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118A -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 Google Patents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118A
KR20220086118A KR1020200176261A KR20200176261A KR20220086118A KR 20220086118 A KR20220086118 A KR 20220086118A KR 1020200176261 A KR1020200176261 A KR 1020200176261A KR 20200176261 A KR20200176261 A KR 20200176261A KR 20220086118 A KR20220086118 A KR 20220086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protrusion
handle
stick par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417B1 (ko
Inventor
박현욱
Original Assignee
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욱 filed Critical 박현욱
Priority to KR102020017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4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손잡이 스틱을 청소용구의 헤드에 탈착식으로 신속하게 결합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 스틱을 접는 동작으로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에서 결합을 해제시킨 후 상기 손잡이 스틱을 빼낼 수 있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을 가지는 메인 스틱부와,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 스틱부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상기 메인 스틱부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 스틱부의 전방으로 인출되며 전단부 둘레면에 제1 출입홀과 상기 제1 출입홀로부터 후방에 제2 출입홀이 형성된 엔드 스틱부와, 상기 엔드 스틱부의 전단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출입홀을 통해 상기 엔드 스틱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청소용구의 헤드와 결합되는 헤드 결합돌기와 상기 제2 출입홀을 통해 상기 엔드 스틱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푸쉬돌기가 형성된 헤드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돌기가 푸쉬될 시 상기 헤드 결합돌기는 상기 푸쉬돌기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HANDLE STICK OF CLEANING TOOL}
본 발명은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걸레, 먼지털이 또는 테이프 클리너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걸레, 먼지털이 또는 테이프 클리너와 같은 청소용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인 손잡이 스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 스틱의 전단에 청소용구의 본체 부분인 헤드가 결합되어 상기 대걸레, 상기 먼지털이 또는 상기 테이프 클리너가 구성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2640호(2020.11.24.)(이하, '종래 기술 1'이라 함)에는 '핸드스틱 물걸레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 1에는 상기 손잡이 스틱인 '걸레봉'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걸레봉이 물걸레의 헤드를 구성하는 부분인 '메인 브라켓'에 '힌지블록'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 1은 상기 걸레봉에 상기 메인 브라켓이 상기 힌지블록을 통해 결합된 형태로 판매되므로, 상기 걸레봉에서 상기 메인 브라켓을 분리할 수 없어서, 보관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0762호(2000.05.15)(이하, '종래 기술 2'라 함)에는 '손잡이대가 회전식으로 결합되는 대걸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 2에는 상기 손잡이 스틱인 '손잡이대'가 개시되어 있는데, 대걸레의 헤드를 구성하는 부분인 걸레를 고정하는 '체결구'와, 이에 고정되는 상기 손잡이대를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요철 형상의 체결홈부를 성형하여 끼워 맞춤식으로 상기 손잡이대를 결합한 후 상기 체결구의 외측에서 '고정구'로 상기 체결구를 가압하여 결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손잡이대가 상기 체결구에 회전식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손잡이대를 상기 체결구에 결합 및 분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2640호(2020.11.2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0762호(2000.05.15)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손잡이 스틱을 청소용구의 헤드에 탈착식으로 신속하게 결합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 스틱을 접는 동작으로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에서 결합을 해제시킨 후 상기 손잡이 스틱을 빼낼 수 있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을 가지는 메인 스틱부와,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 스틱부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상기 메인 스틱부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 스틱부의 전방으로 인출되며 전단부 둘레면에 제1 출입홀과 상기 제1 출입홀로부터 후방에 제2 출입홀이 형성된 엔드 스틱부와, 상기 엔드 스틱부의 전단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출입홀을 통해 상기 엔드 스틱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청소용구의 헤드와 결합되는 헤드 결합돌기와 상기 제2 출입홀을 통해 상기 엔드 스틱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푸쉬돌기가 형성된 헤드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돌기가 푸쉬될 시 상기 헤드 결합돌기는 상기 푸쉬돌기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헤드 결합돌기의 외측면 전방부에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푸쉬돌기의 외측면 후방부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 스틱부의 전단부를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로 삽입할 시 상기 헤드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경사면부터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에 의해 푸쉬되고, 상기 엔드 스틱부를 상기 메인 스틱부의 내부로 삽입할 시 상기 푸쉬돌기는 상기 제2 경사면부터 상기 메인 스틱부에 의해 푸쉬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 유닛은, 상기 헤드 결합돌기 및 상기 푸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 결합돌기 및 상기 푸쉬돌기의 푸쉬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엔드 스틱부 내에 고정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후단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후단을 연결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푸쉬돌기의 반대편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 탄성부재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 결합돌기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돌기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전단부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전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엔드 스틱부의 