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446A -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446A
KR20170027446A KR1020150124049A KR20150124049A KR20170027446A KR 20170027446 A KR20170027446 A KR 20170027446A KR 1020150124049 A KR1020150124049 A KR 1020150124049A KR 20150124049 A KR20150124049 A KR 20150124049A KR 20170027446 A KR20170027446 A KR 20170027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unit
case
unit
rim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598B1 (ko
Inventor
전찬희
Original Assignee
(주)지이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이아이티 filed Critical (주)지이아이티
Priority to KR102015012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5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73Control unit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과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며, 교체 가능한 센싱 유닛, 상기 센싱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센싱 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가스 농도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접속 단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PORTABLE GAS DETECTING APPARATUS AND GAS DETECTING SYSTEM THEREWITH}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스 검출 장치는 측정 공간 내부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기설정된 종류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검출 장치는 특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해당 장소의 가스 농도를 모니터링 하는 설치식 가스 검출 시스템과, 사용자가 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 주변의 가스 농도를 모니터링 하는 휴대용 검출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검출 시스템은 상기 설치식 가스 검출 시스템에 비하여 소형으로 제작되며, 주변의 가스 농도를 바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휴대용 검출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가스의 누출을 검사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모두 장착해야할 필요가 있고, 한번 측정시 모든 센서를 작동시켜사용하기 때문에 전력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별도의 휴대용 검출 시스템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에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휴대용 검출 시스템으로는 한국등록특허 10-1025310(독립형 환경 가스 측정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과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며, 교체 가능한 센싱 유닛; 상기 센싱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센싱 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가스 농도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접속 단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 단자부와 이격되고,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일측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다른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접속 단자부가 배치되는 장축 테두리부 및 상기 장축 테두리부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축 테두리부보다 짧은 단축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축 테두리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삽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센싱 유닛이 안착되는 센싱 유닛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 유닛이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부 공간에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 유닛 안착부는 상기 삽입홀을 완전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유닛 안착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와 나란하며, 상기 센싱 유닛이 안 착되는 안착 브래킷; 상기 안착 브래킷의 일단에 절곡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곡 브래킷; 및 상기 안착 브래킷의 양측에, 상기 안착 브래킷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접속 단자부가 배치되는 제1 테두리부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테두리부와 마주보는 제2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테두리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삽입홀을 개폐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삽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 몸체; 상기 커버부 몸체의 일측을 상기 제2 테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부; 및 상기 커버부 몸체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유닛은, 외형을 형성하는 센싱 유닛 케이스; 상기 유닛 케이스의 센싱 유닛측 제1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들; 상기 유닛 케이스의 상기 센싱 유닛측 제1 면에 반대되는 센싱 유닛측 제2 면에 돌출 형성되는 오삽입 방지 돌기; 및 상기 센싱 유닛측 제2 면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미세구멍들을 포함하는 메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들은, 상기 센싱 유닛이 검출하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연결 또는 단선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선택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센싱 유닛 측 제 1 면 및 상기 센싱 유닛측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 유닛이 검출하는 기설정된 종류의 가스를 표시하는 검출 가스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의 중앙부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외곽부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단자부는,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접속 단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단자부는, 상기 테두리부에 함몰 형성되는 접속 단자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에 대하여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덮으며 탄성 변형 가능한 클립부를 포함하는 클립부재; 및 상기 접속 단자홀에 일단이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센싱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 및 상기 접속 단자부는 상기 배터리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유닛이 측정하는 가스는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메탄가스(CH4)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외부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 장치측 접속 단자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며, 가스를 검출하기 하여 상기 가스가 검출된 경우, 가스 검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과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며, 교체 가능한 센싱 유닛; 상기 센싱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센싱 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가스 농도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접속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단자부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상기 단말 장치 측 접속 단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검출 