the upper edge or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creen 310 to prevent sunlight from being incident on the screen 310 ,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image projected on the screen 310 is improved. do.

한편, 상기 가림막 부재(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공간(11)에 주차된 전기차가 인입될 수 있도록 주차공간(11)의 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 the shield member 320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rear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so that an electric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11 can be introduced.

영상 조사모듈(330)은 충전유닛(200)의 상단부에 고정된 지지대(331)와, 상기 지지대(331)에 설치되어 스크린(310)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빔 프로젝터(332)를 구비한다. The image irradiation module 330 includes a support 331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 and a beam projector 332 installed on the support 331 to project an image to the screen 310 .

지지대(331)는 충전유닛(200)의 상단부에 일단이 고정되며, 주차공간(11)의 중앙부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이때, 지지대(331)는 주차공간(11)에 주차되는 전기차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차장(10)의 바닥면에 대해 전기차의 상하 폭보다 더 높은 위치의 상기 충전유닛(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support 331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 and a predetermined length is extended toward the center of the parking space 11 . At this time, the support 331 is installed in the charging unit 200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loor of the parking lot 10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electric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11. it is preferable

빔 프로젝터(332)는 지지대(331)의 타단에 설치되어 스크린(310)으로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투사한다. 상기 빔 프로젝터(33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방에 투사렌즈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투사렌즈를 통해 영상빔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투사본체와, 상기 투사본체 내에 설치되어 화소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어레이된 다이오드 에레이와, 상기 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집속하기 위한 집속부와, 상기 투사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집속부에 의해 집속된 광을 스크린(310)으로 주사시키기 위한 미러를 포함하는 스캔부가 마련된 프로젝터로 구성된다. 한편, 빔 프로젝터(332)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310)으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영상투사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The beam projector 332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331 to project a moving picture of the image content onto the screen 31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beam projector 332 includes a projection body provided with a projection lens in front to emit an image beam through the projection lens, and a plurality of installed in the projection body to form pixels A diode array in which light emitting diodes or laser diodes are arrayed, a focusing part for focus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diode array, is provided inside the projection body, and the light focused by the focusing part is transferred to the screen 310 It is composed of a projector provided with a scanning unit including a mirror for scanning. Meanwhile, the beam projector 332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image projection means capable of projecting an image onto the screen 310 is applicable.

사운드 출력모듈(340)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가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라디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해당 사운드를 상기 라디오의 수신 가능 주파수로 전송한다. 이때, 사운드 출력모듈(340)은 FM 이나 AM 으로 사운드를 전송하거나 두 영역 모두에 대해 사운드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 출력모듈(340)은 탑승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운드가 전송된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충전유닛(2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340 transmits the sound of the image content to the receivable frequency of the radio so that the sound is output through the radio mounted in the electric vehicle. 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module 340 may transmit sound in FM or AM or transmit sound to both areas. On the other hand, the sound output module 34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at which the sound is transmitted on the display panel of the charging unit 200 so that the occupant can recognize it.

정보 제공유닛(350)은 다수의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51)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351)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중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영상 조사모듈(330) 및 사운드 출력모듈(340)에 제공하는 제1제공모듈(352)을 구비한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50 provides a database 351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contents are stored, and image contents selected from among the image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351 to the image research module 330 and the sound output module 340 . and a first providing module 352 that does.

상기 데이터 베이스(351)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는 동영상과, 해당 동영상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포함한다. 일예로, 영상 컨텐츠는 영화, TV 드라마, 쇼 프로그램 등이 적용된다. The database 351 stores various types of image contents. Here, the video content includes a video and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video. For example, a movie, a TV drama, a show program, etc. are applied to the image content.

제1제공모듈(352)은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데이터 베이스(351)에 저장된 상기 영상 컨텐츠들에 대한 보유 리스트를 제공한다. 이때, 제1제공모듈(352)은 충전유닛(2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보유 리스트를 표시하거나 기등록된 스마트폰과 같은 탑승자의 단말기(356)로 해당 보유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보유 리스트를 제공받은 탑승자는 충전유닛(200)에 마련된 키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이나 자신이 소유한 단말기(356)를 통해 보유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제1제어모듈(442)은 상기 보유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351)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은 영상 조사부에 전송하고, 해당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 정보는 사운드 출력부에 전송한다. The first providing module 352 provides a list of holdings for the image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351 to the passenger. In this case, the first providing module 352 may display the possession list on the display panel of the charging unit 200 or transmit the possession list to the terminal 356 of the passenger, such as a pre-registered smartphone. The passenge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possession list selects one of the video contents included in the possession list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provided in the charging unit 200 or the terminal 356 owned by the passenger. The first control module 442 receives the image content selected by the occupant from the holding list from the database 351, and transmits the video of the provided image content to the image research unit, and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imag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ound output.

