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902B1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902B1
KR102616902B1 KR1020200180276A KR20200180276A KR102616902B1 KR 102616902 B1 KR102616902 B1 KR 102616902B1 KR 1020200180276 A KR1020200180276 A KR 1020200180276A KR 20200180276 A KR20200180276 A KR 20200180276A KR 102616902 B1 KR102616902 B1 KR 102616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video content
video
scree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9543A (en
Inventor
최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젠
Priority to KR102020018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02B1/en
Publication of KR20220089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5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7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e.g. using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대상 전기차가 주차되는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설치되는 충전유닛과, 상기 충전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전기차가 충전되는 동안 운전자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which includes a charging unit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a parking lot where an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is parked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nd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charging unit.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video content to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lieving the driver's boredom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ing because it provides video content to passengers, including the driver,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Description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가 충전 중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provided with a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capable of providing video content to passengers, including the driver,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ing.

전기차는 전기만을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친환경자동차로, 고전압 배터리에서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이다.An electric vehicle is an eco-friendly vehicle that runs solely on electricity. It is a vehicle that generates driving force by supplying electrical energy from a high-voltage battery to an electric motor.

이러한 전기차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CO2)나 질소산화물(NOx) 등과 같이 배기가스 배출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소음이 없는 이점 등이 있다.Since these electric vehicles do not use fossil fuels, they produce almost no exhaust gas emissions such as carbon dioxide (CO 2 ) or nitrogen oxides (NOx), and have the advantage of making no noise.

또한, 점차 증가하는 환경오염 및 자원부족을 막기 위해 전기차의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차 충전소의 설치도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차를 충전하는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운전자가 장시간 지루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mmercialization of electric vehicles is progressing to prevent increas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shortage, and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has become necessary.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chargers have the disadvantage of making drivers feel bored for a long time because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등록특허공보 제10-1864197호: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64197: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기차를 충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that can provide video content to passengers, including the driver,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대상 전기차가 주차되는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설치되는 충전유닛과, 상기 충전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구비한다.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harging unit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a parking lot where an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is parked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charging unit.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video content to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charging.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주차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크린와, 상기 충전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조사하는 영상 조사모듈과,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상기 탑승자에게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모듈을 구비한다. The content provider includes a screen installed at one edge of the parking space, an image survey module installed in the charging unit to display a video of the video content through the screen, and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video of the video content to the occupants. It is equipped with a sound output module that outputs sound.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가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라디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해당 사운드를 상기 라디오의 수신 가능 주파수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may transmit the sound of the video content to a receivable frequency of the radio so that it is output through the radio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다수의 상기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영상 컨텐츠들에 대한 보유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보유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영상 조사부 및 사운드 출력부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제공하는 제1제공모듈을 구비한다.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video contents are stored, a retention list of the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passenger, and provides video content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retention list to the database. It is provided with a first providing module that provides video and sound of the corresponding video content to the video inspection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respectively.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컨텐츠 제공서버와 통신하며,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들에 대한 영상 리스트를 상기 탑승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영상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영상 조사부 및 사운드 출력부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제공하는 제2제공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unit communicates with a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es the passenger with a video list of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receives video content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video li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image irradiation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vision module that provides video and sound of the corresponding video content, respectively.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탑승자가 소유한 단말기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상기 영상 조사부 및 사운드 출력부에 제공하는 제3제공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roviding module that receives video content from a terminal owned by the passenger and provides video and sound of the received video content to the video irradiation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respectively.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스크린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에 마련되는 가림막 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content provider may further include a shield member provided on the screen to prevent sunlight from entering the screen.

상기 가림막 부재는 상기 스크린의 상측 가장자리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공간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The screen member is installed on the upper edge or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creen,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ther edge of the parking space.

상기 가림막 부재는 상기 스크린에서 상기 주차공간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주차공간에 주차된 전기차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스크린에 설치되며, 상기 인입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태양광이 상기 인입공간으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광부재와, 상기 스크린 또는 주차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센서와, 상기 광량 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크린 또는 주차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차광부재가 펼쳐지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creen member is installed to be slidable from the screen to the other edge of the parking space, and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frame provided with an entry space therein so that an electric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can enter, and one side of the screen facing the screen. It is installed and is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so as to cover the inlet space, and blocks sunlight from entering the inlet space, and is installed in the screen or parking space to reduce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to the parking space. When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creen or parking space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the support frame is spaced away from the screen so that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unfolded. It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that moves the support frame.