신호가 상기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된 가스량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접속 단자부는, 상기 단말 장치측 접속 단자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돌출되는 접속 단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단자 부재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 단자부와 이격되고,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일측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다른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접속 단자부가 배치되는 장축 테두리부 및 상기 장축 테두리부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축 테두리부보다 짧은 단축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축 테두리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센싱 유닛이 안착되는 센싱 유닛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 유닛이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부 공간에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 유닛 안착부는 상기 삽입홀을 완전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가스 검출 모듈을 연결시켜, 사용자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가스의 농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센싱 유닛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가스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검출 대상이되는 가스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전력소모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에서 센싱 유닛이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도 1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센싱 유닛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1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센싱 유닛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1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에서 센싱 유닛이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8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에"라 함은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에서 센싱 유닛이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검출 모듈(1)은 일례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 장치(2)(도 7 참조)와 접속된다. 그리고, 가스 검출 모듈(1)은 사용자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기설정된 종류의 가스를 감지하고,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구역의 가스 농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검출 모듈(1)은 케이스(100)와, 지지부(110)와, 제어부(131)와, 배터리부(132)와, 접속 단자부(133)와, 충전 단자부(134)와, 센싱 유닛(150)과, 센싱 유닛 안착부(1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케이스(100)는, 가스 검출 모듈(1)의 외형을 형성하며 제1 면(101)과, 제1 면(101)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제2 면(103)과, 제1 면(101) 및 제2 면(103)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면(101) 및 제2 면(103)을 연결하는 테두리부(102)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예시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면(101) 및 제2 면(103)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제2 면(103)에는 하나 이상의 유입홀(12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유입홀(120)은 제2 면(103)의 외곽부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은 유입홀(120)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테두리부(102)는 케이스(100)의 장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장축 테두리부(102a)와, 장축 테두리부(102a)의 단부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축 테두리부(102a)보다 짧게 형성되는 단축 테두리부(102b)를 포함한다.
접속 단자부(133)는 휴대 단말 장치(2)에 접속되어 가스 검출 모듈(1)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를 전달하며, 휴대 단말 장치(2)의 단말 장치측 접속 단자부에 삽입되는 접속 단자 부재(135)와, 케이스(100)의 내측에 마련되며 접속 단자 부재(135)와 연결되는 접속 유닛(136)을 포함한다.
접속 단자 부재(135)는 테두리부(102)의 장축 테두리부(102a)에 돌출 형성 되며, 일례로 오디오 접속 플러그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속 단자 부재(135) 및 접속 유닛(136)은 테두리부(102)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테두리부(102)의 외곽부를 향하여 편심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테두리부(102)의 장축 테두리부(102a)에 돌출 형성되며 접속 단자부(133)와 이격되며, 가스 검출 모듈(1)이 휴대 단말 장치(2)에 접속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2)의 일부와 접촉되어 지지된다.
지지부(110)는 제1 면(101)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장축 테두리부(102a)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1)와, 제1 지지 플레이트(111)와 이격되도록 제2 면(103)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장축 테두리부(102a)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112)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11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12)는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가변 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시판되고 있는 휴대 단말 장치(2)의 종류가 다양하고 각 휴대 단말 장치(2)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제1지지 플레이트(11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12)가 탄성변형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검출 모듈(1)의 지지부(110)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제1 지지 플레이트(111)만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센싱 유닛 안착부(140)는 케이스(100)의 단축 테두리부(102b)에 형성되며 케이스(100)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삽입홀(104)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삽입홀(104)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센싱 유닛 안착부(140)는 제1 면(101) 및 제2 면(103)에 대하여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 브래킷(141)과, 안착 브래킷(141)의 일단에 절곡 형성되며 삽입홀(10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곡 브래킷(143)과, 안착 브래킷(141)의 양측에 안착 브래킷(141)의 길이 방향, 즉 안착 브래킷(141)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142)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홈(142)은 삽입홀(104)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안착 브래킷(14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센싱 유닛(150)은 센싱 유닛 안착부(140)에 안착되며, 가스 검출 모듈(1)에 대하여 교체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센싱 유닛(150)은 안착 브래킷(141)에 안착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상기 내부 공간에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센싱 유닛(150)은, 케이스(100)의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입홀(120)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특정 종류의 가스 농도를 측정한다.
