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981A - 연료 전지 차량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981A
KR20220087981A KR1020200178569A KR20200178569A KR20220087981A KR 20220087981 A KR20220087981 A KR 20220087981A KR 1020200178569 A KR1020200178569 A KR 1020200178569A KR 20200178569 A KR20200178569 A KR 20200178569A KR 20220087981 A KR20220087981 A KR 20220087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uel cell
bus bar
junction box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경
연승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7981A/ko
Priority to US17/391,649 priority patent/US11850957B2/en
Priority to CN202111558259.4A priority patent/CN114643879A/zh
Publication of KR2022008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1Arrangement of fuel cells with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Fuel Cell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실시 예의 연료 전지 차량은, 연료 전지와, 연료 전지의 위에 배치되며 제1 버스바를 포함하는 정션 박스와, 연료 전지의 후미에 배치되어 연료 전지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고 제2 버스바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부 및 체결 공간에서 제1 및 제2 버스바를 체결하여 정션 박스와 전력 제어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정션 박스 및 전력 제어부 중 하나는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공구 주입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차량{Fuel cell vehicle}
실시 예는 연료 전지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차량(이하, ‘연료 전지 차량’이라 한다)은 연료 전지로부터 다양한 레벨의 전력을 요구할 수 있다. 만일, 연료 전지 차량의 구동 전압이 연료 전지의 출력 전압보다 높은 경우, 연료 전지의 출력 전압을 승압 시켜주는 고전압 승압형 직류-직류 변환 장치(FDC:Fuel cell DC-DC Converter)가 요구된다. FDC는 연료 전지 차량에서 부피가 큰 부품 중 하나이다. 따라서, FDC를 연료 전지 차량에 탑재함에 따라 부피가 증가할 수 있어 이를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에너지 전달과정에서 FDC는 정션박스와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연료 전지 차량에서, FDC와 정션 박스의 배치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시 예는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그리고 에너지 전달 측면에서 우수하게 배치된 전력 제어부와 정션 박스를 갖는 연료 전지 차량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은, 연료 전지; 상기 연료 전지의 위에 배치되며, 제1 버스바를 포함하는 정션 박스; 상기 연료 전지의 후미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 전지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고, 제2 버스바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부; 및 체결 공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를 체결하여 상기 정션 박스와 상기 전력 제어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션 박스 및 상기 전력 제어부 중 하나는 외부로부터 상기 체결 공간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공구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를 직접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각각을 체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각각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버스바와 연결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버스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블록;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1 단부를 직접 체결하는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2 단부를 직접 체결하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1 단부 각각을 체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1 단부 각각과 나사 결합하는 제1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2 단부 각각을 상기 체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2 단부 각각과 나사 결합하는 제2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구 주입구는 상기 체결 방향으로 상기 체결 공간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공구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전력 제어부로부터 상기 정션 박스의 내부까지 돌출되고, 상기 터미널 블록은 상기 전력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정션 박스의 내부까지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 공간은 상기 전력 제어부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션 박스는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구 주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체결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메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메인 커버는 상기 연료 전지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개폐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별개로 개폐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은, 상기 정션 박스와 상기 전력 제어부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 배치된 제1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은, 상기 정션 박스의 상기 공구 주입구와 상기 체결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중공을 갖고, 상기 정션 박스의 측부에 배치된 제1 환형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공과 상기 공구 주입구는 서로 연통하여 상기 체결 공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은, 상기 제1 환형 커버와 상기 정션 박스의 상기 측부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제1 중공을 에워싸며 배치된 제2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공구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는 상기 정션 박스로부터 상기 전력 제어부의 내부까지 돌출되고, 상기 터미널 블록은 상기 정션 박스와 연결되고 상기 전력 제어부의 내부까지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 공간은 상기 정션 박스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제어부는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구 주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체결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2 메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메인 커버는 상기 연료 전지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3 커버부; 및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4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커버부와 상기 제4 커버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개폐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커버부와 상기 제4 커버부는 별개로 개폐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은, 상기 정션 박스와 상기 전력 제어부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 배치된 제3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은 상기 전력 제어부의 상기 공구 주입구와 상기 체결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2 중공을 갖고, 상기 전력 제어부의 측부에 배치된 제2 환형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공구 주입구는 서로 연통하여 상기 체결 공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은, 상기 제2 환형 커버와 상기 전력 제어부의 상기 측부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제2 중공을 에워싸며 배치된 제4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은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를 간단하면서도 전력 전달 효율이 증가하도록 연결할 수 있고, 부피를 감소시키고, 설계를 간단하게 하고, 제조 원가를 줄이고 제조 공정을 간편하게 하고, 연료 전지 아래의 공간 활용도를 개선시키고, 승용 차량에 적용될 수 있고, 후드 아래의 불필요한 공간을 발생시키지 않아 공간 활용도를 개선시키고, 차량의 추돌 시 카울 판넬의 변형을 방지시키고, 우수한 조립성 및 기밀성을 갖고. 