전단부 둘레면에 형성된 결합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 결합 유닛을 상기 엔드 스틱부의 전단부 내부에 고정하는 헤드 결합 유닛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돌기는 상기 헤드 결합 유닛 고정돌기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푸쉬돌기는 상기 헤드 결합 유닛 고정돌기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스틱부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 스틱부와,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전방으로 인출되고 상기 엔드 스틱부가 개구된 전단을 통해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중간 스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스틱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는 제1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엔드 스틱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엔드 스틱부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각각의 상기 제1 걸림홀과 연통되는 제1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 스틱부의 후단부 내부에는 상기 엔드 스틱부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상기 제1 연통홀을 통해 각각의 상기 제1 걸림홀에 걸림되는 제1 걸림부재를 구비한 제1 걸림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재의 외측면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엔드 스틱부를 상기 중간 스틱부에서 인출할 시 상기 제1 걸림부재는 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상기 중간 스틱부에 의해 푸쉬되고, 상기 엔드 스틱부를 상기 중간 스틱부의 내부로 삽입할 시 상기 제1 걸림부재는 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상기 중간 스틱부에 의해 푸쉬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 유닛에는 상기 제1 걸림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걸림부재의 무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재가 각각의 상기 제1 걸림홀에 걸림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스틱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는 버튼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스틱부에는 상기 중간 스틱부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각각의 상기 버튼 걸림홀에 걸림되는 버튼돌기가 형성된 푸쉬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푸쉬버튼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튼돌기가 상기 버튼 걸림홀에 걸림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버튼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스틱부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제1 중간 스틱부와,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의 전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엔드 스틱부가 개구된 전단을 통해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상기 제2 중간 스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는 제2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스틱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2 중간 스틱부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각각의 상기 제2 걸림홀과 연통되는 제2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중간 스틱부의 후단부 내부에는 상기 제2 중간 스틱부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상기 제2 연통홀을 통해 각각의 상기 제2 걸림홀에 걸림되는 제2 걸림부재를 구비한 제2 걸림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재의 외측면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스틱부를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에서 인출할 시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에 의해 푸쉬되고, 상기 제2 중간 스틱부를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의 내부로 삽입할 시 상기 제2 걸림부재는 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에 의해 푸쉬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 유닛에는 상기 제2 걸림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걸림부재의 무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부재가 각각의 상기 제2 걸림홀에 걸림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은, 엔드 스틱부에 설치된 헤드 결합 유닛에 헤드 결합돌기 및 푸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푸쉬돌기가 푸쉬될 시 상기 헤드 결합돌기는 상기 푸쉬돌기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손잡이 스틱을 청소용구의 헤드에 탈착식으로 신속하게 결합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 스틱을 접는 동작으로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에서 결합을 해제시킨 후 상기 손잡이 스틱을 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은, 푸쉬버튼만 누른 상태로 손잡이 스틱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고, 손잡이 스틱의 외부에 별도의 고정구를 설치하지 않고도 손잡이 스틱의 길이를 길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또는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의 위치에 맞게, 손잡이 스틱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에 원으로 표시한 A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도 3에 원으로 표시한 B부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도 3에 원으로 표시한 C부를 확대한 도면,
도 7은 도 3에 원으로 표시한 D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1)은, 청소용구의 헤드에 결합되는 손잡이 스틱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는 걸레, 먼지털이 또는 테이프 클리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1)은,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길이가 짧게 접혀질 수 있고,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게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1)은 메인 스틱부(100, 200, 300)와, 엔드 스틱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스틱부(100, 200, 30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스틱부(100, 200, 3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엔드 스틱부(40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엔드 스틱부(400)는 메인 스틱부(100, 200, 300)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메인 스틱부(100, 200, 300)의 내부에서 메인 스틱부(100, 200, 30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메인 스틱부(100, 200, 300)는 손잡이 스틱부(100)와, 중간 스틱부(200, 30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스틱부(10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스틱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구성일 수 있다. 