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700A - 타이어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700A
KR20220087700A KR1020200177996A KR20200177996A KR20220087700A KR 20220087700 A KR20220087700 A KR 20220087700A KR 1020200177996 A KR1020200177996 A KR 1020200177996A KR 20200177996 A KR20200177996 A KR 20200177996A KR 20220087700 A KR20220087700 A KR 20220087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urface plate
sidewall
photographing module
app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유석
이현숙
최우빈
이원곡
허조훈
김준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7700A/ko
Publication of KR2022008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2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월 중 어느 일측이 지지되어 타이어의 외관을 검사하는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의 사이드월에 접촉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 롤러와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 측을 지지하여 상기 타이어의 줌심축을 정렬시키는 복수 개의 센터링 바와 상기 타이어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타이어의 중심축을 유지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 롤러 및 복수 개의 타공부를 포함하는 정반, 상기 정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외관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촬영모듈 및 상기 촬영모듈로부터 수집된 타이어의 외관 정보를 분석하는 운영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APPEARANCE INSPECTING APPARATUS FOR TIRE AND INSPE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등의 복수 개의 촬영수단에 의하여 수집된 차량용 타이어의 이미지를 통하여 타이어의 외관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차량 등의 휠에 장착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차량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 주로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T)는 크게 트레드(tread, T1), 사이드월(sidewall, T2), 비드(bead, T3) 및 내측(T4)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트레드(T1)는 지면에 접촉되어 차량 등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마모가 심한 경우 노면에 약간에 물이 있어도 고속으로 주행 시 수막 현상이 크게 증대됨에 따라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마모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월(T2)은 상기 트레드(T1)의 양측에 형성되어 타이어(T)의 측벽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노면에 장애물 등에 의하여 외부가 찢겨지거나 흠짐 등이 누적되는 경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외관의 흠집이나 상처 등의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상기 비드(T3)는 상기 사이드월(T2) 단부에 형성되어 림 등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강성에 따라 타이어의 동적 성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침으로 강도 관리를 위하여 변형 및 손상 등의 관리가 중요하다.
한편, 타이어(T)는 차량 운행시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 부품으로, 생산 완료 후 특정 위치에 불량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사전 판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트레드(T1), 사이드월(T2) 및 비드(T3) 이외, 타이어의 내측(T4)에도 특정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타이어(T)는 표면의 마모, 흠집 등과 같이 외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부분들의 관리가 중요함에 따라 이를 검사하기 위한 다양한 검사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타이어 검사장치는 타이어를 검사대에 누워진 상태로 적재하여 검사를 함에 따라, 타이어가 검사대에 지지되는 측의 검사를 위하여 로봇 암이나 작업자가 타이어의 포지션을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072236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휠(11)을 안착시키는 검사대(10), 상기 검사대(10) 상측과 일측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휠(11)에 관한 영상을 획득하는 제 1카메라(14)와 제 2카메라(15), 상기 휠(11)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모터(13), 상기 제 1, 제 2카메라(14, 15)의 영상 획득 시 안정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조명(16), 상기 검사대(10) 및 전체 라인을 제어하는 PLC(12), 상기 제 1, 2카메라(14, 15)에 의해 획득한 영상 신호에 의해 휠(11)의 외관을 검사하는 운영자 컴퓨터를 포함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휠 검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휠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타이어를 검사하는 경우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검사대(10)에 지지되는 측을 검사하기 위해서 상기 검사대(10)에 지지되지 않은 측을 검사한 후에 로봇 암 등의 설비를 이용하거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타이어의 포지션을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따른다.