상기 주차장은 각각 상기 충전유닛 및 컨텐츠 제공부가 마련된 다수의 상기 주차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진입하는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유닛을 통해 전기차가 충전 중인 상기 주차공간들 중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의 종료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이 가장 적은 주차공간을 기준 공간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기준 공간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한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안내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parking lo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each equipped with the charging unit and a content provider, and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to occupants of an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 Among the parking spaces where an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unit, the parking space with the smallest remaining time until the end of the video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is selected as a reference space, and a parking space adjacent to the selected reference space is selected.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ance module that provides guidanc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parking space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전기차가 충전되는 동안 운전자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lieving the driver's boredom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ing because it provides video content to passengers, including the driver,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가림막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가림막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가림막 부재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the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eld membe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eld membe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the shield member of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ent providing uni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ttached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1 and 2 show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equipp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은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대상 전기차가 주차되는 주차장(10)의 주차공간(11)에 설치되는 충전유닛(200)과, 상기 충전유닛(200)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3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주차장(10)은 전기차가 진입하는 입구와, 전기차가 출차하는 출구가 마련되며, 입구가 출구 사이에 다수의 주차공간(11)이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주차공간(11)에는 각각 상기 충전유닛(200) 및 컨텐츠 제공부(300)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equipped with the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includes a charging unit 200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11 of the parking lot 10 where the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is park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charging unit 200, it is provided with a content provider 300 that provides video content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Here, the parking lot 10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for electric vehicles to enter and an exit for electric vehicles to exit, and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11 are sequentially provided between the entrance and exit. The charging unit 200 and the content providing unit 300 are installed independently in the parking space 11, respectively.

상기 충전유닛(200)은 주차공간(11)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며, 전기차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으며,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충전유닛(200)은 커넥터에 연결된 전기차의 충전에 소요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전력량 산출부와, 커넥터에 연결된 전기차로부터 해당 전기차의 배터리의 충전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정보 수집부와, 상기 전력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전력량 정보를 토대로 결제금액을 산출하는 결제금액 산출부와, 상기 결제금액 산출부, 전력량 산출부 및 차량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운전자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다. The charging unit 200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has a connector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and is configur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harging unit 200 includes a power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a vehicle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rate of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 payment amount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payment amount based on the power amount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power amount calculation unit, and a driver can display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payment amount calculation unit, the power amount calculation unit, and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t is equipped with a display panel that can be used.

한편, 상기 충전유닛(200)은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시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since the charging unit 200 is a charging facility commonly used in the past to charge electric vehicle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컨텐츠 제공부(300)는 상기 주차공간(11)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크린(310)과, 상기 스크린(310)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310)에 마련되는 가림막 부재(320)와, 상기 충전유닛(20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310)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조사하는 영상 조사모듈(330)과,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상기 탑승자에게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모듈(340)과, 상기 영상 조사모듈(330) 및 사운드 출력모듈(340)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유닛(350)을 구비한다. The content provider 300 includes a screen 310 installed at one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and a screen member provided on the screen 310 to prevent sunlight from entering the screen 310. (320), an image survey module 330 installed in the charging unit 200 to project a video of the video content onto the screen 310, and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video of the video content to the passenger. It is provided with a sound output module 340,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50 that provides video and sound of the video content to the image survey module 330 and the sound output module 340.

스크린(310)은 주차공간(11)의 전방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주차공간(11)의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또한, 스크린(310)은 주차공간(11)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린(310)은 영상 조사모듈(330)로부터 영상이 조사되는 조사면이 흰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creen 310 is installed at the front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11 so that images can be projected. Additionally, the screen 310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arking space 1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rradiation surface of the screen 310, on which the image is irradiated from the image irradiation module 330, is white.

