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324A -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324A
KR20220088324A KR1020210177235A KR20210177235A KR20220088324A KR 20220088324 A KR20220088324 A KR 20220088324A KR 1020210177235 A KR1020210177235 A KR 1020210177235A KR 20210177235 A KR20210177235 A KR 20210177235A KR 20220088324 A KR20220088324 A KR 20220088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resin
resin composition
density
melt index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374B1 (ko
Inventor
이인준
박정현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8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05Soil-conditioning by mixing with fibrous materials, filaments, open mesh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이로부터 얻어지는 복합 수지 성형품은 지오셀 또는 코랄셀을 제조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Composite Resin Composition for Geocells and Coralcells}
본 발명은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오셀(geocell)은 연약한 지반을 보강하는 데 사용되는 토목용 보강재로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여러 장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스트립(strip)을 일정한 간격으로 초음파 융착시켜 제작되는 3차원 벌집 형태를 갖는다. 지오셀을 지반 위에 넓게 펼친 후 그 내부에 토사나 기타 충전재 등을 채우고 다져서 지반의 강성 및 공학적 특성을 향상시킨다(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16-0104634호, 제10-2017-0112806호 등 참조).
최근, 동남아시아 등에서 급격한 기후 변화로 강우량이 증가하여, 하상이 세굴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오셀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한편, 코랄셀(coralcell)은 연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공 산호초로서, 기존의 콘크리트 기반의 인공 산호초에 비해 제작과 시공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20-0088784호 등 참조).
그런데, 지오셀 및 코랄셀에 사용되는 기존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수지 조성물은 그 밀도가 약 1.0 g/㎤ 이하이어서, 수중에서 부유하여 그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보다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16-010463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17-011280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20-00887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0~88.0 중량%; (B) 탄산칼슘 10.0~30.0 중량%;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2.0~4.0 중량%를 포함하되, 밀도가 1.0~1.2 g/㎤인 복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7.0~82.0 중량%; (B) 탄산칼슘 15.0~20.0 중량%;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2.5~3.0 중량%를 포함하되, 밀도가 1.04~1.10 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조성물은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0.3 g/10분이고,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elt flow ratio; MFR)가 80~1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는 밀도가 0.930~0.960 g/㎤,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1.0 g/10분,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FR)가 60~14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탄산칼슘은 평균 입자 크기가 2.0~5.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는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이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이때,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 중의 무수 말레산의 함량이 0.3~2.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첨가제(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D)는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카본블랙,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위 복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고, 밀도가 1.0~1.2 g/㎤, 인장강도가 150~300 kgf/㎠, 신율이 300~600%인 복합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성형품이 시트 또는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지오셀 또는 코랄셀을 제조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복합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0~88.0 중량%; (B) 탄산칼슘 10.0~30.0 중량%;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2.0~4.0 중량%를 포함하되, 밀도가 1.0~1.2 g/㎤인 복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서,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7.0~82.0 중량%; (B) 탄산칼슘 15.0~20.0 중량%;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2.5~3.0 중량%를 포함하되, 밀도가 1.04~1.10 g/㎤인 복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0~88.0 중량%, 바람직하게는 75~85 중량% 또는 77.0~82.0 중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를 포함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함량이 70.0 중량% 미만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거나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의 신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함량이 8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성형품의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를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중합법, 용액 중합법 또는 슬러리 중합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중합이 기상 중합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올레핀계 단량체의 중합이 기상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는 밀도가 0.930~0.960 g/㎤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밀도가 0.935~0.950 g/㎤일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밀도가 이 범위 내일 경우, 1.0 g/㎤ 이상의 밀도를 갖는 복합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는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1.0 g/10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가 0.1~0.5 g/10분일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용융지수가 이 범위 내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충분하고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는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FR)가 60~14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MFR이 70~130일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MFR이 이 범위 내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충분할 수 있다.
