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359A -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359A
KR20220086359A KR1020200176733A KR20200176733A KR20220086359A KR 20220086359 A KR20220086359 A KR 20220086359A KR 1020200176733 A KR1020200176733 A KR 1020200176733A KR 20200176733 A KR20200176733 A KR 20200176733A KR 20220086359 A KR20220086359 A KR 20220086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ethylene
vinyl acetate
distillation column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055B1 (ko
Inventor
김정훈
강미현
고민수
오상준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0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1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lcohol radical
    • C08F216/04Acyclic compounds
    • C08F216/06Polyvinyl alcohol ; Vinyl alcoh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에 있어서, 에틸렌, 초산비닐 및 중합 반응을 위한 제1 용매를 중합반응기에 주입하여,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반응기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미반응 에틸렌, 초산비닐 및 제1 용매를 플래시드럼에 주입하여, 미반응 에틸렌이 제거되는 단계, 비누화 반응을 위한 제2 용매와 함께, 상기 플래시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미반응 초산비닐 및 제1 용매를 회수탑에 주입하여,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제2 용매에 용해되어 탑저로 분리되고, 미반응 초산비닐, 제1 용매 및 제2 용매는 탑정으로 분리되는 단계, 상기 회수탑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미반응 초산비닐, 제1 용매 및 제2 용매를 1차 증류탑에 주입하여, 제1, 제2 용매 중 일부 또는 초산비닐 중 일부는 탑저로 분리되고, 그 나머지로서 1차 혼합물은 탑정으로 분리되는 단계, 상기 1차 증류탑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1차 혼합물을 2차 증류탑에 주입하여, 초산비닐 중 일부 또는 제1, 제2 용매 중 일부는 탑저로 분리되고, 그 나머지로서 2차 혼합물은 탑정으로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2차 증류탑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2차 혼합물을 상기 1차 증류탑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용매 및 상기 제2 용매는 비닐초산과 최소 공비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고, 상기 1차 증류탑 및 상기 2차 증류탑은 서로 다른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METHOD FOR RECOVERING UNREACTED MATERIALS IN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흔히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초산비닐과 알코올을 분리하여 초산비닐을 회수하고자 할 때, 초산비닐과 알코올 간에 공비가 존재할 경우, 공비를 피하기 위해 공비제(예컨대 물)를 사용하여 증류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에 의하면 많은 유닛 또는 칼럼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운전 난이도가 올라가고 안정성이 떨어지며, 일부 알코올에 대해 적절한 공비제를 찾기 어려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반응물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에 있어서, 에틸렌, 초산비닐 및 중합 반응을 위한 제1 용매를 중합반응기에 주입하여,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반응기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미반응 에틸렌, 초산비닐 및 제1 용매를 플래시드럼에 주입하여, 미반응 에틸렌이 제거되는 단계, 비누화 반응을 위한 제2 용매와 함께, 상기 플래시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미반응 초산비닐 및 제1 용매를 회수탑에 주입하여,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제2 용매에 용해되어 탑저로 분리되고, 미반응 초산비닐, 제1 용매 및 제2 용매는 탑정으로 분리되는 단계, 상기 회수탑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미반응 초산비닐, 제1 용매 및 제2 용매를 1차 증류탑에 주입하여, 제1, 제2 용매 중 일부 또는 초산비닐 중 일부는 탑저로 분리되고, 그 나머지로서 1차 혼합물은 탑정으로 분리되는 단계, 상기 1차 증류탑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1차 혼합물을 2차 증류탑에 주입하여, 초산비닐 중 일부 또는 제1, 제2 용매 중 일부는 탑저로 분리되고, 그 나머지로서 2차 혼합물은 탑정으로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2차 증류탑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2차 