가림막 부재(320)는 스크린(3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차광부재(321)와, 상기 제1차광부재(321)의 좌우단에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차광부재(322)를 구비한다. The shield member 320 includes a first light-shielding member 321 installed at the upper edge of the screen 310,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shielding members 322 extending downwardly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light-shielding member 321, respectively. ) is provided.

상기 제1차광부재(321)는 스크린(310)의 상측 가장자리에,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며, 스크린(31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차공부재는 광이 투과되는 것이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light blocking member 321 protrudes rear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screen 31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creen 310. The first secondary hollow member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blocks light from passing through.

상기 제2차광부재(322)는 제1차광부재(321)의 좌우단부에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며, 스크린(310)의 상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제2차광부재(322)는 스크린(310)에 대해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며, 광이 투과되는 것이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light blocking member 322 extends down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light blocking member 321, respectively, and extends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length of the screen 310. The second light blocking member 322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rearward from the screen 310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blocks light from passing through.

상술된 바와 같이 가림막 부재(320)는 상기 스크린(310)의 상측 가장자리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스크린(310)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스크린(310)에 투사된 영상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member 320 is installed on the upper edge or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creen 310 to prevent sunlight from entering the screen 310,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of the image projected on the screen 310. do.

한편, 상기 가림막 부재(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공간(11)에 주차된 전기차가 인입될 수 있도록 주차공간(11)의 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barrier member 320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rear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so that an electric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11 can be entered.

영상 조사모듈(330)은 충전유닛(200)의 상단부에 고정된 지지대(331)와, 상기 지지대(331)에 설치되어 스크린(310)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빔 프로젝터(332)를 구비한다. The image irradiation module 330 includes a support 331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and a beam projector 332 installed on the support 331 to project an image onto the screen 310.

지지대(331)는 충전유닛(200)의 상단부에 일단이 고정되며, 주차공간(11)의 중앙부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이때, 지지대(331)는 주차공간(11)에 주차되는 전기차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차장(10)의 바닥면에 대해 전기차의 상하 폭보다 더 높은 위치의 상기 충전유닛(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support stand 331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center of the parking space 11. At this time, the support 331 is installed on the charging unit 200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electric car with respect to the floor of the parking lot 1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electric car parked in the parking space 11. It is desirable.

빔 프로젝터(332)는 지지대(331)의 타단에 설치되어 스크린(310)으로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투사한다. 상기 빔 프로젝터(33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방에 투사렌즈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투사렌즈를 통해 영상빔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투사본체와, 상기 투사본체 내에 설치되어 화소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어레이된 다이오드 에레이와, 상기 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집속하기 위한 집속부와, 상기 투사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집속부에 의해 집속된 광을 스크린(310)으로 주사시키기 위한 미러를 포함하는 스캔부가 마련된 프로젝터로 구성된다. 한편, 빔 프로젝터(332)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310)으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영상투사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The beam projector 332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331 and projects video content on the screen 3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eam projector 332 has a projection lens at the front, a projection body capable of emitting an image beam through the projection lens,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 bodies installed within the projection body to form pixels. A diode array in which light emitting diodes or laser diodes are arrayed, a focusing part for focus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diode array, and provided inside the projection body, direct the light focused by the focusing part to the screen 310. It consists of a projector equipped with a scanning unit including a mirror for scanning. Meanwhile, the beam projector 332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image projection means that can project an image onto the screen 310 can be applied.

사운드 출력모듈(340)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가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라디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해당 사운드를 상기 라디오의 수신 가능 주파수로 전송한다. 이때, 사운드 출력모듈(340)은 FM 이나 AM 으로 사운드를 전송하거나 두 영역 모두에 대해 사운드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 출력모듈(340)은 탑승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운드가 전송된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충전유닛(2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340 transmits the sound of the video content to a receivable frequency of the radio so that it is output through the radio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At this time, the sound output module 340 can transmit sound in FM or AM, or can transmit sound in both areas. Meanwhile, the sound output module 340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frequency at which the sound is transmitted on the display panel of the charging unit 200 so that the occupants can perceive it.