센싱 유닛(150)이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센싱 유닛 안착부(140)의 절곡 브래킷(143)은 삽입홀(104)을 완전하게 폐쇄시킨다.
이하에서는 센싱 유닛(15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센싱 유닛의 전면 및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센싱 유닛(150)은 외형을 형성하는 센싱 유닛 케이스(151)과, 유닛 케이스(151)의 센싱 유닛측 제1 면(151a)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들(154)과, 센싱 유닛측 제1 면(151a)에 반대되는 센싱 유닛측 제2 면(151b)에 돌출 형성되는 오삽입 방지 돌기(155)와, 센싱 유닛측 제2 면(151b)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미세구멍들을 포함하는 메쉬부(156)와, 센싱 유닛측 제1 면(151a) 및 센싱 유닛측 제2 면(151b)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검출 가스 표시부(152a) 및 제2 검출 가스 표시부(152b)와, 케이스(151)의 내부에 마련되며 메쉬부(156)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 가스의 농도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센싱 유닛 케이스(151)는 일례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센싱 유닛측 제1 면(151a)은 센싱 유닛 안착부(140)의 안착 브래킷(141)의 상면과 접촉되며, 센싱 유닛측 제2 면(151b)는 케이스(100)의 상기 내부 공간에서, 케이스(100)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홀(12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접속 단자들(154)들은 제1 접속 단자(154a) 내지 제4 접속 단자(154d)를 포함한다.
제1 접속 단자(154a), 제2 접속 단자(154b) 및 제3 접속단자(154c)는 센싱 유닛(150)이 검출하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센싱부와 연결 또는 단선되는 선택단자이며, 제4 접속 단자(154b)는 가스의 종류와 무관하게 상기 센싱부와 연결되는 연결단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싱 유닛(150)이 제1 가스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경우, 제1 접속 단자(154a)와 상기 센싱부가 연결되며 제2 접속 단자(154b) 및 제3 접속 단자(154c)는 단선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유닛(150)이 상기 제1 가스와 다른 제2 가스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경우, 제2 접속 단자(154b)와 상기 센싱부가 연결되며 제1 접속 단자(154a) 및 제3 접속 단자(154c)는 단선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 유닛(150)의 제1 접속 단자(154a), 제2 접속 단자(154b) 및 제3 접속단자(154c)의 연결 및 단선은 센싱 유닛(150)의 제조 과정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1 가스 및 상기 제2 가스는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메탄가스(CH4) 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의 가스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제1 검출 가스 표시부(152a) 및 제2 검출 가스 표시부(152b)는 센싱 유닛(150)에서 센싱하는 가스의 종류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유닛(150)은 이산화탄소(CO2)의 공기 중 농도를 측정하며, 제1 검출 가스 표시부(152a) 및 제2 검출 가스 표시부(152b)는 이산화탄소를 의미하는 "CO2"의 문자가 센싱 유닛측 제1 면(151a) 및 센싱 유닛측 제2 면(151b)에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검출 가스 표시부(152a) 및 제2 검출 가스 표시부(152b)로부터, 센싱 유닛(150)이 감지하는 가스의 종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제1 검출 가스 표시부(152a) 및 제2 검출 가스 표시부(152b)가 음각으로 형성되는 구성은 예시적인 구성일 뿐, 양각 또는 프린팅으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오삽입 방지 돌기(155)는 센싱 유닛측 제2 면(151b)에 형성되어, 센싱 유닛(150)이 반대로 센싱 유닛 안착부(140)에 안착된 경우, 즉 안착 브래킷(141)의 상면에 센싱 유닛측 제2 면(151b)이 안착된 경우에, 센싱 유닛(150)이 안착 브래킷(141)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기울어진 센싱 유닛(150)에 의하여 센싱 유닛 안착부(140)의 삽입이 제한되어, 센싱 유닛(150)이 오삽입 상태로 안착된 상태에서 가스 검출 모듈(1)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싱 유닛(150)과 연결되는 제어부(131) 등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센싱 유닛(150)과, 제어부(131)와, 배터리부(132)와, 충전 단자부(134)는,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제어부(131)는 센싱 유닛(150), 배터리부(132), 접속 단자부(133) 및 충전 단자부(134)와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되어, 센싱 유닛(150), 배터리부(132), 접속 단자부(133) 및 충전 단자부(134)를 제어한다.