한편, 상기 정보 제공유닛(350)은 컨텐츠 제공서버(355)와 통신하며,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355)의 영상 컨텐츠를 영상 조사모듈(330) 및 사운드 출력모듈(340)에 제공하는 제2제공모듈(353)을 더 구비한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50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 and provides the image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to the image research module 330 and the sound output module 340 . A module 353 is further provided.

제2제공모듈(353)은 충전유닛(200)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이 시작되면, 컨텐츠 제공서버(355)에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355)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영상 리스트를 획득한다. 다음, 제2제공모듈(353)은 획득한 영상 리스트를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2제공모듈(353)은 충전유닛(2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보유 리스트를 전송하거나 기등록된 스마트폰과 같은 탑승자의 단말기(356)로 해당 영상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영상 리스트를 제공받은 탑승자는 충전유닛(200)에 마련된 키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이나 자신이 소유한 단말기(356)를 통해 영상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제2제공모듈(353)은 상기 영상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355)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은 영상 조사부에 전송하고, 해당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 정보는 사운드 출력부에 전송한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서버(355)는 '넷플릭스'와 같이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보유 및 제공할 수 있는 영상 관련 업체의 관리 서버가 적용된다.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starts through the charging unit 200, the second providing module 353 access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to obtain an image list for the image content stored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 Next, the second providing module 353 provides the acquired image list to the occupant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is case, the second providing module 353 may transmit the holding list to the display panel of the charging unit 200 or transmit the image list to the passenger's terminal 356 such as a pre-registered smartphone. The passenger receiving the image list selects one of the image contents included in the image list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provided in the charging unit 200 or the terminal 356 owned by the passenger. The second providing module 353 receives the image content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image li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transmits the received image content moving image to the image research unit, and sound information of the image content is sent to the sound output unit. Her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is a management server of a video related company that can hold and provide a plurality of video content such as 'Netflix' is applied.

한편, 상기 정보 제공유닛(350)은 탑승자의 단말기(356)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제3제공모듈(354)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3제공모듈(354)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해당 탑승자의 단말기(356)에 접속한다. 이때, 탑승자는 단말기(356)를 통해 시청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를 제3제공모듈(354)에 전송한다. 제3제공모듈(354)은 탑승자의 단말기(356)에서 제공받은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은 영상 조사부에 전송하고, 해당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 정보는 사운드 출력부에 전송한다.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50 further includes a third providing module 354 capable of receiving image content from the passenger's terminal 356 . The third providing module 354 connects to the terminal 356 of the corresponding passenger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the passenger transmits the video content to be viewed through the terminal 356 to the third providing module 354 . The third providing module 354 transmits the moving image of the image content provided from the terminal 356 of the passenger to the image irradiation unit, and transmits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image content to the sound output unit.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은 전기차를 충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전기차가 충전되는 동안 운전자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provided with the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image content to passengers including the driver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so that the driver's boredom can be eliminated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There is this.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림막 부재(40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a shielding member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drawings shown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림막 부재(400)는 상기 스크린(310)에서 상기 주차공간(11)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주차공간(11)에 주차된 전기차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이 마련된 다수의 지지 프레임(410)과, 일측이 상기 스크린(310)에 설치되며, 상기 인입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410)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태양광이 상기 인입공간으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광체(420)와, 상기 스크린(310) 또는 주차공간(1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공간(11)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센서(430)와, 상기 광량 감지센서(43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크린(310) 또는 주차공간(11)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지지 프레임(410)이 상기 스크린(3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41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44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creen member 400 is slidably installed from the screen 310 to the other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and an electric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11 can be introduced t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410 provided with an inlet space so that one side is installed on the screen 310, and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410 so as to cover the inlet space so that sunlight enters the inlet space A light blocking body 420 that blocks an incident, a light quantity detection sensor 430 installed in the screen 310 or the parking space 11 to detec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into the parking space 11, and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When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creen 310 or the parking space 1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or 430 , the support frame 410 is spaced apart from the screen 310 . A driving unit 440 for moving the support frame 410 is provided.

지지 프레임(4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로드(411)와, 연장로드(411)들의 상단부에 고정된 고정로드(412)를 구비한다. 한편, 주차공간(11)의 바닥면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레일(41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The support frame 410 includes a plurality of extension rods 4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xing rod 412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extension rods 411 .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rails 413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11 .

