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848A - 가스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가스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848A
KR20220087848A KR1020200178275A KR20200178275A KR20220087848A KR 20220087848 A KR20220087848 A KR 20220087848A KR 1020200178275 A KR1020200178275 A KR 1020200178275A KR 20200178275 A KR20200178275 A KR 20200178275A KR 20220087848 A KR20220087848 A KR 20220087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as detection
gas
pow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088B1 (ko
Inventor
최철희
김기수
이덕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78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088B1/ko
Priority to EP21906789.9A priority patent/EP4266035A1/en
Priority to CN202180090358.6A priority patent/CN116783635A/zh
Priority to PCT/KR2021/011770 priority patent/WO2022131484A1/ko
Priority to JP2023537420A priority patent/JP2024500149A/ja
Publication of KR2022008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42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 G01N2015/0046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in gas,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by investigat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 G01N2027/2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by investigat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for analysing gases

Abstract

가스검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검출장치는 둘레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 케이스; 홈 중 제1홈에 결합되며, 공기가 케이스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 홈 중 제2홈에 결합되며,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버튼;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부; 홈 중 제3홈에 결합되며, 전원의 온오프 상태 및 가스 감지 여부를 알리는 라이트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가스감지부로부터 가스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발생기; 및 전원버튼에 의해 전원 공급을 위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되, 유입부, 전원버튼 및 라이트부 중 하나 이상은 홈에 함몰된 형태로 결합되고, 배터리, 신호음발생기 및 전원스위치는 케이스 내측에 마련되며, 케이스는 작업자가 손바닥 안에 휴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소형의 구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검출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GAS}
본 발명은 가스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폐공간에 유해가스가 존재하는 경우 이는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가스검출장치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작업자가 가스검출장치를 직접 들고 가서 유해가스를 측정해야 하므로, 사고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고, 가스검출장치의 중량으로 인해 휴대하기 불편하다.
또,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깊고 비좁은 장소는 유해가스 검출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고, 부수적인 수단들이 필요하여 설치 및 운용에 있어서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휴대하기 용이하고 투척만으로 다양한 장소에 존재하는 가스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가스검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둘레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홈 중 제1홈에 결합되며, 공기가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 상기 홈 중 제2홈에 결합되며,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버튼;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부; 상기 홈 중 제3홈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의 온오프 상태 및 상기 가스 감지 여부를 알리는 라이트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가스감지부로부터 가스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발생기; 및 상기 전원버튼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을 위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부, 전원버튼 및 라이트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홈에 함몰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신호음발생기 및 전원스위치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는 작업자가 손바닥 안에 휴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소형의 구형태로 마련된 가스검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반구 형태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결합된 형태이고, 상기 케이스의 외피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며, 육각형 모양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유입부는 외부에 노출된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가스감지부로 흘러가도록 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상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무게중심이 하부에 존재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하측에서부터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가스감지부, 상기 신호음발생기 및 상기 전원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가스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검출장치는 휴대하기 용이하고 투척만으로 다양한 장소에 존재하는 가스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시각적, 청각적으로 가스 존재 여부를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검출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가스검출장치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검출장치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가스검출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가스검출장치(100)는 둘레에 복수의 홈(H)이 형성된 케이스(110)와, 홈(H) 중 제1홈(H1)에 결합되며, 공기가 케이스(11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120)와, 홈(H) 중 제2홈(H2)에 결합되며,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버튼(130)과, 케이스(110) 내부에 마련되며, 유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부(140)와, 홈(H) 중 제3홈(H3)에 결합되며, 전원의 온오프 상태 및 가스 감지 여부를 알리는 라이트부(150)를 포함한다.
또, 가스검출장치(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와, 가스 감지 시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발생기(170)와, 전원버튼(130)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는 전원스위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입부(120), 전원버튼(130) 및 라이트부(150) 중 하나 이상은 홈(H)에 함몰된 형태로 결합된다.
