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374B1 -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2374B1 KR102582374B1 KR1020210177235A KR20210177235A KR102582374B1 KR 102582374 B1 KR102582374 B1 KR 102582374B1 KR 1020210177235 A KR1020210177235 A KR 1020210177235A KR 20210177235 A KR20210177235 A KR 20210177235A KR 102582374 B1 KR102582374 B1 KR 1025823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e resin
- resin composition
- weight
- density
- loa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05 composite resi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FPYJFEHAWHCUMM-UHFFFAOYSA-N male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O=C1OC(=O)C=C1 FPYJFEHAWHCUM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744 reinfor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748 slip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41000243321 Cnidari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685 gas phase poly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22 Butylated hydroxytolu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LZUEZXRPGMBCV-UHFFFAOYSA-N Butylhydroxy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O)C(C(C)(C)C)=C1 NLZUEZXRPGMB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95259 butylated hydroxytolue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4 butylated hydroxytolu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12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QNXQYZMPJLQX-UHFFFAOYSA-N 1,3,5-tris[(3,5-ditert-butyl-4-hydroxyphenyl)methyl]-1,3,5-triazinane-2,4,6-trione Chemical compound CC(C)(C)C1=C(O)C(C(C)(C)C)=CC(CN2C(N(CC=3C=C(C(O)=C(C=3)C(C)(C)C)C(C)(C)C)C(=O)N(CC=3C=C(C(O)=C(C=3)C(C)(C)C)C(C)(C)C)C2=O)=O)=C1 VNQNXQYZMPJL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985630 Lota l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KIJEFPNVSHHEI-UHFFFAOYSA-N Phenol, 2,4-bis(1,1-dimethylethyl)-, phosphite (3:1) Chemical compound CC(C)(C)C1=CC(C(C)(C)C)=CC=C1OP(OC=1C(=CC(=CC=1)C(C)(C)C)C(C)(C)C)OC1=CC=C(C(C)(C)C)C=C1C(C)(C)C JKIJEFPNVSHH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GYHLZZASRKEJE-UHFFFAOYSA-N [3-[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oyloxy]-2,2-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oyloxymethyl]propyl] 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1=C(O)C(C(C)(C)C)=CC(CCC(=O)OCC(COC(=O)CCC=2C=C(C(O)=C(C=2)C(C)(C)C)C(C)(C)C)(COC(=O)CCC=2C=C(C(O)=C(C=2)C(C)(C)C)C(C)(C)C)COC(=O)CCC=2C=C(C(O)=C(C=2)C(C)(C)C)C(C)(C)C)=C1 BGYHLZZASRKEJ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71 blow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8 free radical solut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SDSCDGVMJFTEQ-UHFFFAOYSA-N octadecyl 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C(=O)CCC1=CC(C(C)(C)C)=C(O)C(C(C)(C)C)=C1 SSDSCDGVMJFT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OJMIONKXNSYLSR-UHFFFAOYSA-N phosphorous acid Chemical compound OP(O)O OJMIONKXNSYL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91 sco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with aliphatic 1-olefins containing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4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 B29B7/48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with two shafts provided with screws, e.g. one screw being shorter than the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05—Soil-conditioning by mixing with fibrous materials, filaments, open mesh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704—Tempera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이로부터 얻어지는 복합 수지 성형품은 지오셀 또는 코랄셀을 제조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오셀(geocell)은 연약한 지반을 보강하는 데 사용되는 토목용 보강재로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여러 장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스트립(strip)을 일정한 간격으로 초음파 융착시켜 제작되는 3차원 벌집 형태를 갖는다. 지오셀을 지반 위에 넓게 펼친 후 그 내부에 토사나 기타 충전재 등을 채우고 다져서 지반의 강성 및 공학적 특성을 향상시킨다(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16-0104634호, 제10-2017-0112806호 등 참조).
최근, 동남아시아 등에서 급격한 기후 변화로 강우량이 증가하여, 하상이 세굴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오셀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한편, 코랄셀(coralcell)은 연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공 산호초로서, 기존의 콘크리트 기반의 인공 산호초에 비해 제작과 시공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20-0088784호 등 참조).
