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604A - 중요증서 모출납기 및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요증서 모출납기 및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604A
KR20220085604A KR1020200175809A KR20200175809A KR20220085604A KR 20220085604 A KR20220085604 A KR 20220085604A KR 1020200175809 A KR1020200175809 A KR 1020200175809A KR 20200175809 A KR20200175809 A KR 20200175809A KR 20220085604 A KR20220085604 A KR 20220085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ortant
certificate
certificates
sensing unit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항
강진현
서명원
윤영진
윤태호
이주용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604A/ko
Priority to PCT/KR2021/000601 priority patent/WO2022131437A1/ko
Publication of KR20220085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실시예는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관리하는 중요증서 모출납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 각각의 식별자, 출납 여부, 종류 및 수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담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 중에서 출납되어 상기 상담원 단말에 인계된 중요증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중요중요증서 모출납기를 설치함으로서, 종래 상담원 수기로 전산 등록을 수행하는 것에 비해 경제적이며, 중요증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요증서 모출납기 및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APPARATUS FOR RECEIPTING AND DISBURSEMENTING OF CERTIFICATE, SYSTEM FOR AUTOMATING OF FINANCIAL WORK}
실시예는 고객의 요청에 대응하는 중요증서를 발급하는 중요증서 모출납기 및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통신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종래 대면 인증을 통해 이루어지던 금융거래는 최근 유선 통신망 내지 유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비대면 인증을 이용한 비대면 금융거래 방식으로 이전되었으며, 현재 상기 비대면 금융거래 중인터넷 뱅킹을 통한 금융거래 금액만 하루 수십조원에 이르고 있다.
은행에는 통장 및 카드를 발급하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업무를 담당하는 상담원이 금고에 비치된 중요증서 보관함을 꺼낸 후 전산 등록하여 업무를 개시하고 있다.
업무를 개시한 상담원은 중요 중요증서 보관함에서 실물을 인수하고, 다시 전산 등록을 한 후, 상담원 자리에 일정 량의 중요증서를 배치하여 고객에게 발급하게 된다.
상담원의 수령한 중요증서의 고객 발급으로 인해 중요증서가 부족할 경우, 중요 중요증서 보관함에서 일정량의 중요증서를 꺼낸 후 다시 전산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에는 중요증서가 금고를 통해 상담원에게 수령될 때까지 보안 문제로 인해 등록 확인 절차를 반복 수행하게 되고, 이에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고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금융 업무가 늘어남에 따라 상담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새로운 기능을 더하도록 수정되거나 프로그램을 완전히 변경해야 되기 때문에 개발 및 교체에 대한 비용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는 중요증서의 발급 업무 단계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증서 모출납기,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는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관리하는 중요증서 모출납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 각각의 식별자, 출납 여부, 종류 및 수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담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 중에서 출납되어 상기 상담원 단말에 인계된 중요증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요증서 모출납기는 복수의 중요증서들이 저장되는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요증서는 체크 카드, OTP 카드, 보안 카드 및 통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담원 단말로부터 상기 출납된 중요증서가 고객에게 발급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납된 중요증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은 상담원 단말과, 상기 상담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담원 ID 정보를 기초로 금융 업무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인출시키는 중요증서 모출납기와, 상기 중요증서 모출납기에서 인출된 상기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중요증서들이 장착되는 디지털 데스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중요증서 모출납기는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 각각의 식별자, 출납 여부, 종류 및 수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담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 중에서 출납되어 