제어부(131)는, 센싱 유닛(150)에서 측정된 상기 가스 농도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 신호를 접속 단자부(133)에 전달하여 상기 검출 신호가 휴대 단말 장치(2)로 전달되도록 한다.
제어부(131)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있다.
충전 단자부(134)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며, 장축 테두리부(102a)에 관통 형성되며 지지부(110)와 접속 단자 부재(135) 사이에 배치되는 충전홀(116)을 통하여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배터리부(132)는, 제어부(131) 및 센싱 유닛(15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접속 단자부(133) 및 충전 단자부(134)와 연결되어 접속 단자부(133) 및 충전 단자부(13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검출 모듈(1)은 스위치부(115) 및 상태 표시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15)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일 수 있으며, 스위치부(115)가 온(On) 상태인 경우, 배터리부(132)로부터 제어부(131) 및 센싱부(150)로 전원이 공급되어 가스 검출 모듈(1)이 작동하며, 스위치부(115)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배터리부(132)로부터 제어부(131) 및 센싱부(150)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배터리부(132)의 전력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118)는 일례로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 있으며, 제어부(131)와 연결되어 가스 검출 모듈(1)의 상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스 검출 모듈(1)이 정상 동작 하는 경우, 상태 표시부(118)는 녹색 광을 발광하며, 가스 검출 모듈(1)이 충전되고 잇는 경우, 상태 표시부(118)는 황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검출 모듈(1)이 휴대 단말 장치(2)에 연결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은 가스 검출 모듈(1) 및 가스 검출 모듈(1)이 연결된 휴대 단말 장치(2)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 장치(2)는 외형을 형성하는 단말 장치 몸체(200)와, 단말 장치 몸체(200)의 일면에 배치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10)와, 단말 장치 몸체(200)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단말 장치측 접속 단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 장치(2)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와 같은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단말 장치측 접속 단자부는 외부로 음성 신호 및 전력을 출력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가스 검출 모듈(1)의 접속 단자부(133)의 접속 단자 부재(135)는 휴대 단말 장치(2)의 상기 단말 장치측 접속 단자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가스 검출 모듈(1)에서 생성되는 가스 농도에 관한 상기 검출 신호는 접속 단자부(133)를 거쳐 휴대 단말 장치(2)로 전달된다.
휴대 단말 장치(2)는 전달된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주변의 공기 중에 포함된 특정 종류의 가스 농도를 표시부(21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가스 농도를 알릴 수 있다.
이때, 가스 검출 모듈(1)의 지지부(110)는 가스 검출 모듈(1)이 배치되는 휴대 단말 장치(2)의 상측 테두리와 접촉되어, 가스 검출 모듈(1)과 휴대 단말 장치(2)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지지부(110)의 제1 지지 플레이트(111)는 휴대 단말 장치(2)의 전면과 접촉되고 제2 지지 플레이트(112)는 휴대 단말 장치(2)의 배면과 접촉되어 지지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11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12)가 사이에 끼워지는 휴대 단말 장치(2)의 테두리를 가압함으로써, 가스 검출 모듈(1)이 휴대 단말 장치(2)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10)가 제1 지지 플레이트(11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지지부(110)가 제1 지지 플레이트(111)만을 포함하여 제1 지지 플레이트(111)가 휴대 단말 장치(2)의 전면에 대해서만 지지되는 구성에 의해서도 가스 검출 모듈(1)이 휴대 단말 장치(2)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한편, 특정한 종류의 제1 가스의 가스 농도 검출을 완료하고, 다른 종류의 제2 가스의 가스 농도 검출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가스 검출 모듈(1) 및 휴대 단말 장치(2)의 연결을 해제한다.