그런데, 지오셀 및 코랄셀에 사용되는 기존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수지 조성물은 그 밀도가 약 1.0 g/㎤ 이하이어서, 수중에서 부유하여 그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보다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0~88.0 중량%; (B) 탄산칼슘 10.0~30.0 중량%;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2.0~4.0 중량%를 포함하되, 밀도가 1.0~1.2 g/㎤인 복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7.0~82.0 중량%; (B) 탄산칼슘 15.0~20.0 중량%;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2.5~3.0 중량%를 포함하되, 밀도가 1.04~1.10 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조성물은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0.3 g/10분이고,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elt flow ratio; MFR)가 80~1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는 밀도가 0.930~0.960 g/㎤,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1.0 g/10분,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FR)가 60~14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탄산칼슘은 평균 입자 크기가 2.0~5.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는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이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이때,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 중의 무수 말레산의 함량이 0.3~2.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첨가제(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D)는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카본블랙,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위 복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고, 밀도가 1.0~1.2 g/㎤, 인장강도가 150~300 kgf/㎠, 신율이 300~600%인 복합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성형품이 시트 또는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지오셀 또는 코랄셀을 제조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복합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0~88.0 중량%; (B) 탄산칼슘 10.0~30.0 중량%;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2.0~4.0 중량%를 포함하되, 밀도가 1.0~1.2 g/㎤인 복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서,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7.0~82.0 중량%; (B) 탄산칼슘 15.0~20.0 중량%;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2.5~3.0 중량%를 포함하되, 밀도가 1.04~1.10 g/㎤인 복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0~88.0 중량%, 바람직하게는 75~85 중량% 또는 77.0~82.0 중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를 포함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함량이 70.0 중량% 미만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거나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의 신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함량이 8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성형품의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를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중합법, 용액 중합법 또는 슬러리 중합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중합이 기상 중합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올레핀계 단량체의 중합이 기상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는 밀도가 0.930~0.960 g/㎤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밀도가 0.935~0.950 g/㎤일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밀도가 이 범위 내일 경우, 1.0 g/㎤ 이상의 밀도를 갖는 복합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는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1.0 g/10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가 0.1~0.5 g/10분일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용융지수가 이 범위 내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충분하고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는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FR)가 60~14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MFR이 70~130일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MFR이 이 범위 내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충분할 수 있다.
(B) 탄산칼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3.0~22.0 중량% 또는 15.0~20.0 중량%의 탄산칼슘(B)을 포함한다. 탄산칼슘(B)의 함량이 10.0 중량% 미만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의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탄산칼슘(B)의 함량이 30.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성형품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거나 성형품의 신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탄산칼슘은 평균 입자 크기가 2.0~5.0 ㎛일 수 있다. 탄산칼슘(C)의 평균 입자 크기가 이 범위 내일 경우, 수지 매트릭스 내에서의 분산도가 향상되어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무기물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무기물의 이행(migration)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상용화제로 사용할 수 있는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카르복실(carboxyl) 기와 탄산칼슘의 하이드록실(hydroxyl) 기 사이의 수소결합을 통해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변성 폴리올레핀의 올레핀 사슬(chain)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사슬은 물리적 얽힘(physical entanglement)을 이루어 열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복합 수지 조성물의 인장강도 및 신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3.5 중량% 또는 2.5~3.0 중량%의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를 포함한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와 탄산칼슘(B) 사이의 혼화성(compatibility)이 좋아지지만, 이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면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의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는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이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이때, 무수 말레산이 그래프트되는 폴리에틸렌은 기상 중합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 중의 무수 말레산의 함량이 0.3~2.0 중량%일 수 있다. 