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671B1 -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671B1
KR101909671B1 KR1020180030107A KR20180030107A KR101909671B1 KR 101909671 B1 KR101909671 B1 KR 101909671B1 KR 1020180030107 A KR1020180030107 A KR 1020180030107A KR 20180030107 A KR20180030107 A KR 20180030107A KR 101909671 B1 KR101909671 B1 KR 101909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vibration
control panel
mo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휴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은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은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은계전
Priority to KR102018003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6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지진감지 센서; 상기 지진감지 센서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된 모니터링 모듈; 상기 모니터링 모듈에서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현장의 설비를 제어하는 현장 제어반; 상기 현장 제어반은 설비 제어신호와 모니터링 모듈의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수신하는 스카다장치; 상기 스카다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적절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Seismic Monitoring Field Control Panel}
본 발명은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지진감지 센서; 상기 지진감지 센서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된 모니터링 모듈; 상기 모니터링 모듈에서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현장의 설비를 제어하는 현장 제어반; 상기 현장 제어반은 설비 제어신호와 모니터링 모듈의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수신하는 API 지도기반의 스카다장치; 상기 스카다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적절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지진에 의한 많은 인명 피해와 심각한 사회적 재산손실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한반도의 지진 안정성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지진재해 대책법이 발효가 되어 지진에 대한 대비가 의무화되고 있다.
이러한 지진에 대한 피해는 지진 자체로 인한 1차 재해와 화재, 폭발, 누수, 누전 등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2차 재해를 모두 의미한다. 지진에 대한 큰 피해를 막기 위해 내진 설계 강화가 필요하지만, 국내 내진설계 현황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내진설계의 현실적 한계에 대한 대책으로서, 설비가 집중되어 있는 공간 등의 지역에서의 지진 조기경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또한, 지진이 발생하지 않은 때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고 오인하거나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에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오인하는 경우 그 설비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고, 그 파급 효과가 크다.
이러한 문제로 복잡한 계산에 의하여 지진에 의한 진동과 기타 진동을 구별해야 했으나, 그 정확도는 매우 부정확했다.
한편 2차 지진재해 방지를 위해서는 주요 시설물에서 측정된 지진신호를 해당 측정 장소에서의 실시간 분석한 후, 지진 P파 검지 후 수 초 이내에 신속한 지진 발생 여부를 통보하고, 시설물 제어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지진 조기경보는 P파가 도착하는 즉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S파의 도달 시각을 예측하여 그 정보를 빨리 전달함으로써 지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진조기경보가 가능한 이유는 S파에 비해 P파의 전파 속도가 약 1.73배 빠르다는 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다양한 분석 기술이 개발되면서 S파를 주로 이용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P파만으로도 지진 발생 위치, 시각, 크기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지진계에서 P파가 감지되면 그 즉시 지진 분석을 통해 S파의 도달 시각을 예측하여 해당지역에 빨리 정보를 전파하는 것이 조기경보의 기본 원리이다.
그러나 너무 복잡한 방식과 해당 진동이 지진을 잘 못 오해되어 신속하게 설비 보호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진 발생시 화재를 신속히 진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493231호 한국등록특허 제1338321호 한국등록특허 제1686041호 한국등록특허 제13330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동 정보를 일정 시간 동안 PWM 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상기 진동이 일반 진동인지 지진인지, 일시적인 것인지 지속적인 것인지를 정확하게 판단 할 수 있는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WM 파형을 통해 지진감도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지진 사전 예측 판단이 가능한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 감지시 현재 운전중인 각종설비 전원을 차단하고 비상전원시스템을 가동하는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감지 계측값을 외부에 전송하고 경보발생이 가능한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 발생시 화재를 초기에 감지하여 직·간접적으로 소화약재를 방출하여 초기 화재를 신속히 진압하는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지진감지 센서; 상기 지진감지 센서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된 모니터링 모듈; 상기 모니터링 모듈에서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현장의 설비를 제어하는 현장 제어반; 상기 현장 제어반은 설비 제어신호와 모니터링 모듈의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스카다장치; 상기 