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961A -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961A
KR20220086961A KR1020200177238A KR20200177238A KR20220086961A KR 20220086961 A KR20220086961 A KR 20220086961A KR 1020200177238 A KR1020200177238 A KR 1020200177238A KR 20200177238 A KR20200177238 A KR 20200177238A KR 20220086961 A KR20220086961 A KR 20220086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asurement data
temperature measurement
loca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921B1 (ko
Inventor
권성진
김태현
김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7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01K1/143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for measuring surface temper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6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of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4Corrosion probes
    • G01N17/043Coup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은, 전로 후드에 마련된 다수의 배관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로 측정하는 배관 온도 측정 장치로부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는 서버; 상기 수신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MULTIPLE PIPE MONITORING SYSTEM OF CONVERTER HOOD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배관의 온도 상태를 화면으로 감시하여 관리하고, 이상 온도 상태의 해당 배관을 빠르게 찾아 해당 배관을 빠르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로는 고로에서 생산된 쇳물(선철)을 용강으로 정련하는 제강로를 지칭하며, 선철을 용강으로 전환하는 노(爐)라는 의미이다.
고로에서 생산된 쇳물은 탄소 함유량이 많고 인, 유황등 불순물들이 포함되어 있어 제품의 가공성 저하, 균열 유발 등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양질의 철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로가 필요한 것인데, 선철을 만드는 제선 공정이 끝나면 쇳물은 전로가 있는 제강 공정을 거치게 된다.
전로에 장입된 용선과 고철의 산화에 의하여 각종 분진과 가스 및 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는 전로 후드를 통하여 취입되고, 재처리를 통하여 순수한 가스와 분진으로 분류되며, 순수한 가스는 환경적 측면에서 재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전로 후드에 마련되어 전로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배가스를 안정적으로 보내는 다수의 배관은 수백개로 제공되므로, 다수의 배관의 온도 상태를 각각 관리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상 온도 상태의 해당 배관을 찾는데에 어려움이 있어 해당 배관을 유지보수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상의 이유로,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다수의 배관의 온도 상태를 화면으로 감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상 온도 상태의 해당 배관을 빠르게 찾을 수 있어 해당 배관을 빠르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은, 전로 후드에 마련된 다수의 배관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로 측정하는 배관 온도 측정 장치로부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는 서버; 상기 수신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온도 측정 장치는, 광섬유 센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배관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해당 배관 위치의 배관 온도를 상기 표시부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해당 배관 위치의 배관 온도를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방법은, 전로 후드에 마련된 다수의 배관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로 측정하는 배관 온도 측정 장치로부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는 것은, 상기 배관 온도 측정 장치에 포함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은,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에 대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상기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해당 배관 위치의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상기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에 대한 해당 배관 위치의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상기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해당 배관의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상기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해당 배관의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배관의 온도 상태를 화면으로 감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상 온도 상태의 해당 배관을 빠르게 찾을 수 있어 해당 배관을 빠르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전로 후드의 다수의 배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관 온도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다수의 배관에 접촉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다수의 배관에 접촉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에 의하여 출력된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배관 온도 측정 거리에 따른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에 의하여 출력된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배관 온도 측정 거리에 따른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다수 배관 감시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표시부에 의하여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표시부에 의하여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다수 배관 감시 방법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표시부에 의하여 해당 위치의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해당 위치의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다수 배관 감시 방법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표시부에 의하여 해당 배관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해당 배관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전로 후드의 다수의 배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관 온도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다수의 배관에 접촉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로 후드(10)는 전로에 의해 발생되는 1600℃의 고온의 배가스를 다수의 배관(11)을 통해 안정적으로 보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로 후드(10)는 원통형 구조일 수 있고, 다수의 배관(11)은 전로 후드(10)의 내부에 200개 내지 300개로 마련되고 멤브레인(Steel Bar, 12)과 용접되어 전로 후드(10)의 내경에 따라 원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배관(11)을 설명의 편의상 5개인 11a 내지 11e로 도시한다. 배관(11)의 갯수는 전로에 의해 발생되는 배가스를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로 후드(10)는 제철소의 제강용 전로 후드일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로 후드(10)는 전로에 의해 발생되는 배가스를 안정적으로 보내기 위해 필요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다수의 배관(11)은 고온에 노출된 배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용 배관 설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와 작업자는 다수의 배관(11)의 온도를 200℃ 내지 400℃의 범위가 되도록 관리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배관 온도 측정 장치(20)는 전로 후드(10)에 마련된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P1 내지 P5)로 측정할 수 있다. 배관 온도 측정 장치(20)는 광섬유 센서 케이블(21)과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관 온도 측정 장치(20)는 광섬유 센서 케이블(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P1 내지 P5)로 측정할 수 있다.
