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823A -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823A
KR20220085823A KR1020227017555A KR20227017555A KR20220085823A KR 20220085823 A KR20220085823 A KR 20220085823A KR 1020227017555 A KR1020227017555 A KR 1020227017555A KR 20227017555 A KR20227017555 A KR 20227017555A KR 20220085823 A KR20220085823 A KR 20220085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flexible display
reel
screen assembly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인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8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전자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하우징, 릴 및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릴은 제1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제2 부분에 연결된 단부 및 릴에 결합된 다른 단부를 갖는다. 릴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서로 멀어질 때 회전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본 개시는 전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날이 갈수록 사용하고 사용 장면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부분의 휴대용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는 일반 7인치 미만의 비교적 작은 화면 크기를 가지고 있어, 태블릿과 같은 제품에 비해 화면의 표시 영역이 제한을 받는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조작 경험이 좋지 않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릴; 및 일 단부가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릴에 결합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릴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서로 멀어질 때 회전하여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릴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회전하여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감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전자 디바이스는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을 구동하여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구동 기구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된 제1 전달 구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전달 구조에 의해 상기 제2 부분을 구동하여 상기 제1 부분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제1 전달 구조는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제1 전달 기어 및 상기 제2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전달 기어와 치합되는 랙부를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릴 및 상기 제1 전달 기어에 연결되는 제2 전달 구조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2 부분을 구동하여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전달 구조를 통해 상기 릴을 구동하여 회전시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해제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제2 전달 구조는 상기 릴에 고정되고 상기 릴과 동심인 제2 전달 기어와, 상기 제1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전달 기어 및 상기 제1 전달 기어와 치합되는 제3 전달 기어를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적층되어 고정 연결되는 가요성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지지부재는 상기 릴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서로 멀어질 때 상기 제1 부분에 맞닿아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평평하게 유지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제1 부분은 제1 탑판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지지부재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제1 탑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서로 멀어질 때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제1 탑판 사이의 간격을 메우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탑판 상에 부착되고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제1 탑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탑판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제2 탑판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탑판과 중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연결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부분 중에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가요성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영역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을 초과하는 바, 그리고 상기 가요성 지지부재의 초과 부분은 상기 릴에 연결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제1 부분은 그 내부에 수용 챔버를 정의하고, 상기 릴은 상기 수용 챔버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수용 챔버 중에 배치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커버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몸체는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수용 챔버를 덮는다. 가용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표시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서로 멀어질 때 확장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확장된 표시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수용 챔버에 용납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상기 커버 몸체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바,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부분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부분에 고정 연결된다.
어떤 실시예들 중에,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수용 챔버 중에 배치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몸체는 상기 카메라에 대응하는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카메라는 광투과부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에서, 하우징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서로 멀어질 때, 릴이 회전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해제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표시 부분을 확장시키게 한다. 이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 표시 영역의 크기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대형 화면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표시 부분은 확장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 크기가 작아지고 전자 디바이스의 휴대가 용이하다. 대형 화면이 필요한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표시 부분은 확장하여 사용자의 조작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추가적인 측면 및 이점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제공되거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명해지거나, 또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실시로부터 습득될 것이다.
다음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개시의 전술한 및/또는 추가적인 양태 및 이점은 명확해질 것이고 이해하기 용이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다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하우징의 제2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하우징의 제2 부분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복원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 제한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 제한 구조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예는 첨부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자 및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소자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예시적이고,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상이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 및 예가 후술하는 설명에서 제공된다. 본 개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특정 소자 및 배열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자 및 설정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참조 번호는 본 개시 중에 상이한 예에서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단순화 및 분명함을 위한 것이며 다른 실시예 및/또는 배열 사이의 관계를 언급하지 않는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0, 릴20,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 제한 부재40, 커버 몸체50, 카메라60, 메인 보드101 및 구동 기구70를 포함한다. 릴20,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 제한 부재40, 커버 몸체50, 카메라60, 메인 보드101 및 구동 기구70가 하우징10 중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또는 기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제2 부분14은 제1 부분12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수용 챔버120을 정의한다. 수용 챔버120은 릴20, 제한 부재40, 카메라60, 메인 보드101 및 구동 기구70와 같은 소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2, 서브 보드103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른 전기 부품들이 수용 챔버120 중에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고, 스피커, 마이크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자 부품들이 서브 보드103에 배치될 수 있다.
경량화 및 박형화를 위해서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전자 부품을 적층하기 위한 공간이 상당히 협소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릴20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저장하기 위해 제1 부분12 중에 배치되므로,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다른 전자 부품의 적층 설계에 넓은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2은 제1 개구1222 및 제2 개구1224가 구비된 제1 탑판122을 포함하는 바, 제1 개구1222 및 제2 개구1224는 수용 챔버120과 연통된다. 제1 개구1222의 방향은 제2 개구1224의 방향과 수직이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제1 개구1222를 통과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상기 일단이 릴에 연결시킨. 구동 기구70는 제2 개구1224를 통해 수용 챔버120 외부로 노출되어 제2 부분14과 연결된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1222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의될 수 있고, 제2 개구1224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폭 방향을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1224는 2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제2 개구1224는 제1 탑판122의 양측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 2 부분14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폭 방향으로 제 1 부분12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분12에는 슬라이딩 홈124이 제공되고, 슬라이딩 홈124은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제2 부분14과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명세서에서, "중앙", "길이방향", "폭 방향", "길이", "너비", "두께", "상부", "하부", "수직적", "수평적", "탑", "바닥", "내부" 및 "외부"와 같은 용어는 본 개시 설명의 편의 또는 간략화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배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배향 또는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언급된 디바이스 또는 소자가 특정한 배향을 가져야 하거나 특정한 배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하는 것을 단독으로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및 "제2"로 정의된 특징은 이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용어 "복수"는 특별하게 명시되지 않는 한 적어도 둘 이상, 예를 들어 둘, 셋 등을 의미한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14은 제1 부분12 상에 배치되고, 제2 부분14도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14은 슬라이딩부144와 제2 탑판142을 포함한다. 두 개의 슬라이딩부144는 제공되어 제2 탑판142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슬라이딩부144는 제1 부분12의 슬라이딩 홈124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 사이의 슬라이딩 연결을 달성하고, 제2 탑판142은 제1 탑판122에 부착된다. 여기서 "부착하다"는 슬라이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두 개가 접촉하고 있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거나, 둘 사이의 간격이 조립 오차 범위 내에 있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에서 특별하게 명시적으로 지정되고 제한되지 않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위에" 또는 "아래에" 있는 구조는 제1 특징이 제 2 특징과 직접 접촉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특징와 제2 특징이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고 그 사이에 형성된 추가 특징을 통해 접촉되는 실시예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위", "상부" 또는 "맨 위"에 위치하는 것은 제1 특징이 바로 또는 비스듬히 제2 특징 "위", "상부" 또는 "맨 위"에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단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부" 또는 "바닥"에 위치하는 것은 제1 특징이 바로 또는 비스듬히 제2 특징 "아래", "하부" 또는 "바닥"에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단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부분14은 제1 부분12에 대해 슬라이드할 수 있어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이 이동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은 서로 멀어진다"는 것은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그 슬라이딩 방향이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은 또한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둘이 서로를 향하여 이동한다"는 것은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그 슬라이딩 방향이 제1 부분12을 향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특별하게 명시되거나 제한되지 않는 한 "장착되다", "결합되다", "연결되다"라는 용어는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용어는, 예를 들면, 고정된 연결,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을 나타낼 수 있고, 기계적 또는 직접적 연결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두 소자의 내부 통신 또는 두 소자 간의 상호 작용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는 특정 상황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4이 제한 위치까지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즉, 제 1 부분12 및 제 2 부분14이 함께 끼워질 때까지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4이 서로 근접하여 이동할 때, 제 1 부분12 및 제 2 부분14은 함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하우징10을 형성한다.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 멀어질 때, 즉, 상기 두 부분이 서로 멀어지게 이동할 때, 제2 부분14은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도 3,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20은 제1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릴20은 수용 챔버1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릴20은 제1 부분12 중에 장착되어 제1 부분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릴20은 구동 기구70과 연결되고 릴20이 구동 기구70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부분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하거나 감는다.