그 다음, 가스 검출 모듈(1)의 센싱 유닛(150)을 분리하고, 상기 제2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유닛(150)을 가스 검출 모듈(1)에 장착한 다음, 이를 휴대 단말 장치(2)에 연결하여, 상기 제2 가스의 가스 농도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가스 검출 모듈을 연결시켜, 사용자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가스의 농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센싱 유닛(150)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가스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은, 접속 단자부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7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검출 모듈(3)은 유입홀(320)이 형성되는 제1 면(301) 및 제1 면(301)에 대하여 절곡되는 테두리부(302)를 포함하는 케이스(300)와, 테두리부(302)에 함몰 형성되는 접속 단자홀(335)을 포함하는 접속 단자부와, 센싱 유닛 안착부(340)와, 테두리부(302)와 연결되며 제1 면(301)의 일부를 덮으며 탄성 변형 가능한 클립부(310)와, 일단이 접속 단자홀(335)에 삽입되어 접속 단자홀(335)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접속 배선(C)을 포함한다.
접속 배선(C)의 타단은 휴대 단말 장치(2)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단말 장치측 접속 단자부(220)에 삽입되어, 가스 검출 모듈(3)와 휴대 단말 장치(2)가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스 검출 모듈(3)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클립부(310)를 탄성 변형시켜 주머니 등과 같은 물건에 끼워지도록 하여, 가스 검출 모듈(3)가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가스 검출 모듈(3)가 접속 배선(C)에 의하여 휴대 단말 장치(2)와 연결됨에 따라서, 휴대 단말 장치(2)의 형상과 관계 없이 가스 검출 모듈(3) 및 휴대 단말 장치(2)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에서 센싱 유닛이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8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은 지지부 및 센싱 유닛 삽입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7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휴대용 가스 검출 시스템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검출 모듈(4)은 케이스(400)와, 지지부(410)와, 접속 단자부재(345)와, 커버부(404)와, 센싱 유닛(450)을 포함한다.
케이스(400)는, 유입홀(420)이 형성되는 제1 면(401)과, 제1 면(401)과 반대되는 제2 면(403)과, 제1 면(401) 및 제2 면(403)의 일측과 연결되며 접속 단자부재(345)가 배치되는 제1 테두리부(402a)와, 제1 면(410) 및 제2 면(403)의 타측과 연결되고 제1 테두리부(402a)와 마주보는 제2 테두리부(402b)를 포함한다.
제2 테두리부(402b)에는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삽입홀(460)이 형성되며, 센싱 유닛(450)은 삽입홀(460)에 삽입되어 가스 검출 모듈(4)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부(404)는 제2 테두리부(402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삽입홀(460)을 개폐한다.
커버부(404)는, 삽입홀(46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 몸체(405)와, 커버부 몸체(405)의 일측을 제2 테두리부(402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부(406)과, 커버부 몸체(405)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제2 테두리부(402a)의 단부 측에 형성되는 걸림홈(409)에 걸리는 걸림 돌기(407)를 포함한다.