수선 및 유지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료 전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3e는 도 2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c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도 2d 또는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2d 또는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2d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d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제1 비교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의 국부적인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2 비교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의 국부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element)가 상기 두 구성요소(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200A, 200B, 200C, 200D, 200E)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편의상, 데카르트 좌표계(x축, y축, z축)를 이용하여 연료 전지 차량(200A, 200B, 200C, 200D, 200E)을 설명하지만, 다른 좌표계에 의해서도 이를 설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데카르트 좌표계에 의하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하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교차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x축 또는 y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평 방향’이라 칭하고, z축을 수직 방향이라 칭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료 전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차량(이하, ‘연료 전지 차량’이라 한다)은 승객이 탑승하는 차실(110), 차실(110)의 앞에 위치한 제1 공간(120) 및 차실(110)의 뒤에 위치한 제2 공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x축 방향으로 진행할 경우 제1 공간(120)은 연료 전지 차량의 엔진이 수용되는 엔진 룸에 해당하고 제2 공간(130)은 트렁크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200A 내지 200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200A 내지 200E) 각각은 연료 전지(210), 정션 박스(또는, 고전압 정션 박스)(220), 전력 제어부(230) 및 체결 영역(240) 내에 위치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전지(210)는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단위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료 전지(210)는 x축 방향, y축 방향 또는 z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단위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200A 내지 200E)은 하나의 단위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하기의 설명은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200A 내지 200E)이 복수의 단위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위 연료 전지는 차량 구동을 위한 전력 공급원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단위 연료 전지의 특정한 구성이나 외관 등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연료 전지(210)에 포함된 단위 연료 전지는 엔드 플레이트(end plate)(또는, 가압 플레이트 또는 압축판)(미도시), 집전판(미도시) 및 셀 스택(cell stack)(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스택은 수평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단위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십 내지 수백 개 예를 들어, 100 내지 400개의 단위 셀이 적층되어 셀 스택을 구현할 수 있다.
각 단위 셀은 0.6 볼트 내지 1.0 볼트, 평균적으로 0.7볼트의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전지(210)로부터 부하로 공급하고자 하는 전력의 세기에 따라, 연료 전지(210)에 포함되는 단위 연료 전지의 개수 및 단위 연료 전지의 셀 스택에 포함되는 복수의 단위 셀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부하란, 연료 전지 차량(200A 내지 200E)에서 전력을 요구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는 셀 스택의 양측 단부 각각에 배치되어, 복수의 단위 셀을 지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셀 스택의 양측 단부 중 일 단부에 배치되고, 제2 엔드 플레이트는 셀 스택의 양측 단부 중 타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료 전지(210)는 는 바(bar) 형태, 긴 볼트 형태, 벨트 형태 또는 강성 로프 형태로 복수의 단위 셀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단위 연료 전지에서 체결 부재는 엔드 플레이트와 함께 복수의 단위 셀을 수평 방향으로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정션 박스(220)는 연료 전지(2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정션 박스(220)는 연료 전지(210)의 셀 스택에서 발전된 전력을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정션 박스(220)는 연료 전지(210)의 운전을 돕는 주변 보조 기기(BOP:Balance Of Plant) 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퓨즈(미도시)와 릴레이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션 박스(220)는 제1 몸체(B1) 및 제1 메인 커버(C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B1)는 퓨즈와 릴레이류 등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몸체(B1)는 제1 메인 커버(C1)와 함께 퓨즈와 릴레이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 메인 커버(C1)는 제1 몸체(B1)의 상부 또는 측부 중 적어도 한 곳에서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력 제어부(230)는 연료 전지(210)와 차실(110) 사이 즉, 연료 전지(210)의 후미에 배치되어 연료 전지(210)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부(230)는 고전압 승압형 직류-직류 변환 장치(FDC:Fuel cell DC-DC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연료 전지(210), 정션 박스(220), 전력 제어부(230) 및 체결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은 도 1에 도시된 제1 공간(120) 또는 제2 공간(130) 중 적어도 한 곳일 수도 있다.
이하, 수용 공간은 차실(110)의 앞에 위치한 제1 공간(120) 즉, 엔진 룸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실시 예는 수용 공간이 제2 공간(130)이거나 제1 및 제2 공간(120, 130)에 분산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200A 내지 200E)에서, 체결부는 체결 공간(240)에서 정션 박스(220)와 전력 제어부(23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정션 박스(220)는 제1 버스바를 포함하고, 전력 제어부(230)는 제2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전지(210)에서 생성된 전압은 정션 박스(210)를 통해 전력 제어부(230)로 전달되어 승압되고, 승압된 전압은 정션 박스(210)로 전달되고, 정션 박스(210)는 승압된 결과를 연료 전지 차량의 부하로 전달한다. 따라서, 정션 박스(220)와 전력 제어부(23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200A 내지 200E) 각각은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를 체결하기 위해 체결부를 조작하는 공구(또는,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240)으로 접근함을 허용하는 공구 주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구 주입구는 정션 박스(220) 및 전력 제어부(230)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공구 주입구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A, 200B, 200C)의 경우 정션 박스(220)에 위치할 수 있고,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D, 200E)의 경우 전력 제어부(230)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A 내지 200E) 각각에서, 공구 주입구는 체결 방향으로 체결 공간(240)과 중첩할 수 있다.