이에 따라, 종래의 타이어 검사장치는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휠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타이어 외관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타이어의 포지션 변경을 위한 장비로 인하여 설비가 커지거나 타이어의 포지션 변경을 위하여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검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0-0072236 (공개일 2000.12.05.)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타이어의 포지션 변경 없이 타이어의 전체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외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는 타이어의 사이드월에 접촉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 롤러와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 측을 지지하여 상기 타이어의 줌심축을 정렬시키는 복수 개의 센터링 바와 상기 타이어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타이어의 중심축을 유지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 롤러 및 복수 개의 타공부를 포함하는 정반, 상기 정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외관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촬영모듈 및 상기 촬영모듈로부터 수집된 타이어의 외관 정보를 분석하는 운영자 단말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센터링 바는 총 4개이며, 상기 정반의 중심으로부터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 롤러는 총 3개이며, 상기 정반의 중심으로부터 간격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센터링 바와 상기 지지 롤러의 길이는 각각 상기 타이어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촬영모듈은 상기 정반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내측을 촬영하는 내측 촬영모듈과 상기 정반의 측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를 촬영하는 트레드 촬영모듈과 상기 정반의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을 촬영하는 상부 사이드월 촬영모듈과 상기 정반의 하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을 ??영하는 하부 사이드월 촬영모듈 및 상기 정반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비드를 촬영하는 비드 촬영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를 이용한 타이어 외관 검사방법은 타이어를 정반에 거치시켜 상기 센터링 바에 의하여 상기 정반의 중심축과 상기 타이어의 중심축을 정렬시키는 얼라인단계와 정렬된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단계와 상기 촬영모듈에 의하여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와 사이드월 및 비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의 외관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상기 운영자 단말로 전송하는 외관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운영자 단말을 통하여 수집된 상기 외관 정보를 분석하는 외관정보 분석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은 타이어의 포지션 변경 없이 타이어의 전체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외관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타이어의 포지션 변경을 위한 설비를 생략함에 따라 검사 라인 등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은 타이어의 포지션 변경을 생략함에 따라 타이어의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검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타이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휠 검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에서 정반에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에서 정반에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는 검사 대상인 타이어(T)가 거치되는 정반(100)과 상기 타이어(T)의 외관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촬영모듈 및 상기 촬영모듈로부터 수집된 영상을 통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운영자 단말(미도시)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반(100)은 검사 대상인 타이어(T)가 거치되는 테이블로서 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반(100)은 타이어(T)가 누워진 상태로 거치되는 경우 촬영모듈에 의하여 외관이 촬영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타공부(10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반(100)은 거치된 타이어(T)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타이어의 사이드월 측에 접촉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 롤러(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 롤러(11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은 상기 정반(100)의 하측 또는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롤러(110)는 상기 정반(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러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반(100)은 거치된 타이어(T)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타이어(T)가 상기 회전 롤러(110)에 의하여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롤러(1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롤러(12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T)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등 간격으로 3개가 설치되며, 상기 타이어(T)가 상기 회전 롤러(110)에 의하여 회전하는 경우 상기 타이어(T)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롤러(120)는 검사 대상인 타이어(T)의 직경에 따라 타이어(T)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롤러(120)는 검사 대상인 타이어(T)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반(100)은 거치된 타이어(T)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타이어(T)의 중심부 정렬을 위한 복수 개의 센터링 바(130)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링 바(13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T)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등 간격으로 4개가 설치되고, 상기 정반(100)에 타이어(T)가 거치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타이어(T)의 내주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타이어(T)의 중심으로부터 거리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타공부(101)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정반(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센터리 바(130)가 상기 타공부(101)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에서 상기 정반(100)에 거치되는 타이어(T)는 상기 센터링 바(130)에 의하여 상기 타이어(T)의 중심축. 