스카다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적절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 PWM 방식을 이용하여 진동정보의 횟수와 진동값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진동이 일시적인 진동인지 지속적인 진동인지를 판단하고, 만일 지속적인 진동일 경우 P파를 분석하여 S파가 도달하기 전에 발생 지진의 규모, 도달 예상 지진파의 세기, 및 위험 지진 여부를 분석하여 지진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지진감지 계측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 운전 중인 각종 설비 전원을 차단하고 비상전원시스템을 가동하고 해당 지역에 경보를 발생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서버는 지도상에 시각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시되는 API 지도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API 지도 모듈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피해를 예측할 수 있는 통합피해예측 모듈과,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시각적으로 가시화하여 보여주는 시각화 모듈이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진감지 센서가 특정 지역의 구간별 진동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모니터링 모듈은 지진감지 센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현장 제어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현장 제어반은 모니터링 모듈에서 지진감지 센서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현장 설비를 제어하고 설비 제어신호와 모니터링 모듈의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스카다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스카다장치는 현장 제어반을 통해 설비 제어신호와 진동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중앙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제어 정보를 전송 받아 각 현장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중앙서버는 스카다장치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설정부의 설정값과 비교 및 분석하여 지진 여부를 판단하여 지진감지 계측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 운전 중인 각종설비 전원을 차단하고 비상전원시스템을 가동하는 단계; 상기 중앙서버는 모니터링 모듈에서 모니터링된 지진감지 센서의 진동 변화량을 스카다장치로부터 전달받아 API 지도기반에 시각적으로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지진감지 계측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지역에 경보 발생하고, 대피요령을 알려주는 단계와 설정 등록된 순위에 따라 관리자에게 휴대폰으로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PWM 방식을 통해 지진감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일정 주기동안 일시적인 진동인지, 지속적으로 몇 회 발생된 진동인지를 측정하여 지진 사전 예측 판단이 가능하다.
화재 발생시 별도의 전원이나 제어부가 필요없이 현장제어반에 설치되는 열감지튜브를 통해 소화 약제를 고압으로 분사해 초기 화재를 진압하고, 수초(sec) 경과 후 압력계의 압력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화재경보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진동 정보를 일정 시간 동안 PWM 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상기 진동이 일시적인 진동인지 지속적인 지진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WM 파형을 통해 지진감도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지진 사전 예측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 감지시 현재 운전 중인 각종 설비 전원차단 및 비상전원시스템을 가동하여 신속한 설비 보호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감지 계측값 외부전송 및 경보발생이 가능하여 관리자의 즉각적인 대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PI 지도상에 나타난 해당 지역을 클릭하면 해당 검출 설비의 위치, 설비의 고장유무, 지진감지 측정치 및 측정값에 따른 대피요령이 표시되고 해당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지진감지 측정치에 따른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별도의 전원이나 제어부가 필요없이 열에 의해 현장제어반에 설치되는 열감지튜브가 파손되어 소화 약제를 고압으로 분사해 초기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방호 공간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 진동과 지지판 두 파형이 비교기에 입력되어 PWM 파형으로 출력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I 지도 기반으로 3차원 시각화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순서를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감지튜브의 동작 과정을 나태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진감지 센서(10), 모니터링 모듈(20), 현장 제어반(30), 스카다장치(40) 및 중앙서버(50)로 구성된다.
지진감지 센서(10)는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로서, 현재 운전중인 각종 설비 및 비상전원시스템 뿐만 아니라 지진 감지가 필요한 장소에 설치된다.
상기 지진감지 센서(10)는 진동센서 및/또는 충격파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 제어반(30)은 상기 진동센서 및/또는 충격파센서를 통해 진동값과 충격파값이 비례하여 커지는 경우 이를 지진으로 판단할 수 있고, 진동값 및 충격파값이 서로 반비례하여 변화될 경우에는 커지는 값을 반영하여 지진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 모듈(20)은 상기 지진감지 센서(10)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며,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현장제어반은(30)는 상기 모니터링 모듈에서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진동 정보에 따라 현장의 설비를 제어한다.
현장제어반은(30)는 지진감지 계측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1차로 현재 운전 중인 각종설비 전원을 차단하고 비상전원시스템을 가동한다.
또한, 현장 제어반은 설비 제어신호와 모니터링 모듈의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스카다장치(40)에 전달한다.
