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784A - 해안침식 억제장치 - Google Patents

해안침식 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784A
KR20200088784A KR1020200005238A KR20200005238A KR20200088784A KR 20200088784 A KR20200088784 A KR 20200088784A KR 1020200005238 A KR1020200005238 A KR 1020200005238A KR 20200005238 A KR20200005238 A KR 20200005238A KR 20200088784 A KR20200088784 A KR 20200088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plate
coastal erosion
numbered
resistance fil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오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오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오션
Priority to PCT/KR2020/00074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49641A1/ko
Publication of KR2020008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 억제장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평행하게 중첩 배치되고 인접된 플레이트끼리 부분적으로 접합된 구조로서 다수개의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포집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저항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앞렬의 플레이트에서 뒷렬의 플레이트로 향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하고,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때, 상기 각 저항막은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다.
상기 각 저항막은 짝수열의 플레이트에만 구비되며 전후방향으로 직선 정렬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각 저항막은 홀수열의 플레이트 및 짝수열의 플레이트에 모두 구비되며, 짝수열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각 저항막 사이에 홀수열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저항막이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홀수열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저항막과 상기 짝수열에 구비된 저항막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안침식 억제장치는 저항막이 이격되어 구성된 특성상, 강한 해류가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해안의 침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해류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낮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안침식 억제장치{coastal erosion restore unit}
본 발명은 파랑에 의해 유실된 모래를 해안으로 되돌림으로써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안의 모래는 육지의 하천 및 해안사구 등으로부터 공급된 모래가 퇴적되어 생성되는데, 자연 상태에서는 이러한 형태로 공급되는 모래가 해안에 퇴적하는 현상과 파랑에 의해 모래가 바다 쪽으로 유실되는 현상이 균형을 이루어 모래사장을 유지하게 된다.
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도로를 포장하고 하천의 바닥 및 하천의 경사면을 콘크리트나 돌등으로 덮어 육지나 하천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모래의 양이 급격히 감소됨으로서 모래사장을 유지하기 위한 공급되는 모래의 부족현상이 초래되고 있으며, 기후 온난화에 따라 높은 파랑의 내습빈도가 증가하여 육지로부터 먼곳으로 해안가 모래가 이동함에 따라 해안침식이 가속화 되고 있다.
해안가 모래가 유실되어 침식현상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의 일례로 구조물 등을 이용한 강제쇄파방식, 준설한 모래를 해안가로 강제로 이동시키는 인공양빈방식 등의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여기서, 강제쇄파방식에는 해안에서 바다쪽으로 떨어진 해저에 수중구조물을 설치하여 파랑를 억제하는 잠제방식과 해안에 근접하거나 해안선 안쪽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파랑의 영향이 육지 측으로 미치는 것을 차단하는 호안방식이 있다.
잠제방식은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수면하에 구성되는 구조물 즉, 잠제(潛堤)를 이용하여 고파랑만을 차단하는 방식과, 수면위로 일정높이 만큼 돌출되는 구조물인 이안제를 이용하여 저파랑 및 고파랑을 모두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강제쇄파방식에 의한 경우에는 해안의 침식이 어느 정도 방지되기는 하지만, 구조물의 형태와 위치에 따라 해빈의 세굴 내지는 해안선의 전진과 후퇴 등의 현상이 유발됨으로써 해안선의 변형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잠제와 이안제는 해류나 파랑에 의해 휩쓸리지 않을 정도의 견고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수중구조물은 특성상 선박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할뿐만 아니라 해양레포츠의 활성화에도 악영항을 미치고 있다.
호안방식에 의하면 파랑이 호안으로 밀려와서 호안전면에 세굴이 발생하여 모래의 유실방지가 불가능하다.