상기 상담원 단말에 인계된 중요증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데스크 장치는 상기 중요증서를 발급하는 중요증서 발급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요증서 발급기는 정보 입력을 위한 태블릿, 핀패드, 신분증 스캐너, 인감 스캐너, 장정맥 단말기, 용지 프린터 및 통장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중요증서 모출납기를 설치함으로써, 종래 상담원 수기로 전산 등록을 수행하는 것에 비해 경제적이며, 중요증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디지털 데스크에 중요증서 발급기를 설치함으로써, 중요증서 출력에 걸리는 절차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디지털 데스크 장치에 화면 표시부를 설치함으로써, 고객과 비대면 금융 상담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의 중요증서 모출납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의 디지털 데스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의 디지털 데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의 디지털 데스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의 중요증서 모출납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의 디지털 데스크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의 디지털 데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의 디지털 데스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1000)은 뱅킹 호스트(10)와, 상기 뱅킹 호스트(10)에 접속되는 상담원 단말(100)과, 상기 상담원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상담원 ID 정보를 기초로 금융 업무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인출시키는 중요증서 모출납기(200)와, 상기 중요증서 모출납기(200)에서 인출된 상기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중요증서들이 장착되며, 고객의 발급 요청에 대응하는 중요증서를 발급하는 중요증서 발급기가 구비된 디지털 데스크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뱅킹 호스트(10)는 금융 기관에 설치된 서버일 수 있다. 뱅킹 호스트(10)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 저장 및 업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담원 단말(100)은 뱅킹 호스트(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담원 단말(100)은 상담원의 제어에 의해 뱅킹 호스트(10)로부터 금융 업무에 관련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담원 단말(100)에는 단말 AP(110)가 설치되어 뱅킹 호스트(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담원 단말(100)은 디지털 데스크(300)에 착석한 고객으로부터 중요증서 발급 요청에 따른 정보를 뱅킹 호스트(10)에 전송하고, 뱅킹 호스트(10)로부터 중요증서 발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담원 단말(100)은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담원 단말(100)은 하나의 금융 기관 내에 설치된 단말이거나, 각 금융 기관에 연결된 단말일 수 있다.
중요증서 모출납기(200)는 금고(20)에서 인출된 중요증서들이 보관될 수 있다. 중요증서 모출납기(200)는 종래 보관함과는 다르게 내부에 보관된 중요증서들의 수량 및 정보들을 가지고 있으며, 중요증서들이 인출될 시 인출된 중요증서에 대한 정보도 가질 수 있다.
중요증서 모출납기(200)에는 중요증서들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설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담원이 상담원 단말(100)을 이용하여 상담원 ID 정보를 중요증서 모출납기(200)에 입력하고 필요한 중요증서들 종류에 대한 수량을 입력하면, 중요증서 모출납기(200)는 상담원 ID 정보를 기초로 상담원 단말(100)이 요청한 중요증서들을 인출할 수 있다.
중요증서 모출납기(200)에서 인출된 중요증서들은 디지털 데스크(30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중요증서 모출납기(200)에서 인출된 중요증서들은 별도의 운반 유닛을 통해 직접 장착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담원이 직접 중요증서들을 디지털 데스크(300)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중요증서 모출납기(200)는 보관부(210)와, 복수의 센싱부(231, 232, 233, 234)와, 제어부(240)와 송수신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부(210)는 금고(20)로부터 인출된 중요증서들이 장착되는 공간일 수 있다. 보관부(210)에는 제1 중요증서 내지 제4 중요증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중요증서들은 통장일 수 있다. 제2 중요증서들은 체크 카드일 수 있다. 제3 중요증서들은 OTP 카드일 수 있다. 제4 중요증서들은 보안 카드일 수 있다. 중요증서들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싱부는 제1 센싱부(231), 제2 센싱부(232), 제3 센싱부(233), 제4 센싱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부(231)는 중요증서들에 대한 식별자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는 시리얼 번호 정보일 수 있다. 제2 센싱부(232)는 중요증서들에 대한 출납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제3 센싱부(233)는 중요증서들의 종류를 센싱할 수 있다. 예컨대, 중요증서들이 제1 중요증서인지, 제2 중요증서인지, 제3 중요증서인지, 제4 중요증서인지 센싱할 수 있다. 제4 센싱부(234)는 중요증서들의 개수를 센싱할 수 있다. 제4 센싱부(234)는 중요증서들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개수를 센싱할 수 있다.