상기 스카다장치(40)는 상기 현장 제어반(30)을 통해 수신된 설비 제어신호와 진동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중앙서버(50)에 전송하고, 다시 중앙서버(50)로부터 제어 정보를 전송 받아 각 현장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 중앙서버(50)는 스카다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적절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데, 각종 스카다 장치(4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 정보와 이에 따른 제어 정보를 다시 상기 스카다 장치(40)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상기 스카다 장치(40)와 중앙서버(50)는 FEP 기반으로 LTE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여러 현장을 동시에 접속(1:N)이 가능하며, 가상 사설망 VPN(Virtual Private Network)으로 연결되며, 다양한 이기종 기기의 Serial 통신을 Ethernet으로 쉽게 연결할 수 있게 하는 ETOS가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VPN(미도시)를 통해 보안 연결된 이기종의 기기들이 ETOS(미도시)에 의해 통일화된 정보를 FEP 기반으로 다중 접속자들에게 제공한다.
상기 중앙서버(50)는 일정 시간 동안 PWM 방식을 이용하여 진동정보의 횟수와 진동값에 대한 기본값을 설정하는 설정부(51)와 진동이 일시적인 진동인지 지속적인 진동인지를 판단하고, 만일 지속적인 진동일 경우 P파를 분석하여 S파가 도달하기 전에 발생 지진의 규모, 도달 예상 지진파의 세기, 및 위험 지진 여부를 분석하여 지진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53)와 지진 감지시 현재 운전 중인 각종 설비 전원을 차단하고 비상전원시스템을 가동하고 해당 지역에 경보를 발생하게 하는 제어부(52)를 포함한다.
상기 PWM 방식은 입력되는 상기 진동 정보의 파형이 기존 지진 파형 보다 큰 경우에는 ON 신호를 출력하고, 기존 지진 파형이 큰 경우에는 OFF 신호를 출력하
이 일정한 주기로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주파수의 지진파와 상기 진동 정보의 파형이 비교되고, 이들 두 파형의 교점이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타임을 결정하게 된다.
즉, 이들 두 파형은 비교기에 입력되고, 비교기에서는 이들 두 파형의 크기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PWM 파형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PWM 파형을 통해 지진감도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일정 주기 동안에 계측값의 크기 및 횟수를 체크하여 지진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PI 지도 모듈(54)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피해를 예측할 수 있는 통합피해예측 모듈과,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3차원 공간상에 시각적으로 가시화하여 보여주는 3차원 시각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I 지도상에 나타난 해당 지역을 클릭하면 해당 검출 설비의 위치, 설비의 고장유무, 지진감지 측정치 및 측정값에 따른 대피요령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지진 감지시 현재 운전 중인 각종 설비 전원을 차단하고 비상전원시스템을 가동함으로써, 각종 설비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전원을 전체적으로 차단하여 합선에 따른 전기설비의 파손 또는 감전 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서버(50)는 지진 감지시 외부전송 및 경보를 발생하고, 관리자를 등급화하여 중앙서버(50)에 관리자의 휴대폰번호를 설정등록하고 높은 등급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휴대폰으로 알려주어 신속한 초등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중앙서버(50)는 지진 위험의 정도에 따라 경보 메시지 내용, 전송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를 이용한 현장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진감지 센서가 특정 지역의 구간별 진동 변화량을 측정한다(S101). 이 때, 진동센서 및/또는 충격파센서를 통해 진동값과 충격파값를 측정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모듈은 지진감지 센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현장 제어반에 전송한다(S102).
상기 현장 제어반는 모니터링 모듈에서 지진감지 센서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현장 설비를 제어하고 설비 제어신호와 모니터링 모듈의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스카다장치에 전달한다(S103).
상기 스카다장치(40)는 현장 제어반을 통해 설비 제어신호와 진동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중앙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 받아 각 현장을 제어한다(S104).
상기 중앙서버(50)는 스카다장치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설정부의 설정값과 비교 및 분석하여 지진 여부를 판단한다(S105).
예를 들어, 중앙서버(50)는 모니터링 모듈에서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진동 정보를 일정 시간 동안 PWM 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상기 진동이 일반 진동인지 지진인지, 일시적인 것인지 지속적인 것인지를 일정 주기동안에 진동의 크기와 횟수를 체크하여 지진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중앙서버(50)는 지진 감지시 최종적으로 운전 중인 각종설비 전원을 차단하고 비상전원시스템을 가동한다(S106).
