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57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570A
KR20220088570A KR1020200178614A KR20200178614A KR20220088570A KR 20220088570 A KR20220088570 A KR 20220088570A KR 1020200178614 A KR1020200178614 A KR 1020200178614A KR 20200178614 A KR20200178614 A KR 20200178614A KR 20220088570 A KR20220088570 A KR 20220088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light emitting
display area
display
emit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회
유병창
전무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8570A/ko
Priority to US17/445,826 priority patent/US11950478B2/en
Priority to CN202111227269.XA priority patent/CN114649370A/zh
Publication of KR2022008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01L27/3218
    • H01L27/321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제1 표시 영역은 제1 색을 발하는 제1 발광 영역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제2 표시 영역은 제1 색을 발하는 제3 발광 영역을 포함하며, 제1 발광 영역의 크기와 제2 발광 영역의 크기는 동일하며, 제3 발광 영역의 크기는 제1 발광 영역의 크기보다 크고, 제1 발광 영역과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제1 방향으로 인접하고, 제1 발광 영역의 중심과 제3 발광 영역의 중심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하며, 제2 발광 영역과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하고, 제2 발광 영역의 중심과 제3 발광 영역의 중심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표시 장치 중 최근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가 주목 받고 있다.
표시 장치는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표시 영역보다 낮은 해상도를 가지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부가 좁은 경우 상기 표시 장치를 제조할 때 혼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부가 넓은 경우에는 경계부가 시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표시 영역들 사이의 경계부 시인을 최소화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제1 색을 발하는 제1 발광 영역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색을 발하는 제3 발광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영역의 크기와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크기는 동일하며,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발광 영역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제1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1 발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 간의 제1 이격 거리와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 간의 제2 이격 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동일한 색을 발하는 제4 발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제3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3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모양은 모따임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은 적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모서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넓이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색과 상이한 제2 색을 발하는 제4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4 발광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형태는 사각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은 녹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 간의 제4 이격 거리와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 간의 제5 이격 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서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6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5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발광 영역과 서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7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6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7 이격 거리는 상기 제6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제1 내지 제4 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변들 중 하나 이상의 변이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밀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밀도보다 높으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제1 색을 발하는 제1 발광 영역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색을 발하는 제3 발광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제1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1 발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은 적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서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4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발광 영역과 서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5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이격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해상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넓이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해상도가 서로 다른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은 각각 발광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에는 제1 발광 영역과 제2 발광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에는 제3 발광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들의 중심을 동일한 축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부의 간격을 좁게 유지하면서도 서로 상이한 색을 발하는 발광 영역들 간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계부가 시인되지 않고,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은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전술한 효과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20), 구동칩(30) 등을 포함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isplay area)(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ondisplay area)(N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화면(screen)에 대응할 수 있고, 비표시 영역(NA)은 베젤(bezel)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발광 영역들(PX)이 행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A)에는 상기 표시 영역(DA)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생성 및/또는 전달하기 위한 회로들 및/또는 신호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발광 영역(PX)에는 스캔선, 발광 제어선, 데이터선, 구동 전압선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PX)은 이들 신호선으로부터 스캔 신호, 발광 제어 신호, 데이터 신호, 구동 전압 등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율이 제1 표시 영역(DA1)의 투과율보다 높을 수 있다. 여기서 투과율은 표시 패널(100)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을 의미할 수 있다. 