광섬유 센서 케이블(21)은 전로 후드(10)의 내경에 따라 원형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에 접촉되어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P1 내지 P5)로 감지할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광섬유 센서 케이블(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광섬유 센서 케이블(21)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 위치별(P1 내지 P5)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다수의 배관에 접촉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은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중 홀수열 배관(11a, 11c, 11e)에 접촉될 수 있다.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은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과 서로 이웃하고,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중 짝수열 배관(11b, 11d)에 접촉될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홀수열 배관(11a, 11c, 11e)에 접촉된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짝수열 배관(11b, 11d)에 접촉된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각각의 커넥터를 통해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 및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 및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은 분산 온도 측정 센서(Distributed Temperature Sensor, DTS)를 기반으로 하는 케이블일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분산 온도 측정 센서(Distributed Temperature Sensor, DTS)를 기반으로 하는 케이블인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 및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을 이용하여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광섬유 코어에 레이저 펄스를 전송하고, 광섬유 코어를 통과하는 도중에 산란이 되어서 되돌아오는 신호를 측정하여 위치별(P1 내지 P5)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과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에 파장이 짧은 레이저 펄스를 일정 시간 동안 전송하면 1m 마다 3가지의 역산란광(Rayleigh, Raman, Brillouin scattering)이 반사되어 돌아온다. 3가지의 역산란광(Rayleigh, Raman, Brillouin scattering)중 라만(Raman) 산란파는 입사된 빛의 파장과는 달리 두 개의 파장으로 분리되어 반사되는데 입사광보다 큰 파장 영역을 안티스톡스(anti-Stokes) 영역이라 하고, 입사광보다 작은 파장 영역을 스톡스(Stokes) 영역이라고 한다. 여기서 스톡스 영역의 산란파는 온도 변화에 거의 무관한 반면, 안티스톡스 영역의 산란파는 온도 변화에 따라 그 진폭이 예민한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온도 측정은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를 분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배관 위치별(P1 내지 P5)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레이저 펄스를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과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에 입사할 수 있다. 입사한 레이저 펄스는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과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의 석영 입자에서 반사되어 후방 산란광을 발생한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후방 산란광 반사파를 일정 시간 동안 여러번 측정하여 평균치를 산출하고, 평균치로 산출된 후방 산란광 반사파에서 온도 특성에 예민한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와 온도 특성에 약한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에 기초하여 배관 위치별(P1 내지 P5)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에 의하여 출력된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배관 온도 측정 거리에 따른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중 제 1 배관 위치(P1)의 배관 온도 측정 거리(d11)에 따른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1)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2)를 출력할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중 제 3 배관 위치(P3)의 배관 온도 측정 거리(d12)에 따른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3)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4)를 출력할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중 제 5 배관 위치(P5)의 배관 온도 측정 거리(d13)에 따른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5)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6)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홀수의 배관 위치별(P1, P3, P5) 배관 온도 측정 거리(d11, d12, d13)를 1m 단위로 각각 측정하여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1, S3, S5)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2, S4, S6)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에 의하여 출력된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배관 온도 측정 거리에 따른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중 제 2 배관 위치(P2)의 배관 온도 측정 거리(d21)에 따른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7)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8)를 출력할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중 제 4 배관 위치(P4)의 배관 온도 측정 거리(d22)에 따른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9)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1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짝수의 배관 위치별(P2, P4) 배관 온도 측정 거리(d21, d22)를 1m 단위로 각각 측정하여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7, S9)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8, S10)를 출력할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1, S3, S5, S7, S9)와 안티스톡스 영역의 라만 산란파 신호(S2, S4, S6, S8, S10)에 기초하여 산출된 배관 위치별(P1 내지 P5)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에너지 상태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 절대 온도로 변환하고, 변환된 절대 온도에 해당하는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 및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은 광섬유 격자(Fiber Bragg Grating, FBG)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케이블일 수 있다.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는 광섬유 격자(Fiber Bragg Grating, FBG)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케이블인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 및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을 이용하여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광섬유 격자 센서는 대표적인 포인터 센서로, 변형율과 온도에 의해 회전 격자와 굴절률의 변화에 Bragg 파장이 변동하는 원리를 센서로 이용한다. 