상기 중앙서버는 모니터링 모듈에서 모니터링된 지진감지 센서의 진동 변화량을 스카다장치로부터 전달받아 API 지도 기반에 3차원으로 위치를 표시한다(S107).
마지막으로 중앙서버(50)는 지진 감지시 해당 지역에 경보 발생하고, 대피요령을 알려주고 설정 등록된 순위에 따라 관리자에게 휴대폰으로 알려준다(S108).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현장제어반에 설치되는 열감지튜브가 파손되어 소화 약제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초기에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하고 수초(sec) 경과 후 압력계의 압력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화재경보를 발생한다(S109).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열감지튜브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한 화재 발생시 열이 약 5sec 정도 가열되면 열감지튜브(60)가 파손되고, 열감지튜브(60) 속의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약 10sec 이내 초기 화재가 진압되어 방호 공간의 피해를 최소화한다.
여기서 열감지튜브(60)가 파열됨과 동시에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이로 인한 열감지튜브(60) 속의 압력값이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압력값과 연동되는 경보기가 작동되면서 화재경보가 발생되므로,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열감지튜브(60)는 현장제어반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파열되므로 별도의 전원이나 제어부가 필요 없으며, 소화약제는 HFC-125/N2 가스로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삭제
10 : 지진감지 센서
20 : 모니터링 모듈
30 : 현장 제어반
40 : 스카다장치
50 : 중앙서버
51 : 설정부
52 : 제어부
53 : 판단부
54 : API 지도 모듈
60 : 열감지튜브

Claims (6)

  1.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지진감지 센서;
    상기 지진감지 센서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된 모니터링 모듈;
    상기 모니터링 모듈에서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현장의 설비를 제어하는 현장 제어반;
    상기 현장 제어반으로부터 설비 제어신호와 모니터링 모듈의 모니터링된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수신하는 스카다장치;
    상기 스카다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비교·분석하고, 그에 적절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카다장치로 전달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 PWM 방식을 이용하여 진동정보의 횟수와 진동값에 대한 기본값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진동이 일시적인 진동인지 지속적인 진동인지를 판단하고, 만일 지속적인 진동일 경우 P파를 분석하여 S파가 도달하기 전에 발생 지진의 규모, 도달 예상 지진파의 세기, 및 위험 지진 여부를 분석하여 지진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지진 감지시 경우 현재 운전 중인 각종 설비 전원을 차단하고 비상전원시스템을 가동하고 해당 지역에 경보를 발생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지도상에 시각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시되는 API 지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API 지도 모듈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피해를 예측할 수 있는 통합피해예측 모듈과, 상기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공간상에 시각적으로 가시화하여 보여주는 시각화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장제어반은 화재 발생시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초기 화재 진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한 내부의 압력값이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압력값과 연동되는 경보기가 작동되면서 화재경보를 발생하게 하는 열감지튜브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80030107A 2018-03-15 2018-03-15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 KR101909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07A KR101909671B1 (ko) 2018-03-15 2018-03-15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07A KR101909671B1 (ko) 2018-03-15 2018-03-15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671B1 true KR101909671B1 (ko) 2018-10-18

Family

ID=6413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107A KR101909671B1 (ko) 2018-03-15 2018-03-15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673A (ko) 2018-11-21 2020-05-2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Mems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지진동 감시 및 분포 지도 작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12141B1 (ko) * 2020-09-24 2021-02-05 주식회사 대은계전 Bems 기반 서버형 에너지 관리 배전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841A (ja) * 2004-04-19 2005-11-04 Hitachi Ltd パイプライン管理データ処理装置、パイプライン管理データ処理方法、パイプライン管理データプログラム、及びパイプライン管理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0956789B1 (ko) * 2009-09-17 2010-05-10 (주)삼원씨앤지 지진 재난 방지용 제어 장치 및 지진 재난 방지용 지역 통합 제어 시스템