(B) 탄산칼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3.0~22.0 중량% 또는 15.0~20.0 중량%의 탄산칼슘(B)을 포함한다. 탄산칼슘(B)의 함량이 10.0 중량% 미만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의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탄산칼슘(B)의 함량이 30.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성형품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거나 성형품의 신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탄산칼슘은 평균 입자 크기가 2.0~5.0 ㎛일 수 있다. 탄산칼슘(C)의 평균 입자 크기가 이 범위 내일 경우, 수지 매트릭스 내에서의 분산도가 향상되어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무기물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무기물의 이행(migration)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상용화제로 사용할 수 있는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카르복실(carboxyl) 기와 탄산칼슘의 하이드록실(hydroxyl) 기 사이의 수소결합을 통해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변성 폴리올레핀의 올레핀 사슬(chain)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사슬은 물리적 얽힘(physical entanglement)을 이루어 열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복합 수지 조성물의 인장강도 및 신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3.5 중량% 또는 2.5~3.0 중량%의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를 포함한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와 탄산칼슘(B) 사이의 혼화성(compatibility)이 좋아지지만, 이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면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의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는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이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이때, 무수 말레산이 그래프트되는 폴리에틸렌은 기상 중합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 중의 무수 말레산의 함량이 0.3~2.0 중량%일 수 있다. 무수 말레산의 그래프트율이 위 범위 내일 경우, 극성 기질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복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무수 말레산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0.97 g/㎤이고 용융지수가 0.2~1.5 g/10분인 폴리에틸렌에 무수 말레산을 그래프트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D) 첨가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첨가제(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 첨가제(D)는 예컨대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카본블랙,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첨가제(D)는 라디칼을 제거하여 가공 열안정성을 개선하는 1차 산화방지제인 페놀계(phenol) 산화방지제, BHT(butylated Hydroxytoluene), Irganox 1076, Irganox 1010, Irganox 3114, 1차 산화방지제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물을 분해하는 2차 산화방지제인 인계(phosphite) 산화방지제로서 Irgafos 168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화방지제는, 복합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복합 수지 조성물의 산화방지 효과를 확보하기 어렵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산화방지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며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가격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위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1.0~1.2 g/㎤이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수지 조성물의 밀도가 1.04~1.10 g/㎤ 또는 1.05~1.09 g/㎤일 수 있다. 복합 수지 조성물의 밀도가 이 범위 내일 경우, 이로부터 제조되는 시트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지오셀 또는 코랄셀이 수중에서 부유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조성물은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0.3 g/10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복합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가 0.1~0.2 g/10분일 수 있다. 복합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가 이 범위 내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충분하고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조성물은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elt flow ratio; MFR)가 80~12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수지 조성물의 MFR이 85~110 또는 90~110일 수 있다. 복합 수지 조성물의 MFR이 이 범위 내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충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복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위에서 설명한 각 수지 성분들을 특별한 순서 제한이 없이 원하는 순서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한 각 수지들과 첨가제 등을 필요한 양만큼 니더(kneader), 롤(roll),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 또는 1축/2축 압출기 등에 투입한 후 이들 기기를 사용하여 투입된 원료들을 블렌딩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언급한 각 수지들과 첨가제 등을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60~210℃의 온도에서 용융 블렌딩하여 펠렛화한다.