정보 제공유닛(350)은 다수의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51)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351)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중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영상 조사모듈(330) 및 사운드 출력모듈(340)에 제공하는 제1제공모듈(352)을 구비한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50 provides a database 351 in which a plurality of video contents are stored, and video content selected from among the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351 to the image research module 330 and the sound output module 340. It is provided with a first provision module 352 that does.

상기 데이터 베이스(351)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는 동영상과, 해당 동영상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포함한다. 일예로, 영상 컨텐츠는 영화, TV 드라마, 쇼 프로그램 등이 적용된다. The database 351 stores various types of video content. Here, the video content includes a video and sound corresponding to the video. For example, video content includes movies, TV dramas, and show programs.

제1제공모듈(352)은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데이터 베이스(351)에 저장된 상기 영상 컨텐츠들에 대한 보유 리스트를 제공한다. 이때, 제1제공모듈(352)은 충전유닛(2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보유 리스트를 표시하거나 기등록된 스마트폰과 같은 탑승자의 단말기(356)로 해당 보유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보유 리스트를 제공받은 탑승자는 충전유닛(200)에 마련된 키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이나 자신이 소유한 단말기(356)를 통해 보유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제1제어모듈(442)은 상기 보유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351)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은 영상 조사부에 전송하고, 해당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 정보는 사운드 출력부에 전송한다. The first provision module 352 provides the passenger with a list of the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351. At this time, the first provision module 352 may display the possession list on the display panel of the charging unit 200 or transmit the possession list to the passenger's terminal 356, such as a pre-registered smartphone. The passenger who is provided with the corresponding possession list selects one of the video contents included in the possession list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provided in the charging unit 200 or the terminal 356 owned by the passenger. The first control module 442 receives video content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holding list from the database 351, transmits the video of the provided video content to the video investigation unit, and provides sound information of the video content. It is transmitted to the sound output unit.

한편, 상기 정보 제공유닛(350)은 컨텐츠 제공서버(355)와 통신하며,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355)의 영상 컨텐츠를 영상 조사모듈(330) 및 사운드 출력모듈(340)에 제공하는 제2제공모듈(353)을 더 구비한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50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and provides a second service that provides video content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to the video research module 330 and the sound output module 340. A module 353 is further provided.

제2제공모듈(353)은 충전유닛(200)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이 시작되면, 컨텐츠 제공서버(355)에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355)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영상 리스트를 획득한다. 다음, 제2제공모듈(353)은 획득한 영상 리스트를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2제공모듈(353)은 충전유닛(2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보유 리스트를 전송하거나 기등록된 스마트폰과 같은 탑승자의 단말기(356)로 해당 영상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영상 리스트를 제공받은 탑승자는 충전유닛(200)에 마련된 키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이나 자신이 소유한 단말기(356)를 통해 영상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제2제공모듈(353)은 상기 영상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355)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은 영상 조사부에 전송하고, 해당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 정보는 사운드 출력부에 전송한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서버(355)는 '넷플릭스'와 같이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보유 및 제공할 수 있는 영상 관련 업체의 관리 서버가 적용된다. When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begins through the charging unit 200, the second providing module 353 connects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and obtains a video list of video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 Next, the second provision module 353 provides the acquired image list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At this time, the second provision module 353 may transmit the holding list to the display panel of the charging unit 200 or transmit the corresponding video list to the passenger's terminal 356, such as a pre-registered smartphone. The passenger who is provided with the video list selects one of the video contents included in the video list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provided in the charging unit 200 or a terminal 356 owned by the passenger. The second providing module 353 receives video content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video li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transmits the video of the provided video content to the video investigation unit, and provides sound information of the video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ound output unit. Her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55 is a management server of a video-related company that can hold and provide a large number of video contents, such as 'Netflix'.