즉, 회전축의 정렬이 수행된 후, 상기 지지 롤러(120)가 상기 타이어(T)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어(T)의 회전축으로부터 거리가 조절되면 상기 회전 롤러(110)에 의하여 회전축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상기 회전 롤러(11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이어(T)의 직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더욱 길게 형성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로 대신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롤러(110)를 컨베이어로 대체하는 경우 타이어(T)의 회전은 물론 타이어(T)가 어느 일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롤러(120)와 상기 센터링 바(130)를 각각 타이어(T)의 외주면과 내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상기 정반(100)으로부터 타이어(T)의 배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정반(100)으로부터 타이어(T)의 배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센터링 바(130)는 상측이나 하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촬영모듈은 내측 촬영모듈(200)과 트레드 촬영모듈(300)과 상부 사이드월 촬영모듈(400)과 하부 사이드월 촬영모듈(500) 및 비드 촬영모듈(6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촬영모듈은 각각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촬영된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로 송신하거나 운영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촬영모듈(200)은 상기 정반(100)의 평행한 방향으로 대향되는 3D 카메라를 중심으로 대칭되어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대향되는 3D 카메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 촬영모듈(200)은 상부 프레임 등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함에 따라 타이어(T)의 내주면 측으로 삽입되어 내측(T4)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 촬영모듈(200)은 상기 정반(100)의 중심과 상기 센터링 바(130)의 사이를 지나는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촬영모듈(200)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은 유공압 실린더 또는 리니어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드 촬영모듈(300)은 상기 정반(100)의 측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를 촬영하는 것으로 3D 카메라를 포함하는 트레드 제 1촬영모듈(310)과 라인 스캐너를 포함하는 트레드 제 2촬영모듈(3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드 제 1, 2촬영모듈(310, 32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정반(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나 어느 한 측에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사이드월 촬영모듈(400)은 상기 정반(10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타이어(T)의 사이드월 중 상기 정반(100)에 지지되지 않은 측을 촬영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사이드월 촬영모듈(400)은 3D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부 사이드월 제 1촬영모듈(410)과 라인 스캐너를 포함하는 상부 사이드월 제 2촬영모듈(4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사이드월 제 1, 2촬영모듈(410, 420)은 각각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센터링 바(130)와 상기 지지 롤러(120) 사이를 지나는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 사이드월 촬영모듈(500)은 상기 정반(10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어 타이어(T)의 사이드월 중 상기 정반(100)에 지지되는 측을 촬영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사이드월 촬영모듈(500)은 3D 카메라를 포함하는 하부 사이드월 제 1촬영모듈(510)과 라인 스캐너를 포함하는 하부 사이드월 제 2촬영모듈(5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사이드월 제 1, 2촬영모듈(510. 520)은 각각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센터링 바(130)와 상기 지지 롤러(120) 사이를 지나는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사이드월 제 1, 2촬영모듈(510. 520)은 각각 상기 타공부(101)를 통하여 상기 정반(100)에 지지되는 측의 사이드월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비드 촬영모듈(600)은 상기 정반(100)에 지지되는 측의 비드와 상기 정반(100)에 지지되지 않는 측의 비드를 각각 촬영할 수 있도록 2개의 3D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부 프레임 등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함에 따라 타이어(T)의 내주면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드 촬영모듈(600)은 상기 정반(100)의 중심과 상기 센터링 바(130)의 사이를 지나는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드 촬영모듈(600)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은 유공압 실린더 또는 리니어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자 단말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촬영모듈로부터 수집된 타이어(T)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물론 타이어의 마모 정도나 흠집의 크기 등을 수치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자 단말은 이러한 수치들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림 등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운영자 단말은 상기 촬영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를 이용한 타이어 외관 검사방법은 얼라인 단계와 회전 구동단계와 외관정보 수집단계 및 외관정보 분석단계를 포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라인 단계는 검사 대상의 타이어(T)를 사이드월 중 어느 일측이 상기 정반(100)에 지지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센터링 바(130)를 통하여 상기 타이어(T)의 중심축과 상기 정반(100)의 중심축을 정렬시키고, 상기 타이어(T))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 롤러(120)를 밀착시킨다.
이후, 상기 회전 구동단계에서 상기 회전 롤러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타이어(T)는 상기 정반(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타이어(T)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외관정보 수집단계에서 상기 내측 촬영모듈(200)과 상기 트레드 촬영모듈(300)과 상기 상부 사이드월 촬영모듈(400)과 상기 하부 사이드월 촬영모듈(500) 및 상기 비드 촬영모듈(600)에 의하여 각각 상기 타이어(T)의 외측 이미지 및 내측 이미지를 포함한 외관 정보가 수집되며, 이는 유무선으로 상기 운영자 단말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외관정보 분석단계에서 운영자 또는 검사자는 상기 운영자 단말을 통하여 상기 촬영모듈들로부터 전송된 상기 타이어(T)의 외관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관정보 분석단계는 상기 운영자 단말을 통하여 시각화된 상기 타이어(T)의 외관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상기 외관 정보에 대하여 기 설정된 허용 기준 정보와 대비하여 불량 여부 등을 판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T. 타이어