복합 수지 성형품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복합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 압출 성형, 캐스팅 성형, 멜트-블로우 성형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성형하여 복합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성형품이 압출 성형품 또는 캐스팅 성형품이다. 더 구체적으로, 복합 수지 성형품이 시트 또는 필름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복합 수지 성형품이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시트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성형품은 밀도가 1.0~1.2 g/㎤이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수지 성형품의 밀도가 1.04~1.10 g/㎤ 또는 1.05~1.09 g/㎤일 수 있다. 복합 수지 성형품의 밀도가 이 범위 내일 경우, 이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지오셀 또는 코랄셀이 수중에서 부유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수지 성형품은 인장강도가 150~300 kgf/㎠이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수지 성형품의 인장강도가 200~270 kgf/㎠이다. 복합 수지 성형품의 인장강도가 이 범위 내일 경우, 이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지오셀 또는 코랄셀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수지 성형품은 신율이 300~600%이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수지 성형품의 신율이 350~550%이다. 복합수지 성형 품의 신율이 이 범위 내일 경우, 이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지오셀 또는 코랄셀이 외력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아래와 같은 수지 및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A1: 고밀도 폴리에틸렌(한화솔루션, 9031; 밀도 0.944 g/㎤, 용융지수 0.2 g/10분, MFR 113)
B1: 탄산칼슘(코츠, CMS8000; 평균 입자 크기 3.0 ㎛)
B2: 탤크(코츠, KC5000L; 평균 입자 크기 3.0 ㎛)
C1: 무수 말레산 그래프트 폴리에틸렌 수지(롯데케미칼, Adpoly EM101, 무수 말레산의 함량 0.5~1.0 중량%)
제조예
아래 표 1과 같은 종류와 함량(단위: 중량부)의 수지 및 화합물을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60~210℃의 온도에서 용융 블렌딩하여 펠렛화하였다. 이때, 무기 충전재는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압출기 중도의 측면에서 투입하였다.
그 후, 몰딩 프레스(molding press)를 이용하여 190℃, 30 bar에서 2 ㎜ 두께의 시트를 제작한 후, ASTM D638 시편 커터를 이용하여 물성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A1 82 77 80.4 90 87 85 80 85 82
B1 15 20 16.7 10 10 15 20 - -
B2 - - - - - - - 15 15
C1 3 3 2.9 - 3 - - - 3
시험예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물 및 성형품의 물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1) 밀도
ASTM D150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용융지수(melt index) 및 용융지수비(melt flow ratio; MFR)
ASTM D 1238에 의거하여 190℃에서 21.6 kg의 하중과 2.16 kg의 하중으로 각각 용융지수를 측정하고, 그 비(MI21.6/MI2.16)를 구하였다.
(3)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38에 따라 200 ㎜/min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밀도 g/㎤ 1.055 1.081 1.064 1.005 1.006 1.052 1.08 1.042 1.046
MI2.16 g/10분 0.171 0.155 0.166 - 0.19 - - - -
MFR - 98.5 93.9 97.4 - 102.3 - - - -
인장강도 kgf/㎠ 247 232 236 209 235 199 197 223 262
신율 % 411 499 371 706 646 238 68 5.7 8.2
위 표 1 및 2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의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편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이 우수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의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편은 밀도, 인장강도 및 신율 중 적어도 하나가 열등하였다.
구체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높고, 탄산칼슘의 함량이 낮으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시편의 밀도와 인장강도가 열등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높고, 탄산칼슘의 함량이 낮은 비교예 2의 경우, 시편의 밀도가 열등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높고,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 시편의 인장강도와 신율이 열등하였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 시편의 인장강도와 신율이 열등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높고, 탄산칼슘 대신 탤크를 사용하고,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5의 경우, 시편의 밀도와 신율이 열등하였다. 탄산칼슘 대신 탤크를 사용한 비교예 6의 경우, 시편의 밀도와 신율이 열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이 우수하므로,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구체적으로 시트는 지오셀 또는 코랄셀을 제조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0~88.0 중량%; (B) 탄산칼슘 10.0~30.0 중량%;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2.0~4.0 중량%를 포함하되, 밀도가 1.0~1.2 g/㎤인 복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0.3 g/10분이고,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elt flow ratio; MFR)가 80~120인, 복합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밀도가 0.930~0.960 g/㎤,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1.0 g/10분,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FR)가 60~140인, 복합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의 평균 입자 크기가 2.0~5.0 ㎛인, 복합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가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이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인, 복합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 중의 무수 말레산의 함량이 0.3~2.0 중량%인, 복합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 내지 (C)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첨가제(D)를 더 포함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첨가제(D)가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카본블랙,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복합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고, 밀도가 1.0~1.2 g/㎤, 인장강도가 150~300 kgf/㎠, 신율이 300~600%인 복합 수지 성형품.