무수 말레산의 그래프트율이 위 범위 내일 경우, 극성 기질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복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무수 말레산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0.97 g/㎤이고 용융지수가 0.2~1.5 g/10분인 폴리에틸렌에 무수 말레산을 그래프트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D) 첨가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C)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첨가제(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 첨가제(D)는 예컨대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카본블랙,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첨가제(D)는 라디칼을 제거하여 가공 열안정성을 개선하는 1차 산화방지제인 페놀계(phenol) 산화방지제, BHT(butylated Hydroxytoluene), Irganox 1076, Irganox 1010, Irganox 3114, 1차 산화방지제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물을 분해하는 2차 산화방지제인 인계(phosphite) 산화방지제로서 Irgafos 168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화방지제는, 복합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복합 수지 조성물의 산화방지 효과를 확보하기 어렵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산화방지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며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가격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위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1.0~1.2 g/㎤이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수지 조성물의 밀도가 1.04~1.10 g/㎤ 또는 1.05~1.09 g/㎤일 수 있다. 복합 수지 조성물의 밀도가 이 범위 내일 경우, 이로부터 제조되는 시트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지오셀 또는 코랄셀이 수중에서 부유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조성물은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0.3 g/10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복합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가 0.1~0.2 g/10분일 수 있다. 복합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가 이 범위 내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충분하고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조성물은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elt flow ratio; MFR)가 80~12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수지 조성물의 MFR이 85~110 또는 90~110일 수 있다. 복합 수지 조성물의 MFR이 이 범위 내일 경우,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충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복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위에서 설명한 각 수지 성분들을 특별한 순서 제한이 없이 원하는 순서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한 각 수지들과 첨가제 등을 필요한 양만큼 니더(kneader), 롤(roll),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 또는 1축/2축 압출기 등에 투입한 후 이들 기기를 사용하여 투입된 원료들을 블렌딩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언급한 각 수지들과 첨가제 등을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60~210℃의 온도에서 용융 블렌딩하여 펠렛화한다.
복합 수지 성형품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복합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 압출 성형, 캐스팅 성형, 멜트-블로우 성형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성형하여 복합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성형품이 압출 성형품 또는 캐스팅 성형품이다. 더 구체적으로, 복합 수지 성형품이 시트 또는 필름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복합 수지 성형품이 지오셀 또는 코랄셀용 시트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 수지 성형품은 밀도가 1.0~1.2 g/㎤이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수지 성형품의 밀도가 1.04~1.10 g/㎤ 또는 1.05~1.09 g/㎤일 수 있다. 복합 수지 성형품의 밀도가 이 범위 내일 경우, 이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지오셀 또는 코랄셀이 수중에서 부유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수지 성형품은 인장강도가 150~300 kgf/㎠이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수지 성형품의 인장강도가 200~270 kgf/㎠이다. 복합 수지 성형품의 인장강도가 이 범위 내일 경우, 이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지오셀 또는 코랄셀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수지 성형품은 신율이 300~600%이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수지 성형품의 신율이 350~550%이다. 복합수지 성형 품의 신율이 이 범위 내일 경우, 이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지오셀 또는 코랄셀이 외력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아래와 같은 수지 및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A1: 고밀도 폴리에틸렌(한화솔루션, 9031; 밀도 0.944 g/㎤, 용융지수 0.2 g/10분, MFR 113)
B1: 탄산칼슘(코츠, CMS8000; 평균 입자 크기 3.0 ㎛)
B2: 탤크(코츠, KC5000L; 평균 입자 크기 3.0 ㎛)
C1: 무수 말레산 그래프트 폴리에틸렌 수지(롯데케미칼, Adpoly EM101, 무수 말레산의 함량 0.5~1.0 중량%)
제조예
아래 표 1과 같은 종류와 함량(단위: 중량부)의 수지 및 화합물을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60~210℃의 온도에서 용융 블렌딩하여 펠렛화하였다. 이때, 무기 충전재는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압출기 중도의 측면에서 투입하였다.