또, 케이스(110)는 휴대 가능한 구형으로 마련되며, 케이스(110)의 외피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볼록한 육각형 모양의 외피가 연결된 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 및 원하는 공간에 가스검출장치(100)의 투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검출장치(100)는 작업자가 손바닥 안에 간편하게 휴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소형의 구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단에 고리(101)를 마련하여 작업자의 복장에 결속시켜 휴대 및 이동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해당 고리(101)에 줄(미도시)을 연결하여, 작업자가 줄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가스 검출이 필요한 장소에 가스검출장치(100)를 투척하고, 다시 줄을 잡아 당겨 가스검출장치(100)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도 잇다. 예컨대, 낚시 대와 연결된 낚시 줄을 고리(101)에 체결하고, 가스 검출이 필요한 장소에 가스검출장치(100)를 내린 후, 다시 낚시 줄을 감는 방식으로 가스검출장치(100)를 회수할 수 있다.
가스검출장치(100)는 밀폐공간 등에 투척되어 가스를 감지하거나 가스성분 등을 분석하여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가스검출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케이스(110)는 둘레에 복수의 홈(H)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부(120), 전원버튼(130) 및 라이트부(150) 중 하나 이상은 홈(H)에 함몰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검출장치(100)가 투척되었을 때 유입부(120), 전원버튼(130) 및 라이트부(150)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입부(120), 전원버튼(130) 및 라이트부(150)는 각각 제1홈(H1), 제2홈(H2) 및 제3홈(H3)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홈(H1~H3)은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20)가 마련된 제1홈(H1)은 둘 이상 설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버튼(130)이 마련된 제2홈(H2)은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 라이트부(150)가 마련된 제3홈(H3)은 둘 이상 설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반구 형태의 상부케이스(110a) 및 하부케이스(110b)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상부케이스(110a)와 하부케이스(110b)의 결합 시 밀봉을 위해 오링(111, O-Ring)이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부케이스(110a)와 하부케이스(110b)의 결합에 의해 구형태의 모양을 갖게 되며, 케이스(110)의 외피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검출장치(100)를 투척하였을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가스검출장치(100)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케이스(110)의 외피는 육각형 모양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에서는 육각형과 오각형 등이 혼합된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에게 가스검출장치(100)에 대한 친근감과 함께 미끄러움을 줄여 손으로 가스검출장치(100)의 용이하게 쥘 수 있도록 한다.
유입부(120)는 둘 이상의 제1홈(H1)마다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부(120)는 외부에 노출된 필터(121)와, 필터(121)를 통과한 공기가 가스감지부(140)로 흘러가도록 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21)는 분진 등의 불순물을 필터링하며, 필터(121)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일정 크기의 입자만 필터(121)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2)는 필터(121)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유체가 자연스럽게 케이스(110) 내측의 가스감지부(140)로 흘러가도록 한다.
전원버튼(130)은 케이스(110) 내측의 전원스위치(180)를 눌러 전원이 온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전원버튼(130)이 한번 더 눌러지면 전원스위치(180)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가스감지부(140)는 유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가스를 감지한다. 가스감지부(140)는 가스의 종류, 농도, 성분 등을 분석하는 센서 및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해가스의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스감지부(140)는 유해가스를 감지한 경우에만 라이트부(150), 신호음발생기(170) 등으로 가스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라이트부(150)는 둘 이상의 제3홈(H3)마다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전원의 온오프 상태 및 가스 감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예컨대, 전원이 온 상태에서 라이트부(150)는 LED 빛을 발산하여 이를 알릴 수 있다. 또, 가스감지부(140)로부터 가스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라이트부(150)는 반복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깜박거리며 이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상술한 유입부(120), 전원버튼(130), 라이트부(150) 수단은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홈(H1), 제2홈(H2) 및 제3홈(H3)에 함몰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전원버튼(130)이 눌러지면 전기를 공급한다. 예컨대, 배터리(160)는 가스감지부(140), 라이트부(150), 신호음발생기(170) 중 하나 이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신호음발생기(170)는 가스감지부(140)로부터 가스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신호음을 발생시켜 외부에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한편, 가스검출장치(100)가 밀폐공간에 투척되었을 때 유입부(120)가 설치된 케이스(110) 면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무게중심이 하부에 존재하도록 케이스(110) 내부에는 하측에서부터 다른 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160)가 배치되고, 배터리(160) 상부에는 지지프레임(112)이 마련되고, 지지프레임(112) 상부에는 가스감지부(140), 신호음발생기(170) 및 전원스위치(18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112) 하부에 원통형의 배터리(160)가 가로로 눕혀지도록 배치되고, 하부케이스(110b)에는 배터리(160)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안착홈 또는 돌기(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2)은 구형의 케이스(110) 내경에 맞게 원형의 평판으로 제작되어 배터리(15)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면에 배터리(15)의 양단이 결리도록 돌기가 양쪽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12) 상단에는 원통형의 가스감지부(140), 신호음발생기(170), 및 전원스위치(180)가 각각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각 장치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설치라인이 표시될 수 있다.