T1. 트레드
T2. 사이드월
T3. 비드
T4. 내측
100. 정반
101. 타공부
110. 회전 롤러
120. 지지 롤러
130. 센터링 바
200. 내측 촬영모듈
300. 트레드 촬영모듈
310. 트레드 제 1촬영모듈
320. 트레드 제 2촬영모듈
400. 상부 사이드월 촬영모듈
410. 상부 사이드월 제 1촬영모듈
420. 상부 사이드월 제 2촬영모듈
500. 하부 사이드월 촬영모듈
510. 하부 사이드월 제 1촬영모듈
520. 하부 사이드월 제 2촬영모듈
600. 비드 촬영모듈

Claims (4)

  1. 사이드월 중 어느 일측이 지지되어 타이어의 외관을 검사하는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에 있어서,
    타이어의 사이드월에 접촉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 롤러와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 측을 지지하여 상기 타이어의 줌심축을 정렬시키는 복수 개의 센터링 바와 상기 타이어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타이어의 중심축을 유지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 롤러 및 복수 개의 타공부를 포함하는 정반;
    상기 정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외관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촬영모듈; 및
    상기 촬영모듈로부터 수집된 타이어의 외관 정보를 분석하는 운영자 단말;을 포함하는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바는 총 4개이며, 상기 정반의 중심으로부터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 롤러는 총 3개이며, 상기 정반의 중심으로부터 간격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센터링 바와 상기 지지 롤러의 길이는 각각 상기 타이어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듈은
    상기 정반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내측을 촬영하는 내측 촬영모듈과
    상기 정반의 측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를 촬영하는 트레드 촬영모듈과
    상기 정반의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을 촬영하는 상부 사이드월 촬영모듈과
    상기 정반의 하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을 ??영하는 하부 사이드월 촬영모듈 및
    상기 정반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비드를 촬영하는 비드 촬영모듈을 포함하는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타이어 외관 검사장치를 이용한 타이어 외관 검사방법에 있어서,
    타이어를 정반에 거치시켜 상기 센터링 바에 의하여 상기 정반의 중심축과 상기 타이어의 중심축을 정렬시키는 얼라인단계;
    정렬된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단계;
    상기 촬영모듈에 의하여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와 사이드월 및 비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의 외관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상기 운영자 단말에 전송하는 외관정보 수집단계; 및
    수집된 상기 외관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을 통하여 분석하는 외관정보 분석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외관 검사방법.
KR1020200177996A 2020-12-18 2020-12-18 타이어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20087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996A KR20220087700A (ko) 2020-12-18 2020-12-18 타이어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996A KR20220087700A (ko) 2020-12-18 2020-12-18 타이어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700A true KR20220087700A (ko) 2022-06-27

Family

ID=8224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996A KR20220087700A (ko) 2020-12-18 2020-12-18 타이어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77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71736A (zh) * 2024-01-15 2024-02-20 中路慧能检测认证科技有限公司 一种轮胎检测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236A (ko) 2000-08-21 2000-12-05 여희주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휠 검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236A (ko) 2000-08-21 2000-12-05 여희주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휠 검사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71736A (zh) * 2024-01-15 2024-02-20 中路慧能检测认证科技有限公司 一种轮胎检测系统
CN117571736B (zh) * 2024-01-15 2024-05-10 中路慧能检测认证科技有限公司 一种轮胎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1520B2 (ja) 車両ホイール用のタイヤを製造するプロセスおよびプラントにおいてタイヤを検査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0824410B1 (fr) Machine pour et procede de mise en place de bourrelets de pneumatique
KR100989561B1 (ko) Led 및 웨이퍼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CN109154539B (zh) 用于检查用于车辆车轮的轮胎的方法和检查线
JP6715859B2 (ja) 車輪用タイヤ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プラントにおいてタイヤ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8325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re testing
CN102313749A (zh) 工程机械轮胎激光散斑检测装置及其方法
CN1613006A (zh) 检查轮胎的方法和装置
RU2737564C2 (ru) Способ и станция контроля шин дл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202102505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ree-hundred sixty degree inspection of an object
KR20220087700A (ko) 타이어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WO2013181550A1 (en) Shearographic imaging machine and method
US20220334029A1 (en) Station for checking tyres
CN105445285A (zh) 用于无张力约束下线材视觉检测装置及方法
CN202372457U (zh) 一种基于x光探伤检测仪的轮胎外观检测系统
BR112020012235A2 (pt) método e aparelho para verificação de pneus
CN201811922U (zh) 工程机械轮胎激光散斑检测装置
JP2002131030A (ja) 自動車用タイヤの簡易検査装置
CN220288753U (zh) 用于检查胎圈-三角胶条的检查工位和包括所述检查工位的组件
KR102473365B1 (ko) 머신러닝을 이용한 타이어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검사 방법
KR101824141B1 (ko) 그린타이어 검사장치
JP5503470B2 (ja) マーク打点方法及びマーク打点装置
KR101289827B1 (ko) 쇼크 업쇼버 로드의 표면 불량 검사 시스템
JPH07198550A (ja) タイヤブレーカの検査方法及び装置
KR101754631B1 (ko) 3d 카메라를 이용한 타이어 반제품 및 성형 타이어 품질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품질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