그 후, 몰딩 프레스(molding press)를 이용하여 190℃, 30 bar에서 2 ㎜ 두께의 시트를 제작한 후, ASTM D638 시편 커터를 이용하여 물성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1 | 2 | 3 | 4 | 5 | 6 | |
A1 | 82 | 77 | 80.4 | 90 | 87 | 85 | 80 | 85 | 82 |
B1 | 15 | 20 | 16.7 | 10 | 10 | 15 | 20 | - | - |
B2 | - | - | - | - | - | - | - | 15 | 15 |
C1 | 3 | 3 | 2.9 | - | 3 | - | - | - | 3 |
시험예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물 및 성형품의 물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1) 밀도
ASTM D150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용융지수(melt index) 및 용융지수비(melt flow ratio; MFR)
ASTM D 1238에 의거하여 190℃에서 21.6 kg의 하중과 2.16 kg의 하중으로 각각 용융지수를 측정하고, 그 비(MI21.6/MI2.16)를 구하였다.
(3)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38에 따라 200 ㎜/min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1 | 2 | 3 | 4 | 5 | 6 | ||
밀도 | g/㎤ | 1.055 | 1.081 | 1.064 | 1.005 | 1.006 | 1.052 | 1.08 | 1.042 | 1.046 |
MI2.16 | g/10분 | 0.171 | 0.155 | 0.166 | - | 0.19 | - | - | - | - |
MFR | - | 98.5 | 93.9 | 97.4 | - | 102.3 | - | - | - | - |
인장강도 | kgf/㎠ | 247 | 232 | 236 | 209 | 235 | 199 | 197 | 223 | 262 |
신율 | % | 411 | 499 | 371 | 706 | 646 | 238 | 68 | 5.7 | 8.2 |
위 표 1 및 2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의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편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이 우수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의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편은 밀도, 인장강도 및 신율 중 적어도 하나가 열등하였다.
구체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높고, 탄산칼슘의 함량이 낮으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시편의 밀도와 인장강도가 열등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높고, 탄산칼슘의 함량이 낮은 비교예 2의 경우, 시편의 밀도가 열등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높고,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 시편의 인장강도와 신율이 열등하였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 시편의 인장강도와 신율이 열등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높고, 탄산칼슘 대신 탤크를 사용하고,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5의 경우, 시편의 밀도와 신율이 열등하였다. 탄산칼슘 대신 탤크를 사용한 비교예 6의 경우, 시편의 밀도와 신율이 열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높고, 인장강도 및 신율이 우수하므로,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구체적으로 시트는 지오셀 또는 코랄셀을 제조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 성분 (A) 내지 (C)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0~88.0 중량%; (B) 탄산칼슘 10.0~22.0 중량%;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2.0~4.0 중량%를 포함하되, 밀도가 1.0~1.2 g/㎤인 복합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0.3 g/10분이고,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elt flow ratio; MFR)가 80~120인, 복합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A)의 밀도가 0.930~0.960 g/㎤,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가 0.1~1.0 g/10분,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MI2.16)의 비(MFR)가 60~140인, 복합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의 평균 입자 크기가 2.0~5.0 ㎛인, 복합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가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이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인, 복합 수지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 중의 무수 말레산의 함량이 0.3~2.0 중량%인, 복합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 내지 (C)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첨가제(D)를 더 포함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첨가제(D)가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카본블랙,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복합 수지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고, 밀도가 1.0~1.2 g/㎤, 인장강도가 150~300 kgf/㎠, 신율이 300~600%인 복합 수지 성형품.