릴20이 제1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릴20이 제1 부분12 중에 직접 장착되거나, 릴20이 다른 매체를 통해 제1 부분12 중에 장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제2 부분14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단부는 제2 부분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 단부는 또한 이동 가능한 기구를 통해 제2 부분1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가능한 기구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조임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타단은 릴20에 결합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부가 릴20에 감길 수 있게 한다. 릴20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감고 해제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 멀어지면 릴20이 회전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하는 바, 이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상기 일단은 제2 부분14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타단은 제1 부분12의 제1 개구1222를 통과한 다음 수용 챔버120 중에 배치된 릴2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 멀어질 때, 릴20이 회전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화면 표시 영역의 크기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대형 화면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 부분301이 확장하지 않을 수 있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체 크기가 작아져 이로 인해 전자 디바이스100의 휴대가 용이하다. 대형 화면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시켜 사용자의 조작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 인접하여 연결된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이 확장되지 않고, 표시 부분301의 확장되지 않은 일부는 수용 챔버120에 용납되고, 전자 디바이스100는 협화면 모드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부는 릴20에 감겨지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다른 일부는 제1 탑판122(또는 제2 탑판142, 제2 탑판142이 제1 탑판122과 실질적으로 중첩되기 때문에)의 상부에 위치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된다. 주의해야 할 점은,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은 제1 부분12의 제1 탑판122 및/또는 제2 부분14의 제2 탑판142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 즉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이 확장되어야 하는 경우,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은 서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 부분12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구동하여 신장을 이루이진다. 이와 같이 릴20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할 수 있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커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경험 및 요구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는 확장 모드에 있다.
제2 부분14과 제1 부분12이 서로 멀어지면 다른 제한 위치가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제한 위치에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시 영역이 가장 크며, 즉 하우징10에서 노출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영역이 가장 크다.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은 가장 넓은 면적을 갖는다(도 7에 도시됨).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시 영역이 가장 작으며,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이 가장 작다.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은 가장 작은 면적을 갖는다(도 5에 도시됨).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제2 부분14에 고정 연결되는데, 이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상기 일단이 제2 부분14에 직접 고정되거나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상기 일단은 다른 매체를 통해 제2 부분14에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상기 일단은 제2 부분14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제1 가장자리를 의미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타단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제2 가장자리를 의미한데 그 중에 제2 가장자리는 제1 가장자리와 대향적이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과 가요성 지지부재34를 포함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과 가요성 지지부재34가 적층되어 고정하게 연결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은 제1 영역322 및 제1 영역322에 연결된 제2 영역324을 포함한다. 제1 영역322은 제 2 탑판142에 부착되고 제 2 탑판142에 대응하며, 즉 제 2 탑판142과 중첩된다. 제1 영역322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를 통해 제2 탑판142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2 영역324은 제1 부분12의 수용 챔버120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가요성 지지부재34에 부착된다.
가요성 지지부재34는 제2 영역324의 바닥에 배치되고 제2 영역324을 완전히 덮는다. 가요성 지지부재34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를 통해 제2 영역324과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가요성 지지부재34는 제2 영역324을 완전히 덮고 초과되며, 가요성 지지부재34의 초과 부분은 릴20과 연결된다. 즉, 초과 부분은 릴20에 감겨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협화면 모드인 경우, 가요성 지지부재34는 릴20에 감겨지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은 대략 "U"자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가요성 지지부재34의 지지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서 압착에 의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협화면 모드인 경우(즉,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를 향해 제한 위치까지 이동할 때), 가요성 지지부재34만이 릴20에 감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은 릴20에 의해 직접 감기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의 굴곡 정도 및 굴곡 회수는 감소될 수 있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의 서비스 수명이 향상시키게 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과 가요성 지지부재34는 모두 릴20이 가요성 지지부재34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 모두를 동시에 감고 해제할 수 있도록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이 가요성 지지부재34와 완전히 중첩된 후에 릴20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배열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가요성 지지부재34는 제2 영역324을 완전히 덮고, 가요성 지지부재34의 지지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고 이에 의해 압착에 의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의 변형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은 대략 "U"형상을 가지고 전자 디바이스100의 메인 보드101, 배터리102, 서브 보드103 및 센서와 같은 전자 부품들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배열은 메인 보드101 및 배터리102와 같은 전자 부품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공간 이용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메인 보드101 및 배터리102와 같은 전자 부품의 적층 및 배치에 도움이 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4이 서로 멀어질 때, 가요성 지지부재34는 제1 부분12에 맞닿아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의 표시 부분301을 평평하게 유지한다.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 멀어지면 가요성 지지부재34는 제1 탑판122에 대향하여 부착된다. 가요성 지지부재34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과 제1 탑판122 사이에 위치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과 제1 탑판122 사이의 간격을 메운다. 다시 말해서, 가요성 지지부재34의 두께는 제1 부분12의 상면과 제2 부분14의 상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 멀어질 때, 제1 탑판122의 상면과 제2 탑판의 상면 사이에 높이 차이가 있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은 제2 탑판142의 상면에 고정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요성 지지부재34는 제1 부분12의 제1 탑판122에 맞닿고 즉 가요성 지지부재34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과 제1 탑판122 사이의 간격을 메운다. 다시 말해서, 제1 탑판122이 제2 탑판142에 부착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이 제2 탑판142의 상면에 고정 연결되기 때문에, 가요성 지지부재34의 두께는 제2 탑판142의 두께와 같으므로, 제1 탑판122과 제2 탑판142 사이의 높이 차이를 채우고,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과 제1 탑판122 사이의 간격을 채운다. 이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이 이동할 때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가 확장 모드인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이 터치 및 압착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도 5 및 도 7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치부342는 가요성 지지부재34의 바닥에 구비되면서 제한 부재40와 치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한 부재40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지지할 수 있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지지부재34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탑판122이 자화할 수 있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제1 탑판122의 표면에 코팅된 자화할 수 있는 금속층이 표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져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할 때, 가요성 지지부재34가 제1 탑판122에 흡수될 수 있어, 작동 중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이탈 또는 유격을 방지하게 한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부재40는 제1 부분12의 수용 챔버1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개구1222로부터 노출되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중간 부분이 제한 부재40 주위에 감겨진다. 그리고 제한 부재40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형태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4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제2 치부42가 제한 부재40의 원주면에 제공되고 가요성 지지부재34의 제1 치부342에 치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지지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확장을 가이드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중간 부분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30의 양단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한 부재40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형태를 제한할 수 있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평평한 상태로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는 "U" 형상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한 부재40는 가요성 지지부재34에 치합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지지하면서, 또한 제2 부분14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구동하여 이동할 때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가이드한다. 이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지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40는 가이드 기어이고, 제한 부재40는 제1 개구12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중간 부분은 제한 부재40 주위에 감겨지고, 가요성 지지부재34의 제1 치부342는 제2 치부42와 치합된다. 