손잡이 스틱부(100)의 외측 둘레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가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는 손잡이 스틱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사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스틱부(200, 30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스틱부(100)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손잡이 스틱부(100)의 내부에서 손잡이 스틱부(10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엔드 스틱부(400)는 중간 스틱부(200, 300)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중간 스틱부(200, 30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중간 스틱부(200, 300)는 제1 중간 스틱부(200)와, 제2 중간 스틱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간 스틱부(20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간 스틱부(200)는 손잡이 스틱부(100)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손잡이 스틱부(100)의 내부에서 손잡이 스틱부(10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2 중간 스틱부(30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간 스틱부(300)는 제1 중간 스틱부(200)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제1 중간 스틱부(200)의 내부에서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엔드 스틱부(400)는 제2 중간 스틱부(300)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제2 중간 스틱부(30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손잡이 스틱부(100), 제1 중간 스틱부(200), 제2 중간 스틱부(300) 및 엔드 스틱부(400)는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스틱부(100), 제1 중간 스틱부(200), 제2 중간 스틱부(300) 및 엔드 스틱부(400)는 사각형상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손잡이 스틱부(100), 제1 중간 스틱부(200), 제2 중간 스틱부(300) 및 엔드 스틱부(400)는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지는 내부가 빈 구조의 사각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엔드 스틱부(400)의 전단에는 엔드 스틱부(400)의 개구된 전단을 덮는 제1 데코부재(4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데코부재(410)의 중심에는 엔드 스틱부(400)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데코부재(410)는 엔드 스틱부(400)의 전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전단에는 제2 중간 스틱부(300)가 관통하는 제2 데코부재(2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데코부재(210)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돌기(211)가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전단부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홀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2 데코부재(210)는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데코부재(210)는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전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전단에는 엔드 스틱부(400)가 관통하는 제3 데코부재(3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3 데크부재(310)에는 한 상의 결합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돌기(311)가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전단부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홀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3 데코부재(310)는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데코부재(310)는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전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손잡이 스틱부(100)의 전단부에는 푸쉬버튼(120)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푸쉬버튼(120)을 푸쉬한 상태일 때 제1 중간 스틱부(200)는 손잡이 스틱부(100)의 내에서 인출되거나 손잡 스틱부(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 스틱부(100)의 전단부에는 푸쉬버튼(120)이 삽입되는 푸쉬버튼 수용부(1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푸쉬버튼 수용부(11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푸쉬버튼(120)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121)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힌지축(121)은 푸쉬버튼(1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푸쉬버튼 수용부(110)의 좌측면 우측면에는 힌지축(121)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힌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에 원으로 표시한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엔드 스틱부(400)의 전단부 둘레면에는 제1 출입홀(431) 및 제2 출입홀(4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출입홀(431) 및 제2 출입홀(432)은 엔드 스틱부(400)의 전단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출입홀(432)은 제1 출입홀(431)로부터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엔드 스틱부(400)의 전단부 내부에는 헤드 결합 유닛(450)이 설치될 수 있다. 헤드 결합 유닛(450)에는 헤드 결합돌기(451) 및 푸쉬돌기(452)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 결합돌기(451)는 제1 출입홀(431)을 통해 엔드 스틱부(40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와 결합될 수 있다.
푸쉬돌기(452)는 제2 출입홀(432)을 통해 엔드 스틱부(40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푸쉬돌기(452)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푸쉬될 수 있다. 또한, 푸쉬돌기(45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1)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때, 메인 스틱부(100, 200, 300) 중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전단에 구비된 제3 데코부재(310)에 의해 푸쉬될 수도 있다.
푸쉬돌기(452)가 푸쉬될 시, 헤드 결합돌기(451)는 푸쉬돌기(452)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에서 엔드 스틱부(40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헤드 결합돌기(451)의 외측면 전방부에는 제1 경사면(45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헤드 결합돌기(451)의 상면 전방부에는 제1 경사면(451A)이 형성될 수 있다.
푸쉬돌기(452)의 외측면 후방부에는 제2 경사면(45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푸쉬돌기(452)의 상면 후방부에는 제2 경사면(452A)이 형성될 수 있다.