혼합물을 상기 1차 증류탑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용매 및 상기 제2 용매는 비닐초산과 최소 공비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고, 상기 1차 증류탑 및 상기 2차 증류탑은 서로 다른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용매는 에탄올이고, 상기 1차 증류탑 및 상기 2차 증류탑은 상기 1차 혼합물 및 상기 2차 혼합물이 48.2 내지 78.8 mol%의 초산비닐 몰분율을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용매는 tert-뷰틸알코올이고, 상기 1차 증류탑 및 상기 2차 증류탑은 상기 1차 혼합물 및 상기 2차 혼합물이 47.8 내지 87.8 mol%의 초산비닐 몰분율을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증류탑 및 상기 2차 증류탑은 상기 1차 혼합물과 상기 2차 혼합물이 10 mol% 이상의 초산비닐 몰분율 차를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증류탑 및 상기 2차 증류탑은 각각의 압력에서 공비조성이 5 mol% 이상의 초산비닐 몰분율 차를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래시드럼으로부터 제거되는 미반응 에틸렌을 상기 중합반응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용매와 상기 제2 용매는 서로 다른 물질이고, 상기 1차 증류탑 또는 상기 2차 증류탑의 탑저로부터 분리되는 제1, 제2 용매를 분류탑에 주입하여, 제1 용매와 제2 용매가 서로 분리되는 단계, 상기 분류탑으로부터 분리되는 제1 용매를 상기 중합반응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탑으로부터 분리되는 제2 용매를 상기 회수탑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증류탑 또는 상기 2차 증류탑의 탑저로부터 분리되는 초산비닐을 상기 중합반응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은 용매로 초산비닐과 공비를 형성할 수 있는 알코올(예컨대 에탄올, tert-뷰틸알코올 등)을 사용하여, 두 개의 증류탑(즉 1차 증류탑 및 2차 증류탑)을 이용한 압력 스윙으로 초산비닐과 알코올을 분리하여 각각 회수하고, 그 나머지는 다시 1차 증류탑으로 회수함으로써, 미반응물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초산비닐 및 에탄올 혼합물에 대한 열역학 선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10)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에틸렌(C2), 초산비닐(VAM) 및 중합 반응을 위한 용매(이하 "제1 용매"라 함)를 중합반응기(11)에 주입하여,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c)가 생성된다. 제1 용매는 초산비닐과 최소 공비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 탄소수가 1 내지 6인 지방족 알코올, 보다 일반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4인 지방족 알코올, 특히 메탄올, 에탄올 또는 tert-뷰틸알코올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용매가 tert-뷰틸알코올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중합반응기(11)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c), 미반응 에틸렌(C2), 초산비닐(VAM) 및 제1 용매(TBA)를 플래시드럼(12)에 주입하여, 미반응 에틸렌(C2)이 제거된다. 이러한 에틸렌(C2)은 중합반응기(11)로 회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래시드럼(12)으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c), 미반응 초산비닐(VAM) 및 제1 용매(TBA)를 회수탑(13)에 주입한다.
또한 비누화 반응을 위한 용매(이하 "제2 용매"라 함)를 회수탑(13)에 함께 주입한다. 제2 용매는 초산비닐과 최소 공비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 탄소수가 1 내지 6인 지방족 알코올, 보다 일반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4인 지방족 알코올, 특히 에탄올 또는 tert-뷰틸알코올일 수 있다. 제1 용매와 제2 용매는 서로 같은 물질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제2 용매가 에탄올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회수탑(13)에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c)는 제2 용매(EtOH)에 용해되어 탑저로 분리되고, 미반응 초산비닐(VAM), 제1 용매(TBA) 및 제2 용매(EtOH)는 탑정으로 분리된다. 이때 미반응 에틸렌(C2)이 남아 있었다면 퍼지된다.
이후 회수탑(13)의 탑저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c)는 비누화 반응을 통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로 변환된다. 단 이러한 과정 자체는 공지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회수탑(13)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미반응 초산비닐(VAM), 제1 용매(TBA) 및 제2 용매(EtOH)를 1차 증류탑(14)에 주입한다. 이때 조성 및 압력 조건에 따라 제1, 제2 용매(TBA, EtOH) 중 일부 또는 미반응 초산비닐(VAM) 중 일부는 탑저로 분리되고, 그 나머지(이하 "1차 혼합물"이라 함)는 탑정으로 분리된다.