다시 말해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제2 부분14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제1 개구1222를 통과하여 제한 부재40 주위에 감긴 후에 릴20과 연결된다. 제2 부분14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의 일단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는 데에, 제한 부재40는 가요성 지지부재34의 구동 하에 점진적으로 회전하고 릴20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타단, 즉 가요성 지지부재34의 일단을 점차적으로 해제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한 부재40에는 제2 치부42가 구비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매끄러운 샤프트 또는 롤러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가요성 지지부재34에도 제1 치부342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고, 제한 부재40와 가요성 지지부재34가 직접 말릴 수 있게 연결될 수 있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가 매끄러운 샤프트 또는 롤러 주위에 직접 감겨서, 제한 부재40가 또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을 지지하고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60는 제1 부분12의 수용 챔버120 중에 배치될 수 있으며, 커버 몸체50는 제1 부분12과 연결되어 수용 챔버120을 덮으며, 카메라60는 커버 몸체50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는 커버 몸체50와 전체로 형성된다.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에 대해 이동할 때, 카메라60는 함께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확장 모드에 있으면 카메라60는 전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의 중간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몸체50는 제1부분1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커버 몸체50를 분리하여 수용 챔버120에 적층되는 메인 보드101, 배터리102, 또는 센서 등의 전자 부품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커버 몸체50와 제1 부분12은 일체 구조로 구성, 즉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특정 배열이 여기에 제한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몸체50는 위치상에서 카메라60에 대응하는 광투과부56(즉, 광투과부56가 카메라60와 정렬됨)을 포함하며, 카메라60는 광투과부56를 통해 빛을 수신되어 외부 슈팅을 위한 커버 몸체50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광투과부56는 카메라60의 슈팅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카메라6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우징10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카메라60가 우발적으로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60는 휴대폰의 후면 카메라일 수 있고, 후면 카메라는 커버 몸체50의 광투과부56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메라60는 또한 휴대폰의 전면 카메라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60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 또는 하우징1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이젝션이나 슬라이드 기구가 채용될 수 있다. 전면 카메라를 필요로 사용하는 경우, 이젝션이나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카메라60가 하우징10 외부로 출사되거나 슬라이드되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화면 대 몸체 비율을 증가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카메라60는 또한 제2 부분14에 고정 연결되고 제2 부분14을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부분14은 카메라60가 배치되는 저장 챔버140를 정의한다. 빛은 제2 부분14을 통과하여 카메라60에 수신될 수 있는 바, 카메라60가 제2 부분60을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에 대해 이동할 때, 카메라60도 제2 부분14과 함께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영역301의 크기는 카메라60의 슈팅 및 촬영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조절될 수 있어, 사용자가 어떤 경우에도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2 부분14은 또한 바닥판146을 포함하고, 바닥판146은 제2 탑판14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저장 챔버140을 정의한다. 다시 말해서, 카메라60는 제2 탑판142과 바닥판146 사이의 저장 챔버140 중에 배치될 수 있고, 카메라60는 제2 부분14의 바닥판146을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카메라60의 정상적인 슈팅 및 촬영 기능은 달성될 수 있는 한 카메라60는 부분적으로만 저장 챔버140에 위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배열은 여기에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60가 정상적으로 슈팅 및 촬영할 수 있도록 바닥판146은 카메라60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가지거나, 카메라60에 대응하는 광투과 영역을 포함한다. 카메라60는 관통홀로부터 노출되거나 광투과 영역을 통해 영상을 획득한다. 즉, 빛은 관통홀 또는 광투과 영역을 통과하여 카메라60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광투과 영역은 유리와 같은 투광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커버 몸체50는 제1 연결부52와 제2 연결부54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52는 제1 부분12의 바닥에 고정 연결되어 수용 챔버120을 둘러싼다. 제2 연결부54는 제2 부분14의 바닥에 고정 연결되고, 카메라60는 제2 연결 부분54을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연결부52는 제1 부분12에 고정 연결되고, 제 2 연결부54는 제2 부분14에 고정 연결된다. 제 2 연결부54는 제 1 연결부52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카메라60는 제 2 부분14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54는 바닥판146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54는 관통홀 또는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광투과부56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카메라60, 관통홀(또는 광투과 영역) 및 광투과부56는 서로 대응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60는 관통홀(또는 광투과 영역) 및 광투과부56를 통해 빛을 수신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협화면 모드인 경우, 즉,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를 향해 제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경우, 제1 연결부52와 제2 연결부54는 접합하여 함께 전자 디바이스100의 커버 몸체50를 형성한다.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질 때, 제2 연결부54는 제2 연결 부분52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52는 호 형상의 오목부522를 갖고, 제2 연결부54는 오목부522와 매칭하는 볼록부542를 가지며, 볼록부542도 호 형상을 갖는다. 전자 디바이스100가 협화면 모드일 때(도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522와 볼록부542는 함께 접합되어 제1 연결부52와 제2 연결부54의 접합을 달성한다. 제1 연결부52 및 제2 연결부54는 다른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다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커버 몸체50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둘 중 하나에는 규칙적으로 배치된 돌기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는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어, 전자 디바이스100가 확장 모드일 때 하우징1의 형태는 미적 지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풍부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52와 제2 연결부54를 서로 다른 두 가지 색상으로 디자인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미관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구동 기구70는 제1 부분12의 수용 챔버120에 배치되고 제2 부분14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 기구70는 제2 부분14을 구동하여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구동하여 신장되도록 한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구동 기구70는 릴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구동 기구70가 제2 부분14을 구동하여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할 때, 구동 기구70는 릴20을 동시에 구동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기구70는 모터71, 제1 전달 구조72 및 제2 전달 구조74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71는 제1 부분12의 수용 챔버120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달 구조72는 제2 부분14 및 모터71와 연결되고, 제2 전달 구조74는 제1 전달 구조72 및 릴20과 연결된다. 그리고 모터71는 제1 전달 구조72를 통해 제2 부분14을 구동하여 제1 부분12에 대해 이동하도록 하며, 제1 전달 구조72 및 제2 전달 구조74를 통해 릴20을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1전달 구조72는 제1전달 기어722와 랙부724를 포함한다. 제1전달 기어722는 제2 전달 구조74와 연결되어 모터71의 모터축711에 고정되고, 랙부724는 제2 부분14에 고정 연결되고 제1 전달 기어722와 치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기어 및 랙 드라이브는 구동을 위해 채택된 것이며, 이는 간단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신뢰한 전달을 이루어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랙부724는 제2 부분14의 제2 탑판142과 일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랙부724는 전체로 제2 탑판142의 하면으로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랙부724는 제2 탑판142 상에 직접 가공될 수 있고 이는 무결성이 양호하고 가공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랙부724와 제2 부분14을 별도로 형성한 후, 용접 등에 의해 함께 고정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이해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배열은 여기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달 구조74는 릴20 및 제1전달 기어722와 연결된다. 제2 전달 구조74는 제2 전달 기어742 및 제3 전달 기어744를 포함하고, 제2 전달 기어742는 릴20에 고정되고 릴20과 동심이며, 제3 전달 기어744는 제1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3 전달 기어744는 제2 전달 기어742 및 제1 전달 기어722와 연결된다. 즉, 제3 전달 기어744는 제2전달 기어742 및 제1 전달 기어722에 각각 치합되고, 제1 전달 기어722 및 제2 전달 기어742는 제3 전달 기어744의 상대한 측에 각각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모터71는 제1 전달 구조72를 통해 제2 부분14을 구동하여 제1 부분12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모터71는 또한 제2 전달 구조74를 통해 릴20을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바, 제2 부분14을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게 구동하면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신장 및 릴20의 동시 해제가 움직임을 상대적으로 안정하게 이루어지게 해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는 주름이 잘 생기지 않는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시 영역이 확장되어야 하는 경우,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가 확장되어야 하는 경우, 모터71는 제1 전달 기어722를 구동하여 회전하고, 제1 전달 기어722는 랙부724를 통해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제2 부분14을 구동한다. 제2 부분14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구동하여 신장하도록 하며, 즉, 제2 부분14은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을 구동한다. 또한, 제1 전달 기어722는 또한 제3 전달 기어744를 구동하여 동시에 회전하고, 제3 전달 기어744는 릴20을 구동하여 회전하고 릴20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동시에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이 팽창되게 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좁힐 필요가 있을 때, 모터71는 단지 역회전하여 제2 부분14을 제1 부분12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 제2 부분14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점차적으로 해제하고 릴20은 또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점진적으로 감을 수 있다.