엔드 스틱부(400)의 전단부를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로 삽입할 시, 헤드 결합돌기(451)는 제1 경사면(451A)부터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에 의해 쉽게 푸쉬될 수 있다.
또한, 엔드 스틱부(400)를 메인 스틱부(100, 200, 300) 중 제2 중간 스틱부(300)의 내부로 삽입할 시, 푸쉬돌기(452)는 제2 경사면(452A)부터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전단에 의해 쉽게 푸쉬될 수 있다.
헤드 결합 유닛(450)은 제1 플레이트부(457), 제2 플레이트부(458) 및 커넥팅부(459)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결합돌기(451) 및 푸쉬돌기(452)는 제1 플레이트부(457)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 결합돌기(451) 및 푸쉬돌기(452)는 제1 플레이트부(457)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 결합돌기(451) 및 푸쉬돌기(452)는 제1 플레이트부(457)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457)는 헤드 결합돌기(451) 및 푸쉬돌기(452)의 푸쉬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헤드 결합돌기(451)는 제1 플레이트부(457)의 전단부 외측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 결합돌기(451)는 제1 플레이트부(457)의 전단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458)는 제1 플레이트부(457)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458)는 엔드 스틱부(400) 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부(459)는 제1 플레이트부(457)의 후단 및 제2 플레이트부(458)의 후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플레이트부(457)는 헤드 결합돌기(451) 및 푸쉬돌기(452)의 푸쉬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457) 및 제2 플레이트부(458) 사이에는 탄성부재(455)가 배치될 수 있다. 헤드 결합돌기(451) 또는 푸쉬돌기(452)가 푸쉬되면, 제1 플레이트부(457)가 헤드 결합돌기(451) 또는 푸쉬돌기(452)의 푸쉬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부재(455)를 압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455)가 압착되면, 탄성부재(455)는 제1 플레이트부(457)를 원위치로 이동시킬려는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455)가 압착된 상태에서 헤드 결합돌기(451) 또는 푸쉬돌기(452)의 푸쉬력이 해제되면, 제1 플레이트부(457)는 탄성부재(45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헤드 결합돌기(451)는 제1 출입홀(431)을 통해 엔드 스틱부(40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푸쉬돌기(452)는 제2 출입홀(432)을 통해 엔드 스틱부(40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457)에는 푸쉬돌기(452)의 반대편면에 탄성부재(455)의 상단이 결합되는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45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부(458)에는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454)와 대향하는 면에 탄성부재(455)의 하단이 결합되는 제2 탄성부재 결합돌기(456)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55)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454)는 탄성부재(455)의 상단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탄성부재 결합돌기(456)는 탄성부재(455)의 하단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458)의 전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엔드 스틱부(400)의 전단부 둘레면에 형성된 결합홀(433)로 삽입되어 헤드 결합 유닛(450)을 엔드 스틱부(400)의 전단부 내부에 고정하는 헤드 결합 유닛 고정돌기(453)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 결합 유닛 고정돌기(453)는 제2 플레이트부(458)의 전단부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457)는 제2 플레이트부(458)보다 전후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부(459)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457)의 전단은 제2 플레이트부(458)의 전단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457)의 후단은 제2 플레이트부(458)의 후단과 후방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 결합돌기(451)는 헤드 결합 유닛 고정돌기(453)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푸쉬돌기(452)는 헤드 결합 유닛 고정돌기(453)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원으로 표시한 B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중간 스틱부(200, 300) 중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제1 걸림홀(331, 3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걸림홀(332)은 도 6을 참조하기 바란다. 제1 걸림홀(331, 332)은 제2 중간 스틱부(3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엔드 스틱부(400)의 후단부에는 엔드 스틱부(400)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각각의 제1 걸림홀(331, 332)과 연통되는 제1 연통홀(4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통홀(434)은 엔드 스틱부(4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통홀(434)은 엔드 스틱부(400)가 제2 중간 스틱부(300)에서 최대로 인출된 위치일 때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전단부에 형성된 제1 걸림홀(331)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연통홀(434)은 엔드 스틱부(400)가 제2 중간 스틱부(300)의 내부로 최대로 삽입된 위치일 때 제2 중간 스틱부(3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1 걸림홀(332)과 연통될 수 있다.