체결부는 체결 공간(240)에서 제1 버스바를 제2 버스바에 체결하여 정션 박스(220)와 전력 제어부(23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에 의하면, 체결 공간(240)은 다양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체결 공간(240) 내에서 체결부는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를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체결부는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를 직접 연결시킬 수도 있고, 터미널 블록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A, 200B, 200C) 각각의 경우, 전력 제어부(230)와 연결된 터미널 블록이 정션 박스(220)의 내부까지 돌출될 수 있다. 반면에,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D, 200E) 각각의 경우, 정션 박스(220)와 연결된 터미널 블록이 전력 제어부(230)의 내부까지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A 내지 200C)의 경우, 체결 공간(240)이 정션 박스(2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 버스바가 전력 제어부(230)로부터 정션 박스(220)의 내부까지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 공간(240)은 전력 제어부(230)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A)의 경우 체결 공간(240)을 포함하는 정션 박스(220)의 일부가 전력 제어부(230)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하는 반면, 도 2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B)의 경우, 체결 공간(240)만 전력 제어부(230)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한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2d 내지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D 및 200E)의 경우, 체결 공간(240)은 전력 제어부(23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버스바가 정션 박스(220)로부터 전력 제어부(230)의 내부까지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 공간(240)은 정션 박스(220)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먼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A 내지 200C)의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A)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3e는 도 2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B)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연료 전지 차량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일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다른 부분의 국부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d는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일 부분의 국부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e는 도 2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B)에서 연료 전지(210)를 제외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된 제1 버스바(222)는 도 3b, 도 3d 및 도 3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의 단자에 해당하는 제1-1 버스바(222A)와 음의 단자에 해당하는 제1-2 버스바(22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제2 버스바(232)는 도 3c, 도 3d 및 도 3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의 단자에 해당하는 제2-1 버스바(232A)와 음의 단자에 해당하는 제2-2 버스바(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는 제1 버스바(222: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232A, 232B)를 직접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a,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는 제1 및 제2 나사부(242, 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사부(242)는 제1-1 버스바(222A)와 제2-1 버스바(232A)를 체결하는 역할을 하고, 제2 나사부(244)는 제1-2 버스바(222B)와 제2-2 버스바(232B)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1 버스바(222A)는 제1 관통홀(HA1)을 포함하고, 제1-2 버스바(222B)는 제2 관통홀(HB1)을 포함하고, 제2-1 버스바(232A)는 제3 관통홀(HA2)을 포함하고, 제2-2 버스바(232B)는 제4 관통홀(HB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나사부(242)는 체결 방향(예를 들어, 수직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제1 및 제3 관통홀(HA1, HA2)을 관통하여 제1-1 버스바(222A) 및 제2-1 버스바(232A) 각각과 나사 결합하여, 제1-1 버스바(222A)와 제2-1 버스바(232A)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나사부(244)는 체결 방향(예를 들어, 수직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제2 및 제4 관통홀(HB1, HB2)을 관통하여 제1-2 버스바(222B) 및 제2-2 버스바(232B) 각각과 나사 결합하여 제1-2 버스바(222B)와 제2-2 버스바(232B)를 체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나사부(242, 244) 각각은 제1 내지 제4 관통홀(HA1, HB1, HA2, HB2)과 접하는 그(242, 24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고, 제1 내지 제4 관통홀(HA1,HB1, HA2, HB2) 각각은 제1 및 제2 나사부(242, 244)와 접하는 그(HA1, HB1, HA2, HB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립성을 고려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나사부(242, 244) 각각은 압입형 너트(245)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정션 박스(220)의 제1 메인 커버(C1)는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열렸을 때 공구 주입구를 형성하며, 체결 공간(240)과 체결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e를 참조하면, 제1 메인 커버(C1)는 제1 커버부(C11)와 제2 커버부(C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부(C11)는 연료 전지(210)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하고, 제2 커버부(C12)는 체결 공간(240)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차량의 체결 공간(240)에서, 공구를 이용하여(또는, 사용자가) 체결 부재인 제1 및 제2 나사부(242, 244)를 조작하여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체결하기 위해, 제1 메인 커버(C1)의 개폐 가능한 제2 커버부(C12)를 화살표 방향(A1)으로 열었을 때, 공구(또는,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240)으로 접근을 허용하는 공구 주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 3a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C11)와 제2 커버부(C12)는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개폐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c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C)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연료 전지 차량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b는 도 2c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C)에서 연료 전지(210)를 제외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1 메인 커버(C1)의 제1 커버부(C11)의 탑면과 제2 커버부(C12)의 탑면은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는 반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1 메인 커버(C1)의 제1 커버부(C11)의 탑면과 제2 커버부(C12)의 탑면은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이를 제외하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3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제1 커버부(C11)와 제2 커버부(C12)는 별개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제2 커버부(C12)를 화살표 방향(A1)으로 열 경우, 제1 커버부(C11)는 열리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제1 메인 커버(C1)의 개폐 가능한 제2 커버부(C12)를 화살표 방향(A1)으로 열 경우,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240)으로 접근을 허용하는 공구 주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체결하기 위해, 또는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공구 주입구는 개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A, 200B)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연료 전지 차량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b는 연료 전지 차량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c는 제1 환형 커버(260)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연료 전지(210), 정션 박스(220) 및 전력 제어부(230) 뿐만 아니라 제1 환형 커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제1 환형 커버(260)를 포함하지 않는 반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제1 환형 커버(260)를 포함한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e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의 체결 방향과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의 체결 방향은 서로 다르다. 이를 제외하면, 도 5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3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환형 커버(260)는 정션 박스(220)의 공구 주입구(220P)와 체결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중공(260H)을 갖고, 정션 박스(22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환형 커버(260)의 제1 중공(260H)과 정션 박스(220)의 공구 주입구(220P)는 서로 연통하여 체결 공간(240)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2 커버(C12)를 화살표 방향(A1)으로 오픈시켜, 공구 주입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240)으로 사용자(또는, 공구)의 접근을 허용한다.