제2 부분14의 이동 변위는 단위 시간 내에 릴20의 회전에 의해 해제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길이와 동일함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부분14의 당김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이 이동된 거리는 바로 릴20의 회전에 의해 해제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길이이다. 이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가 주름 없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확보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 멀어질 때,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이 확장될 수 있고,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확장된 표시 부분은 수용 챔버120에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릴20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안정적으로 감거나 해제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2개의 구동 기구70과 2개의 릴20이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두 개의 구동 기구7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 챔버120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각각이 제2 부분14과 연결되고, 두 개의 릴20과도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동일한 구동 기구70의 동기 구동에 의해 상기 두 개의 릴20의 동기적이고 안정적인 회전과 제2 부분14의 부드러운 움직임은 달성될 수 있으므로 전기 디바이스100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할 때 전자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또한,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구동 기구70는 또한 제1 부분12에 배치된 2개의 동기 모터7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모터71는 제2 부분14을 구동하여 제1 부분12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모터71는 릴20을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제2 부분14 및 릴20은 별도의 모터71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모터71의 동기 이동은 또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이동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구동 기구70는 기어 전달 및 기어-랙 전달 수단에 의해 제2 부분14 및 릴20을 구동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구동 기구70는 벨트 전달과 기어-랙 전달의 조합 또는 체인 전달과 기어-랙 전달의 조합의 수단을 통해 제2 부분14과 릴20을 구동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달 구조72는 기어 랙 전달을 채택하고, 제2 전달 구조74는 벨트 전달 또는 체인 전달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 기구70는 제1 부분12에 배치된 모터71및 모터71와 연결된 제1 전달 구조72만을 포함할 수 있고, 모터71는 제1 전달 구조72를 통해 제2 부분14을 구동하여 제1 부분12에 대해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릴20에 연결된 복원 기구80도 포함할 수 있고, 복원 기구80은 릴20을 통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이 릴20에 감기는 경향을 유지하게 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구70는 제1 부분12에 배치된 모터71 및 모터71와 연결된 제1 전달 구조7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71는 제1 전달 구조72를 통해 제2 부분14을 구동하여 제1 부분12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바, 제2 전달 구조74는 생략된다.
또한,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복원 기구80도 포함할 수 있고, 복원 기구80는 또한 수용 챔버120에 배치될 수 있다. 복원 기구80는 릴20과 연결되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가 릴20에 감기는 경향을 유지하도록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복원 기구80는 릴20에 복원력을 가하고, 릴20은 복원력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가 릴20에 감기는 경향을 유지한다. 다시 말해서,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외력을 받지 않은 경우, 릴20은 복원 기구8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타단이 릴20에 감겨지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은 완전히 끼워지고, 전자 디바이스100는 협화면 모드에 있다.
제2 부분14이 외력(예를 들어, 구동 기구70에 의해 제2 부분14에 가해지는 작용력)을 받고 외력이 복원 기구80의 복원력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2 부분14는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여, 릴20을 구동하여 회전시켜 복원력에 대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1의 표시 부분30을 확장시킨다.
복원 기구80의 존재로 인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의 표시 부분301가 확장되는 동안, 복원 기구80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에 지속적으로 장력을 가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은 균형 방식으로 권취 및 해제될 수 있으며,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은 항상 평평하게 유지되도록 한다는 것이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00가 복원 기구80를 포함하는 경우에, 구동 기구70는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모터, 제1 전달 구조72 및 제2 전달 구조74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제1 전달 구조72는 제2 부분14 및 모터와 연결되고, 제2 전달 구조74는 제1 전달 구조72 및 릴20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301을 좁힐 필요가 있을 때, 모터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고, 복원 기구80의 복원력을 사용하여 릴20을 역회전시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감는다. 또한 제2 부분14을 제1 부분12을 향해 이동하도록, 즉 제1 부분12에 가깝게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 기구80는 릴20에 연결되고 복원력을 릴20에 가하도록 구성된 탄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소자는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일 수 있다. 물론, 탄성 소자는 고무와 같이 탄성 지지력을 갖는 소자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또한 위치 제한 구조9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제한 구조90는 하우징10에 배치되고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에 대해 소정 위치로 이동할 때 릴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에 대해 소정 위치로 이동할 때, 위치 제한 구조90는 제2 부분14과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가 복원 기구80의 복원력의 작용 하에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위치 제한 구조90는 제1 부분12에 제공된 위치 제한 블록92 및 제2 부분14 중에 형성된 위치 제한 홈94을 포함한다. 제2 부분14은 제1 부분12에 대해 소정 위치로 이동하면, 위치 제한 블록92은 위치 제한 홈94에 맞물린다. 이와 같이, 제2 부분14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제2 부분14 및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는 위치 제한 블록92과 위치 제한 홈94의 맞물림으로 인해 복원 기구80의 복원력의 작용 하에 수축하지 않아 전자 디바이스100가 확장 모드에 있도록 확보한다.
상기 "소정 위치"는 제2 부분14 및 제1 부분12이 서로 멀어져 제한 위치로 이동할 때 이들의 상대 위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한 위치 전의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위치 제한 홈94은 제1 부분12 중에 형성되고 위치 제한 블록92은 제2 부분14에 구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예들에서, 위치 제한 블록은 제1 부분12에 구비될 수 있고, 위치 제한 홈은 릴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14이 소정 위치로 이동하면, 위치 제한 블록은 위치 제한 홈에 맞물린다. 그러한 경우에, 위치 제한 블록은 수동 프레스 또는 전기 구동에 의해 위치 제한 홈에 맞물릴 수 있어, 릴이 제1 부분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2 부분14 및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가 복원 기구80의 작용 하에서 수축되지 않을 것이다. 물론, 다른 실시예들에서, 위치 제한 구조90는 스토퍼도 포함할 수 있고, 복원 기구80은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4이 소정 위치로 이동되면, 스토퍼는 토션 스프링을 정지시켜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을 상쇄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예들에서, 위치 제한 구조90는 또한 제1 부분12에 배치된 탄성 어셈블리 및 제2 부분14에 형성된 제1 스냅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탄성 어셈블리는 가압 부재, 스프링 및 제2 스냅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가압 부재가 제1 부분12에 장착되고, 스프링이 가압 부재 및 제2 스냅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가압 부재는 외력 하에서 스프링에 의해 제2 스냅부를 구동하여 이동하며 제1 스냅부와 스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의 상대 위치를 제한하다. 이로 인해, 제2 부분14이 소정된 위치로 이동하면, 사용자는 가압 부재를 압착할 수 있고, 그 다음 제1 스냅부는 제2 스냅부와 스냅되며, 이에 의해 제2 부분14이 복원 기구80의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확장 모드로 유지한다. 가압 부재를 다시 압착하면 제1 스냅부와 제2 스냅부가 분리되어 제2 부분14과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가 복원기구80의 작용에 의해 수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확장 모드에서 협화면 모드로 복귀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작동 원리를 소개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협화면 모드와 확장 모드 사이에 전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협화면 모드에 있으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확장 모드에 있다. 협화면 모드에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끼워져 하우징10을 형성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제2 부분14과 연결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타단은 릴20에 감겨 있다. 이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소부분만 하우징10로부터 노출되어, 이에 의해 표시 부분301이 좁아져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휴대하기 편리하다.