상기 연장로드(411)는 하단이 상기 레일(413)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크린(310)의 상하 길이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로드(411)들은 레일(413)에 각각 설치되어 주차공간(1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고정로드(41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부가 각각 연장로드(411)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고정로드(412)의 하부에, 상기 인입공간이 마련된다.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rod 411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rail 413 ,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screen 310 . The extension rods 411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rails 413 and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parking space 11 . The fixed rod 412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rod 411 , respectively. The inlet space is provided under the fixing rod 412 .

상술된 지지 프레임(410)은 다수개가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레일(413)에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 프레임(41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차공간(11) 또는 스크린(310)의 크기에 따라 1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the above-described support frames 410 are installed on the rail 413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but the support frame 4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ize of the parking space 11 or the screen 310 is not limited thereto. One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상기 차광체(420)는 상기 지지 프레임(410)들을 덮을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410)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차광체(420)는 광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410)이 스크린(310) 측으로 이동시 접혀지고, 지지 프레임(410)이 스크린(310)으로부터 멀어지면 펼쳐지도록 부직포와 같이 다단으로 접힐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ght blocking member 420 i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410 to cover the support frames 410 . Here, the light blocking member 420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nd is folded when the support frame 410 moves toward the screen 310 , and is multi-staged like a nonwoven fabric so that the support frame 410 is unfolded when it moves away from the screen 310 .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folded.

광량 감지센서(430)는 스크린(310)의 상단부나 주차공간(11)의 후단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주차공간(11) 또는 스크린(310)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광량을 측정한다. 상기 광량 감지센서(43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량 감지 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ight quantity sensor 4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creen 310 or the rear end of the parking space 11 to measure the amount of sunlight incident on the parking space 11 or the screen 310 . Since the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430 is a conventionally used light amount detection means to measure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구동부(440)는 상기 지지 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410)을 레일(413)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41)와, 상기 광량 감지센서(43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부재(4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42)을 구비한다. The driving unit 44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410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ving member 441 and the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430 for moving the support frame 410 along the rail 413 . A control module 44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ember 441 is provided.

이동부재(44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주면이 레일(413)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410)의 고정로드(412)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이동롤러와, 상기 이동롤러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롤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이동부재(44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지지 프레임(4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ving member 441 includes a plurality of moving rollers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ed rod 412 of the support frame 410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rail 413, and installed on the moving roller and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moving roller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Meanwhile, the movable member 441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ans capable of moving the corresponding support frame 410 may be applied.

제어모듈(442)은 상기 광량 감지센서(43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크린(310) 또는 주차공간(11)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태양광에 의해 탑승자가 영상 컨텐츠 시청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여 차광체(420)가 펼쳐지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410)이 상기 스크린(3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부재(441)를 작동시킨다. 한편, 제어모듈(442)은 밤과 같이 스크린(310) 또는 주차공간(11)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상기 기준 값 미만을 경우, 전기차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개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차광체(420)가 접혀지도록 지지 프레임(410)이 스크린(310)에 인접되도록 이동부재(441)를 작동시킨다. When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creen 310 or the parking space 1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430, the control module 442 controls an image of the occupant by sunlight.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view the content, and the moving member 441 is operated so that the support frame 410 is spaced apart from the screen 310 so that the light blocking member 420 is unfold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creen 310 or the parking space 11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such as at night, the control module 442 includes the light blocking body 420 to provide a feeling of openness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The moving member 441 is operated so that the support frame 410 is adjacent to the screen 310 to be folded.

상술된 바와 같이 가림막 부재(400)는 입사되는 태양광의 광량에 따라 차광체(420)를 접거나 펼치므로 탑승자에게 보다 쾌적한 시청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ielding member 400 folds or unfolds the light blocking member 420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cident sunligh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viewing environment for passengers.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부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6 shows a content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주차공간(11)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61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610)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4제공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tent providing unit is installed at one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to provide a display panel 610 for outputting the image content, and a fourth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image content to the display panel 610 . A module (not shown) is provided.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610)은 주차공간(11)의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제4제공모듈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LCD와 같은 영상 표시 장비가 적용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61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차공간(11)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전방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610 is installed on the right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and image display equipment such as an LCD for outputting image content provided by the fourth providing module is applied.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panel 61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but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edge or the front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