광은 가시광 이외의 파장의 광, 예컨대 적외선광일 수 있지만, 가시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서 발광 영역들(PX)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서 발광 영역들(PX)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발광 영역(PX) 및 투과 영역(transmission area)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PX)보다 투과율이 높을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PX)은 화면을 구성하는, 즉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PX) 각각은 입력 영상 신호에 따라 특정 색상, 예컨대,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한 색을 다양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A)에는 구동칩(30) 및 연성 회로 기판(2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칩(30)은 칩온 필름(chip on film) 방식으로 상기 연성 회로 기판(2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칩(30)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에 실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20)은 상기 표시 장치(1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20)은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원 전압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 장치(10)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는 전원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기판(SUB)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영역 구조물들(PX)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발광 영역 구조물들(PX)은 제1 방향(D1) 및 상기 제1 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기판(SUB), 배리어층(BRR), 버퍼층(BFR), 트랜지스터(200), 층간 절연층(240), 절연막(400), 화소 정의막(600) 및 발광 다이오드(5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 위에 발광 영역들(PX)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SUB)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걸쳐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기판(SUB)은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SiO₂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기판(SUB)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기판(SUB) 위에 배리어층(BRR)이 위치할 수 있다. 배리어층(BRR)은 외부 이물질이 기판(SUB)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리어층(BRR) 위에 버퍼층(BFR)이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BFR)은 기판(SUB)의 일면을 평탄하게 하거나 불순물이 확산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버퍼층(BFR) 위에 트랜지스터(200)가 위치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200)는 반도체층(210), 게이트 절연막(220), 게이트 전극(230), 소스 전극(250) 및 드레인 전극(260)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210)은 다결정 규소, 비정질 규소,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210)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220)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20) 위에는 게이트 전극(230)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30)은 게이트 절연막(220)에 의해 반도체층(210)과 절연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20)은 기판(SUB)의 전면과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20)은 산화규소(SiOx), 질화규소(SiN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30) 위에 층간 절연층(240)이 위치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240)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240) 위에는 트랜지스터(200)의 소스 전극(250) 및 드레인 전극(260), 데이터선, 신호선(미도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소스 전극(250) 및 드레인 전극(260) 각각은 층간 절연층(240)이 가지는 개구들을 통해 반도체층(210)의 일 영역과 접할 수 있으며, 반도체층(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전극(250) 및 드레인 전극(260)은 각각 반도체층(210)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240) 위에는 절연막(400)이 위치할 수 있다. 절연막(400)은 그 위에 위치하는 발광층(520)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차를 없애고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절연막(400)은 트랜지스터(200)와 중첩하며 트랜지스터(200)를 덮을 수 있다. 절연막(400)은 일 예로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물질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불포화 폴리에스터(unsaturated polyester),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절연막(400)은 콘택홀(CNT)을 포함할 수 있다. 콘택홀(CNT)은 절연막(400)의 일부가 제거되어 절연막(400)을 관통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절연막(400) 위에는 화소 전극(510)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전극(510)은 콘택홀(CNT)과 중첩할 수 있다. 화소 전극(510)은 반사성 도전 물질을 포함하거나 반투과성 도전 물질을 포함하거나 투명한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화소 전극(510)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과 같은 투명 도전 물질, 리튬(Li), 칼슘(Ca),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및 금(Au) 같은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510) 위에 화소 정의막(600)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600)은 화소 전극(510)과 중첩하는 개구부(610)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610)에 발광층(520)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520) 위에는 공통 전압을 전달하는 공통 전극(530)이 위치할 수 있다. 공통 전극(530)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극(530)은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은(Ag) 등의 금속을 적층하여 광 투과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화소 전극(510), 발광층(520) 및 공통 전극(530)은 발광 다이오드(500)를 이룰 수 있다. 화소 전극(510)은 정공 주입 전극인 애노드(anode)일 수 있고, 공통 전극(53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화소 전극(510)이 캐소드일 수 있고, 공통 전극(530)이 애노드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는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가장자리에 얇은 폭을 가진 띠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모서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네 모서리들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네 모서리들 각각은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네 모서리들 각각도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부를 확대해보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부의 형태는 계단형일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은 복수의 발광 영역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의 크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을 기준으로, 제1 행(1N)에는 적색 발광 영역들(R)과 청색 발광 영역들(B)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행(1N)과 인접한 제2 행(2N)에는 복수의 녹색 발광 영역들(G)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행(2N)과 인접한 제3 행(3N)에는 청색 발광 영역들(B)과 적색 발광 영역들(R)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3 행(3N)과 인접한 제4 행(4N)에는 복수의 녹색 발광 영역들(G)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영역들의 배치가 제N 행까지 반복될 수 있다.
