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074A -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074A
KR20220086074A KR1020200176196A KR20200176196A KR20220086074A KR 20220086074 A KR20220086074 A KR 20220086074A KR 1020200176196 A KR1020200176196 A KR 1020200176196A KR 20200176196 A KR20200176196 A KR 20200176196A KR 20220086074 A KR20220086074 A KR 20220086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ccurrence
ship
mcu
mai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172B1 (ko
Inventor
이성근
양현숙
한진우
한정민
김지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1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3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diagnosing, testing or predicting the integrity or performance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는 이상 현상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상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하는 판단부,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MCU 및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소화액체를 방출하는 마이크로캡슐 장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Fault Detection and Fire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 Power Transfer System in Ship}
본 발명은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상과 달리 선박의 경우에는 해양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에 많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실내에는 다양한 스프링클러와 소화기가 있지만 선박의 내부에는 좁으므로 많은 화재 발생 시에 다른 장비로 전이하여 큰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선박에서는 대부분 기관실보다는 조종실, 제어실에 임무를 수행하기에 기관실에 있는 장비는 위험에 노출되어있다. 각 장비는 각종 센서를 통해서 화재를 감지하여 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박 내의 전원 절환 시스템의 경우 기존의 기계식 장비에서 전자식 장비로 바뀌면서 전기/온도에 의한 열폭주에 취약하다. 그러기에 안전성에 대해 중요성이 올라갔고, 다양한 규제의 기준이 생기고 있다. 대표적으로 선박 내의 배터리의 경우에는 최근에 기준이 생겼으며 전기, 온도, 습도 등의 다양한 기준이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기계식을 활용하여 절환하는 시스템이 아닌 전자식 장비를 통해 절환하는 시스템의 장비 안전성을 위한 방안을 필요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7684호(2020.06.2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기계식을 활용하여 절환하는 시스템이 아닌 전자식 장비를 통해 절환하는 시스템의 장비 안전성을 위한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외관 및 내관에 센서를 설치하여 전기적 특성과 온도를 감지하고, 열 전이를 차단하기 위해 단열 시트를 사용하여 화재가 전이되는 것을 막고자 한다. 또한, 선박의 경우 무게에 대해 민감하므로 마이크로 소화 캡슐을 사용함으로써 무게에 관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는 이상 현상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상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하는 판단부,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MCU 및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소화액체를 방출하는 마이크로캡슐 장착부를 포함한다.
판단부는 이상 현상 감지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판단하여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상 현상 발생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내고, 해당 시간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한다.
판단부는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MCU가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한 후,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다시 판단하고,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내며, MCU는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상태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센서부는 화재에서 감지되는 화재 파형을 감지하는 광전자 센서 및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이온화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 내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과 SCR 사이에는 화재 발생 시 열 전이를 방지하기 위한 단열 시트를 포함하고, 온도 조절을 위한 팬(fan)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이상 현상을 감지하는 단계, 판단부가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상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하는 단계, MCU를 통해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화재가 발생한 경우 마이크로캡슐 장착부를 통해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소화액체를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닌 전자식 장비를 통해 절환하는 시스템의 장비 안전성을 위한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를 통해 외관 및 내관에 설치된 센서를 설치하여 전기적 특성과 온도를 감지하고, 열 전이를 차단하기 위해 단열 시트를 사용하여 화재가 전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선박의 경우 무게에 대해 민감하므로 마이크로 소화 캡슐을 사용함으로써 무게에 관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의 배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시트의 분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시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현상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안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100)는 센서부(110), 판단부(120), MCU(Micro Controller Unit)(130) 및 마이크로캡슐 장착부(14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이상 현상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오류성을 해결하고 신뢰성을 올리기 위해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화재에서 감지되는 화재 파형을 감지하는 광전자 센서 및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이온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외관 및 내관에 설치되어 전기적 특성, 온도 및 가스 등의 측정을 통해 화재를 포함한 이상 현상을 감지할 수 있다.
판단부(120)는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상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한다.
판단부(120)는 이상 현상 감지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판단하여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되었다는 목표값에 도달한 경우), 이상 현상 발생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낸다. 이상 현상 발생으로 판단되면, 해당 시간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한다.
MCU(130)는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마이크로캡슐 장착부(140)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소화액체를 방출한다. 선박의 경우 무게에 대해 민감하므로 무게가 적게 나가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무게에 관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캡슐 장착부(140)는 상단 외관에 장착되어 화재 발생 시 마이크로캡슐을 자동으로 발사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MCU(130)가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한 후, 판단부(120)는 센서부(110)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다시 판단한다.
다시 판단하여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예를 들어, 화재가 진화되었다는 목표값에 도달한 경우), 이상 현상 발생 해지로 판단하고, 해당 시간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상 현상 발생 해지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한다.