인위적으로 모래를 투입하는 인공양빈방식은 모래채취 및 운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모래의 유실을 막는 근본적인 대책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모래를 공급하여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빈류에 의해 휩쓸려 나가는 모래를 포집하고 이를 해안으로 돌려보냄으로써 해안의 침식을 억제할 수 있는 해안침식 억제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종래의 해안침식 억제장치(1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21)가 서로 평행하게 중첩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인접된 것끼리 부분적으로 접합된 구조로서 확장되어 다수개의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포집부(12)와, 포집부(12)의 상단에 구비되는 저항막(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해안침식 억제장치(10)에 따르면, 해안에서 바다쪽으로 향하는 해빈류가 저항막에 의해 억제되며, 해빈류를 따라 유실되는 모래가 포집부에 의해 포집되고, 포집된 모래가 해안 쪽으로 향하는 해류에 의해 해안으로 운반되어 쌓이기 때문에 해안의 침식이 완화되어 해안 모래사장의 보존에 도움이 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저항막(14)이 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어 단순한 저항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해류가 효율적으로 억제되지 않으며, 태풍 등에 의해 매우 강한 해류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해류의 강한 흐름이 저항막에 모두 인가됨으로써 심할 경우에는 저항막이나 플레이트가 찢어지는 등 억제장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저항막이 이격되어 구성되고, 배치구조가 다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강한 해류가 분산되도록 유도하는 해안침식 억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평행하게 중첩 배치되고 인접된 플레이트끼리 부분적으로 접합된 구조로서 다수개의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포집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저항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앞렬의 플레이트에서 뒷렬의 플레이트로 향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하고,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때, 상기 각 저항막은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다.
상기 각 저항막은 짝수열의 플레이트에만 구비되며 전후방향으로 직선 정렬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각 저항막은 홀수열의 플레이트 및 짝수열의 플레이트에 모두 구비되며, 짝수열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각 저항막 사이에 홀수열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저항막이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홀수열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저항막과 상기 짝수열에 구비된 저항막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는 저항막이 이격되어 구성된 특성상, 강한 해류가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해안의 침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해류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낮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종래 해안침식 억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해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가 앵커기구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에 적용되는 앵커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6: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의 다른 형태에 의한 해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8: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9: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한 해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가 앵커기구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의 구조 및 앵커기구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의한 해안침식 억제장치에 적용되는 앵커기구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 2 부터 도 13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 억제장치(2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평행하게 중첩 배치되고 인접된 플레이트끼리 부분적으로 접합된 구조로서 다수개의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포집부(22)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저항막(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앞렬의 플레이트에서 뒷렬의 플레이트로 향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하고,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때, 상기 각 저항막(24)은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포집부(22)는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홀수열의 플레이트(221)와 짝수열의 플레이트(222)가 반복 배치되어 조합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홀수열의 플레이트(221)는 해안과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1번째 것부터 시작해서 3번째, 5번째, 7번째 순으로 이어지는 것들이며, 짝수열의 플레이트(222)는 2번째 것부터 시작해서 4번째, 6번째, 8번째 순으로 이어지는 것들이다.