엔드 스틱부(400)의 후단부 내부에는 엔드 스틱부(400)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제1 연통홀(434)을 통해 각각의 제1 걸림홀(331, 332)에 걸림되는 제1 걸림부재(461)를 구비한 제1 걸림 유닛(46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연통홀(434)이 각각의 제1 걸림홀(331, 332)과 연통되는 경우, 제1 걸림부재(461)는 각각의 제1 걸림홀(331, 332)을 통해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461)의 외측면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 걸림홀(331, 332)을 통해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된 제1 걸림부재(461)의 하면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엔드 스틱부(400)를 제2 중간 스틱부(300)에서 인출할 시, 제1 걸림부재(461)는 제1 걸림부재(461)의 하면 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제2 중간 스틱부(300)에 의해 푸쉬될 수 있다. 그리고, 엔드 스틱부(400)를 제2 중간 스틱부(300)의 내부로 삽입할 시, 제1 걸림부재(461)는 제1 걸림부재(461)의 하면 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제2 중간 스틱부(300)에 의해 푸쉬될 수 있다.
제1 걸림 유닛(460)에는 제1 가이드돌기(46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돌기(464)는 제1 걸림부재(461)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걸림부재(461)의 무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돌기(464)의 외주에는 제1 탄성부재(46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465)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465)의 상단부에는 제1 가이드돌기(464)가 삽입될 수 있고, 제1 탄성부재(465)의 하단부에는 제1 걸림부재(461) 중 제1 가이드돌기(464)가 삽입되는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465)는 제1 걸림부재(461)가 각각의 제1 걸림홀(331, 332)에 걸림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걸림부재(461)는 제1 탄성부재(465)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연통홀(434)을 통해 엔드 스틱부(40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다가, 제1 연통홀(434)이 제1 걸림홀(331, 332) 중 하나와 연통되는 경우, 제1 걸림부재(461)는 제1 걸림홀(331, 332) 중 제1 연통홀(434)과 연통된 하나를 통해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걸림 유닛(460)의 상면에는 제1 탄성걸림돌기(463)이 형성될 수 있다. 엔드 스틱부(400)의 상면에는 제1 탄성걸림돌기(463)가 걸림되는 홀(4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걸림돌기(463)의 주변이 절개 형성되어, 제1 탄성걸림돌기(463)는 홀(435)에 걸림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탄성걸림돌기(463)가 홀(435)에 걸림됨으로써, 제1 걸림 유닛(460)은 엔드 스틱부(400)의 후단부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원으로 표시한 C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제2 걸림홀(231, 2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걸림홀(232)은 도 7을 참조하기 바란다. 제2 걸림홀(231, 232)은 제1 중간 스틱부(2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간 스틱부(300)의 후단부에는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각각의 제2 걸림홀(231, 232)과 연통되는 제2 연통홀(3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통홀(334)은 제2 중간 스틱부(3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통홀(334)은 제2 중간 스틱부(300)가 제1 중간 스틱부(200)에서 최대로 인출된 위치일 때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전단부에 형성된 제2 걸림홀(231)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연통홀(334)은 제2 중간 스틱부(300)가 제1 중간 스틱부(200)의 내부로 최대로 삽입된 위치일 때 제1 중간 스틱부(2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 걸림홀(232)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중간 스틱부(300)의 후단부 내부에는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제2 연통홀(334)을 통해 각각의 제2 걸림홀(231, 232)에 걸림되는 제2 걸림부재(351)를 구비한 제2 걸림 유닛(35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연통홀(334)이 각각의 제2 걸림홀(231, 232)과 연통되는 경우, 제2 걸림부재(351)는 각각의 제2 걸림홀(231, 232)을 통해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351)의 외측면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2 걸림홀(231, 232)을 통해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된 제2 걸림부재(351)의 하면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간 스틱부(300)를 제1 중간 스틱부(200)에서 인출할 시, 제2 걸림부재(351)는 제2 걸림부재(351)의 하면 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제1 중간 스틱부(200)에 의해 푸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중간 스틱부(300)를 제1 중간 스틱부(200)의 내부로 삽입할 시, 제2 걸림부재(351)는 제2 걸림부재(351)의 하면 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제1 중간 스틱부(200)에 의해 푸쉬될 수 있다.