광섬유 격자 센서는 스트레인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측정 시 광섬유의 격자 변화에 따른 반사파의 파장 변화로 스트레인의 변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배관 온도 측정 장치(20)는 서로 이웃하고 있고 일정한 배관 온도 측정 거리(d11, d12, d13)(d21, d22)에서만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 및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을 이용하고,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 및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를 이용하므로,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21a) 및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21b)의 곡률 반경이 제한되더라도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P1 내지 P5)로 촘촘하게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30)는 전로 후드(10)와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중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이상이면,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을 더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30)는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을 촬영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30)는 천정면에 고정 또는 기타 구조물에 고정되어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30)는 HD CMOS 카메라, 2D 카메라, 3D 카메라, 3D 스테레오 카메라, 적외선 투시 카메라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적외선 투시 카메라는 전로 후드(10)의 내부 촬영이 불가능한 상황일 때에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을 투시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은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 상태를 화면으로 감시하여 관리하고, 이상 온도 상태의 해당 배관을 빠르게 찾아 해당 배관을 빠르게 유지보수하도록 구축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서버(110)와 제어부(120)와 표시부(130)와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와 제어부(120)와 표시부(130)와 통신부(140)는 관리자 단말기로 마련될 수 있다.
서버(110)는 전로 후드(10)에 마련된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위치별(P1 내지 P5)로 측정하는 배관 온도 측정 장치(20)로부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관리자는 서버(110)에 저장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배열 위치 순서에 따른 목록 형식 또는 배관 온도가 높은 순서에 따른 목록 형식 또는 배관 온도가 낮은 순서에 따른 목록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관 온도 측정 장치(20)로부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는 서버(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로세서(121)와 메모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프로세서(121)에 의하여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고, 관리자는 표시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는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실시간 표시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작업자 단말기(40)와 통신하는 통신부(140)를 더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프로세서(121)로부터 출력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는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고, 작업자는 표시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이동하면서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단말기(40)는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고,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실시간 표시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Bluetooth 모듈과 Wi-Fi 모듈 및 Zigbee 모듈과 Z-Wave 모듈 및 Wibro 모듈과 Wi-Max 모듈 및 LTE 모듈과 LTE Advanced 모듈 및 Li-Fi 모듈과 Beacon 모듈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통신 신호의 왜곡율과 전송율을 고려하면서 작업자 단말기(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표시부(130)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더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프로세서(121)에 의하여 처리된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고, 관리자는 표시된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는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팝업 표시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작업자 단말기(40)와 통신하는 통신부(140)를 더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프로세서(121)로부터 출력된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는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고, 작업자는 표시된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이동하면서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단말기(40)는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팝업 표시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카메라(30)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더 수신받을 수 있다. 카메라(30)는 기준 온도값 이상인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카메라(30)로부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더 처리하고,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30)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더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프로세서(121)에 의하여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아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고, 관리자는 표시된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는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팝업 표시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카메라(30)로부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작업자 단말기(40)와 통신하는 통신부(140)를 더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프로세서(121)로부터 출력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는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고, 작업자는 표시된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이동하면서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단말기(40)는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팝업 표시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고, 카메라(30)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기준 온도값 이상인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기존 온도값 이상인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생성하고, 기준 온도값 이상인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생성하고, 기준 온도값 이상인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2)는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2)는 