사용자가 대형 표시 부분301을 필요로 하는 경우, 구동 기구70에 의해 제2 부분14을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부분14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의 일단을 구동하여 이동하고 구동 기구70는 또한 릴20을 구동하여 회전하며, 이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 내부에 감춰져 있던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부가 제2 부분14에 의해 서서히 당겨지면서(즉,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따라서 표시 부분301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서 사용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작업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전자 디바이스100가 확장 모드에서 협화면 모드로 전환해야 할 때, 구동 기구70의 모터71는 제2 부분14을 제1 부분12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역회전하기만 하면 되고, 따라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가 해제되게 한다. 릴20도 상응하게 역회전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동시에 감는다.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를 향해 제한 위치까지 이동하면 모터71가 작동을 정지하고 전자 디바이스100가 협화면 모드로 복귀한다. 다시 말해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이 멀어지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이 확장되고, 제1 부분12과 제2 부분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확장된 표시 부분은 수용 챔버120에 용납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면 릴20이 구동 기구7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하게 한다.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을 향해 이동하면, 릴20은 구동 기구7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감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감소시킨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면, 릴20은 구동 기구7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시킨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2 부분14이 제1 부분12을 향해 이동하면, 릴20은 구동 기구7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감아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줄일 수 있다. 구동 기구70는 도 21에 도시되지 않았다. 다시 말해서, 도 21에 도시된 예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권취 및 해제할 때 릴20의 회전 방향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그들의 회전 방향과 반대이다.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른 실시예가 도 22 내지 도 27에 도시되어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0, 릴20,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 제한 부재40, 커버 몸체50, 카메라60 및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릴20,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 제한 부재40, 커버 몸체50, 카메라60 및 구동 기구는 모두 하우징10에 배치되고, 구동 기구는 도 22 내지 도 27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제1 부분11, 제2 부분13 및 제3 부분15을 포함한다.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은 각각 제3 부분15의 상대하는 2개의 측에 위치되며,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 모두는 제3 부분15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은 제3 부분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부분13도 제3 부분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대칭적으로 제3 부분15의 양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1은 대략 중공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제1 저장 챔버110을 정의하고, 제1 저장 챔버110의 바닥은 개방되어 있다. 제1저장 챔버110은 릴20, 제한 부재40, 및 구동 기구 등의 부품을 용납하도록 구성된다. 제1 부분11은 제1 슬라이딩부113와 제1 탑판111을 포함한다. 2개의 제1 슬라이딩부113는 구비되어 제1탑판111의 길이 방향으로 제1탑판111의 대칭되는 두 개의 측에 각각 연결되며, 제1 슬라이딩부113는 제3 부분15과 끼워져 제1 부분11과 제3 부분15의 슬라이딩 연결을 달성한다.
제1 탑판111에는 제1 저장 챔버110과 연통되는 제1 개구1111가 구비된다. 제1 개구1111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제1 개구1111를 통과하여 릴20과 연결된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2 부분13은 제2 슬라이딩부133와 제2 탑판131을 포함한다. 2개의 제2 슬라이딩부133는 구비되어 제2 탑판131의 길이 방향으로 제2 탑판131의 대칭되는 두 개의 측에 각각 연결되며, 제2 슬라이딩부133는 제3 부분15에 끼워져 제2 부분13과 제3 부분15의 슬라이딩 연결을 달성한다.
제2 탑판131에는 제2 부분13 중에 정의된 제2 저장 챔버130과 연통되는 제2 개구1311가 구비된다. 제2 개구1311도 전자 디바이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타단은 제2 개구1113를 통과하여 릴20과 연결된다.
도 24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분15은 대략 중공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용납 챔버150을 정의한다. 용납 챔버150의 바닥은 개방되어 있고, 커버 몸체50는 용납 챔버150의 바닥을 덮는다. 용납 챔버150은 카메라60와 메인 보드101 등의 부품을 용납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용납 챔버150은 서브 보드103, 프로세서, 센서, 배터리102 등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른 전기 소자들을 적층 및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3 부분15에는 슬라이딩 홈153이 더 구비되고, 슬라이딩 홈153은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을 제3 부분15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제3 부분15은 제3 탑판151을 포함하고, 제3 탑판151은 제1 탑판111과 제2 탑판131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 탑판111 및 제2 탑판131에 실질적으로 부착된다.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의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1 탑판111과 제2 탑판131의 두께도 동일하며, 제3 탑판151의 상면은 제1 탑판111의 하면과 제2 탑판131의 하면에 실질적으로 부착된다. 문맥 상에 "부착되다"는 둘이 슬라이딩에 영향을 주지 않고 서로 맞닿아 있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고, 또는 둘 사이의 간격이 조립 오류 범위 내에 있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은 제3 부분15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제3 부분15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고, 제2 부분13은 또한 제3 부분15의 다른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제3 부분15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서로 멀어진다"는 것은, 제1 부분11이 제3 부분15의 측면에 대해 슬라이드하고, 그 슬라이딩 방향은 제3 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면서, 제2 부분13은 제3 부분15의 다른 측면에 대해 슬라이드하고, 그 슬라이딩 방향은 예를 들어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24 및 도 27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하는 제3 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도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는데, 이는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각각 제 3 부분15의 양쪽에 대해 슬라이드하고, 그 슬라이딩 방향은 예를 들어 도 24 및 도 27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하는 제3 부분15 쪽을 향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서로로부터 멀어진다"는 것은 또한 제1 부분11이 여전히 제3 부분15에 대해 상대적이고, 제2 부분13은 제3 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거나, 제1 부분11은 제3 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고, 제2 부분13은 여전히 제3 부분15에 대해 상대적이라는 것이 이해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이 제3 부분15을 향해 제한 위치로 이동하면(즉,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이 3개가 함께 끼어져 있을 때까지 제3 부분15으로 근접하여 이동하면), 제1 부분11, 제2 부분13 및 제3 부분15 중 3개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하우징10을 형성하게 된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릴20은 제1 릴21과 제2 릴23을 포함한다. 제1 릴21은 제1 부분1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 저장 챔버110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릴21은 제1 저장 챔버110에 장착되어 제1 부분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릴21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에 연결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하거나 감는다.
제2 릴23과 제1 릴21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2 릴23과 제1 릴21은 하우징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제2 릴23은 제2 부분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 저장 챔버130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2 릴23은 제2 저장 챔버130 중에 장착되어 제2 부분1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2 릴23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타단에 연결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하거나 감는다. 다시 말해서, 제1릴21과 제2릴23은 각각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양단에 연결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는 하우징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제1 릴21에 감기는 부분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제2 릴23에 감기는 다른 부분과 대칭된다.
제1 릴21이 제1 부분1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제1 릴21이 제1 부분11에 직접 장착되거나 제1 릴21이 다른 매체를 통해 제1 부분11에 장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릴23이 제2 부분13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제2 릴23이 제2 부분13에 직접 장착되거나 또는 제2 릴23이 다른 매체를 통해 제2 부분13에 장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양단은 각각 제1 릴21 및 제2 릴23에 연결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제1 부분11의 제1 개구1111를 통과한 후 제1 릴21과 연결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타단은 제2 부분13의 제2 개구1311를 통과한 후 제2 릴23과 연결된다.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서로 멀어질 때, 즉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모두 제3 부분15에서 멀어질 때, 제1 릴21 및 제2 릴23은 동시에 회전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점진적으로 해제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화면 표시 영역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대형 화면을 필요한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이 확장되어 사용자의 조작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형 화면을 필요하지 않은 경우 표시 부분301이 확장되지 않을 수 있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지고 전자 디바이스100의 휴대가 용이하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서로로부터 멀어질 때"는 제1 부분11이 여전히 제3 부분15에 대해 상대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부분13은 제3 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면, 제2 릴23만이 회전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단부를 해제하여 표시 부분301을 확장시킨다. 또한,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서로로부터 멀어질 때"는 제1 부분11이 제3 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고 제2 부분13이 여전히 제3 부분15에 대해 상대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제1릴21만 회전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단부를 해제하여 표시 부분301을 확장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이 제3 부분15에 인접하여 제3 부분15과 완전히 끼워지는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은 확장되지 않고, 전자 디바이스100는 협화면 모드(예를 들어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상태)에 있다. 또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제1 릴21에 감겨지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타단은 제2 릴23에 감겨져 있으며, 그 일부는 하우징10(즉, 표시 부분301)으로부터 노출되어 표시를 위해 사용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이 확장되어야 하는 경우,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서로 멀어지게 되고, 제1 릴21과 제2 릴23도 서로 멀어지게 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양단은 각각 제1 릴21 및 제2 릴2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릴21 및 제2 릴23이 동시에 회전하여 서로 멀어지는 동안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양단을 해제하는 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확장 모드(예를 들면, 도 24 및 도 27에 도시된 상태)에 있다.