반면에, 다시 판단하여 여전히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낸다.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된 경우, MCU(130)는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상태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CU(130)는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상태로 변환하고, 천장에 달린 스프링 쿨러를 이용하여 화재를 소화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 내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과 SCR 사이에는 화재 발생 시 열 전이를 방지하기 위한 단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을 위한 팬(fan)을 포함하고, 방열판에는 온도 센서를 부착하여 온도를 지속해서 측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의 배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안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는 센서부(210), 판단부(도시하지 않음), MCU(Micro Controller Unit)(도시하지 않음), 마이크로캡슐 장착부(220), 복수의 장비들(Components)(230), 온도 조절을 위한 복수의 팬(Fan)(241, 242) 및 버스바(Busbar)(243)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 내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250)는 SCR과 SCR 사이에 화재 발생 시 열 전이를 방지하기 위한 단열 시트(2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을 위한 팬(fan)(253)을 포함하고, 방열판에는 온도 센서(252)를 부착하여 온도를 지속해서 측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시트의 분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 현상 발생으로 판단되면, 판단부는 해당 시간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한다.
MCU는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310)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소화시트(310)의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시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시트는 다층구조를 갖고, 미리 설정된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소화층(430)과, 차화층(410)과, 접착층(420)을 포함하여 각 층이 적층된 형태로 형성된다.
소화층(430)은 그래파이트 성분을 포함하며, 대상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소화층(430)은 소화시트가 대상을 감싸도록 형성될 경우 내측에 위치되는 레이어이며, 대상 방향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소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차화층(410) 역시 그래파이트 성분을 포함하며, 소화층(430)에 적층된 형태를 가진다. 특히 차화층(410)은 소화 대상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며, 이에 따라 차화층(410)은 소화시트가 대상을 감싸도록 형성될 경우 외측에 위치되는 레이어이며, 외부 측에서 고열 또는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그 영향이 대상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접착층(420)은 소화층(430) 및 차화층(410)을 서로 접착시키며, 난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고열 및 불꽃 등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시트는, 소화층(430), 차화층(410) 및 접착층(420)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열되어 대상 방향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복수의 방열홀(440)이 열 방향 및 행 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소화시트는 대상에 열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고열로 인한 화재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방열홀(440)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각각이 모두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이와 달리 방열홀(440)의 배치 형태 및 직경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안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이상 현상을 감지하는 단계(510), 판단부가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상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하는 단계(520), MCU를 통해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530) 및 화재가 발생한 경우 마이크로캡슐 장착부를 통해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소화액체를 방출하는 단계(540)를 포함한다.
단계(510)에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이상 현상을 감지한다. 센서부는 오류성을 해결하고 신뢰성을 올리기 위해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화재에서 감지되는 화재 파형을 감지하는 광전자 센서 및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이온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외관 및 내관에 설치되어 전기적 특성, 온도 및 가스 등의 측정을 통해 화재를 포함한 이상 현상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판단부가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상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한다.
판단부는 이상 현상 감지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판단하여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되었다는 목표값에 도달한 경우), 이상 현상 발생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낸다. 이상 현상 발생으로 판단되면, 해당 시간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한다.
단계(530)에서, MCU를 통해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단계(54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마이크로캡슐 장착부를 통해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소화액체를 방출한다. 선박의 경우 무게에 대해 민감하므로 무게가 적게 나가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무게에 관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캡슐 장착부는 상단 외관에 장착되어 화재 발생 시 마이크로캡슐을 자동으로 발사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은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MCU가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한 후, 판단부가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다시 판단하고,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내는 단계 및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된 경우 MCU가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상태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MCU가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한 후, 판단부는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다시 판단한다.
다시 판단하여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예를 들어, 화재가 진화되었다는 목표값에 도달한 경우), 이상 현상 발생 해지로 판단하고, 해당 시간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상 현상 발생 해지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한다.
반면에, 다시 판단하여 여전히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낸다.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된 경우, MCU는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상태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CU는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상태로 변환하고, 천장에 달린 스프링 쿨러를 이용하여 화재를 소화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 내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과 SCR 사이에는 화재 발생 시 열 전이를 방지하기 위한 단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을 위한 팬(fan)을 포함하고, 방열판에는 온도 센서를 부착하여 온도를 지속해서 측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현상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현상 감지 과정은 먼저, 화재에서 감지되는 화재 파형을 감지하는 광전자 센서 및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이온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이상 현상을 감지한다.
판단부는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상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상 현상 감지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판단하여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되었다는 목표값인 B값에 도달한 경우), 이상 현상 발생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낸다 그리고, 해당 시간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한다.
마이크로캡슐 장착부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소화액체를 방출한다. 마이크로캡슐 장착부는 상단 외관에 장착되어 화재 발생 시 마이크로캡슐을 자동으로 발사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MCU는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MCU가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한 후, 판단부는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다시 판단한다.
다시 판단하여 여전히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예를 들어, 화재가 진화되었다는 목표값인 A값에 도달한 경우), 이상 현상 발생 해지로 판단하고, 해당 시간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상 현상 발생 해지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한다.