카메라(30)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카메라(30)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2)는 프로세서(121)가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21)가 카메라(30)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2)는 프로세서(121)가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21)가 기준 온도값 이상인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21)가 기존 온도값 이상인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2)는 프로세서(121)가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21)가 기준 온도값 이상인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21)가 기준 온도값 이상인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2)는 S램(S-RAM), D램(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다수 배관 감시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서버(110)에 의하여, 전로 후드(10)에 마련된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P1 내지 P5)로 측정하는 배관 온도 측정 장치(20)로부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710). 관리자는 서버(110)에 저장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배관 온도 측정 장치(20)는 전로 후드(10)에 마련된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P1 내지 P5)로 측정할 수 있다. 배관 온도 측정 장치(20)는 광섬유 센서 케이블(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22)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관(11a 내지 11e)의 온도를 위치별(P1 내지 P5)로 측정할 수 있다. 배관 온도 측정 장치(20)는 측정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720).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표시부(130)에 의하여, 제어부(120)에 의해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730). 관리자는 표시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표시부에 의하여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표시부에 의하여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0)는 배관 위치별 다수의 배관 온도(T1 내지 T151, …)를 색상을 갖는 막대 그래프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SD1)으로 표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 1 배관 위치 내지 제 3 배관 위치와 제 151 배관 위치에 따른 제 1 배관 온도(T1) 내지 제 3 배관 온도(T3)와 제 151 배관 온도(T151)를 색상을 갖는 막대 그래프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SD1)으로 표시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200개 내지 300개의 배관 위치에 따른 배관 온도를 색상을 갖는 막대 그래프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0)는 주의 대상인 제 151 배관 온도(T151)를 눈에 띄는 색상을 갖는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0)는 제 1 배관 위치(#1)에 따른 제 1 배관 온도(T1)와, 제 2 배관 위치(#2)에 따른 제 2 배관 온도(T2)와, 제 3 배관 위치(#3)에 따른 제 3 배관 온도(T3)와, 제 4 배관 위치(#4)에 따른 제 4 배관 온도(T4)와, 제 5 배관 위치(#5)에 따른 제 5 배관 온도(T5)를 목록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SD2)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 1 배관 위치(#1)는 P1과 대응하는 위치이고, 제 2 배관 위치(#2)는 P2와 대응하는 위치이고, 제 3 배관 위치(#3)는 P3와 대응하는 위치이고, 제 4 배관 위치(#4)는 P4와 대응하는 위치이고, 제 5 배관 위치(#5)는 P5와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 1 배관 위치(#1) 내지 제 5 배관 위치(#5)에 따른 제 1 배관 온도(T1) 내지 제 5 배관 온도(T5)를 목록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SD2)으로 표시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200개 내지 300개의 배관 위치에 따른 배관 온도를 목록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통신부(140)에 의하여, 제어부(120)에 의해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는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에 대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730). 작업자는 표시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이동하면서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40)는 배관 위치별 다수의 배관 온도(T1 내지 T151, …)를 색상을 갖는 막대 그래프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SD3)으로 표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 1 배관 위치 내지 제 3 배관 위치와 제 151 배관 위치에 따른 제 1 배관 온도(T1) 내지 제 3 배관 온도(T3)와 제 151 배관 온도(T151)를 색상을 갖는 막대 그래프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SD3)으로 표시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200개 내지 300개의 배관 위치에 따른 배관 온도를 색상을 갖는 막대 그래프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 단말기(40)는 주의 대상인 제 151 배관 온도(T151)를 눈에 띄는 색상을 갖는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40)는 제 1 배관 위치(#1)에 따른 제 1 배관 온도(T1)와, 제 2 배관 위치(#2)에 따른 제 2 배관 온도(T2)와, 제 3 배관 위치(#3)에 따른 제 3 배관 온도(T3)와, 제 4 배관 위치(#4)에 따른 제 4 배관 온도(T4)와, 제 5 배관 위치(#5)에 따른 제 5 배관 온도(T5)를 목록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SD4)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 1 배관 위치(#1)는 P1과 대응하는 위치이고, 제 2 배관 위치(#2)는 P2와 대응하는 위치이고, 제 3 배관 위치(#3)는 P3와 대응하는 위치이고, 제 4 배관 위치(#4)는 P4와 대응하는 위치이고, 제 5 배관 위치(#5)는 P5와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 1 배관 위치(#1) 내지 제 5 배관 위치(#5)에 따른 제 1 배관 온도(T1) 내지 제 5 배관 온도(T5)를 목록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SD4)으로 표시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200개 내지 300개의 배관 위치에 따른 배관 온도를 목록 형태의 실시간 표시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다수 배관 감시 방법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지를 더 판단할 수 있다(740).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740의 예), 표시부(130)에 의하여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더 표시할 수 있다(750). 관리자는 표시된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표시부에 의하여 해당 위치의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0)는 제 1 배관 위치(#1)에 따른 제 1 배관 온도(T1)를 목록 형태의 팝업 표시창(PD1)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 1 배관 위치(#1)는 P1과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제 1 배관 위치 배관 온도 이상!"이라는 문구와 함께 제 1 배관 위치(#1)에 따른 제 1 배관 온도(T1)를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기준 온도값 이상이 아니면(740의 아니오), 표시부(13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730).