반면에, 도 5a의 경우, 공구 주입구(220P)와 제1 중공(260H)이 연통하여 체결 공간(240)을 외부로 노출시키므로,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240)으로 사용자(또는, 공구)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제2 커버(C12)를 개방시킬 필요없이,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240)으로 접근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공구 주입구를 통해 체결 공간(240)으로 공구가 접근하는 반면, 도 5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공구 주입구를 통해 체결 공간(240)으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다. 즉, 공구 대신에 사용자가 체결부를 조작하여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체결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체결부(242, 244)가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z축 방향으로 체결하므로 체결 방향은 z축 방향이다. 반면에,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체결부(242, 244)가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y축 방향으로 체결하므로 체결 방향은 y축 방향이다.
도 3a 내지 도 3e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1 실링 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252)는 정션 박스(220)와 전력 제어부(230)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링 부재(252)는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정션 박스(220)와 전력 제어부(230)가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 배치되어, 서로 결합된 정션 박스(220)와 전력 제어부(230)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도 3a 내지 도 3e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달리,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1 실링 부재(252)뿐만 아니라 제2 실링 부재(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2 실링 부재(254)는 제1 환형 커버(260)와 정션 박스(220)의 측부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제1 중공(260H)을 에워싸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링 부재(254)는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정션 박스(220)와 제1 환형 커버(260)가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 배치되어, 서로 결합된 정션 박스(220)와 제1 환형 커버(260)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체결부(242, 244)는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직접 체결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체결부는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터미널 블록을 통해 간접적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6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A, 200B)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체결부는 터미널 블록(270),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달리 도 6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체결부는 터미널 블록(270)을 더 포함한다. 이를 제외하면, 도 6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3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터미널 블록(270)은 전력 제어부(230)에 연결되며, 전력 제어부(230)로부터 정션 박스(220)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 몸체(B2)와 터미널 버스바(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B2)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미널 버스바(272)는 적어도 일부가 제2 몸체(B2)에 매립되고, 제1 및 제2 단부(E1, E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버스바(272)의 제1 단부(E1)는 제1 버스바(222)와 연결되고, 제2 단부(E2)는 제2 버스바(23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의 경우 단면 형상이므로 보이지 않지만,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제1 버스바(222)는 제1-1 및 제1-2 버스바(222A, 222B)를 포함하고, 제2 버스바(232)는 제2-1 및 제2-2 버스바(232A, 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는 제1 버스바(222)와 터미널 버스(272)의 제1 단부(E1)를 직접 체결하고, 제2 체결 부재는 제2 버스바(232)와 터미널 버스(272)의 제2 단부(E2)를 직접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 부재는 제1 나사부(244A)를 포함하고, 제2 체결 부재는 제2 나사부(24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사부(244A)는 제1 버스바(222)와 터미널 버스(272)의 제1 단부(E1) 각각을 체결 방향(예를 들어, 수직 방향인 z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 버스바(222) 및 터미널 버스(272)의 제1 단부(E1) 각각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2 나사부(244B)는 제2 버스바(232)와 터미널 버스(272)의 제2 단부(E2) 각각을 체결 방향(예를 들어, 수직 방향인 z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 버스바(232) 및 터미널 버스(272)의 제2 단부(E2) 각각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 나사부(244A) 및 제2 나사부(244B) 각각은 도 3d에 도시된 제1 및 제2 나사부(242, 244)가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나사 결합시키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버스바(222)와 터미널 버스(272)의 제1 나사부(244A)를 체결하고 제2 버스바(232)와 터미널 버스(272)의 제2 나사부(244B)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스바(222)와 제2 버스바(232)는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터미널 버스바(272)를 매개로 하여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A, 200B)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연료 전지 차량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체결 공간(240)에서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가 터미널 블록(27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c는 체결 공간(240)에서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가 터미널 블록(27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달리, 도 7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터미널 블록(270)을 더 포함한다. 이를 제외하면, 도 7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5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터미널 버스바(272)의 제1 단부는 양의 단자에 해당하는 제1-1 터미널 버스바(272A1)와 음의 단자에 해당하는 제1-2 터미널 버스바(272A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버스바(272)의 제2 단부는 양의 단자에 해당하는 제2-1 터미널 버스바(272B1)와 음의 단자에 해당하는 제2-2 터미널 버스바(272B2)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1 터미널 버스바(272A1)와 제2-1 터미널 버스바(272B1)는 제2 몸체(B2)에 매립된 제1 연결 버스바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2 터미널 버스바(272A2)와 제2-2 터미널 버스바(272B2)는 제2 몸체(B2)에 매립된 제2 연결 버스바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는 제1-1 나사부(242A)와 제1-2 나사부(244A)를 포함하고, 제2 체결 부재는 제2-1 나사부(242B)와 제2-2 나사부(24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1 나사부(242A)는 제1-1 버스바(222A)와 제1-1 터미널 버스바(272A1)를 체결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1 버스바(222A) 및 제1-1 터미널 버스바(272A1) 각각과 나사 결합한다. 제1-2 나사부(244A)는 제1-2 버스바(222B)와 제1-2 터미널 버스바(272A2)를 체결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2 버스바(222B) 및 제1-2 터미널 버스바(272A2) 각각과 나사 결합한다. 제2-1 나사부(242B)는 제2-1 버스바(232A)와 제2-1 터미널 버스바(272B1)를 체결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1 버스바(232A) 및 제2-1 터미널 버스바(272B1) 각각과 나사 결합한다. 제2-2 나사부(244B)는 제2-2 버스바(232B)와 제2-2 터미널 버스바(272B2)를 체결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2 버스바(232B) 및 제2-2 터미널 버스바(272B2) 각각과 나사 결합한다.