만약 1차 증류탑(14)에서 조성 및 압력 조건상 제1, 제2 용매 중 일부가 탑저로 분리된다면, 제1 용매와 제2 용매가 서로 같은 물질인 경우 또는 제1 용매와 제2 용매가 서로 다른 물질이지만 제2 용매가 제1 용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경우, 이들은 중합반응기(11)로 회수될 수 있다. 반면 제1 용매와 제2 용매가 서로 다른 물질이고 어느 한 용매가 다른 용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이 아닌 경우, 이들은 분류탑(16)으로 공급되어 제1 용매와 제2 용매로 분리된 후 제1 용매는 중합반응기(11)로 회수되고 제2 용매는 회수탑(13)으로 회수될 수 있다. 만약 1차 증류탑(14)에서 조성 및 압력 조건상 미반응 초산비닐 중 일부가 탑저로 분리된다면, 이러한 초산비닐은 중합반응기(11)로 회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1차 증류탑(14)에서 제1, 제2 용매(EtOH, TBA) 중 일부가 탑저로 분리되어 분류탑(16)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1차 증류탑(14)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1차 혼합물을 2차 증류탑(15)에 주입한다. 이때 조성 및 압력 조건에 따라 미반응 초산비닐(VAM) 중 일부 또는 제1, 제2 용매(TBA, EtOH) 중 일부는 탑저로 분리되고, 그 나머지(이하 "2차 혼합물"이라 함)는 탑정으로 분리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만약 2차 증류탑(15)에서 조성 및 압력 조건상 미반응 초산비닐 중 일부가 탑저로 분리된다면, 이러한 초산비닐은 중합반응기(11)로 회수될 수 있다. 만약 2차 증류탑(15)에서 조성 및 압력 조건상 제1, 제2 용매 중 일부가 탑저로 분리된다면, 제1 용매와 제2 용매가 서로 같은 물질인 경우 또는 제1 용매와 제2 용매가 서로 다른 물질이지만 제2 용매가 제1 용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경우, 이들은 중합반응기(11)로 회수될 수 있다. 반면 제1 용매와 제2 용매가 서로 다른 물질이고 어느 한 용매가 다른 용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이 아닌 경우, 이들은 분류탑(16)으로 공급되어 제1 용매와 제2 용매로 분리된 후 제1 용매는 중합반응기(11)로 회수되고 제2 용매는 회수탑(13)으로 회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2차 증류탑(15)에서 미반응 초산비닐(VAM) 중 일부가 탑저로 분리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초산비닐(VAM)은 중합반응기(11)로 회수될 수 있으며, 2차 혼합물은 1차 증류탑(14)으로 공급된다.
1차 증류탑(14) 및 2차 증류탑(15)은 서로 다른 압력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용매와 제2 용매가 모두 에탄올인 경우 또는 제2 용매는 에탄올이고 제1 용매는 그와 다른 물질이지만 회수탑(13)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에서 제2 용매가 제1 용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경우, 1차 증류탑(14) 및 2차 증류탑(15)은 1차 혼합물 및 2차 혼합물이 48.2 내지 78.2 mol%의 초산비닐 몰분율을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매와 제2 용매가 모두 tert-뷰틸알코올인 경우 또는 제2 용매는 tert-뷰틸알코올이고 제1 용매는 그와 다른 물질이지만 회수탑(13)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에서 제2 용매가 제1 용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경우, 1차 증류탑(14) 및 2차 증류탑(15)은 1차 혼합물 및 2차 혼합물이 47.8 내지 87.8 mol%의 초산비닐 몰분율을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1차 증류탑(14) 및 2차 증류탑(15)은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이 약 10 mol% 이상의 초산비닐 몰분율 차를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1차 증류탑(14) 및 2차 증류탑(15)은 각각의 압력에서 공비조성이 약 5 mol% 이상의 초산비닐 몰분율 차를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용매는 tert-뷰틸알코올이고, 제2 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다. 단 편의상 회수탑(13)으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에서 제2 용매가 제1 용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아 제1 용매는 무시될 수 있을 정도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러한 혼합물은 약 63 mol%의 초산비닐 몰분율을 가지며, 1차 증류탑(14)은 0.3 bar로 설정되고, 2차 증류탑(15)은 0.8 bar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전술한 초산비닐 및 에탄올 혼합물을 1차 증류탑(14)에 주입하면(A), 1차 증류탑(14)에서 고순도의 에탄올이 탑저로 분리될 수 있다(B). 이러한 에탄올은 중합반응기(11)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약 76 VAM mol%의 1차 혼합물이 탑정으로 분리되어(C), 2차 증류탑(15)으로 공급된다(D).