지지부(410)는 제1 면(40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입홀(4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제1 면(41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2)의 일면과 접촉되는 지지부 몸체(411)를 포함하고, 지지부 몸체(411)의 단부 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지지부 몸체(411)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함몰홈(412)이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7)

  1.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에 있어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과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며, 교체 가능한 센싱 유닛;
    상기 센싱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센싱 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가스 농도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접속 단자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 단자부와 이격되고,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일측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다른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외형을 형성하는 센싱 유닛 케이스; 상기 유닛 케이스의 센싱 유닛측 제1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들; 상기 유닛 케이스의 상기 센싱 유닛측 제1 면에 반대되는 센싱 유닛측 제2 면에 돌출 형성되는 오삽입 방지 돌기; 및 상기 센싱 유닛측 제2 면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미세구멍들을 포함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 안착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와 나란하며, 상기 센싱 유닛이 안 착되는 안착 브래킷; 상기 안착 브래킷의 일단에 절곡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곡 브래킷; 및 상기 안착 브래킷의 양측에, 상기 안착 브래킷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접속 단자부가 배치되는 제1 테두리부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테두리부와 마주보는 제2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테두리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삽입홀을 개폐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삽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 몸체; 상기 커버부 몸체의 일측을 상기 제2 테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부; 및 상기 커버부 몸체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KR1020150124049A 2015-09-02 2015-09-02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KR101947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49A KR101947598B1 (ko) 2015-09-02 2015-09-02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49A KR101947598B1 (ko) 2015-09-02 2015-09-02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446A true KR20170027446A (ko) 2017-03-10
KR101947598B1 KR101947598B1 (ko) 2019-04-22

Family

ID=5841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049A KR101947598B1 (ko) 2015-09-02 2015-09-02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5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8528A (zh) * 2020-04-01 2020-07-10 湖南鼎誉检验检测有限公司 环境改善用便携式空气检测系统
KR102209381B1 (ko) * 2020-10-21 2021-02-01 주식회사 올센싱 포장용기 내부의 대기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휴대용 장치
KR20220087848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검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277B1 (ko) 2019-05-27 2019-11-15 주식회사 오투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9149A (ja) * 1998-05-22 1999-12-10 Yazaki Corp ガス・火災一体型警報器
KR20120059907A (ko) * 2010-12-01 2012-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경보센서장치
KR101362430B1 (ko) * 2013-09-09 2014-02-21 (주)소하테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가스 측정 방법
JP2015056060A (ja) * 2013-09-12 2015-03-23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携帯用ガス警報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9149A (ja) * 1998-05-22 1999-12-10 Yazaki Corp ガス・火災一体型警報器
KR20120059907A (ko) * 2010-12-01 2012-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경보센서장치
KR101362430B1 (ko) * 2013-09-09 2014-02-21 (주)소하테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가스 측정 방법
JP2015056060A (ja) * 2013-09-12 2015-03-23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携帯用ガス警報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8528A (zh) * 2020-04-01 2020-07-10 湖南鼎誉检验检测有限公司 环境改善用便携式空气检测系统
KR102209381B1 (ko) * 2020-10-21 2021-02-01 주식회사 올센싱 포장용기 내부의 대기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휴대용 장치
KR20220087848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598B1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598B1 (ko)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JP3778341B2 (ja) 携帯型ガス検出装置、及びそのクレードル
US7633282B2 (en) Multi-scanner device having a detachable outlet tester
US9034515B2 (en)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324538B1 (ko) 휴대용 음주측정기
US20120059619A1 (en) Precious stone testing apparatus
JP5417293B2 (ja) ガス供給アダプタ
CN103048515B (zh) 具有可附着或可分离探针的电压检测器
US20080265677A1 (en) Multi-outlet safety power strip
CN216823432U (zh) 血压监护系统及其血压监护装置
TW201537528A (zh) 通信裝置及試驗裝置
KR20180083135A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20190037902A (ko)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
US7024928B1 (en) Multifunctional tire pressure gauge
CN103048514B (zh) 具有可选地可附接或可分离的探针的电压检测器
US10180371B2 (en) Ultrasonic detector with storable probes
US20220268617A1 (en) Intelligent measurement cup
KR20140015198A (ko) 초음파 센서간 거리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US8090260B2 (en) Light source and detecting device thereof
US6701773B2 (en) Plug-in adapter for gas sampling
KR102339587B1 (ko) 포터블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CN207335868U (zh) 智能振动监测仪及其检测装置
US20100307221A1 (en) Belt measurement device
US200903097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wer supply error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17211260A (ja) 物理量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