제1-1 및 제1-2 버스바(222A, 222B)가 제1-1 및 제1-2 터미널 버스바(272A1, 272A2)와 각각 연결되는 형태 및 제2-1 및 제2-2 버스바(232A, 232B)와 연결될 제2-1 및 제2-2 터미널 버스바(272B1, 272B2)와 각각 연결되는 형태가 도 7b와 다를 뿐, 도 7c에서 제1 체결 부재(미도시)가 제1-1 및 제1-2 버스바(222A, 222B)와 제1-1 및 제1-2 터미널 버스바(272A1, 272A2)를 서로 연결하고, 제2 체결 부재(미도시)가 제2 버스바(232A, 232B)와 제2-1 및 제2-2 터미널 버스바(272B1, 272B2)를 서로 연결함은 도 7b와 동일하다.
특히, 도 6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나사부(244A, 244B) 중 적어도 하나는 웰트 너트(28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2 몸체(C2) 내에 인서트 너트(282)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공간(240)은 전력 제어부(230)의 내부(B3)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D 및 200E)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a 및 도 8b는 도 2d 또는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D, 200E)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8a는 연료 전지 차량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8b는 도 2d 또는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D, 200E)에서 연료 전지(210)의 도시는 생략된다.
도 3a 내지 도 7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체결 공간(240)이 정션 박스(220) 내에 위치하는 반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체결 공간(240)은 전력 제어부(230) 내부(B3)에 위치한다. 또한, 도 3a 내지 도 7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체결 방향과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체결 방향은 서로 다르다. 이를 제외하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3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달리,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제1 및 제2 나사부(242, 244) 각각의 체결 방향은 수평 방향인 x축 방향일 수 있다.
전력 제어부(230)의 제2 메인 커버(C2)는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공구 주입구를 형성한다. 제2 메인 커버(C2)는 체결 공간(240)과 체결 방향(예를 들어, 수평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2 메인 커버(C2)는 제3 커버부(C21)와 제4 커버부(C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커버부(C21)는 연료 전지(210)와 수평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중첩하고, 제4 커버부(C22)는 체결 공간(240)과 수평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차량의 체결 공간(240)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 부재인 제1 및 제2 나사부(242, 244)를 조작하여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체결하기 위해, 제2 메인 커버(C2)의 개폐 가능한 제4 커버부(C22)를 화살표 방향(A2)으로 열 경우, 공구(또는,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240)으로 접근을 허용하는 공구 주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커버부(C21)와 제4 커버부(C22)는 서로 일체로 함께 개폐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연료 전지 차량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9b는 연료 전지 차량에서 연료 전지(210)를 제외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2 메인 커버(C2)의 제3 커버부(C21)의 탑면과 제4 커버부(C22)의 탑면은 동일한 수직면 상에 위치하는 반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2 메인 커버(C2)의 제3 커버부(C21)의 탑면과 제4 커버부(C22)의 탑면은 동일한 수직면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이를 제외하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체결하기 위해, 제2 메인 커버(C2)의 개폐 가능한 제4 커버부(C22)를 화살표 방향(A2)으로 열 경우, 공구(또는,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240)으로 접근을 허용하는 공구 주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커버부(C21)와 제4 커버부(C22)는 별개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제4 커버부(C22)를 화살표 방향(A2)으로 열 경우, 제3 커버부(C21)는 열리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도 2d 또는 도 2e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D, 200E)의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연료 전지(210), 정션 박스(220) 및 전력 제어부(230) 뿐만 아니라 제2 환형 커버(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체결 공간(240)이 정션 박스(220) 내에 위치하는 반면, 도 10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체결 공간(240)은 전력 제어부(230) 내부(B3)에 위치한다. 이를 제외하면, 도 10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5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제2 환형 커버(262)를 포함하지 않는 반면, 도 10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2 환형 커버(262)를 포함한다. 이를 제외하면, 도 10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 환형 커버(262)는 전력 제어부(230)의 공구 주입구(230P)와 체결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2 중공(262H)을 갖고, 전력 제어부(23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환형 커버(262)의 제2 중공(262H)과 전력 제어부(230)의 공구 주입구(230P)는 서로 연통하여 체결 공간(240)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 8b 및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4 커버(C22)를 화살표 방향(A2)으로 오픈시켜, 공구 주입구를 개방시켜,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240)으로 공구(또는,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한다.