제2 부분13과 제1 부분11이 서로 멀어질 때 제한 위치, 즉 그 둘이 제3 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는 제한 위치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한 위치에서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시 영역은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이 가장 크다(도 24에 도시됨).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이 제 3 부분15에 인접하여 완전히 끼워지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시 영역은 가장 작으며,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은 가장 작다(도 22에 도시됨).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은 그의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으로도 이해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 및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에 적층되어 고정 연결되는 가요성 지지부재33를 포함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은 제1 영역315, 제2 영역311 및 제3 영역313을 포함하고, 제2 영역311 및 제3 영역313은 각각 제1 영역315의 양단에 연결된다. 제1 영역315은 제1 탑판111 및 제2 탑판131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영역315의 크기는 제1 탑판111 및 제2 탑판131의 면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영역311은 제1 부분11의 제1 저장 챔버1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가요성 지지부재33와 연결된다.
제3 영역313은 제2 부분13의 제2 저장 챔버130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며 가요성 지지부재33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이 확장되는 것은 제1 저장 챔버110 중에 위치하는 제2 영역311 또는 제2 저장 챔버130 중에 위치하는 제3 영역313을 빼거나, 둘 다 동시에 빼내어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에 사용하는 표시 부분301, 즉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가요성 지지부재33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의 바닥에 배치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의 하면을 덮는다. 가요성 지지부재33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를 통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예에서, 가요성 지지부재33의 양단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을 넘어 초과하고, 가요성 지지부재33의 초과 부분은 각각 제1 릴21 및 제2 릴23에 연결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협화면 모드인 경우, 가요성 지지부재33의 일단은 제1 릴21에 감기고, 그 타단은 제2 릴23에 감기게 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은 대략 활주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메인 보드101, 서브 보드103, 센서 및 배터리102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자 부품들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중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배열은 메인 보드101 및 배터리102와 같은 전자 부품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메인 보드101 및 배터리102와 같은 전자 부품의 적층 및 배치에 도움이 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가 협화면 모드인 경우, 제1 릴21 및 제2 릴23은 가요성 지지부재33의 양단만을 감는 반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은 제1 릴21 및 제2 릴23에 직접 감기지 않는다. 따라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의 서비스 수명을 향상시킨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은 또한 가요성 지지부재33와 완전히 일치한 후 제1 릴21 및 제2 릴23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서로 멀어질 때 가요성 지지부재33가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에 맞닿아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을 평평하게 유지한다.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멀어지면, 가요성 지지부재33가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에 부착된다. 따라서, 가요성 지지부재33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동 중에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을 평평하고 안정하도록 확보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이 큰 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치부331는 가요성 지지부재33의 바닥에 구비되고, 제한 부재40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지지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원활하게 이동하기 유지할 수 있도록 제한 부재4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26 및 도 27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제한 부재40는 제1 제한 부재41 및 제2 제한 부재43를 포함한다. 제1 제한 부재41는 제1 부분1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저장 챔버110 중에 위치된다. 제1 제한 부재41는 원통 형상을 갖고 제1 제한 부재41의 원주면에는 제2치부411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제한 부재43는 제2 부분13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 저장 챔버130에 위치한다. 제2 제한 부재43는 제1 제한 부재41와 대칭을 이룬다. 제2 제한 부재43도 원통 형상을 갖고 제2 제한 부재43의 원주면에는 제3 치부431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치부411 및 제3 치부431는 모두 가요성 지지부재33의 제1 치부331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지지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확장을 가이드한다.
이와 같이, 제1 제한 부재41 및 제2 제한 부재43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가 평평한 상태,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가 활주로 형상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형태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한 부재41와 제2 제한 부재43는 가요성 지지부재33와 맞물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지지하고, 제1 릴21과 제2 릴23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하는 동안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가이드한다. 이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는 안정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확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제한 부재41는 가이드 기어이다. 제1 제한 부재41는 제1개구1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가요성 지지부재33의 일단은 제1 제한 부재41 주위에 감겨진다. 그리고 가요성 지지부재33의 제1 치부331는 제2 치부411와 맞물린다. 제2 제한 부재43는 다른 가이드 기어일 수도 있고, 제2 제한 부재43는 제2 개구1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가요성 지지부재33의 타단은 제2 제한 부재43 주위에 감겨지며, 가요성 지지부재33의 제1 치부331는 제3 치부431와 맞물린다. 다시 말해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제1 개구1111를 통과하여 제1 제한 부재41 주위에 감겨져 제1 릴21과 연결되면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타단은 제2 개구1311를 통과하여 제2 제한 부재43 주위에 감겨져 제2 릴23과 연결된다.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서로 멀어지면, 제1 제한 부재41와 제2 제한 부재43는 가요성 지지부재33의 구동에 따라 점진적으로 회전하고, 제1 릴21과 제2 릴23은 점차적으로 가요성 지지부재33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표시 부분301을 확장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의 더 많은 부분이 하우징10 밖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제1 제한 부재41 및 제2 제한 부재43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제한 부재41 및 제2 제한 부재43는 치부가 구비되지 않고, 직접 평활 샤프트 또는 롤러일 수 있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는 롤러 주위에 직접 권취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한 부재41 및 제2 제한 부재43도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을 지지하고 안내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60는 제3 부분15의 용납 챔버150 중에 배치되고, 커버 몸체50는 제3 부분15의 바닥을 덮어 용납 챔버150를 둘러싸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 제2 부분13이 제1 부분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카메라60는 함께 이동하지 않고, 전자 디바이스100가 확장 모드인 경우 카메라60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31 전체의 중앙에 위치한다.
커버 몸체50는 제3 부분1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용납 챔버150 중에 적층된 메인 보드101, 배터리102 또는 센서 등의 전자 부품들의 수리 및 교체하기 위해 커버 몸체50를 분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커버 몸체50에는 카메라60에 대응되는 광투과부56가 구비되고, 카메라60는 광투과부56를 통해 슈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60의 슈팅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카메라60를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60가 하우징10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우발적으로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도 23,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커버 몸체50는 제1 연결부51, 제2 연결부53 및 제3 연결부55를 포함한 데 제1 연결부51는 제1 부분11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저장 챔버110를 감싸고, 제2 연결부53는 제2 부분13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 저장 챔버130을 감싸고, 제3 연결부55는 제3 부분15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용납 챔버150을 둘러싼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협화면 모드인 경우, 즉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서로를 향해 제한 위치까지 이동하여 제3 부분15에 완전히 끼워지면, 제1 연결부51, 제2 연결부53 및 제3 연결부55는 함께 접합되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커버 몸체50를 형성한다. 도 23, 도 24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51와 제2 연결부53는 제3 연결부55에 대해 대칭적이다. 제1 연결부51와 제2 연결부53는 볼록한 호부를 포함하고, 제3 연결부55의 양측은 볼록 호와 매칭하는 오목 호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가 협화면 모드인 경우, 오목 호 부분과 볼록 호 부분이 함께 접합되어 제1 연결부51와 제3 연결부55의 접합 및 제2 연결부53와 제3 연결부 55의 접합은 달성된다. 제1 연결부51, 제2 연결부53 및 제3 연결부55도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 모두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커버 몸체50에 직접 접합된다. 다른 예를 들어, 제3 연결부55의 대칭적인 2개의 측에는 규칙적으로 배치된 돌기가 제공되고, 제1 연결부51와 제2 연결부53는 돌기에 대응하는 홈을 갖도록 형성되어 전자 디바이스100가 확장 모드이면 하우징10의 형태를 풍부하게 하여 미적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52, 제2 연결부53 및 제3 연결부55를 다양한 색상으로 설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미관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구동 기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2개의 구동 기구는 각각 제1저장 챔버110 및 제2저장 챔버130에 배치된다. 제1 저장 챔버에 배치된 구동 기구는 제1 탑판111 및 제1 릴21과 연결되고, 제1부분11을 구동하여 제3부분15에서 멀어지게 이동하는 동시에 제1릴21을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을 해제한다.