여기서, 상기 각 저항막(24)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짝수열의 플레이트(222)에만 구비되고, 전후방향으로 직선 정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해안에서 바다쪽으로 향하는 해빈류가 저항막(24)에 의해 억제되고, 포집부(22)의 포집공간에 모래가 포집되어 포집된 모래가 다시 해안쪽으로 운반되는 작용에 의해 해안의 침식이 억제됨과 동시에, 각각의 저항막(24)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강한 해류 발생시에는 저항막(24)이 형성하는 각 열의 사이 공간으로 해류가 통유된다.(도 3 참조)
따라서, 태풍 등에 의해 매우 강한 해류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해류의 강한 흐름이 저항막(24)에 모두 인가되지 않고 분산됨으로써 해안침식 억제장치(20)의 구성 및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 억제장치(20)는 앵커기구(50)에 의해 해저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앵커기구(50)는 예시적으로 상선단에 갈고리부(521)가 갖추어진 포스트(52)와, 상기 포스트(52)의 하단에 구성된 원뿔부재(54)와, 상기 원뿔부재(54)의 외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만곡 가능한 저항편(54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앵커기구(50)는 포스트(52) 상단의 갈고리부(521)가 플레이트(221)(222)에 걸리고, 원뿔부재(54)가 해저면에 박히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해류에 의해 해안침식 억제장치(20)가 이끌리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저항편(541)이 주변의 모래와 간섭되어 펼쳐짐으로써 저항편(541)에 의한 저항면적이 더욱 커지게 되고, 해저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더욱 강한 저항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각 저항막(24)(24')이 홀수열의 플레이트(221) 및 짝수열의 플레이트(222)에 모두 구비되며, 짝수열의 플레이트(222)에 구비된 각 저항막(24) 사이에 홀수열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저항막(24')이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교차하여 배치된 각 저항막(24)(24') 사이를 해류가 순차적으로 통유하는 과정에서 세밀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해류의 흐름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도 7 참조)
그리고,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홀수열의 플레이트(221)에 구비된 저항막(24')과 상기 짝수열에 구비된 저항막(24)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홀수열의 플레이트(221)에 구비된 저항막(24')이 짝수열에 구비된 저항막(24)에 비하여 높이가 낮게 이루어지거나(도 8 참조), 이와 반대로 홀수열의 플레이트(221)에 구비된 저항막(24')이 짝수열에 구비된 저항막(24) 보다 높이가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면생략)
이에 따르면, 높낮이가 서로 다른 저항막(24)(24')이 전후방향으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특성상, 해류가 각 저항막(24)(24')과 접하여 흐르는 과정에서 세밀하게 분산될 뿐만 아니라, 해류가 상하 방향으로 굽이치면서 와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 흐름이 더욱 억제된다.(도 9 참조)
2)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 억제장치(3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321)(322)가 서로 평행하게 중첩 배치되고 인접된 플레이트(321)(322)끼리 부분적으로 접합된 구조로서 확장되어 다수개의 포집공간(30a)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포집부(32)와, 상기 플레이트(32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다수개의 저항막(34)을 포함하며, 상기 포집공간(30a)과 그에 인접한 포집공간(30a) 사이에는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기구(60)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부(46)가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홀부는 상기 포집부(32) 보다 그 직경이 작게 이루어진다.
상기 포집공간(30a)의 구성이 플레이트(321)(32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접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상기 걸림홀부(36)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홀부(36)의 구성을 위해서는 플레이트(321)(322)의 접합 간격이 포집공간(30a)의 구성을 위한 접합 간격보다 좁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 억제장치(30)에 적용되는 앵커기구(60)는 일정길이의 포스트(62)와, 상기 포스트(62)의 상단에 구비되는 캡부재(64)와, 상기 포스트(62)의 하단에 구비되어 지면에 박힌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변형되는 원뿔부재(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캡부재(64)는 포스트(62)의 상단과 나사 결합되며 그 양 측면에는 절곡된 형태의 걸림부(641)가 구비된다.(도 13 참조)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와 같은 상기 앵커기구(60)는 상기 걸림홀부(36)를 아래로 통과하여 원뿔부재(66)가 해저면에 박히고 걸림부(641)가 걸림홀부(36)의 상단에 걸리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해류에 의해 해안침식 억제장치(30)가 이끌리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저항편(68)이 주변의 모래와 간섭되어 펼쳐짐으로써 저항편(68)에 의한 저항면적이 더욱 커지게 되고, 해저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더욱 강한 저항을 형성하게 된다.