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740의 예), 통신부(140)에 의하여, 제어부(120)에 의해 처리된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더 전송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는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더 표시할 수 있다(750). 작업자는 표시된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배관 온도를 이동하면서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해당 위치의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40)는 제 1 배관 위치(#1)에 따른 제 1 배관 온도(T1)를 목록 형태의 팝업 표시창(PD2)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 1 배관 위치(#1)는 P1과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제 1 배관 위치 배관 온도 이상!"이라는 문구와 함께 제 1 배관 위치(#1)에 따른 제 1 배관 온도(T1)를 이동하면서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다.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기준 온도값 이상이 아니면(740의 아니오), 작업자 단말기(4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730).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다수 배관 감시 방법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지를 더 판단할 수 있다(740).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740의 예), 카메라(30)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더 수신받을 수 있다(760). 카메라(30)는 기준 온도값 이상인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카메라(30)로부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더 처리하고(770), 표시부(130)에 의하여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화면으로 더 표시할 수 있다(780). 관리자는 표시된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표시부에 의하여 해당 배관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0)는 제 1 배관 위치(P1)에 따른 제 1 배관(11a)의 영상(I1)을 팝업 표시창(PD3)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제 1 배관 위치 배관 온도 이상!"이라는 문구와 함께 제 1 배관 위치(P1)에 따른 제 1 배관(11a)의 영상(I1)을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기준 온도값 이상이 아니면(740의 아니오), 표시부(13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730).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카메라(30)로부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더 처리하고(770),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40)에 전송하고, 작업자 단말기(40)에 의하여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화면으로 더 표시할 수 있다(780). 작업자는 표시된 해당 배관 위치(P1 내지 P5)의 해당 배관(11a 내지 11e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이동하면서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에서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해당 배관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40)는 제 1 배관 위치(P1)에 따른 제 1 배관(11a)의 영상(I2)을 팝업 표시창(PD4)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제 1 배관 위치 배관 온도 이상!"이라는 문구와 함께 제 1 배관 위치(P1)에 따른 제 1 배관(11a)의 영상(I2)을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다.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기준 온도값 이상이 아니면(740의 아니오), 작업자 단말기(4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730).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100)은 다수의 배관의 온도 상태를 화면으로 감시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이상 온도 상태의 해당 배관을 빠르게 찾을 수 있어 해당 배관을 빠르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110: 서버
120: 제어부 121: 프로세서
122: 메모리 130: 표시부
140: 통신부

Claims (16)

  1. 전로 후드에 마련된 다수의 배관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로 측정하는 배관 온도 측정 장치로부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는 서버;
    상기 수신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온도 측정 장치는, 광섬유 센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배관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로 측정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센서 케이블중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은 상기 다수의 배관중 홀수열 배관에 접촉되고,
    상기 광섬유 센서 케이블중 상기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과 서로 이웃하는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은 상기 다수의 배관중 짝수열 배관에 접촉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 센서 케이블 및 상기 제 2 광섬유 센서 케이블은 분산 온도 측정 센서(Distributed Temperature Sensor, DTS)를 기반으로 하는 케이블 또는 광섬유 격자(Fiber Bragg Grating, FBG)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케이블인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제어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해당 배관 위치의 배관 온도를 상기 표시부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더 제어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해당 배관 위치의 배관 온도를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제어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더 제어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제어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10. 전로 후드에 마련된 다수의 배관의 온도를 배관 위치별로 측정하는 배관 온도 측정 장치로부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는 것은,
    상기 배관 온도 측정 장치에 포함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기반 온도 측정 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는 것인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은,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에 대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상기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해당 배관 위치의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상기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에 대한 해당 배관 위치의 배관 온도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상기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해당 배관의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배관 위치별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중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해당 배관 온도 측정 데이터가 상기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해당 배관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해당 배관의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방법.