또, 가스감지부(140), 신호음발생기(170), 및 전원스위치(180) 위쪽으로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결합프레임(113) 및 기타 부속수단들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113)은 하단 중심부에 결합돌기(113a)가 형성되어 신호음발생기(170)의 상부에 형성된 결속 홈(170a)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검출장치(100)는 상술한 가스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유해가스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는 송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190)의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작업자는 스마트폰(200)에 가스검출장치(100) 간 송수신이 가능한 어플을 설치하고, 스마트폰(200)과 가스검출장치(100) 간 페어링을 수행한 후 가스검출장치(100)을 가스 감지가 필요한 장소에 투척시킬 수 있다.
가스검출장치(100)는 공기에 함유된 가스성분, 종류, 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폰(200)으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고, 작업자는 스마트폰(200) 화면을 통해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스마트폰(200)을 통해 가스검출장치(100)의 전원 온오프, 라이트부(150), 신호음발생기(170) 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가스검출장치(100)는 2대 이상의 스마트폰(200)과 1:N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가스검출장치(100)가 두 개 이상 투입된 경우, 가스검출장치(100)는 공지된 중계통신방식이나 메쉬(Mesh) 통신방식으로 감지한 정보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스검출장치(100)는 간편하게 하나 이상 휴대가능하며, 가스검출이 필요한 곳에 용이하게 투척될 수 있고, 전원만 켜 있으면 실시간으로 가스를 감지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비용 대비 효용성이 크다.
또, 가스검출장치(100)는 LED 빛 및 신호음을 발생시켜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가스검출장치 110: 케이스
112: 지지프레임 113: 결합프레임
120: 유입부 130: 전원버튼
140: 가스감지부 150: 라이트부

Claims (5)

  1. 둘레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홈 중 제1홈에 결합되며, 공기가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
    상기 홈 중 제2홈에 결합되며,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버튼;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부;
    상기 홈 중 제3홈에 결합되며, 빛을 발산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 상태 및 상기 가스 감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외부에 알리는 라이트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가스감지부로부터 가스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발생기; 및
    상기 전원버튼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을 위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부, 전원버튼 및 라이트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홈에 함몰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신호음발생기 및 전원스위치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는 작업자가 손바닥 안에 휴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소형의 구형태로 마련된 가스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반구 형태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결합된 형태이고,
    상기 케이스의 외피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며, 육각형 모양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인 가스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외부에 노출된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가스감지부로 흘러가도록 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가스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상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무게중심이 하부에 존재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하측에서부터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가스감지부, 상기 신호음발생기 및 상기 전원스위치가 배치되는 가스검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가스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검출장치.