한편, 상기 정보 제공유닛(350)은 탑승자의 단말기(356)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제3제공모듈(354)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3제공모듈(354)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해당 탑승자의 단말기(356)에 접속한다. 이때, 탑승자는 단말기(356)를 통해 시청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를 제3제공모듈(354)에 전송한다. 제3제공모듈(354)은 탑승자의 단말기(356)에서 제공받은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은 영상 조사부에 전송하고, 해당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 정보는 사운드 출력부에 전송한다.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50 further includes a third providing module 354 that can receive video content from the passenger's terminal 356. The third provision module 354 connects to the passenger's terminal 356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the passenger transmits the video content he or she wants to view to the third provision module 354 through the terminal 356. The third provision module 354 transmits the video of the video content provided from the passenger's terminal 356 to the video investigation unit, and transmits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video content to the sound output unit.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은 전기차를 충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전기차가 충전되는 동안 운전자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equipped with the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video content to passengers including the driver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so it has the advantage of relieving the driver's boredom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ing. There is.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림막 부재(40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ures 4 and 5 show a shield member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ose in the previously shown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림막 부재(400)는 상기 스크린(310)에서 상기 주차공간(11)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주차공간(11)에 주차된 전기차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이 마련된 다수의 지지 프레임(410)과, 일측이 상기 스크린(310)에 설치되며, 상기 인입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410)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태양광이 상기 인입공간으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광체(420)와, 상기 스크린(310) 또는 주차공간(1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공간(11)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센서(430)와, 상기 광량 감지센서(43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크린(310) 또는 주차공간(11)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지지 프레임(410)이 상기 스크린(3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41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44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creen member 400 is installed to be slidable from the screen 310 to the other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and an electric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11 can be entered inside.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410 are provided with an inlet space, one side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screen 310, and is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410 so as to cover the inlet space, so that sunlight flows into the inlet space. A light blocking body 420 that blocks incident light, a light quantity detection sensor 430 installed in the screen 310 or the parking space 11 to detec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parking space 11, and a light quantity detection sensor 430 that detect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parking space 11. If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creen 310 or the parking space 11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or 430, the support frame 410 is spaced apart from the screen 310. It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440 that moves the support frame 410.

지지 프레임(4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로드(411)와, 연장로드(411)들의 상단부에 고정된 고정로드(412)를 구비한다. 한편, 주차공간(11)의 바닥면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레일(41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The support frame 410 includes a plurality of extension rods 4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xed rod 412 fixed to upper ends of the extension rods 411. Meanwhile, a plurality of rails 413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loor of the parking space 11, respectively.

상기 연장로드(411)는 하단이 상기 레일(413)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크린(310)의 상하 길이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로드(411)들은 레일(413)에 각각 설치되어 주차공간(1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고정로드(41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부가 각각 연장로드(411)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고정로드(412)의 하부에, 상기 인입공간이 마련된다.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rod 411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rail 413,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screen 310. The extension rods 411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rails 413 and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parking space 11. The fixed rod 412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both end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rod 411. The retraction spac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xed rod 412.

상술된 지지 프레임(410)은 다수개가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레일(413)에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 프레임(41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차공간(11) 또는 스크린(310)의 크기에 따라 1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the above-described support frames 410 are installed on the rail 413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ut the support frames 410 are not limited to this and are not limited to the size of the parking space 11 or the screen 310. Depending on the situation, one may be provided.

상기 차광체(420)는 상기 지지 프레임(410)들을 덮을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410)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차광체(420)는 광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410)이 스크린(310) 측으로 이동시 접혀지고, 지지 프레임(410)이 스크린(310)으로부터 멀어지면 펼쳐지도록 부직포와 같이 다단으로 접힐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ght blocking body 420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410 to cover the support frame 410. Here, the light blocking body 420 is formed of a light-opaque material, and is folded when the support frame 410 moves toward the screen 310, and is multi-staged like a non-woven fabric to unfold when the support frame 410 moves away from the screen 31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folded.

광량 감지센서(430)는 스크린(310)의 상단부나 주차공간(11)의 후단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주차공간(11) 또는 스크린(310)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광량을 측정한다. 상기 광량 감지센서(43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량 감지 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4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310 or the rear end floor of the parking space 11 and measures the amount of sunlight incident on the parking space 11 or the screen 310. Since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sensor 430 is a light quantity detection means commonly used in the related art to measure the quantity of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구동부(440)는 상기 지지 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410)을 레일(413)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41)와, 상기 광량 감지센서(43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부재(4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42)을 구비한다. The driving unit 44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410 and moves the support frame 410 along the rail 413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oving member 441 and the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430.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module 442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ember 441.