상기 제4제공모듈은 다수의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하고, 해당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들 중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6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4제공모듈은 컨텐츠 제공서버(355)와 통신하며, 컨텐츠 제공서버(355)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6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단말기(356)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아 디스플레이 패널(6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The fourth providing module may include a storage unit (not shown)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contents are stored, and may provide image contents selected by a passenger from among the imag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display panel 610 . In addition, the fourth providing module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 and may provide the imag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to the display panel 610 , and receive the image content from the passenger's terminal 356 . Since it can be provided, it may be provided to the display panel 610 .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50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7 illustrate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500 provided with an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500)은 상기 주차장(10)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10)의 입구로 진입하는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상기 주차공간(11)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모듈(510)을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500 provided with the image content provid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lot 10 to provide the parking space 11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10 . It further includes a guide module 510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상기 안내모듈(510)은 전기차가 진입하는 주차장(10)의 입구 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주차공간(11)에 대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모니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모듈(510)은 주차장(10)의 입구 측에 설치된 차량 감지 센서로부터 전기차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충전유닛(200)을 통해 전기차가 충전 중인 상기 주차공간(11)들 중 상기 컨텐츠 제공부(300)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의 종료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이 가장 적은 주차공간(11)을 기준 공간으로 선정한다. The guide module 510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lot 10 to which the electric vehicle enters, and a monitor (not shown) is installed to display guide information for the parking space 11 . Here, when the entrance of the electric vehicle is detected by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lot 10 , the guide module 510 includes the contents among the parking spaces 11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unit 200 . The parking space 11 having the smallest remaining time until the end point of the video content provided by the providing unit 300 is selected as the reference space.

다음, 안내모듈(510)은 선정된 기준 공간에 인접된 위치의 주차공간(11)에 대한 안내 정보를 주차장(10)으로 진입한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안내 정보에는 해당 주차공간(11)의 위치 정보나 해당 주차공간(11)으로의 진입경로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안내모듈(510)은 해당 안내 정보를 상기 모니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Next, the guide module 510 provides guid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11 adjacent to the selected reference space to the occupant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10 . Here, the guide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11 or an entry path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11 . Also, the guide module 510 may output corresponding guide information through the monitor.

상술된 바와 같이 안내모듈(510)은 주차장(10)으로 진입한 전기차를 영상 컨텐츠가 곧 종료되는 전기차에 인접된 위치의 주차공간(11)으로 안내하므로 주차장(10)에 진입한 전기차의 탑승자가 기존의 전기차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에 방해받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module 510 guides the electric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parking lot 10 to the parking space 11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electric vehicle where the video content ends soon, so that the occupant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10 It is possible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video content output to the existing electric vehicl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should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
200: 충전유닛
300: 컨텐츠 제공부
310: 스크린
320: 가림막 부재
321: 제1차광부재
322: 제2차광부재
330: 영상 조사모듈
331: 지지대
332: 빔 프로젝터
340: 사운드 출력모듈
350: 정보 제공유닛
351: 데이터 베이스
352: 제1제공모듈
353: 제2제공모듈
354: 제3제공모듈
100: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200: charging unit
300: content provider
310: screen
320: shield member
321: first light blocking member
322: second light blocking member
330: image irradiation module
331: support
332: beam projector
340: sound output module
350: information providing unit
351: database
352: first providing module
353: second providing module
354: third providing module