이후 2차 증류탑(15)에서 고순도의 초산비닐이 탑저로 분리될 수 있다(E). 이러한 초산비닐은 중합반응기(11)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약 63 VAM mol%의 2차 혼합물이 탑저로 분리되어(F), 회수탑(13)으로부터 배출되는 미반응물과 함께, 1차 증류탑(14)으로 공급된다(G).
이상으로 설명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모두 포함한다.

Claims (8)

  1.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에 있어서,
    에틸렌, 초산비닐 및 중합 반응을 위한 제1 용매를 중합반응기에 주입하여,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반응기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미반응 에틸렌, 초산비닐 및 제1 용매를 플래시드럼에 주입하여, 미반응 에틸렌이 제거되는 단계,
    비누화 반응을 위한 제2 용매와 함께, 상기 플래시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미반응 초산비닐 및 제1 용매를 회수탑에 주입하여,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제2 용매에 용해되어 탑저로 분리되고, 미반응 초산비닐, 제1 용매 및 제2 용매는 탑정으로 분리되는 단계,
    상기 회수탑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미반응 초산비닐, 제1 용매 및 제2 용매를 1차 증류탑에 주입하여, 제1, 제2 용매 중 일부 또는 초산비닐 중 일부는 탑저로 분리되고, 그 나머지로서 1차 혼합물은 탑정으로 분리되는 단계,
    상기 1차 증류탑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1차 혼합물을 2차 증류탑에 주입하여, 초산비닐 중 일부 또는 제1, 제2 용매 중 일부는 탑저로 분리되고, 그 나머지로서 2차 혼합물은 탑정으로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2차 증류탑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2차 혼합물을 상기 1차 증류탑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용매 및 상기 제2 용매는 비닐초산과 최소 공비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고,
    상기 1차 증류탑 및 상기 2차 증류탑은 서로 다른 압력으로 설정되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매는 에탄올이고,
    상기 1차 증류탑 및 상기 2차 증류탑은 상기 1차 혼합물 및 상기 2차 혼합물이 48.2 내지 78.8 mol%의 초산비닐 몰분율을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되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매는 tert-뷰틸알코올이고,
    상기 1차 증류탑 및 상기 2차 증류탑은 상기 1차 혼합물 및 상기 2차 혼합물이 47.8 내지 87.8 mol%의 초산비닐 몰분율을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되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증류탑 및 상기 2차 증류탑은 상기 1차 혼합물과 상기 2차 혼합물이 10 mol% 이상의 초산비닐 몰분율 차를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되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증류탑 및 상기 2차 증류탑은 각각의 압력에서 공비조성이 5 mol% 이상의 초산비닐 몰분율 차를 갖도록 하는 압력으로 설정되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드럼으로부터 제거되는 미반응 에틸렌을 상기 중합반응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매와 상기 제2 용매는 서로 다른 물질이고,
    상기 1차 증류탑 또는 상기 2차 증류탑의 탑저로부터 분리되는 제1, 제2 용매를 분류탑에 주입하여, 제1 용매와 제2 용매가 서로 분리되는 단계,
    상기 분류탑으로부터 분리되는 제1 용매를 상기 중합반응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탑으로부터 분리되는 제2 용매를 상기 회수탑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증류탑 또는 상기 2차 증류탑의 탑저로부터 분리되는 초산비닐을 상기 중합반응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KR1020200176733A 2020-12-16 2020-12-16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KR102477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33A KR102477055B1 (ko) 2020-12-16 2020-12-16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33A KR102477055B1 (ko) 2020-12-16 2020-12-16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359A true KR20220086359A (ko) 2022-06-23
KR102477055B1 KR102477055B1 (ko) 2022-12-13

Family