이동부재(44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주면이 레일(413)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410)의 고정로드(412)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이동롤러와, 상기 이동롤러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롤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이동부재(44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지지 프레임(4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ving member 441 includes a plurality of moving rollers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xed rod 412 of the support frame 410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rail 413, and installed on the moving rollers. and a drive motor that rotates the moving roller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Meanwhile, the moving member 441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means that can move the corresponding support frame 410 can be applied.

제어모듈(442)은 상기 광량 감지센서(43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크린(310) 또는 주차공간(11)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태양광에 의해 탑승자가 영상 컨텐츠 시청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여 차광체(420)가 펼쳐지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410)이 상기 스크린(3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부재(441)를 작동시킨다. 한편, 제어모듈(442)은 밤과 같이 스크린(310) 또는 주차공간(11)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상기 기준 값 미만을 경우, 전기차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개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차광체(420)가 접혀지도록 지지 프레임(410)이 스크린(310)에 인접되도록 이동부재(441)를 작동시킨다. If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creen 310 or the parking space 11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430, the control module 442 generates an image of the occupant by sunlight.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view the content, and the moving member 441 is operated to move the support frame 410 away from the screen 310 so that the light blocking body 420 is unfolded. Meanwhile, when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creen 310 or the parking space 11, such as at night, is less than the abov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module 442 uses the light blocking body 420 to provide a sense of openness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The moving member 441 is operated so that the support frame 410 is adjacent to the screen 310 so that it is folded.

상술된 바와 같이 가림막 부재(400)는 입사되는 태양광의 광량에 따라 차광체(420)를 접거나 펼치므로 탑승자에게 보다 쾌적한 시청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hield member 400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viewing environment to the occupants by folding or unfolding the light blocking body 420 depending on the amount of incident sunlight.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부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ure 6 shows a content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주차공간(11)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61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610)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4제공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content provider includes a display panel 610 installed at one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to output the video content, and a fourth provider to provide the video content to the display panel 610. A module (not shown) is provided.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610)은 주차공간(11)의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제4제공모듈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LCD와 같은 영상 표시 장비가 적용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61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차공간(11)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전방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610 is installed at the right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and video display equipment such as an LCD that outputs video content provided by the fourth provision module is applied. Meanwhile, the display panel 610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and may be installed at the left edge or front edge of the parking space 11.

상기 제4제공모듈은 다수의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하고, 해당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들 중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6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4제공모듈은 컨텐츠 제공서버(355)와 통신하며, 컨텐츠 제공서버(355)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6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단말기(356)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아 디스플레이 패널(6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The fourth provision module has a storage unit (not shown) in which a plurality of video contents are stored, and can provide video content selected by the passenger among the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display panel 610. In addition, the fourth provision module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sion server 355 and can provide video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provision server 355 to the display panel 610, and provides video content from the passenger's terminal 356. It can also be provided to the display panel 610.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50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ure 7 show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500 equipped with means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500)은 상기 주차장(10)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10)의 입구로 진입하는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상기 주차공간(11)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모듈(510)을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500 equipped with the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10 and provides the parking space 11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10.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ance module 510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상기 안내모듈(510)은 전기차가 진입하는 주차장(10)의 입구 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주차공간(11)에 대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모니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모듈(510)은 주차장(10)의 입구 측에 설치된 차량 감지 센서로부터 전기차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충전유닛(200)을 통해 전기차가 충전 중인 상기 주차공간(11)들 중 상기 컨텐츠 제공부(300)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의 종료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이 가장 적은 주차공간(11)을 기준 공간으로 선정한다. The guidance module 510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10 where the electric vehicle enters, and a monitor (not shown) is installed to display guidanc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11. Here, when the entry of an electric vehicle is detected by a vehicle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10, the guidance module 510 selects the contents among the parking spaces 11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unit 200. The parking space 11 with the smallest remaining time until the end of the video content provided by the providing unit 300 is selected as the reference space.