KR20110061190A (ko) * 2009-12-01 2011-06-09 한국가스안전공사 유비쿼터스 기반 지능형 도시가스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333002B1 (ko) 2012-05-24 2013-11-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용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8321B1 (ko) 2013-08-14 2013-12-06 이승희 수리구조물 실시간 안전계측 시스템 및 그 분석방법
KR101493231B1 (ko) 2014-09-05 2015-02-16 (주)희송지오텍 지진계측 및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연계 통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리구조물 모니터링 방법
KR101686041B1 (ko) 2014-05-27 2016-12-13 (주)희송지오텍 자연재해에 따른 수변구조물의 피해정보를 실시간으로 예측/관리 가능한 gis 기반의 수변구조물 통합관리시스템
KR101737789B1 (ko) * 2016-10-31 2017-05-19 주식회사 이그쉐어 지진 및 진동 감지 시스템을 구비한 주차 유도 시스템
KR101754620B1 (ko) * 2016-07-18 2017-07-06 (주)우송엔지니어링 화재발생 원격 관리시스템
KR101834776B1 (ko) * 2017-09-28 2018-03-06 주식회사 대은계전 서버에서 재가공된 정보를 통해 스카다 장치를 통합 제어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841A (ja) * 2004-04-19 2005-11-04 Hitachi Ltd パイプライン管理データ処理装置、パイプライン管理データ処理方法、パイプライン管理データプログラム、及びパイプライン管理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0956789B1 (ko) * 2009-09-17 2010-05-10 (주)삼원씨앤지 지진 재난 방지용 제어 장치 및 지진 재난 방지용 지역 통합 제어 시스템
KR20110061190A (ko) * 2009-12-01 2011-06-09 한국가스안전공사 유비쿼터스 기반 지능형 도시가스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333002B1 (ko) 2012-05-24 2013-11-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용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8321B1 (ko) 2013-08-14 2013-12-06 이승희 수리구조물 실시간 안전계측 시스템 및 그 분석방법
KR101686041B1 (ko) 2014-05-27 2016-12-13 (주)희송지오텍 자연재해에 따른 수변구조물의 피해정보를 실시간으로 예측/관리 가능한 gis 기반의 수변구조물 통합관리시스템
KR101493231B1 (ko) 2014-09-05 2015-02-16 (주)희송지오텍 지진계측 및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연계 통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리구조물 모니터링 방법
KR101754620B1 (ko) * 2016-07-18 2017-07-06 (주)우송엔지니어링 화재발생 원격 관리시스템
KR101737789B1 (ko) * 2016-10-31 2017-05-19 주식회사 이그쉐어 지진 및 진동 감지 시스템을 구비한 주차 유도 시스템
KR101834776B1 (ko) * 2017-09-28 2018-03-06 주식회사 대은계전 서버에서 재가공된 정보를 통해 스카다 장치를 통합 제어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673A (ko) 2018-11-21 2020-05-2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Mems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지진동 감시 및 분포 지도 작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12141B1 (ko) * 2020-09-24 2021-02-05 주식회사 대은계전 Bems 기반 서버형 에너지 관리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5823B2 (ja) 電力遮断システム
KR101519923B1 (ko) Ae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부분방전 검출 시스템
US201601718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 Progress Monitoring
US11615699B2 (en) Smoke detector availability test
KR101909671B1 (ko)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
CN104123810A (zh) 一种气体泄漏的报警装置及方法
KR101845942B1 (ko)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KR20120122477A (ko) 재난 방지용 통합관리 제어 시스템
CN110689698A (zh) 一种小区火灾预警和逃生系统及其提示方法
CN105194829A (zh) 开箱门检测系统及方法及控制装置
CN108074381B (zh) 报警方法、装置及系统
KR20120047167A (ko)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CN205404709U (zh) 一种弧光保护装置标准校验系统
JP7249380B2 (ja) 防災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器
KR20100026418A (ko)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기반의 화재 이상징후 판별시스템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CN105548785A (zh) 一种弧光保护装置标准校验方法及系统
WO2019107161A1 (ja) ガスメータシステム
KR100632445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 지점 및 대피 경로 모니터링시스템
KR102040431B1 (ko)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오동작 방지 방법
JPH11337655A (ja) 地震警報監視制御処理装置
KR20200003452A (ko) 지능형 화재 대피 유도시스템
KR20100053128A (ko)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711950B1 (ko) 화재 발생 장소의 설비 제어 시스템
KR102313595B1 (ko) 감지회선이 단선되어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