이 때, 제1 행(1N)에 배치된 복수의 적색 발광 영역들(R) 및 청색 발광 영역들(B)과 제2 행(2N)에 배치된 복수의 녹색 발광 영역들(G)은 서로 엇갈려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1M)에는 적색 발광 영역들(R) 및 청색 발광 영역(B)들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1M)과 인접한 제2 열(2M)에는 복수의 녹색 발광 영역들(G)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열(2M)과 인접한 제3 열(3M)에는 청색 발광 영역들(B) 및 적색 발광 영역들(R)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3 열(3M)과 인접한 제4 열(4M)에는 복수의 녹색 발광 영역들(G)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영역들의 배치가 제M 열까지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적색 발광 영역들(R) 간의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격 거리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청색 발광 영역들(B) 간의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격 거리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녹색 발광 영역들(G) 간의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격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내에서 동일한 색을 발하는 발광 영역들 사이의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영역 배치 구조를 펜타일 매트릭스(pentile matrix)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펜타일 매트릭스에는 인접한 발광 영역을 공유하여 색상을 표현하는 렌더링(rendering) 구동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수의 발광 영역들로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펜타일 매트릭스 구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 영역들이 스트라이프형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적색 발광 영역들(R)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청색 발광 영역들(B)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녹색 발광 영역들(G)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포함된 적색 발광 영역들(R), 청색 발광 영역들(B), 녹색 발광 영역들(G) 각각의 크기는 동일한 색을 발하는 발광 영역들끼리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포함된 상기 적색 발광 영역들(R) 및 상기 청색 발광 영역들(B)의 크기는 상기 녹색 발광 영역들(G)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녹색 발광 영역들(G)의 개수는 상기 적색 발광 영역들(R)의 개수 및 상기 청색 발광 영역들(B)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복수의 발광 영역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발광 영역(PX1) 및 제2 발광 영역(PX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3 발광 영역(PX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PX1), 상기 제2 발광 영역(PX2) 및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은 제1 색을 발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은 적색일 수 있다. 적색 발광 영역들(R)이 청색 발광 영역들(B) 및 녹색 발광 영역들(G)보다 크므로 적색 발광 영역들(R)을 기준으로 발광 영역들을 배치하는 것이 혼색 방지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색은 청색 또는 녹색일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 각각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발광 영역(PX1) 및 상기 제2 발광 영역(PX2)의 크기보다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크기가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PX1)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은 서로 제1 방향(D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PX1)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중심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3 발광 영역(PX3)과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되는 제3 방향(D3)으로 이격되는 제5 발광 영역(PX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중심과 상기 제5 발광 영역(PX5)의 중심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제1 발광 영역(PX1),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및 상기 제5 발광 영역(PX5)의 중심과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적색 발광 영역들(R)의 중심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영역(PX2)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은 서로 제2 방향(D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영역(PX2)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중심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2 발광 영역(PX2)과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격되는 제6 발광 영역(PX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발광 영역(PX2)의 중심과 상기 제6 발광 영역(PX6)의 중심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제2 발광 영역(PX2),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및 상기 제6 발광 영역(PX6)의 중심과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하는 적색 발광 영역들(R)의 중심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중심은 상기 제1 발광 영역(PX1)의 중심을 지나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축으로부터 일정 범위 벗어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정 범위의 크기는 상기 제1 발광 영역(PX1)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의 약 1/4 크기일 수 있다. 즉,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중심은 상기 제1 발광 영역(PX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의 약 1/4 크기 이내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중심은 상기 제1 발광 영역(PX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과 반대되는 제4 방향(D4)으로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의 약 1/4 크기 이내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영역(PX3)과 상기 제2 발광 영역(PX2) 또한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PX1)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간의 제1 이격 거리(h1)와 상기 제2 발광 영역(PX2)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간의 제2 이격 거리(h2)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거리란 발광 영역들 각각의 중심 간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PX1)과 상기 제2 발광 영역(PX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경계부에 인접할 수 있고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부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부에 인접한 제1 색을 발하는 다른 발광 영역들도 서로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격 거리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격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형상은 모따임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형상은 팔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형상이 팔각형인 경우, 상기 제1 발광 영역(PX1) 및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2 발광 영역(PX2) 및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사이의 간격을 더 길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발광 영역(PX1) 및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발광 영역(PX1)의 제1 모서리에서부터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제1 변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서리는 상기 제1 발광 영역(PX1)의 모서리들 중 상기 제3 발광 영역(PX3)과 인접한 모서리일 수 있다. 상기 제1 변은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변들 중 상기 제1 발광 영역(PX1)과 인접한 변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발광 영역(PX3)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과 인접한 다른 발광 영역들 사이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2 발광 영역(PX2)과 동일한 제1 색을 발하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된 제4 발광 영역(PX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PX1)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간의 제1 이격 거리(h1)는 상기 제2 발광 영역(PX2)과 상기 제4 발광 영역(PX4) 간의 제3 이격 거리(h3)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적색 발광 영역들(R) 사이의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격 거리,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포함된 적색 발광 영역들 사이의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격 거리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부에 인접하는 적색 발광 영역들(R) 사이의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격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이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DA2)과 가장 인접한 발광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 중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가장 인접한 발광 영역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제2 표시 영역(DA2)에 가장 인접한 제7 발광 영역(PX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가장 인접한 제8 발광 영역(PX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7 발광 영역(PX7) 및 상기 제8 발광 영역(PX8) 사이의 거리(h5)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표시 장치(10)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이 얇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부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8 발광 영역(PX8)은 상기 제1 색과 상이한 제2 색을 발할 수 있다. 상기 제2 색은 녹색일 수 있다. 상기 제8 발광 영역(PX8)의 크기는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인접한 상기 제8 발광 영역(PX8)의 크기가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상기 표시 장치(10)를 제조할 때 혼색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보다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 외에 다른 기능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율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투과율보다 높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표시 영역(DA1)보다 발광 영역(PX)의 밀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발광 영역들(PX)의 밀도가 높아져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해상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발광 영역들(PX)의 밀도는 낮아져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율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보다 같은 면적 대비 더 많은 발광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해상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해상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 전체가 높은 해상도를 가지기 위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넓이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2 발광 영역(PX2)과 서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기 제3 이격 거리(h3)만큼 이격되는 상기 제4 발광 영역(PX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3 발광 영역(PX3)과 서로 상기 제3 방향(D3)으로 제4 이격 거리(h4)만큼 이격되는 제5 발광 영역(PX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이격 거리(h3)는 상기 제4 이격 거리(h4)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밀도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밀도보다 높을 수 있다.