제2 걸림 유닛(350)에는 제2 가이드돌기(35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돌기(354)는 제2 걸림부재(351)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 걸림부재(351)의 무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돌기(354)의 외주에는 제2 탄성부재(355)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55)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55)의 상단부에는 제2 가이드돌기(354)가 삽입될 수 있고, 제2 탄성부재(355)의 하단부에는 제2 걸림부재(351) 중 제2 가이드돌기(354)가 삽입되는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55)는 제2 걸림부재(351)가 각각의 제2 걸림홀(231, 232)에 걸림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걸림부재(351)는 제2 탄성부재(355)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연통홀(334)을 통해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다가, 제2 연통홀(334)이 제2 걸림홀(231, 232) 중 하나와 연통되는 경우, 제2 걸림부재(351)는 제2 걸림홀(231, 232) 중 제2 연통홀(334)과 연통된 하나를 통해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2 걸림 유닛(350)의 상면에는 제2 탄성걸림돌기(35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간 스틱부(300)의 상면에는 제2 탄성걸림돌기(353)가 걸림되는 홀(3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걸림돌기(353)의 주변이 절개 형성되어, 제2 탄성걸림돌기(353)는 홀(335)에 걸림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제2 탄성걸림돌기(353)가 홀(335)에 걸림됨으로써, 제2 걸림 유닛(350)은 제2 중간 스틱부(300)의 후단부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원으로 표시한 D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7를 참조하면,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는 버튼 걸림홀(233, 23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 걸림홀(233)은 도 6을 참조하기 바란다. 버튼 걸림홀(233, 234)은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스틱부(100)에는 제1 중간 스틱부(200)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각각의 버튼 걸림홀(233, 234)에 걸림되는 버튼돌기(122)가 형성된 푸쉬버튼(120)이 설치될 수 있다. 푸쉬버튼(120)은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축(121)을 회전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푸쉬버튼 수용부(110)에 결합되어서, 사용자가 푸쉬버튼(120)의 후단부를 푸쉬하는 경우, 버튼돌기(122)가 각각의 버튼 걸림홀(233, 234)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제1 중간 스틱부(200)는 손잡이 스틱부(100)의 내부에서 인출되거나 손잡이 스틱부(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푸쉬버튼(120)의 내측에는 버튼 탄성부재(125)가 설치될 수 있다. 버튼 탄성부재(125)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푸쉬버튼(120)의 내측 하면에는 버튼 탄성부재 걸림돌기(123)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탄성부재 걸림돌기(123)는 버튼 탄성부재(125)의 상단부로 삽입될 수 있다. 푸쉬버튼 수용부(110)의 바닥면에는 버튼 탄성부재(125)의 하단부로 삽입되는 버튼 탄성부재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탄성부재(125)는 버튼돌기(122)가 버튼 걸림홀(233, 234)에 걸림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푸쉬버튼(120)의 후단부를 푸쉬하면, 버튼 탄성부재(125)는 푸쉬버튼(120)의 후단부에 의해 푸쉬되어 압착되어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푸쉬버튼(120)의 후단부에서 푸쉬력을 해제하면, 푸쉬버튼(120)은 버튼 탄성부재(12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1)은, 엔드 스틱부(400)에 설치된 헤드 결합 유닛(450)에 헤드 결합돌기(451) 및 푸쉬돌기(452)가 형성되고, 푸쉬돌기(452)가 푸쉬될 시 헤드 결합돌기(451)는 푸쉬돌기(452)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손잡이 스틱(1)을 청소용구의 헤드에 탈착식으로 신속하게 결합이 가능함과 아울러, 손잡이 스틱(1)을 접는 동작으로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에서 결합을 해제시킨 후 손잡이 스틱(1)을 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1)은, 푸쉬버튼(120)만 누른 상태로 손잡이 스틱(1)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고, 손잡이 스틱(1)의 외부에 별도의 고정구를 설치하지 않고도 손잡이 스틱(1)의 길이를 길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1)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또는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의 위치에 맞게, 손잡이 스틱(1)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100, 200, 300 : 메인 스틱부
100 : 손잡이 스틱부 120 : 푸쉬버튼
121 : 힌지축 122 : 버튼돌기
125 : 버튼 탄성부재 200, 300 : 중간 스틱부
200 : 제1 중간 스틱부 231, 232 : 제2 걸림홀
233, 234 : 버튼 걸림홀 300 : 제2 중간 스틱부
331, 332 : 제1 걸림홀 334 : 제2 연통홀
350 : 제2 걸림 유닛 351 : 제2 걸림부재
354 : 제2 가이드돌기 355 : 제2 탄성부재
400 : 엔드 스틱부 450 : 헤드 결합 유닛
431 : 제1 출입홀 432 : 제2 출입홀
433 : 결합홀 434 : 제1 연통홀
451 : 헤드 결합돌기 451A : 제1 경사면
452A : 제2 경사면 452 : 푸쉬돌기
453 : 헤드 결합 유닛 고정돌기 454 :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
455 : 탄성부재 456 : 제2 탄성부재 결합돌기
457 : 제1 플레이트부 458 : 제2 플레이트부
459 : 커넥팅부 460 : 제1 걸림 유닛
461 : 제1 걸림부재 464 : 제1 가이드돌기
465 : 제1 탄성부재

Claims (17)