다음, 안내모듈(510)은 선정된 기준 공간에 인접된 위치의 주차공간(11)에 대한 안내 정보를 주차장(10)으로 진입한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안내 정보에는 해당 주차공간(11)의 위치 정보나 해당 주차공간(11)으로의 진입경로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안내모듈(510)은 해당 안내 정보를 상기 모니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Next, the guidance module 510 provides guidanc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11 located adjacent to the selected reference space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10. Here, the guidance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levant parking space 11 or an entry route into the relevant parking space 11. Additionally, the guidance module 510 can output the relevant guidance information through the monitor.

상술된 바와 같이 안내모듈(510)은 주차장(10)으로 진입한 전기차를 영상 컨텐츠가 곧 종료되는 전기차에 인접된 위치의 주차공간(11)으로 안내하므로 주차장(10)에 진입한 전기차의 탑승자가 기존의 전기차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에 방해받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uidance module 510 guides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10 to the parking space 11 adjacent to the electric vehicle where the video content will soon end, so that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10 Interference with video content output from existing electric vehicles can be minimiz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
200: 충전유닛
300: 컨텐츠 제공부
310: 스크린
320: 가림막 부재
321: 제1차광부재
322: 제2차광부재
330: 영상 조사모듈
331: 지지대
332: 빔 프로젝터
340: 사운드 출력모듈
350: 정보 제공유닛
351: 데이터 베이스
352: 제1제공모듈
353: 제2제공모듈
354: 제3제공모듈
100: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means of providing video content
200: Charging unit
300: Content provision department
310: screen
320: Shield member
321: First light blocking member
322: Second light-shielding member
330: Image investigation module
331: support
332: Beam projector
340: Sound output module
350: Information provision unit
351: database
352: First provision module
353: Second provision module
354: Third provision module

Claims (11)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대상 전기차가 주차되는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설치되는 충전유닛; 및
상기 충전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주차공간의 전방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크린;
상기 충전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조사하는 영상 조사모듈;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상기 탑승자에게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모듈; 및
상기 스크린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에 마련되는 가림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레일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는
내부에 상기 주차공간에 주차된 전기차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레일들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복수의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들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로드를 구비하되,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된 다수의 지지 프레임;
일측이 상기 스크린에 설치되며, 상기 인입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들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들이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멀어지면 펼쳐지고, 상기 지지 프레임들이 상기 스크린 측으로 이동되면 접혀지고, 태양광이 상기 인입공간으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광체;
상기 스크린 또는 주차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센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이 상기 레일에 접하도록 상기 고정로드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이동롤러 및 해당 이동롤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이동부재와, 상기 광량 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크린 또는 주차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차광체가 펼쳐지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들이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포함된 구동부;를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
A charging unit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of the parking lot where the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is park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and
a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video content to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charging unit;
The content provider department
a screen installed at the front edge of the parking space;
an image survey module installed in the charging unit to display a video of the video content on the screen;
a sound output module that outputs sound corresponding to the moving image of the video content to the passenger; and
A shielding member provided on the screen to prevent sunlight from entering the screen,
A plurality of rails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loor of the parking space, respectively,
The screen member is
Inside, a plurality of extension rods extend upward and downward to form an entry space into which an electric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can enter, the lower ends of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rail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extension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rods and have fixed rod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re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e side is installed on the screen,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s to cover the inlet space, unfolded when the support frames move away from the screen, and folded when the support frames are moved toward the screen, and sunlight enters the screen. A light blocking body that blocks light from entering the space;
A light quantity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creen or parking space to detec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parking space;
A plurality of moving roller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xed rod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rail so that the support frame can be moved along the rail, and a drive to rotate the corresponding moving roller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hen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creen or parking space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oving member equipped with the motor and the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the support frames are spaced apart from the screen so that the light shielding body is expanded.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including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moving membe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of providing video cont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가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라디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해당 사운드를 상기 라디오의 수신 가능 주파수로 전송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ound output module transmits the sound at a receivable frequency of the radio so that the sound of the video content is output through the radio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of providing video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다수의 상기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영상 컨텐츠들에 대한 보유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보유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영상 조사모듈 및 사운드 출력모듈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제공하는 제1제공모듈;을 더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ent provider department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the video contents; and
Provide the passenger with a holding list of the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receive video content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holding list from the database, and send the corresponding image to the image search module and the sound output module. Further comprising: a first provision module that provides video and sound of content, respectively,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of providing video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컨텐츠 제공서버와 통신하며,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들에 대한 영상 리스트를 상기 탑승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영상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영상 조사모듈 및 사운드 출력모듈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제공하는 제2제공모듈;을 더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ent providing unit communicates with a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es the passenger with a video list of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receives video content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video li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roviding module that provides video and sound of the video content to the video investigation module and the sound output module, respectively,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of providing video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탑승자가 소유한 단말기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상기 영상 조사모듈 및 사운드 출력모듈에 제공하는 제3제공모듈;을 더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ent providing unit further includes a third providing module that receives video content from a terminal owned by the passenger and provides video and sound of the provided video content to the video research module and the sound output module, respectively.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of providing video cont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은 각각 상기 충전유닛 및 컨텐츠 제공부가 마련된 다수의 상기 주차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진입하는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유닛을 통해 전기차가 충전 중인 상기 주차공간들 중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의 종료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이 가장 적은 주차공간을 기준 공간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기준 공간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한 전기차의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안내모듈;을 더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rking lo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each equipped with the charging unit and a content provision unit,
It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Among the parking spaces where an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unit, the parking space with the smallest remaining time until the end of the video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is selected as a reference space,
Further comprising a guidance module that provides guidanc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selected reference space to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of providing video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주차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4제공모듈;을 구비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수단이 마련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ent provider department
a display panel installed at one edge of the parking space to output the video content; and
Provided with a fourth provision module that provides the video content to the display panel,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means of providing video content.
KR1020200180276A 2020-12-21 2020-12-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KR102616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76A KR102616902B1 (en) 2020-12-21 2020-12-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76A KR102616902B1 (en) 2020-12-21 2020-12-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43A KR20220089543A (en) 2022-06-28
KR102616902B1 true KR102616902B1 (en) 2023-12-21