반면에, 도 10의 경우, 공구 주입구(230P)와 제2 중공(262H)이 연통하여 체결 공간(240)을 외부로 노출시키므로,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240)으로 사용자(또는, 공구)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제4 커버(C22)를 열 필요없이, 외부로부터 체결 공간(240)으로 접근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 및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체결부(242, 244)가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x축 방향으로 체결하므로 체결 방향은 x축 방향이다. 반면에, 도 10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체결부(242, 244)가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y축 방향으로 체결하므로 체결 방향은 y축 방향이다.
도 8a 및 도 8b 및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1 실링 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252)는 정션 박스(220)와 전력 제어부(230)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배치되는 위치가 다를 뿐, 도 8a 및 도 8b 및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제1 실링 부재(252)는 도 3c에 도시된 제1 실링 부재(252)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제1 실링 부재(252)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a 및 도 8b 및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달리, 도 10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1 실링 부재(252)뿐만 아니라 제3 실링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제2 실링 부재(254)가 정션 박스(220)와 제1 환형 커버(260)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제3 실링 부재는 전력 제어부(230)와 제2 환형 커버(262)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제외하면, 제3 실링 부재는 제2 실링 부재(254)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제2 환형 커버(262)는 도 5c에 도시된 제1 환형 커버(26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링 부재는 제2 환형 커버(262)와 전력 제어부(230)의 측부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제2 중공(262H)을 에워싸며 배치될 수 있다. 제3 실링 부재는 전력 제어부(230)와 제2 환형 커버(262)가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 배치되어, 제2 환형 커버(262)와 전력 제어부(230)를 외부와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체결부(242, 244)는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직접 체결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체결부는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터미널 블록을 통해 간접적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1은 도 2d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E)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체결부는 터미널 블록(270),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달리 도 11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체결부는 터미널 블록(270)을 더 포함한다. 이를 제외하면, 도 11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8a 및 도 8a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체결 공간(240)이 정션 박스(220) 내에 위치하는 반면, 도 11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체결 공간(240)은 전력 제어부(230) 내부(B3)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터미널 블록(270)은 정션 박스(220) 내에 위치하는 반면, 도 11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터미널 블록(270)은 전력 제어부(230) 내부(B3)에 위치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체결 방향과 도 11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체결 방향은 서로 다르다. 이를 제외하면, 도 11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6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터미널 블록(270)은 정션 박스(220)와 연결되며, 정션 박스(220)로부터 전력 제어부(230)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 몸체(B2)와 터미널 버스바(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는 제1 버스바(222)와 터미널 버스(272)의 제1 단부(E1)를 직접 체결하고, 제2 체결 부재는 제2 버스바(232)와 터미널 버스(272)의 제2 단부(E2)를 직접 체결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로서 제1 나사부(244A)는 제1 버스바(222)와 터미널 버스(272)의 제1 단부(E1) 각각을 체결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 버스바(222) 및 터미널 버스(272)의 제1 단부(E1) 각각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로서 제2 나사부(244B)는 제2 버스바(232)와 터미널 버스(272)의 제2 단부(E2) 각각을 체결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 버스바(232) 및 터미널 버스(272)의 제2 단부(E2) 각각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제1 및 제2 나사부(242, 244)가 제1 버스바(222A, 222B)와 제2 버스바(232A, 232B)를 나사 결합시키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나사부(244A) 및 제2 나사부(244B)는 제1 버스바(222)와 제1 단부(E1)를 나사 결합시키고 제2 버스바(232)와 제2 단부(E2)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1 버스바(222)와 제2 버스바(232)는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터미널 버스바(272)를 매개로 하여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도 2d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200D)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달리, 도 12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제2 환형 커버(262)를 더 포함하고, 도 11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체결 방향과 도 12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체결 방향은 서로 다르다. 이를 제외하면, 도 12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11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체결 공간(240)이 정션 박스(220) 내에 위치하는 반면, 도 12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 체결 공간(240)은 전력 제어부(230)의 내부(B3)에 위치한다. 