  1.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을 가지는 메인 스틱부;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 스틱부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상기 메인 스틱부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 스틱부의 전방으로 인출되며, 전단부 둘레면에 제1 출입홀과 상기 제1 출입홀로부터 후방에 제2 출입홀이 형성된 엔드 스틱부;
    상기 엔드 스틱부의 전단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출입홀을 통해 상기 엔드 스틱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청소용구의 헤드와 결합되는 헤드 결합돌기와, 상기 제2 출입홀을 통해 상기 엔드 스틱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푸쉬돌기가 형성된 헤드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돌기가 푸쉬될 시 상기 헤드 결합돌기는 상기 푸쉬돌기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 결합돌기의 외측면 전방부에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푸쉬돌기의 외측면 후방부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 스틱부의 전단부를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로 삽입할 시, 상기 헤드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경사면부터 상기 청소용구의 헤드에 의해 푸쉬되고,
    상기 엔드 스틱부를 상기 메인 스틱부의 내부로 삽입할 시, 상기 푸쉬돌기는 상기 제2 경사면부터 상기 메인 스틱부에 의해 푸쉬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 결합 유닛은,
    상기 헤드 결합돌기 및 상기 푸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 결합돌기 및 상기 푸쉬돌기의 푸쉬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엔드 스틱부 내에 고정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후단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후단을 연결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푸쉬돌기의 반대편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 탄성부재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 결합돌기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헤드 결합돌기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전단부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전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엔드 스틱부의 전단부 둘레면에 형성된 결합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 결합 유닛을 상기 엔드 스틱부의 전단부 내부에 고정하는 헤드 결합 유닛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드 결합돌기는 상기 헤드 결합 유닛 고정돌기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푸쉬돌기는 상기 헤드 결합 유닛 고정돌기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틱부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 스틱부와,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전방으로 인출되고, 상기 엔드 스틱부가 개구된 전단을 통해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중간 스틱부를 포함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간 스틱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는 제1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엔드 스틱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엔드 스틱부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각각의 상기 제1 걸림홀과 연통되는 제1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 스틱부의 후단부 내부에는 상기 엔드 스틱부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상기 제1 연통홀을 통해 각각의 상기 제1 걸림홀에 걸림되는 제1 걸림부재를 구비한 제1 걸림 유닛이 설치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재의 외측면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엔드 스틱부를 상기 중간 스틱부에서 인출할 시, 상기 제1 걸림부재는 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상기 중간 스틱부에 의해 푸쉬되고,
    상기 엔드 스틱부를 상기 중간 스틱부의 내부로 삽입할 시, 상기 제1 걸림부재는 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상기 중간 스틱부에 의해 푸쉬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유닛에는 상기 제1 걸림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걸림부재의 무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재가 각각의 상기 제1 걸림홀에 걸림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간 스틱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는 버튼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스틱부에는 상기 중간 스틱부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각각의 상기 버튼 걸림홀에 걸림되는 버튼돌기가 형성된 푸쉬버튼이 설치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튼돌기가 상기 버튼 걸림홀에 걸림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버튼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간 스틱부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 스틱부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제1 중간 스틱부와,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의 개구된 전단을 통해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의 전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엔드 스틱부가 개구된 전단을 통해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상기 제2 중간 스틱부를 포함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는 제2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스틱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2 중간 스틱부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각각의 상기 제2 걸림홀과 연통되는 제2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중간 스틱부의 후단부 내부에는 상기 제2 중간 스틱부의 최대 인출위치 및 최대 삽입위치일 때 상기 제2 연통홀을 통해 각각의 상기 제2 걸림홀에 걸림되는 제2 걸림부재를 구비한 제2 걸림 유닛이 설치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재의 외측면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스틱부를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에서 인출할 시,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에 의해 푸쉬되고,