KR1020200177238A 2020-12-17 2020-12-17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KR102583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38A KR102583921B1 (ko) 2020-12-17 2020-12-17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38A KR102583921B1 (ko) 2020-12-17 2020-12-17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961A true KR20220086961A (ko) 2022-06-24
KR102583921B1 KR102583921B1 (ko) 2023-10-04

Family

ID=8221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238A KR102583921B1 (ko) 2020-12-17 2020-12-17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92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259267U (zh) * 2013-04-09 2013-10-30 武汉钢铁(集团)公司 炼钢转炉炉体温度传感监测装置
KR101520840B1 (ko) * 2013-10-31 2015-05-20 오해원 광케이블을 이용한 온도 측정 시스템
KR20170052260A (ko) * 2015-11-04 2017-05-12 주식회사 한테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로의 원격감시장치
KR20190024058A (ko) * 2017-08-31 2019-03-08 (주)셀로직 광섬유 격자 센서를 이용한 고로 철피 변형률 및 용융물 레벨 측정장치
US20190172597A1 (en) * 2017-12-04 2019-06-06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Heat Pipe Assembly of Nuclear Apparatus Having Fiber Optical Temperature Detection System
KR102043234B1 (ko) * 2018-05-04 2019-11-12 주식회사 아이에이 설비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259267U (zh) * 2013-04-09 2013-10-30 武汉钢铁(集团)公司 炼钢转炉炉体温度传感监测装置
KR101520840B1 (ko) * 2013-10-31 2015-05-20 오해원 광케이블을 이용한 온도 측정 시스템
KR20170052260A (ko) * 2015-11-04 2017-05-12 주식회사 한테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로의 원격감시장치
KR20190024058A (ko) * 2017-08-31 2019-03-08 (주)셀로직 광섬유 격자 센서를 이용한 고로 철피 변형률 및 용융물 레벨 측정장치
US20190172597A1 (en) * 2017-12-04 2019-06-06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Heat Pipe Assembly of Nuclear Apparatus Having Fiber Optical Temperature Detection System
KR102043234B1 (ko) * 2018-05-04 2019-11-12 주식회사 아이에이 설비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921B1 (ko)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19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hotspot detection
WO2018173844A1 (ja) 拡がり角測定装置、拡がり角測定方法、レーザ装置、及びレーザシステム
KR101411624B1 (ko)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MX2011000380A (es) Medicion de la temperatura en una coquilla mediante un procedimiento de medicion mediante fibra optica.
CN104215179B (zh) 使用激光位移传感器动态测量钢坯宽度的方法
US11073425B2 (en) Systems, device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emperature at remote locations using infrared light
Chakraborty et al. Process-integrated steel ladle monitoring, based on infrared imaging–a robust approach to avoid ladle breakout
Damiani et al. Safety in industry 4.0: the multi-purpose applications of augmented reality in digital factories
US10378971B2 (en) Temperature sensor
EP3425467A1 (en) Plant-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102583921B1 (ko) 전로 후드의 다수 배관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JPH0420823A (ja) 軸部発熱温度計測装置
JPH0474813A (ja) 高炉壁厚測定方法とその装置
JP2016121958A (ja) 漏水検知システム、漏水検知装置及び漏水検知方法
KR101794554B1 (ko) 온도 프로파일 구현 장치
CN211783867U (zh) 基于电力隧道巡检机器人的电缆在线测温系统
KR101497396B1 (ko) 타겟 위치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타겟 위치 측정방법
CN111103067A (zh) 基于单模光纤的电缆沟温度监测方法和系统
Lindblom et al. Refractory lining health monitoring based on Raman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ry
CN112831623A (zh) 一种预防高炉炉缸烧穿的方法
JP2008101933A (ja) 鋼構造物の表面温度測定方法
JP4413180B2 (ja) 光ファイバの伝送損失表示装置及び方法
KR20120044658A (ko) 블록 세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877647B1 (ko) 광섬유 인선공정에서 광섬유 클래드층의 보이드 결함 감시장치 및 그 방법
CN104301685A (zh) 一种光纤振动环境可视化监控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