제2 저장 챔버130 중에 배치된 구동 기구는 제2 탑판131 및 제2 릴23과 연결되어, 제2 부분13을 제3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게 구동하고, 제2 릴23도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다른 단부를 해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기구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기 실시예(예를 들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의 구동 기구7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편의상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시 영역이 확장되어야 하는 경우,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이 확장되어야 하는 경우, 제1 부분11은 제1 저장 챔버110 중에 배치된 구동 기구에 의해 제3 부분15 및 제2 부분1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구는 제1 릴21을 구동하여 회전하고 제1 릴21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점진적으로 해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하는 목적을 달성한다(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27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이 좁힐 필요가 있을 때, 구동 기구의 모터71는 단지 역회전되어 제1 부분11을 제3 부분15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면 된다. 이 경우, 제 1 릴21도 구동 기구의 구동 하에서 역회전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단부를 점차적으로 감는다(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26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의 이동 변위는 제1 릴21의 단위 시간 회전에 의해 해제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길이와 동일함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부분11이 이동한 거리는 제1 릴21의 회전에 의해 해제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길이와 같으므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가 주름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확보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시 영역을 확장해야 하는 경우, 제2 저장 챔버130 중에 배치된 구동 기구에 의해 제2 부분13을 구동하여 제3 부분15 및 제1 부분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할 수 있고, 구동 기구는 또한 제2 릴23을 구동하여 회전한다. 이를 통해 제2 릴23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점진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이 확장될 필요가 있을 때, 2개의 구동 기구 중 하나만이 제1 부분11 또는 제2 부분13을 구동하여 제3 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확장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한다. 물론, 상기 2개의 구동 기구는 각각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을 제3 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동하는 데 모두 사용될 수 있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구동 기구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의 확장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을 제3 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동기적으로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작동 원리는 2개의 구동 기구가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을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다.
도 22, 도 23,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협화면 모드와 확장 모드 사이에 전환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협화면 모드에 있고, 도 24 및 도 27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확장 모드에 있다. 협화면 모드에서는 제1 부분11, 제2 부분13 및 제3 부분15이 끼워 맞춰져 하우징10을 형성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제1 릴21에 감겨지고 그 타단은 제2 릴23에 감겨진다. 이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소부분만 하우징10 밖으로 노출되고 표시 부분301이 좁아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휴대하기 편리하다.
사용자가 대형 디스플레이 부분301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은 각각 제3 부분15으로부터 멀어지도록 2개의 기구에 의해 구동되고,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의 이동 방향은 대향적이다. 동시에, 구동 기구는 또한 제1 릴21 및 제2 회전축23을 구동하여 회전시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하도록 하여, 제1 저장 챔버110에 숨겨진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의 제2 영역311이 점차적으로 빼내고, 유사하게 제2저장 챔버130에 숨겨진 있던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의 제3영역313이 서서히 빼낸다. 이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부가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표시 부분301의 면적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조작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전자 디바이스100가 확장 모드에서 협화면 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경우, 구동 기구의 모터71가 반대로 회전하여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 각각을 구동하여 제3 부분15을 향해 이동시키면 된다. 이 경우, 제1 릴21과 제2 릴23도 이에 따라 역회전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동시에 감는다.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제3 부분15을 향해 제한 위치까지 이동하면(즉, 3개가 완전히 끼워짐), 모터71는 작동을 멈추고, 전자 디바이스100는 협화면 모드로 복귀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0, 릴20 및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부분11 및 제2 부분13을 포함한다. 릴20은 제1 부분1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제2 부분13에 고정 연결되고, 그 타단은 릴20에 감겨진다. 릴20은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서로 멀어질 때 회전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하게 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하우징10의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3이 사로 멀어지는 경우, 릴20이 회전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할 수 있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한다. 이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대형 화면을 필요한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301을 확장하여 사용자의 조작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큰 화면을 필요하지 않은 경우, 표시 부분301를 확장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체 크기가 작아지고 전자 디바이스100의 휴대가 용이하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어떤 특정 실시예", "일 실시예", "어떤 실시예들", "예시적인 실시예", "예시", "특정 예" 또는 "어떤 예들"에 대한 용어는 실시예 또는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에서 예시하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들에게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한 실시예에 대한 변경, 대체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을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제1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릴(20); 및
    일 단부가 상기 제2 부분(14)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릴(20)에 결합된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포함하며,
    그 중에는 상기 릴(20)은 상기 제1 부분(12)과 상기 제2 부분(14)이 서로 멀어질 때 회전하여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100).
  2. 제1항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릴(20)은 상기 제1 부분(12)과 상기 제2 부분(14)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회전하여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감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동 기구(70)를 더 포함하며, 그 중에서 상기 구동 기구(70)는 상기 제2 부분(14)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14)을 구동하여 상기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구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100).
  4. 제3항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구동 기구(70)는 모터(71 )및 상기 모터(71)와 상기 제2 부분(14)에 연결된 제1 전달 구조(72)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모터(71)는 상기 제1 전달 구조(72)에 의해 상기 제2 부분(14)을 구동하여 상기 제1 부분(12)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100).
  5. 제4항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제1 전달 구조(72)는
    상기 모터(71)와 연결되는 제1 전달 기어(722); 및
    상기 제2 부분(14)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전달 기어(722)와 치합되는 랙부(724)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100).
  6. 제5항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구동 기구(70)는 상기 릴(20) 및 상기 제1 전달 기어(722)와 연결되는 제2 전달 구조(74)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모터(71)는 상기 제2 부분(14)을 구동하여 상기 제1 부분(12)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전달 구조(74)를 통해 상기 릴(20)을 구동하여 회전시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100).
  7. 제6항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제2 전달 구조(74)는,
    상기 릴(20)에 고정되고 상기 릴(20)과 동심인 제2 전달 기어(724); 및
    상기 제1 부분(1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전달 기어(724) 및 상기 제1 전달 기어(722)에 치합되는 제3 전달 기어(744)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에 적층되어 고정 연결되는 가요성 지지부재(34)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지지부재(34)는 상기 릴(20)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지지부재(34)는 상기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 멀어질 때 상기 제1 부분(12)에 맞닿아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을 평평하게 유지하는 전자 디바이스(100).
  9. 제8항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제1 부분(12)은 제1 탑판(122)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지지부재(34)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과 상기 제1 탑판(1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 멀어질 때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과 상기 제1 탑판(122) 사이의 간격을 메우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100).
  10. 제9항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제2 부분(14)은 상기 제1 탑판(122) 상에 부착되고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과 상기 제1 탑판(12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탑판(142)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100).
  11. 제10항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은,
    상기 제2 탑판(142)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탑판(142)과 중첩되는 제1 영역(322); 및
    상기 제1 영역(322)에 연결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부분(12) 중에 배치된 제2 영역(324)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100).
  12. 제11항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가요성 지지부재(34)는 상기 제2 영역(324)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324)을 초과하는 바, 그리고 상기 가요성 지지부재(34)의 초과 부분은 상기 릴(20)에 연결되는 전자 디바이스(10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제1 부분(12)은 그 내부에 수용 챔버(120)를 정의하고, 상기 릴(20)은 상기 수용 챔버(120) 중에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일부는 상기 수용 챔버(120) 중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는 커버 몸체(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몸체(50)는 상기 제1 부분(12)과 연결되고 상기 수용 챔버(120)를 덮고,
    상기 가용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표시 부분은 상기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 멀어질 때 확장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30)의 확장된 표시 부분은 상기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수용 챔버(120)에 용납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100).
  14. 제13항에 있어서,
    그 중에서 상기 커버 몸체(50)는 제1 연결부(52) 및 상기 제1 연결부(52)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2 연결부(54)를 포함하는 바, 상기 제1 연결부(52)는 상기 제1 부분(12)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54)는 상기 제2 부분(14)에 고정 연결되는 전자 디바이스(100).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2)의 상기 수용 챔버(120) 중에 배치된 카메라(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몸체(50)는 상기 카메라(60)에 대응하는 광투과부(56)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60)는 광투과부(56)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100).