해상도가 다른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을 좁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부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표시 장치(11)의 구성들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표시 장치(10)의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1)는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20), 구동칩(30) 등을 포함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기판(SUB), 배리어층(BRR), 버퍼층(BFR), 트랜지스터(200), 층간 절연층(240), 절연막(400), 화소 정의막(600) 및 발광 다이오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영역(DA)의 상단에서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표시 영역(DA)의 상단에서 중앙부에는 위치하지 않고 좌측과 우측에 분리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을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형태는 사각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내지 제4 변들(DA2a, DA2b, DA2c, DA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상기 제1 내지 제4 변들(DA2a, DA2b, DA2c, DA2d) 중 하나 이상의 변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인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표시 영역(DA2)의 제1 내지 제3 변들(DA2a, DA2b, DA2c)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인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제2 변(DA2b)만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인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제1 내지 제4 변들(DA2a, DA2b, DA2c, DA2d) 전부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인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상기 제1 내지 제4 변들(DA2a, DA2b, DA2c, DA2d) 전부가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복수의 발광 영역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발광 영역(PX1) 및 제2 발광 영역(PX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3 발광 영역(PX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PX1), 상기 제2 발광 영역(PX2) 및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은 제1 색을 발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은 녹색일 수 있다. 녹색 발광 영역인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이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중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가장 인접한 발광 영역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은 상기 제3 방향(D3) 및 상기 제4 방향(D4)으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인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을 기준으로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을 배치하는 것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 유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색은 청색 또는 적색일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PX) 각각의 크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PX) 각각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발광 영역(PX1) 및 상기 제2 발광 영역(PX2)의 크기보다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크기가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PX1) 및 상기 제2 발광 영역(PX2)의 형상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PX1)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은 서로 제1 방향(D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PX1)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중심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3 발광 영역(PX3)과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되는 제3 방향(D3)으로 이격되는 제4 발광 영역(PX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중심과 상기 제4 발광 영역(PX4)의 중심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제1 발광 영역(PX1),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및 상기 제4 발광 영역(PX4) 각각과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녹색 발광 영역들(G)의 중심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영역(PX2)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은 서로 제2 방향(D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영역(PX2)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의 중심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2 발광 영역(PX2)과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격되는 제5 발광 영역(PX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발광 영역(PX2)의 중심과 상기 제5 발광 영역(PX5)의 중심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제2 발광 영역(PX2),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및 상기 제5 발광 영역(PX5) 각각과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하는 녹색 발광 영역들(G)의 중심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5 발광 영역(PX5)과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제6 발광 영역(PX6) 및 상기 제6 발광 영역(PX6)과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제7 발광 영역(PX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발광 영역(PX6)은 상기 제1 색과 상이한 제2 색을 발할 수 있다. 상기 제7 발광 영역(PX7)은 상기 제2 색과 상이한 제3 색을 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색은 적색일 수 있고, 상기 제3 색은 청색일 수 있다. 상기 제5 발광 영역(PX5)의 중심, 상기 제6 발광 영역(PX6)의 중심 및 상기 제7 발광 영역(PX7)의 중심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영역(PX1)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간의 제1 이격 거리(d1)와 상기 제2 발광 영역(PX2)과 상기 제3 발광 영역(PX3) 간의 제2 이격 거리(d2)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과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이 얇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부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각각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므로 다른 색을 발하는 발광 영역들 사이에도 혼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보다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보다 같은 면적 대비 더 많은 발광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해상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해상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1) 전체가 높은 해상도를 가지기 위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넓이는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은 상기 제1 발광 영역(PX1)과 서로 상기 제3 방향(D3)으로 상기 제3 이격 거리(d3)만큼 이격되는 상기 제4 발광 영역(PX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은 상기 제3 발광 영역(PX3)과 서로 상기 제2 방향(D2)으로 제4 이격 거리(d4)만큼 이격되는 제5 발광 영역(PX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이격 거리(d3)는 상기 제4 이격 거리(d4)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에 포함된 발광 영역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 영역(DA1)의 밀도가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밀도보다 높을 수 있다.