송수신기(250)는 상담원에게 인계된 중요증서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50)는 상담원 단말(100)과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송수신(250)기는 뱅킹 호스트(10)와 송수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센싱부(231, 232, 233, 234) 및 송수신기(250)를 제어하여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50)는 상담원 단말로부터 인출된 중요증서가 고객에게 발급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인출된 중요증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중요증서들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중요증서 모출납기(200)는 종래 상담원 수기로 전산 등록을 수행하는 것에 비해 경제적이며, 중요증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데스크(300)는 금융 기관을 방문한 고객의 업무를 처리하는 공간으로서 고객이 착석하면, 그 정보를 상담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데스크(300)는 중요증서 모출납기(200)에서 인출된 중요증서들을 종류 별로 저장하며, 고객이 중요증서 발급을 요청하면, 발급 요청에 대응하는 중요증서들을 출력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데스크(300)는 복수의 장착부(310)와, 센싱부(320, 330)와, 관리 서버(340)와, 중요증서 발급기(350)과, 통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장착부(310)는 중요증서들이 장착되는 공간일 수 있다. 복수의 장착부(310)는 제1 중요증서들이 장착되는 제1 장착부(311)와, 제2 중요증서들이 장착되는 제2 장착부(312)와, 제3 중요증서들이 장착되는 제3 장착부(313)와, 제4 중요증서들이 장착되는 제4 장착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중요증서들은 통장일 수 있다. 제2 중요증서들은 체크 카드일 수 있다. 제3 중요증서들은 OTP 카드일 수 있다. 제4 중요증서들은 보안 카드일 수 있다. 중요증서들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장착부(311)에는 제1 중요증서들이 상하 또는 좌우로 정렬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제2 장착부(312)에는 제2 중요증서들이 상하 또는 좌우로 정렬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제3 장착부(313)에는 제3 중요증서들이 상하 또는 좌우로 정렬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제4 장착부(314)에는 제4 중요증서들이 상하 또는 좌우로 정렬되어 장착될 수 있다. 중요증서들이 장착되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센싱부는 제5 센싱부(320)와, 제6 센싱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센싱부(320)는 중요증서들의 수량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싱부(320)는 제1 장착부(311), 제2 장착부(312), 제3 장착부(313) 및 제4 장착부(314)의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제6 센싱부(330)는 중요증서들의 시리얼 번호를 센싱할 수 있다. 제6 센싱부(330)는 시리얼 번호가 적힌 카드 종류가 장착된 장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6 센싱부(330)는 제2 장착부(312), 제3 장착부(313) 및 제4 장착부(314)에 설치될 수 있다.
관리 서버(340)는 제5 센싱부(320) 및 제6 센싱부(330)에서 센싱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관리 서버(340)는 제5 센싱부(320)에서 센싱한 중요증서들의 수량이 저장될 수 있다. 관리 서버(340)는 제6 센싱부(330)에서 센싱한 중요증서들의 시리얼 번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고객 요청에 의해 중요증서들이 고객에게 발급된 경우, 관리 서버(340)는 고객에게 발급한 카드의 종류 및 수량을 체크할 수 있으며, 장착부(310)에 보관된 중요증서들의 남은 개수도 체크할 수 있다.
중요증서 발급기(350)는 중요증서들을 고객에게 발급하는 역할을 한다. 중요증서 발급기(350)는 통장 발급기(351)와 카드 발급기(35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장 발급기(351)는 고객 요청에 대응하는 통장들을 이용하여 발급할 수 있다. 카드 발급기(352)는 고객 요청에 대응하는 체크 카드, OTP 카드 또는 보안 카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발급할 수 있다. 중요증서 발급기(350)의 종류로서 통장 발급기, 카드 발급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중요증서를 발급할 수 있는 발급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관리 서버(340)에 저장된 중요증서들의 수량 및 시리얼 번호 정보를 상담원 단말(100)에 통신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관리 서버(340)에 저장된 중요증서의 발급 정보 및 중요증서의 남은 수량 정보 등을 상담원 단말(100)에 통신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LTE,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데스크(300)는 데스크(D)를 포함할 수 있다. 데스크(D)는 책상 형태로 형성되며, 데스크(D)를 기준으로 상담원과 고객이 마주볼 수 있다.