  10. 제9항에 있어서, 복합 수지 성형품이 시트 또는 필름인 복합 수지 성형품.
KR1020210177235A 2020-12-18 2021-12-13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KR102582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78053 2020-12-18
KR1020200178053 2020-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324A true KR20220088324A (ko) 2022-06-27
KR102582374B1 KR102582374B1 (ko) 2023-09-26

Family

ID=8205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235A KR102582374B1 (ko) 2020-12-18 2021-12-13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10046A1 (ko)
EP (1) EP4265676A1 (ko)
JP (1) JP2023554114A (ko)
KR (1) KR102582374B1 (ko)
CN (1) CN116615502A (ko)
TW (1) TWI806288B (ko)
WO (1) WO202213171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0169A (ko) * 2001-03-28 2004-04-09 니혼폴리올레핀 가부시키가이샤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다층 적층 구조체
JP2006002052A (ja) * 2004-06-18 2006-01-05 Mitsubishi Chemicals Corp 複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KR20160104634A (ko) 2008-09-29 2016-09-05 피알에스 메디터레이니언 리미티드 하중 지지 적용 지오셀
KR20170112806A (ko)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한오션 해안침식 방지용 유실모래 포집장치
KR20200023191A (ko) *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비엠케이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지오셀을 제조하는 방법
KR20200088784A (ko)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한오션 해안침식 억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2528B (zh) * 2007-08-31 2012-09-26 可乐丽股份有限公司 缓冲底材及其用途
JP6590687B2 (ja) * 2015-12-24 2019-10-16 平岡織染株式会社 テント構造物膜材用樹脂組成物
RU2625058C1 (ru) * 2016-08-26 2017-07-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ики" Армированная георешетк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0169A (ko) * 2001-03-28 2004-04-09 니혼폴리올레핀 가부시키가이샤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다층 적층 구조체
JP2006002052A (ja) * 2004-06-18 2006-01-05 Mitsubishi Chemicals Corp 複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KR20160104634A (ko) 2008-09-29 2016-09-05 피알에스 메디터레이니언 리미티드 하중 지지 적용 지오셀
KR20170112806A (ko)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한오션 해안침식 방지용 유실모래 포집장치
KR20200023191A (ko) *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비엠케이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지오셀을 제조하는 방법
KR20200088784A (ko)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한오션 해안침식 억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711A1 (ko) 2022-06-23
JP2023554114A (ja) 2023-12-26
CN116615502A (zh) 2023-08-18
US20240110046A1 (en) 2024-04-04
TW202225307A (zh) 2022-07-01
TWI806288B (zh) 2023-06-21
KR102582374B1 (ko) 2023-09-26
EP4265676A1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226B1 (ko) 높은 가요성 및 높은 융점을 지니는 열가소성 혼합물
KR101652563B1 (ko) 와이어 및 케이블 응용제품용 할로겐 무함유 난연성 조성물
KR101180874B1 (ko) 발포 성형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가교 탄성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성형품
KR101834104B1 (ko) 프로필렌계 내충격성 공중합체
EP0649872A2 (en) Composition of propylene materials and olefin polymer materials with reduced gloss
KR102272077B1 (ko)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조성물
KR100706422B1 (ko) 칫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나노복합 수지
KR102582374B1 (ko)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KR102592487B1 (ko) 용융 흐름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61407A (ko)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KR100814986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44901B1 (ko) 외압강도가 우수한 하수관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그로부터 제조된 하수관용 파이프
KR100814985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920513B1 (ko) 고압 파이프용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EP0574591A1 (en) Vulcanizable rubber composition and vulcanized rubber
KR102209155B1 (ko) 도금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667665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20130142214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61266B1 (ko) 교면 포장용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수밀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방법
KR102391576B1 (ko) 열전도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0470380B1 (de) Polypropylen-Formmasse
KR102269841B1 (ko) 저 수축 및 저 선팽창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4206277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formed therefrom
KR100571036B1 (ko) 고온고압형 파이프용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KR102104866B1 (ko)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