해상도가 다른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을 좁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부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표시 영역(D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등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표시 장치 20: 구동칩
30: 연성 회로 기판 DA: 표시 영역
DA1: 제1 표시 영역 DA2: 제2 표시 영역
NA: 비표시 영역 SUB: 기판
BRR: 배리어층 BFR: 버퍼층
100: 표시 패널 200: 트랜지스터
210: 반도체층
220: 게이트 절연막 230: 게이트 전극
240: 층간 절연층 250: 소스 전극
260: 드레인 전극 400: 절연막
CNT: 콘택홀 PX: 발광 영역
PX1: 제1 발광 영역 PX2: 제2 발광 영역
PX3: 제3 발광 영역 R: 적색 발광 영역
G: 녹색 발광 영역 B: 청색 발광 영역

Claims (19)

  1.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제1 색을 발하는 제1 발광 영역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색을 발하는 제3 발광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영역의 크기와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크기는 동일하며,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발광 영역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제1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1 발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 간의 제1 이격 거리와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 간의 제2 이격 거리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동일한 색을 발하는 제4 발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제3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3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이격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모양은 모따임된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은 적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모서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넓이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색과 상이한 제2 색을 발하는 제4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4 발광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형태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은 녹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 간의 제4 이격 거리와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 간의 제5 이격 거리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서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6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5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발광 영역과 서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7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6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7 이격 거리는 상기 제6 이격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제1 내지 제4 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변들 중 하나 이상의 변이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밀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밀도보다 높으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제1 색을 발하는 제1 발광 영역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색을 발하는 제3 발광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제1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1 발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은 서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제3 발광 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은 적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발광 영역과 서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4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발광 영역과 서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5 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해상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넓이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178614A 2020-12-18 2020-12-18 표시 장치 KR20220088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14A KR20220088570A (ko) 2020-12-18 2020-12-18 표시 장치
US17/445,826 US11950478B2 (en) 2020-12-18 2021-08-24 Display apparatus
CN202111227269.XA CN114649370A (zh) 2020-12-18 2021-10-21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14A KR20220088570A (ko) 2020-12-18 2020-12-18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570A true KR20220088570A (ko) 2022-06-28

Family

ID=8199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614A KR20220088570A (ko) 2020-12-18 2020-12-1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50478B2 (ko)
KR (1) KR20220088570A (ko)
CN (1) CN114649370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0531B2 (en) * 2004-02-27 2007-02-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pplication program compatibility with display devices having improved pixel density
CN113540195B (zh) * 2019-04-26 2022-05-1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752241B (zh) * 2019-10-31 2023-01-1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271207A (zh) * 2020-11-09 2021-01-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489585B (zh) * 2020-12-25 2024-04-2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108882A (ko) * 2021-01-27 2022-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50478B2 (en) 2024-04-02
US20220199705A1 (en) 2022-06-23
CN114649370A (zh)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820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20170139218A (ko) 표시 장치
CN114447034A (zh) 显示装置
JP2005085737A (ja) 自発光型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3130552B (zh) 显示装置
US11985875B2 (en) Display panel having initialization line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9073680A1 (ja) 表示装置
KR20210097248A (ko) 표시 장치
KR20220088570A (ko) 표시 장치
KR20110033648A (ko) 의료용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29179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30451A (ko) 표시 장치
KR20220082123A (ko) 표시 장치
CN219999921U (zh) 显示基板
US20230309345A1 (en) Display device
US20240138224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lor filter disposed on a bank structure
KR102174920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240054940A1 (en) Display device
US20230298536A1 (en) Display device
US20240179966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40161688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4014565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23137663A1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17596942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140909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