KR1020200178275A 2020-12-18 2020-12-18 가스검출장치 KR102570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275A KR102570088B1 (ko) 2020-12-18 2020-12-18 가스검출장치
EP21906789.9A EP4266035A1 (en) 2020-12-18 2021-09-01 Gas detection device
CN202180090358.6A CN116783635A (zh) 2020-12-18 2021-09-01 气体检测装置
PCT/KR2021/011770 WO2022131484A1 (ko) 2020-12-18 2021-09-01 가스검출장치
JP2023537420A JP2024500149A (ja) 2020-12-18 2021-09-01 ガス検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275A KR102570088B1 (ko) 2020-12-18 2020-12-18 가스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848A true KR20220087848A (ko) 2022-06-27
KR102570088B1 KR102570088B1 (ko) 2023-08-23

Family

ID=8205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275A KR102570088B1 (ko) 2020-12-18 2020-12-18 가스검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66035A1 (ko)
JP (1) JP2024500149A (ko)
KR (1) KR102570088B1 (ko)
CN (1) CN116783635A (ko)
WO (1) WO202213148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6647A1 (en) * 2008-12-23 2010-06-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isual indicator of gas sensor impairment
KR20110038213A (ko) * 2009-10-08 2011-04-14 주식회사코어벨 환경 정보 측정 공
KR200477918Y1 (ko) * 2014-04-15 2015-08-05 주식회사 이제갬 공기 측정 장치
KR20170027446A (ko) * 2015-09-02 2017-03-10 (주)지이아이티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0787B2 (ja) * 1987-07-31 1997-06-18 株式会社ジャルコ 臭気測定器
JPH11160277A (ja) * 1997-11-28 1999-06-18 Shimadzu Corp 携帯型ガス計測器
US10041918B2 (en) * 2015-11-10 2018-08-07 Nuxtu S.A.S. Electronic nose and tongue device for real-time monitoring and analysis of liquid and gaseous substances
KR20180079788A (ko) * 2017-01-02 2018-07-11 (주)공존연구소 센서와 통신모듈이 탑재된 스마트폰 결합형 산업용 웨어러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6647A1 (en) * 2008-12-23 2010-06-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isual indicator of gas sensor impairment
KR20110038213A (ko) * 2009-10-08 2011-04-14 주식회사코어벨 환경 정보 측정 공
KR200477918Y1 (ko) * 2014-04-15 2015-08-05 주식회사 이제갬 공기 측정 장치
KR20170027446A (ko) * 2015-09-02 2017-03-10 (주)지이아이티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0149A (ja) 2024-01-04
WO2022131484A1 (ko) 2022-06-23
EP4266035A1 (en) 2023-10-25
KR102570088B1 (ko) 2023-08-23
CN116783635A (zh)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2870B1 (en) Emergency signal bracelet
US8482401B2 (en) Safety belt and system for checking a usage status of the safety belt
US8103459B2 (en) Safety clothing
KR101152595B1 (ko) 실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05211B1 (ko) 질식 방지용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13620A1 (en) Monitoring apparatus
KR20220087848A (ko) 가스검출장치
JP2015056060A (ja) 携帯用ガス警報器
GB2527758A (en) Wearable safety sensor
CN211043309U (zh) 一种有限空间有毒有害气体监测装置
JP6568364B2 (ja) 携帯型ガス検知器
KR20130120279A (ko) 방사선 및 방사능 측정 시스템
CN209992476U (zh) 一种背包式废气检测装置
KR20220075076A (ko)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JP2006306526A (ja) クレーン警報装置
JP5052219B2 (ja) 分離型可搬式ガス検知器
KR20190056109A (ko) 3d프린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황사 마스크를 구비한 휴대용 먼지감지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경보 장치
KR101711194B1 (ko) 소방관용 가스감지 경보장치
CN110609125A (zh) 一种有限空间有毒有害气体监测装置
CN209372817U (zh) 便携式气体探测器
US20220001219A1 (en) SCBA Facemask Assembly with Accelerometer to Extend Battery Life of Electrical Components
KR102526119B1 (ko) 텍스타일형 캠핑용 가스 탐지장치
CN210517545U (zh) 腰挂式电力配网巡视系统
EP3498095B1 (en) A fishing line motion sensor
KR102169217B1 (ko) 휴대형 능동 gps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