이를 제외하면, 도 12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제2 터미널 버스바(272B)는 제2-1 터미널 버스바(272B1) 및 제2-2 터미널 버스바(272B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1 터미널 버스바(272B1) 및 제2-2 터미널 버스바(272B2)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제2-1 터미널 버스바(272B1) 및 제2-2 터미널 버스바(272B2)에 각각 해당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2에 도시된 터미널 버스(272)는 제1 터미널 버스바(27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미널 버스바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제1-1 터미널 버스바(272A1) 및 제1-2 터미널 버스바(272A2)에 각각 해당하는 제1-1 터미널 버스바 및 제1-2 터미널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체결부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제2 체결 부재는 제2-1 나사부(242B) 및 제2-2 나사부(24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2-1 나사부(242B) 및 제2-2 나사부(244B)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제2-1 나사부(242B) 및 제2-2 나사부(244B)에 각각 해당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2에 도시된 제1 체결 부재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1 나사부(242A)와 제1-2 나사부(244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7a 및 도 7b에 대한 설명이 준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제1-1 나사부(242A), 제1-2 나사부(244A), 제2-1 나사부(242B) 및 제2-2 나사부(244B)에 대한 설명은 도 12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비교예 및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3은 제1 비교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의 국부적인 측면도로서, 연료 전지(21), 정션 박스(22), 전력 제어부(23) 및 커넥터(connector) 및 배선(wire)(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료 전지(21), 정션 박스(22) 및 전력 제어부(23)는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210), 정션 박스(220) 및 전력 제어부(230)와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비교 예의 경우, 연료 전지(21)의 상부에 위치한 정션 박스(22)와 연료 전지(21)의 하부에 위치한 전력 제어부(23)는 커넥터 및 배선(2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비교 예의 경우, 연료 전지(21) 아래에 모터 감속기, 드라이브 샤프트 등 구동 부품이 배치될 경우, 연료 전지(21)의 아래에 전력 제어부(23)를 배치할 하부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및 배선(24)이 배치될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연료 전지(21), 정션 박스(22) 및 전력 제어부(23)를 배치하기 위한 설계가 복잡해지고, 커넥터 및 배선(24)의 탈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설계 상의 제약이 따르고, 공간 활용도가 저조하고, 이로 인해 연료 전지 차량의 제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원가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4는 제2 비교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의 국부적인 측면도로서, 연료 전지(21), 정션 박스(22), 전력 제어부(23) 및 후드(hood)(VH)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료 전지(21), 정션 박스(22) 및 전력 제어부(23)는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210), 정션 박스(220) 및 전력 제어부(230)와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비교 예의 경우, 연료 전지(21) 위에 정션 박스(22) 및 전력 제어부(23)가 배치된다. 따라서, 정션 박스(22)와 전력 제어부(23)가 버스바에 의해 서로 직결될 경우, 제1 비교 예에서와 같은 커넥터 및 배선(24)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후드(VH)와 정션 박스(22)가 수직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최소 거리(MD)가 작을수록 차량과 추돌하는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최소 거리(MD)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연료 전지(21) 위에 정션 박스(22) 및 전력 제어부(23)를 배치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제2 비교 예는 후드(VH)의 라인이 없는 상용 차량에는 적용될 수 있으나, 차량의 전방으로 갈수록 후드(VH)의 라인이 낮아지는 즉, 차량의 전방으로 갈수록 최소 거리(MD)가 짧아지는 승용차에 적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 게다가, 제2 비교 예의 경우 연료 전지 차량에서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공간(27)이 발생하여 공간 활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연료 전지(210)의 위에 정션 박스(220)를 배치하고, 전력 제어부(230)를 연료 전지(210)의 후미에 배치하고, 정션 박스(220) 또는 전력 제어부(230)에 위치한 체결 공간(240)에서 제1 및 제2 버스바가 체결부에 의해 서로 체결되므로, 도 13에 도시된 커넥터 및 배선(24)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비교 예보다,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간의 연결이 간단해지고, 연료 전지 차량의 부피가 감소하고, 정션 박스(220)와 전력 제어부(230) 간의 전력 전달 효율이 증가하고, 설계가 간단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제조 공정이 간편해 질 수 있다.
또한, 전력 제어부(23)가 연료 전지(21)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 비교 예와 달리,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연료 전지(210)의 아래가 아닌 후미에 전력 제어부(230)가 배치되므로, 연료 전지(210)의 아래 공간의 활용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달리 최소 거리(MD)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후드(VH) 라인이 낮은 경우에 유리하여 승용차량에 적용될 수 있고, 불필요한 공간(27)이 발생하지 않아 공간 활용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전지 차량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경우, 전력 제어부(230)의 배면(230)으로부터 카울 판넬(CA)까지의 수평 이격 거리가 감소하여, 차량의 추돌시 카울 판넬(CA)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는 제1 및 제2 비교 예 각각의 장점을 취하면서도 제1 및 제2 비교 예 각각의 단점을 갖지 않는다.
또한, 도 5a, 도 7a, 도 10, 도 12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1 실링 부재(252)뿐만 아니라 제2 실링 부재(254)를 모두 요구하는 반면, 도 3, 도 4a, 도 6, 도 8a, 도 9a 및 도 11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제1 실링 부재(252)만 요구하고 제2 실링 부재(254)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연료 전지 차량의 조립성 및 기밀성이 더 우수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제조 공정이 더 수월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4a, 도 6, 도 8a, 도 9a 및 도 11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부를 체결 조작해야 하는 반면, 도 5a, 도 7a, 도 10, 도 12에 도시된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공구 대신에 사용자의 손조립에 의해 체결부를 체결 조작할 수 있어, 수선 및 유지 보수에 있어 더 유리할 수 있다.