KR1020227017555A 2019-12-13 2020-10-21 전자 디바이스 KR202200858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282316.3 2019-12-13
CN201911282316.3A CN112991928B (zh) 2019-12-13 2019-12-13 电子装置
PCT/CN2020/122473 WO2021114882A1 (en) 2019-12-13 2020-10-21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823A true KR20220085823A (ko) 2022-06-22

Family

ID=7302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555A KR20220085823A (ko) 2019-12-13 2020-10-21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16036B2 (ko)
EP (1) EP3836522B1 (ko)
JP (1) JP2023504012A (ko)
KR (1) KR20220085823A (ko)
CN (1) CN112991928B (ko)
WO (1) WO20211148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980A1 (ko) * 2022-09-05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구동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80644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54432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5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27S (ko) * 2019-04-10 2021-11-08
JP1654803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6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30S (ko) * 2019-04-10 2021-11-08
JP1654801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8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9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0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28S (ko) * 2019-04-10 2021-11-08
EP3955236B1 (en) * 2019-04-11 2023-11-15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JP1653373S (ja) * 2019-07-11 2020-02-25 携帯電話機
JP1663174S (ja) * 2019-08-08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170S (ja) * 2019-08-08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171S (ja) * 2019-08-08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169S (ja) * 2019-08-08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180S (ja) * 2019-09-19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465S (ja) * 2019-09-25 2020-07-13 携帯電話機
JP1663468S (ja) * 2019-09-25 2020-07-13 携帯電話機
JP1663479S (ja) * 2019-10-24 2020-07-13 携帯電話機
JP1674248S (ja) * 2019-11-07 2020-12-07 携帯電話機
JP1663663S (ja) * 2019-11-07 2020-07-13 携帯電話機
JP1673957S (ja) * 2019-11-07 2020-12-07 携帯電話機
JP1673958S (ja) * 2019-11-07 2020-12-07 携帯電話機
JP1674247S (ja) * 2019-11-07 2020-12-07 携帯電話機
JP1663667S (ja) * 2019-11-12 2020-07-13 携帯電話機
JP1663665S (ja) * 2019-11-12 2020-07-13 携帯電話機
CN111243438B (zh) * 2020-02-07 2022-0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USD966246S1 (en) * 2020-03-31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66248S1 (en) * 2020-03-31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66247S1 (en) * 2020-03-31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1001788S1 (en) * 2020-04-02 2023-10-1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9055S1 (en) * 2020-04-02 2023-06-1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4343S1 (en) * 2020-04-06 2023-0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1384S1 (en) * 2020-04-06 2023-03-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8849S1 (en) * 2020-04-06 2023-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8848S1 (en) * 2020-04-06 2023-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1997S1 (en) * 2020-04-06 2023-03-2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8123S1 (en) * 2020-04-06 2023-02-14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1996S1 (en) * 2020-04-06 2023-03-2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CN111425725A (zh) * 2020-05-21 2020-07-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屏下支撑结构及显示装置
US11314285B2 (en) * 2020-05-26 2022-04-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stretching members and transmission mechanism
USD969769S1 (en) * 2020-06-23 2022-11-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 phone
CN111710241B (zh) * 2020-06-24 2021-12-28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显示装置
CN111627340B (zh) * 2020-06-30 2023-05-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11833743B (zh) * 2020-07-02 2021-12-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WO2022025320A1 (ko) * 2020-07-30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4187351A4 (en) * 2020-10-12 2024-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CN114501915A (zh) * 2020-10-27 2022-05-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227516B1 (en) * 2020-10-30 2022-01-18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CN114596772B (zh) * 2020-12-07 2024-05-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伸缩驱动机构和电子设备
KR20230091938A (ko) * 2021-01-26 2023-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5529367A (zh) * 2021-06-25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5529368A (zh) * 2021-06-25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伸缩屏结构及电子设备
KR20230013918A (ko) * 2021-07-20 2023-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26198B1 (en) * 2021-07-29 2022-12-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Rollable displays with tension controls
CN114138059A (zh) * 2021-08-02 2022-03-0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907018B2 (en) 2021-08-27 2024-02-20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device housings and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and corresponding methods
CN113707024B (zh) * 2021-09-02 2023-08-0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WO2023113152A1 (ko) * 2021-12-14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CN114844968A (zh) * 2022-05-26 2022-08-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927065B (zh) * 2022-06-07 2023-06-2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6708619B (zh) * 2022-12-21 2024-03-12 荣耀终端有限公司 卷轴机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8057B1 (en) * 2005-06-06 2009-07-07 Alex Naksen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adjustable interface
US7440265B2 (en) * 2005-12-27 2008-10-21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Variable-sized screen
JP4607192B2 (ja) * 2006-01-06 2011-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107127B1 (ko) * 2010-01-12 2012-01-31 주식회사 다이아벨 이동 단말기
KR101273182B1 (ko) *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TWI582640B (zh) * 2013-01-10 2017-05-11 黃海濤 具可捲式螢幕的掌上型電子裝置及其顯示方法
US20150153777A1 (en) 2013-12-03 2015-06-04 Nvid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both inflexible display screen and flexible display screen
KR102420437B1 (ko) * 2015-01-13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4680943B (zh) 2015-03-16 2017-07-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和显示装置
US10347160B2 (en) * 2015-04-30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rollable display device
JP6637684B2 (ja) * 2015-06-22 2020-01-29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US10094166B2 (en) 2016-03-29 2018-10-09 Glide Rite Corporation Retractable barrier system
CN206270800U (zh) 2016-07-08 2017-06-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6302885A (zh) 2016-09-28 2017-01-04 珠海凯邦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KR102631840B1 (ko) * 2016-10-06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CN106713554A (zh) 2017-02-23 2017-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组件和移动终端
CN109151097B (zh) 2017-06-19 2022-06-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和显示方法
CN107402672B (zh) 2017-07-27 2020-09-1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89189B1 (ko) * 2017-11-29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91961B1 (ko) * 2018-01-29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230937A (zh) 2018-03-26 2018-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102257703B1 (ko) * 2018-04-09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68068B1 (ko) * 2018-07-13 2022-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08434007U (zh) 2018-07-23 2019-01-25 深圳市凯威德通讯设备有限公司 圆筒柔性屏手机
CN109587299A (zh) 2018-12-05 2019-04-05 邹耿彪 一种屏幕可卷起的移动通信终端
CN109451113B (zh) 2018-12-06 2023-12-22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包含柔性屏的设备
CN209167965U (zh) 2018-12-27 2019-07-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9533604A (zh) 2018-12-27 2019-03-29 重庆玮硕恒基电脑配件有限公司 一种柔性屏收纳装置
CN109819074B (zh) 2018-12-29 2021-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CN109857197B (zh) 2019-01-31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屏装置及电子设备
CN109600469A (zh) 2019-02-18 2019-04-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9981850B (zh) 2019-03-29 2021-08-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1835893A (zh) * 2019-04-22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以及伸缩机械部件
WO2020256183A1 (ko) * 2019-06-19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491289B (zh) * 2019-07-29 2024-03-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10041380A (ko) * 2019-10-07 2021-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의 전자 장치
WO2021112291A1 (ko) * 2019-12-05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4075414A4 (en) * 2019-12-13 2023-08-30 LG Electronics Inc. FLEXIBLE INDIC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980A1 (ko) * 2022-09-05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구동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80644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4012A (ja) 2023-02-01
CN112991928B (zh) 2022-08-16
EP3836522B1 (en) 2022-08-24
US11416036B2 (en) 2022-08-16
EP3836522A1 (en) 2021-06-16
WO2021114882A1 (en) 2021-06-17
US20210181801A1 (en) 2021-06-17
CN112991928A (zh)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5823A (ko) 전자 디바이스
CN113067915B (zh) 移动终端
WO2021115427A1 (zh) 电子装置
CN112995364B (zh) 移动终端
WO2021121118A1 (zh) 电子装置
WO2021115431A1 (zh) 电子装置
WO2021115430A1 (zh) 电子装置
CN112991929B (zh) 电子装置
CN112991933B (zh) 移动终端
WO2021115428A1 (zh) 电子装置
EP4075244A1 (en) Flexible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12995371B (zh) 移动终端
CN115083270B (zh) 电子装置
WO2021115433A1 (zh) 电子装置
CN115376415B (zh) 电子装置
CN113766048B (zh) 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