ID=8222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733A KR102477055B1 (ko) 2020-12-16 2020-12-16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0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313A (ko) * 2000-06-29 2002-01-09 나카무라 하사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그 비누화물의 제조 방법
JP2002060403A (ja) * 2000-06-06 2002-02-26 Kuraray Co Ltd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およびそのケン化物の製造方法
JP2006527225A (ja) * 2003-06-12 2006-11-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ビニルエーテルおよびアルコールを含有する混合物の蒸留分離法
KR101584195B1 (ko) * 2015-10-06 2016-01-13 재원산업 주식회사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의 정제방법
KR20200090040A (ko) * 2019-01-18 2020-07-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반응 비닐 아세테이트의 회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403A (ja) * 2000-06-06 2002-02-26 Kuraray Co Ltd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およびそのケン化物の製造方法
KR20020002313A (ko) * 2000-06-29 2002-01-09 나카무라 하사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그 비누화물의 제조 방법
JP2006527225A (ja) * 2003-06-12 2006-11-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ビニルエーテルおよびアルコールを含有する混合物の蒸留分離法
KR101584195B1 (ko) * 2015-10-06 2016-01-13 재원산업 주식회사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의 정제방법
KR20200090040A (ko) * 2019-01-18 2020-07-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반응 비닐 아세테이트의 회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055B1 (ko)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9726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ethyl acetate from ethanol and water by extractive distillation
CN103172491B (zh) 一种混合萃取剂分离乙酸甲酯–甲醇混合物的方法
KR102533952B1 (ko)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02526518A (ja) プロセス
KR102477055B1 (ko)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미반응물 회수 방법
JP2019189621A (ja) ジメチルカーボネート/メタノール混合物からのジメチルカーボネートの反応的回収
JPH072711A (ja) アルカノールの、高炭素数の他の有機化合物からの分離法
CN103992214A (zh) 一种从废水中回收有机物的节能减排方法
CN107935807A (zh) 一种回收精制甲基环戊烷的系统和方法及其用途
KR950032025A (ko) 막에 의한 투과처리와 증류를 병행하여 에틸 3차부틸 에테르를 정제하는 방법
KR20170076710A (ko) 압력 변동 증류를 사용한 메탄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비혼합물의 파괴
CN107337601B (zh) 一种异丁醇和乙酸异丁酯的分离方法
Berg et al. The separation of methyl acetate from methanol by extractive distillation
JP5758879B2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669087B1 (ko)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CN104478712B (zh) 一种两步萃取精馏分离乙酸甲酯-甲醇的方法
CN102356073B (zh) 六氟环氧丙烷和六氟丙烯的分离方法
US6849163B2 (en) Method for producing tetrafluoroethylene
US2893923A (en) Purification of acetic acid by azeotropic distillation
KR102584926B1 (ko) 미반응 비닐 아세테이트의 회수 방법
US3152968A (en) Recovery of methylene chloride from a mixed solvent system by extractive distillation with water
CN104387231B (zh) 一种两步萃取精馏分离丙酮-甲醇的装置及其方法
CN104383711B (zh) 以氯化1-(2-氯乙基)-3-甲基咪唑为萃取剂分离叔丁醇-水的装置及其方法
CN108359085B (zh) 应用于醇酸或聚酯树脂合成中的脱水工艺
KR102109403B1 (ko) 신너 폐액의 정제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신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