    상기 제2 중간 스틱부를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의 내부로 삽입할 시, 상기 제2 걸림부재는 후방부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터 상기 제1 중간 스틱부에 의해 푸쉬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 유닛에는 상기 제2 걸림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걸림부재의 무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부재가 각각의 상기 제2 걸림홀에 걸림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KR1020200176261A 2020-12-16 2020-12-16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KR102494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61A KR102494417B1 (ko) 2020-12-16 2020-12-16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61A KR102494417B1 (ko) 2020-12-16 2020-12-16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118A true KR20220086118A (ko) 2022-06-23
KR102494417B1 KR102494417B1 (ko) 2023-02-06

Family

ID=8222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261A KR102494417B1 (ko) 2020-12-16 2020-12-16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4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762Y1 (ko) 1999-12-04 2000-05-15 박광석 손잡이대가 회전식으로 결합되는 대걸레
JP4113740B2 (ja) * 2002-07-22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保持具およびその清掃用保持具を用いた清掃物品
KR101004301B1 (ko) * 2002-07-22 2010-12-2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
JP5770501B2 (ja) * 2011-03-23 2015-08-26 株式会社テラモト パイプ材の連結構造、およびこの連結構造を用いた清掃具
US10441120B1 (en) * 2010-04-30 2019-10-15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Universal connecting members
JP2020075058A (ja) * 2018-11-09 2020-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用柄、上記清掃具用柄を備えている清掃具、及び清掃シートの、上記清掃具への使用
KR102182640B1 (ko) 2019-11-20 2020-11-24 임진택 핸디스틱 물걸레 청소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762Y1 (ko) 1999-12-04 2000-05-15 박광석 손잡이대가 회전식으로 결합되는 대걸레
JP4113740B2 (ja) * 2002-07-22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保持具およびその清掃用保持具を用いた清掃物品
KR101004301B1 (ko) * 2002-07-22 2010-12-2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
US10441120B1 (en) * 2010-04-30 2019-10-15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Universal connecting members
JP5770501B2 (ja) * 2011-03-23 2015-08-26 株式会社テラモト パイプ材の連結構造、およびこの連結構造を用いた清掃具
JP2020075058A (ja) * 2018-11-09 2020-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用柄、上記清掃具用柄を備えている清掃具、及び清掃シートの、上記清掃具への使用
KR102182640B1 (ko) 2019-11-20 2020-11-24 임진택 핸디스틱 물걸레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417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815B2 (en) Self-cleaning hair brush
KR102608682B1 (ko)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
KR100540426B1 (ko) 진공청소기
US6226828B1 (en) Brush for removing dust
JP2008506488A (ja) 電気掃除機用ハンドル組立体
CA2386500A1 (en) Air exhaust structure for an upright-type vacuum cleaner
EP1731077A1 (en) Cleaning tool and holding member used for the same
JP2024063100A (ja) 真空掃除機用のアタッチメント
US5839161A (en) Suction pip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US4876763A (en) Vacuum cleaner
KR20220086118A (ko)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EP4226828A1 (en) Vacuum cleaner
KR200488191Y1 (ko) 세척구가 구비된 청소장치
JP2011115285A (ja) 長柄付き清掃具
KR100595355B1 (ko) 액세서리 홀더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WO2020103489A1 (zh) 刷头及吸尘器
US20120255133A1 (en) Cleaning Device and System
US20030145425A1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accessory
JP3018118U (ja) グリップエンド
JP3150134B1 (ja) モップハンドル
KR100485711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시
TW201134450A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200413190Y1 (ko) 물걸레 청소기
US20210023692A1 (en) Tool head clamping system
JP7459322B2 (ja) 家具及びその家具部品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