전술한 여러 개의 실시 예는 서로 조합될 수 없다고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서로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누락된 부분은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연료 전지;
    상기 연료 전지의 위에 배치되며, 제1 버스바를 포함하는 정션 박스;
    상기 연료 전지의 후미에 배치되고, 제2 버스바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부; 및
    체결 공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를 체결하여 상기 정션 박스와 상기 전력 제어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션 박스 및 상기 전력 제어부 중 하나는 외부로부터 상기 체결 공간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공구 주입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를 직접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차량.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각각을 체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각각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차량.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버스바와 연결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버스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블록;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1 단부를 직접 체결하는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2 단부를 직접 체결하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차량.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1 단부 각각을 체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1 단부 각각과 나사 결합하는 제1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2 단부 각각을 상기 체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 버스의 상기 제2 단부 각각과 나사 결합하는 제2 나사부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차량.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주입구는 상기 체결 방향으로 상기 체결 공간과 중첩하는 연료 전지 차량.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공구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전력 제어부로부터 상기 정션 박스의 내부까지 돌출되고,
    상기 터미널 블록은 상기 전력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정션 박스의 내부까지 돌출된 연료 전지 차량.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공간은 상기 전력 제어부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하는 연료 전지 차량.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구 주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체결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메인 커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차량.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커버는
    상기 연료 전지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차량.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개폐되도록 배치된 연료 전지 차량.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별개로 개폐되도록 배치된 연료 전지 차량.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의 상기 공구 주입구와 상기 체결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중공을 갖고, 상기 정션 박스의 측부에 배치된 제1 환형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공과 상기 공구 주입구는 서로 연통하여 상기 체결 공간을 노출시키는 연료 전지 차량.
  14.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공구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는 상기 정션 박스로부터 상기 전력 제어부의 내부까지 돌출되고,
    상기 터미널 블록은 상기 정션 박스와 연결되고 상기 전력 제어부의 내부까지 돌출된 연료 전지 차량.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공간은 상기 정션 박스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는 연료 전지 차량.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부는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구 주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체결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2 메인 커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차량.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 커버는
    상기 연료 전지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3 커버부; 및
    상기 체결 공간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4 커버부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차량.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버부와 상기 제4 커버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개폐되도록 배치된 연료 전지 차량.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버부와 상기 제4 커버부는 별개로 개폐되도록 배치된 연료 전지 차량.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부의 상기 공구 주입구와 상기 체결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2 중공을 갖고, 상기 전력 제어부의 측부에 배치된 제2 환형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공구 주입구는 서로 연통하여 상기 체결 공간을 노출시키는 연료 전지 차량.
KR1020200178569A 2020-12-18 2020-12-18 연료 전지 차량 KR20220087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69A KR20220087981A (ko) 2020-12-18 2020-12-18 연료 전지 차량
US17/391,649 US11850957B2 (en) 2020-12-18 2021-08-02 Fuel cell vehicle
CN202111558259.4A CN114643879A (zh) 2020-12-18 2021-12-17 燃料电池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69A KR20220087981A (ko) 2020-12-18 2020-12-18 연료 전지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981A true KR20220087981A (ko) 2022-06-27

Family

ID=8199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569A KR20220087981A (ko) 2020-12-18 2020-12-18 연료 전지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50957B2 (ko)
KR (1) KR20220087981A (ko)
CN (1) CN1146438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115A (ko) 2022-07-20 2024-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연료전지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0438A (ja) * 2008-02-12 2009-08-27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の車両搭載構造
CN103118890A (zh) * 2011-05-02 2013-05-2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车辆
KR102668311B1 (ko) 2019-05-20 2024-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94235A1 (en) 2022-06-23
US11850957B2 (en) 2023-12-26
CN114643879A (zh)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4168B (zh) 车辆用高压电装单元
US20140353057A1 (en) Shovel
JP7055431B2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ー
CN110228368A (zh) 集成电源箱
CN106471647B (zh) 可电压保护地制造的机动车电池
KR102668311B1 (ko) 연료 전지 차량
KR20220087981A (ko) 연료 전지 차량
JP5430957B2 (ja) バッテリシステム
US20180304734A1 (en) High voltage unit
JP5776904B2 (ja) コンバータ
KR10243599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버스 바 유닛
US20230197990A1 (en) Fuel Cell Device
KR20230020742A (ko) 고전압 정션 박스 및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 차량
JP2021100357A (ja) 電力変換装置
CN220086114U (zh) 燃料电池封装箱
CN212968506U (zh) 具有多连接方式的组合开关
CN213151258U (zh) 一种高效组装的开关柜安装梁结构
CN217063581U (zh) 一种双向变流器
CN219843061U (zh) 电池包和车辆
US11735753B2 (en) High-voltage junction unit of fuel cell system and power supply of fuel cell system including the same
JP7415979B2 (ja) 電力分配装置
CN216850021U (zh) 一种氢燃料电池固定装置以及车辆
CN210723241U (zh) 燃料电池系统和车辆
JP6070379B2 (ja) 車両搭載用コンバータ
US20230382243A1 (en) Electromechanical integr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