반면에, 다시 판단하여 여전히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낸다.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된 경우, MCU는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상태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CU는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상태로 변환하고, 천장에 달린 스프링 쿨러를 이용하여 화재를 소화시키도록 한다.
이후, 판단부는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다시 판단한다. 다시 판단하여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예를 들어, 화재가 진화되었다는 목표값인 A값에 도달한 경우), 이상 현상 발생 해지로 판단하고, 해당 시간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상 현상 발생 해지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한다.
반면에, 다시 판단하여 여전히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이상 현상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상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하는 판단부;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MCU; 및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소화액체를 방출하는 마이크로캡슐 장착부
    를 포함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판단부는,
    이상 현상 감지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판단하여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상 현상 발생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내고, 해당 시간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판단부는,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MCU가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한 후,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다시 판단하고,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내며,
    MCU는,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상태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센서부는,
    화재에서 감지되는 화재 파형을 감지하는 광전자 센서 및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이온화 센서를 포함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 내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과 SCR 사이에는 화재 발생 시 열 전이를 방지하기 위한 단열 시트를 포함하고, 온도 조절을 위한 팬(fan)을 포함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
  6.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이상 현상을 감지하는 단계;
    판단부가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상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하는 단계;
    MCU를 통해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화재가 발생한 경우 마이크로캡슐 장착부를 통해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소화액체를 방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판단부가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상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하는 단계는,
    이상 현상 감지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센서부의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판단하여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상 현상 발생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내고, 해당 시간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MCU로 전송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MCU가 이상 현상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 받아 선박 내 모든 절환시스템의 장비를 중단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시트를 분사하도록 제어한 후, 판단부가 복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다시 판단하고,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이상 현상 발생으로 인지되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나타내는 단계; 및
    이상 현상 발생 계속으로 판단된 경우 MCU가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상태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이상 현상을 감지하는 단계는,
    광전자 센서를 통해 화재에서 감지되는 화재 파형을 감지하고, 이온화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장치 내 SCR과 SCR 사이에는 화재 발생 시 열 전이를 방지하기 위한 단열 시트를 포함하고, 온도 조절을 위한 팬(fan)을 포함하는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KR1020200176196A 2020-12-16 2020-12-16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 KR102564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196A KR102564172B1 (ko) 2020-12-16 2020-12-16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196A KR102564172B1 (ko) 2020-12-16 2020-12-16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074A true KR20220086074A (ko) 2022-06-23
KR102564172B1 KR102564172B1 (ko) 2023-08-07

Family

ID=8222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196A KR102564172B1 (ko) 2020-12-16 2020-12-16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1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3550A (ja) * 2000-10-20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熱感知器
KR101828077B1 (ko) * 2016-06-28 2018-02-09 리앤테크(주)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045489B1 (ko) * 2019-05-09 2019-11-18 풍성에너지 (주) 화재예방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및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예방방법
KR102127684B1 (ko) 2019-10-30 2020-06-30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다층구조를 가지는 소화시트
KR102152823B1 (ko) * 2020-01-28 2020-09-07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3550A (ja) * 2000-10-20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熱感知器
KR101828077B1 (ko) * 2016-06-28 2018-02-09 리앤테크(주)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045489B1 (ko) * 2019-05-09 2019-11-18 풍성에너지 (주) 화재예방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및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예방방법
KR102127684B1 (ko) 2019-10-30 2020-06-30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다층구조를 가지는 소화시트
KR102152823B1 (ko) * 2020-01-28 2020-09-07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172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658B2 (en) Automated fire and smoke detection, isolation, and recovery
US20170372578A1 (en)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Environment Monitoring and Fire Protection for Rack-Mounted Equipment
ES2543595T3 (es) Sistema de protección contra incendios para una secadora de ropa
US9502880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and control plasma fires
JPH0448398A (ja) 防災システム
JPS5824838B2 (ja) 火災報知装置
KR102564172B1 (ko) 선박 내 메인 전원 절환 시스템의 이상 현상 감지 및 화재 차단 방법 및 장치
KR102062217B1 (ko) 태양광발전 시스템 접속반 화재감지방법
JP5319479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および防災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319480B2 (ja) 制御盤消火設備
KR101909671B1 (ko)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
KR101742071B1 (ko) 초고층 건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US202302778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arly controlled sprinkler activation
CN106227273B (zh) 一种机房环境的远程监控系统
KR102200410B1 (ko)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060025778A (ko)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071139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39131A (ko) 화재 예지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JP2022150911A (ja) 蓄電池設備室の消火システムおよび消火方法
KR102133203B1 (ko) 스마트 안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15858A1 (en) Arc-flash sensor using optical fiber
KR102157991B1 (ko) 리필형 소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KR102649311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의 화재 감시 방법
JP7300405B2 (ja) 被災状況検出装置および原子力発電所
EP3654307A1 (en) Interconnected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