3) 도 1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 억제장치(40)는, 제1 플레이트(421)와 제2 플레이트(422)가 서로 평행하게 중첩 배치되고 부분적으로 서로 접합됨으로써 다수개의 포집공간(40a)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포집부(42)와, 상기 제2 플레이트(42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다수개의 저항막(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공간(40a)과 그에 인접한 포집공간(40a) 사이에는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기구(60)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부(4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 억제장치는, 제2 실시예와 기본적인 형태는 같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조합되는 반면에 제1 플레이트(421)와 제2 플레이트(422)만이 조합된다는 점에서 구조적인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 억제장치는 제1 플레이트(421)와 제2 플레이트(422)만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특성상, 설치되는 수량과 배치위치를 현장의 조건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막(44)이 전후방향으로 직선 정렬되도록 하거나 교차되도록 하는 설정을 억제장치의 설치과정에서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평행하게 중첩 배치되고 인접된 플레이트끼리 부분적으로 접합된 구조로서 다수개의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포집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저항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앞렬의 플레이트에서 뒷렬의 플레이트로 향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하고,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때, 상기 각 저항막은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억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항막은 짝수열의 플레이트에만 구비되며 전후방향으로 직선 정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억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항막은 홀수열의 플레이트 및 짝수열의 플레이트에 모두 구비되며,
    짝수열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각 저항막 사이에 홀수열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저항막이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억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열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저항막과 상기 짝수열에 구비된 저항막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억제장치.
  5.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평행하게 중첩 배치되고 인접된 플레이트끼리 부분적으로 접합된 구조로서 확장되어 다수개의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포집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다수개의 저항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공간과 그에 인접한 포집공간 사이에는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기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억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부의 직경은 상기 포집공간의 직경 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억제장치.
  7.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서로 평행하게 중첩 배치되고 부분적으로 서로 접합됨으로써 다수개의 포집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포집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다수개의 저항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공간과 그에 인접한 포집공간 사이에는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기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억제장치.


KR1020200005238A 2019-01-15 2020-01-15 해안침식 억제장치 KR20200088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0745 WO2020149641A1 (ko) 2019-01-15 2020-01-15 해안침식 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5280 2019-01-15
KR1020190005280 2019-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784A true KR20200088784A (ko) 2020-07-23

Family

ID=7189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238A KR20200088784A (ko) 2019-01-15 2020-01-15 해안침식 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87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711A1 (ko) 2020-12-18 2022-06-23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KR20230127645A (ko) 2022-02-25 2023-09-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711A1 (ko) 2020-12-18 2022-06-23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KR20220088324A (ko) 2020-12-18 2022-06-27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KR20230127645A (ko) 2022-02-25 2023-09-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4125A (en) Anti-erosion device
JP3983675B2 (ja) 永久・半永久防波堤構造体および海岸部および陸地部再生方法
KR100243424B1 (ko) 오일펜스
CN109196167B (zh) 防止海岸侵蚀用流失沙捕集装置
US4954013A (en) Means and method for stabilizing shorelines
US3952521A (en) Portable floating wave tripper
KR20200088784A (ko) 해안침식 억제장치
US10378862B2 (en) Security and debris barrier
CN112900350B (zh) 潜伏式抑咸活动拍门结构
US6499911B2 (en) Compliant porous groin and shoreline reclamation method
JP6674220B2 (ja) サンゴ礫堆積による陸化方法、そのための透過構造物および構造体
KR102057674B1 (ko) 스톤네트 구조물
RU165292U1 (ru) Селепроводящий канал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2447163B1 (ko) 해안침식방지용 유실모래 포집장치의 고정설비
RU2564864C1 (ru) Гибкий волнолом
WO2020149641A1 (ko) 해안침식 억제장치
US9382681B2 (en) Modular wave-break and bulkhead system
KR101797950B1 (ko) 파괴식 파랑에너지 저감 연안 시설물
BRPI0718534A2 (pt) Estrutura de redução de movimento de onda
US2263313A (en) Jetty structure
US10954641B2 (en) Beach erosion inhibitor
KR200405341Y1 (ko) 생태계 보호용 하천 시설물
WO2020145617A1 (ko) 해안침식방지용 유실모래 포집장치의 고정설비
JPH02157309A (ja) 侵食防止・堆砂促進装置とその施工方法
JP2726115B2 (ja) 水中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