Family

ID=8226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276A KR102616902B1 (en) 2020-12-21 2020-12-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90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2260A1 (en) * 2002-04-11 2003-10-16 Davenport John W. Automobile theater system
KR102152778B1 (en) * 2020-05-12 2020-09-08 케이피티주식회사 A aw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rat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651A (en) * 1994-02-24 1995-09-05 Yoshio Yamada Drive-in video theater
KR101864197B1 (en) 2016-11-09 2018-06-04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Electrical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050228A (en) * 2017-11-02 2019-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charging of vehicle, vehicle charg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2260A1 (en) * 2002-04-11 2003-10-16 Davenport John W. Automobile theater system
KR102152778B1 (en) * 2020-05-12 2020-09-08 케이피티주식회사 A aw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rat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43A (en)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2892A (en)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ing a solar light
KR101624991B1 (en) Smart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1824909B1 (en) Expanded awning device for road facilities
PL242104B1 (en) System for inspection by radiation
KR101275916B1 (en) Inspection apparatus for railroad
EP3796207A1 (en) Contain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safety inspection device, and port facility
KR102616902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video content providing means
EP2175089A2 (en) Device for an integrated multifunction parking space
CN113920776B (en) Intelligent parking control guardrail system
KR100908040B1 (en) A rail-bike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the system
CN109501618A (en) A kind of New-energy electric vehicle packaged type electric automobile charging pile
KR101743645B1 (en) Vehicle control system in road work-zone using sunlight generation device
KR102114380B1 (en)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CN106932830B (en) Combined mobile vehicle or container inspection system
KR102588416B1 (en) Vehicle video content providing system
KR20240011914A (en) Vehicle video content providing system
KR20220006940A (en) Control method of resting facilities with smart bench and electric charging station
CN210141033U (en) Parking space lock control system with projection function
CN208607371U (en) Automobile chassis foreign matter detection system
JP2005119523A (en) Sun visor apparatus for vehicle
KR102605857B1 (en) Apparatus for acquiring images under the vehicle
CN205941003U (en) Field of vision measurement system before driver
CN210222827U (en) Highway traffic road toll management system
KR102609334B1 (en) Apparatus for acquiring an image under a vehicle equipped with an illuminance sensor
JPH09297305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