- 제9항에 있어서, 복합 수지 성형품이 시트 또는 필름인 복합 수지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8053 | 2020-12-18 | ||
KR20200178053 | 2020-12-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8324A KR20220088324A (ko) | 2022-06-27 |
KR102582374B1 true KR102582374B1 (ko) | 2023-09-26 |
Family
ID=8205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7235A KR102582374B1 (ko) | 2020-12-18 | 2021-12-13 |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10046A1 (ko) |
EP (1) | EP4265676A1 (ko) |
JP (1) | JP2023554114A (ko) |
KR (1) | KR102582374B1 (ko) |
CN (1) | CN116615502A (ko) |
TW (1) | TWI806288B (ko) |
WO (1) | WO2022131711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2052A (ja) | 2004-06-18 | 2006-01-05 | Mitsubishi Chemicals Corp | 複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079323A1 (fr) * | 2001-03-28 | 2002-10-10 | Japan Polyolefins Co., Ltd. | Composition de resine adhesive et structure multicouches fabriquee a partir de celle-ci |
WO2009028564A1 (ja) * | 2007-08-31 | 2009-03-05 | Kuraray Kuraflex Co., Ltd. | 緩衝材用基材及びその用途 |
AU2008362137B2 (en) | 2008-09-29 | 2013-10-03 | Prs Mediterranean Ltd. | Geocell for load support applications |
JP6590687B2 (ja) * | 2015-12-24 | 2019-10-16 | 平岡織染株式会社 | テント構造物膜材用樹脂組成物 |
KR101958906B1 (ko) | 2016-04-01 | 2019-03-18 | 주식회사 한오션 | 해안침식 방지용 유실모래 포집장치 |
RU2625058C1 (ru) * | 2016-08-26 | 2017-07-11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ики" | Армированная георешетк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
KR102257482B1 (ko) * | 2018-08-24 | 2021-05-31 | 주식회사 비엠케이 |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지오셀을 제조하는 방법 |
KR20200088784A (ko) | 2019-01-15 | 2020-07-23 | 주식회사 한오션 | 해안침식 억제장치 |
-
2021
- 2021-12-13 JP JP2023537305A patent/JP2023554114A/ja active Pending
- 2021-12-13 US US18/268,012 patent/US20240110046A1/en active Pending
- 2021-12-13 KR KR1020210177235A patent/KR1025823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2-13 EP EP21907015.8A patent/EP4265676A1/en active Pending
- 2021-12-13 WO PCT/KR2021/018830 patent/WO202213171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2-13 CN CN202180084918.7A patent/CN116615502A/zh active Pending
- 2021-12-14 TW TW110146810A patent/TWI806288B/zh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2052A (ja) | 2004-06-18 | 2006-01-05 | Mitsubishi Chemicals Corp | 複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2225307A (zh) | 2022-07-01 |
KR20220088324A (ko) | 2022-06-27 |
US20240110046A1 (en) | 2024-04-04 |
JP2023554114A (ja) | 2023-12-26 |
TWI806288B (zh) | 2023-06-21 |
EP4265676A1 (en) | 2023-10-25 |
CN116615502A (zh) | 2023-08-18 |
WO2022131711A1 (ko) | 2022-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0874B1 (ko) | 발포 성형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가교 탄성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성형품 | |
KR100213425B1 (ko) |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방법 | |
US10626243B2 (en) |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s formed with the composition | |
WO1998046675A1 (fr) | Composition elastomere thermoplastique olefinique | |
EP0649872A2 (en) | Composition of propylene materials and olefin polymer materials with reduced gloss | |
EP1860147B1 (en) | A polyolefin composition with improved stress whitening resistance | |
KR102582374B1 (ko) | 지오셀용 또는 코랄셀용 복합 수지 조성물 | |
KR20190061407A (ko) |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 |
KR20170084466A (ko) |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 |
KR20160114994A (ko) | 저경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KR20160039406A (ko) | 고충격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성형품 | |
EP0655079B1 (en) | Flexible polar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 |
KR100706422B1 (ko) | 칫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나노복합 수지 | |
KR102592487B1 (ko) | 용융 흐름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
KR100702580B1 (ko) | 합성수지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44901B1 (ko) | 외압강도가 우수한 하수관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그로부터 제조된 하수관용 파이프 | |
KR100814986B1 (ko) |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
KR101309340B1 (ko) |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필름 | |
KR100920513B1 (ko) | 고압 파이프용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 |
KR100814985B1 (ko) |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
JP3166279B2 (ja) |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2667665B1 (ko) |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 |
JP3359505B2 (ja) |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 |
KR100531249B1 (ko) |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 |
KR100552132B1 (ko) | 상용성이 우수한 나일론/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혼합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