Claims (11)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대상 전기차가 주차되는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설치되는 충전유닛; 및
상기 충전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
a charging unit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a parking lot in which an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is parked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image content to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charging uni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주차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크린;
상기 충전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조사하는 영상 조사모듈;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상기 탑승자에게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모듈;을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provider
a screen installed on one edge of the parking space;
an image irradi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charging unit to irradiate a moving image of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and
A sound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moving image of the image content to the passenge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가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라디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해당 사운드를 상기 라디오의 수신 가능 주파수로 전송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ound output module transmits the sound to a receivable frequency of the radio so that the sound of the image content is output through the radio mounted in the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다수의 상기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영상 컨텐츠들에 대한 보유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보유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영상 조사부 및 사운드 출력부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제공하는 제1제공모듈;을 더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provider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image contents are stored; and
Provide the occupant with a holding list of the image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and receive the image content selected by the occupant from the holding list from the database, and send the image content to the image irradiation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A first providing module that provides each of the video and sound of;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컨텐츠 제공서버와 통신하며,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들에 대한 영상 리스트를 상기 탑승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영상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영상 조사부 및 사운드 출력부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제공하는 제2제공모듈;을 더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providing unit communicates with a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es an image list of image contents stored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passenger, and receives the image content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image li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 second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a video and sound of the corresponding image content to the image irradiation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respectively;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탑승자가 소유한 단말기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상기 영상 조사부 및 사운드 출력부에 제공하는 제3제공모듈;을 더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providing unit receives the image content from the terminal owned by the passenger, and a third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the video and sound of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the image irradiation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respectively;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스크린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에 마련되는 가림막 부재;를 더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provid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hielding member provided on the screen to prevent sunlight from being incident on the scree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 부재는 상기 스크린의 상측 가장자리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공간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hield member is installed on the upper edge or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creen,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ther edge of the parking spac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 부재는
상기 스크린에서 상기 주차공간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주차공간에 주차된 전기차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
일측이 상기 스크린에 설치되며, 상기 인입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태양광이 상기 인입공간으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광부재;
상기 스크린 또는 주차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센서;
상기 광량 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크린 또는 주차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차광부재가 펼쳐지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hielding member is
at least one support frame that is slidably installed from the screen to the other edge of the parking space and has an inlet space so that an electric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can be introduced therein;
a light blocking member having one side installed on the screen,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to cover the inlet space, and blocking sunlight from entering the inlet space;
a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creen or in the parking space to detec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into the parking space;
When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creen or the parking spa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support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screen to unfold the light blocking member hav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은 각각 상기 충전유닛 및 컨텐츠 제공부가 마련된 다수의 상기 주차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진입하는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유닛을 통해 전기차가 충전 중인 상기 주차공간들 중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의 종료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이 가장 적은 주차공간을 기준 공간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기준 공간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한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안내모듈;을 더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parking lot has a plurality of the parking spaces each provided with the charging unit and the content providing unit,
It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lo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and the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among the parking spaces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unit. Selecting the parking space with the least remaining time until the end point of the video content being selected as the reference space, and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adjacent to the selected reference space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Guide module;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주차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4제공모듈;을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provider
a display panel installed at one edge of the parking space to output the image content; and
A fourth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the image content to the display panel; compris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KR1020200180276A 2020-12-21 2020-12-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KR102616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76A KR102616902B1 (en) 2020-12-21 2020-12-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76A KR102616902B1 (en) 2020-12-21 2020-12-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43A true KR20220089543A (en) 2022-06-28
KR102616902B1 KR102616902B1 (en) 2023-12-21

Family

ID=8226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276A KR102616902B1 (en) 2020-12-21 2020-12-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90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651A (en) * 1994-02-24 1995-09-05 Yoshio Yamada Drive-in video theater
US20030192260A1 (en) * 2002-04-11 2003-10-16 Davenport John W. Automobile theater system
KR101864197B1 (en) 2016-11-09 2018-06-04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Electrical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050228A (en) * 2017-11-02 2019-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charging of vehicle, vehicle charging system
KR102152778B1 (en) * 2020-05-12 2020-09-08 케이피티주식회사 A aw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rat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651A (en) * 1994-02-24 1995-09-05 Yoshio Yamada Drive-in video theater
US20030192260A1 (en) * 2002-04-11 2003-10-16 Davenport John W. Automobile theater system
KR101864197B1 (en) 2016-11-09 2018-06-04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Electrical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050228A (en) * 2017-11-02 2019-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charging of vehicle, vehicle charging system
KR102152778B1 (en) * 2020-05-12 2020-09-08 케이피티주식회사 A aw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rat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902B1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796B1 (en)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ing a solar light
KR101477876B1 (en) Imaging apparatus
CN101130353A (en) Photographing system, vehicle occupant detection system, operation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vehicle
PL242104B1 (en) System for inspection by radiation
US8558502B2 (en) Assembly for electrically recharging vehicles
CN106231551A (en) Vehicle insurance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laims Resolution method and device
CN106143319A (en) The room mirror integral type front camera module of vehicle
CN101201326A (en) Check system for movable boom door type container
CN111002875B (en) Vehicle seat control device
KR102616902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JP2023035327A (en) Vehicle having imaging function of taking image of occupant
CN100582757C (en) Collimating and correcting integrating device for container detecting system
CN112622584A (en) Roof panel assembly for vehicle and projector apparatus used in the same
KR101913634B1 (en) Method for parking management using ccd camera
KR101743645B1 (en) Vehicle control system in road work-zone using sunlight generation device
CN111016597A (en) Sunshade system for vehicle, sunshade system control method and vehicle
CN101739919A (en) Subway image device
CN106932830B (en) Combined mobile vehicle or container inspection system
KR102588416B1 (en) Vehicle video content providing system
KR20240011914A (en) Vehicle video content providing system
JP2005119523A (en) Sun visor apparatus for vehicle
CN208607371U (en) Automobile chassis foreign matter detection system
CN113619513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sun-sheltering system, vehicle and storage medium
JP2013023848A (en) Delineator device and delineator system
KR20220006940A (en) Control method of resting facilities with smart bench and electric charging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