데스크(D)의 일측에는 중요증서를 장착하는 장착부(310), 제5 센싱부(320), 제6 센싱부(330), 관리 서버(340), 중요증서 발급기(350), 통신부(360)가 박스 형태의 발급 장치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발급 장치에는 고객이 요청한 통장 및 카드가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중요증서 발급기(350)는 정보 입력을 위한 태블릿(351), 핀패드(352), 신분증 스캐너(355), 인감 스캐너(353), 장정맥 단말기(3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중요증서 발급기(350)는 그외 , NFC 리더 및 지문 인식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중요증서 발급기(350)가 배치된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고객의 전방에 손이 닿을 정도의 거리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중요증서 발급기(350)는 데스크(D)에 고정되지 않고 데스크(D)에 별도의 연결 고리로 연결된 구성일 수 있으나,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중요증서 발급기(350)는 용지 프린터(370) 및 통장 프린터(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담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상담원이 통장 또는 카드 발급을 위해 상담원 단말(100)을 통해 신분증을 요청할 경우, 상담원 단말(100)을 통해 신분증 스캐너(355)를 활성화시키고, 고객은 신분증 스캐너(355)를 통해 신분증을 스캔할 수 있다. 신분증 스캐너(355)는 스캔된 신분증을 상담원의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디지털 데스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데스크(300)는 데스크(D)를 포함할 수 있다. 데스크(D)는 책상 형태로 형성되며, 데스크(D)를 기준으로 상담원과 고객이 마주볼 수 있다. 데스크(D)는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판은 고객과 상담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데스크(D) 상판에는 화상 표시부(DP)가 장착될 수 있다. 화상 표시부(DP)는 모니터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표시부(DP)는 2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데스크(D)의 상판은 투명한 아크릴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상 표시부(DP)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데스크(D)의 일측에는 중요증서를 장착하는 장착부(310), 제5 센싱부(320), 제6 센싱부(330), 관리 서버(340), 중요증서 발급기(350), 통신부(360)가 박스 형태의 발급 장치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발급 장치에는 고객이 요청한 통장 및 카드가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데스크(D)에는 중요증서 발급기(350)가 배치될 수 있다. 중요증서 발급기(350)가 배치된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고객의 전방에 손이 닿을 정도의 거리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중요증서 발급기(350)는 데스크(D)에 고정되지 않고 데스크(D)에 별도의 연결 고리로 연결된 구성일 수 있으나,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중요증서 발급기(350)는 용지 프린터(370) 및 통장 프린터(38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담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데스크(300)는 화면 표시부(DP) 및 중요증서 발급기(370)가 장착함으로써, 상담원은 고객과 비대면 금융 상담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의 디지털 데스크 장치에서 수행되는 금융 업무 자동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금융 업무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중요증서 모출납기에서 수행되는 금융 업무 자동화 방법을 나타내며, 도 7은 디지털 데스트에서 수행되는 금융업무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센싱부(230)는 보관부(210)에 저장된 중요증서들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S10). 여기서 중요증서들은 통장, 체크 카드, OTP 카드, 보안 카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제어부(330)는 센싱부에서 센싱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싱된 정보는 복수의 중요증서들에 대한 각각의 식별자, 출납 여부, 종류 및 수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싱된 중요증서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송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송신 신호를 기초로 상담원 단말에 중요증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센싱부(320) 및 제2 센싱부(330)는 장착부(310)에 장착된 중요증서들의 수량 및 시리얼 번호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고객이 중요증서 발급을 요청하면, 장착부(310)는 중요증서 발급기(350)에 출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100). 여기서, 출력되는 중요증서는 통장, 체크 카드, OPT 카드 및 보안 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그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센싱부(320)는 장착부에 남은 중요증서의 수량을 센싱할 수 있다(S200). 제1 센싱부(320)는 센싱된 중요증서의 수량을 관리 서버(340)에 제공할 수 있다(S300). 제2 센싱부(330)는 장착부(310)에 장착된 중요증서들의 시리얼 번호를 센싱할 수 있다(S400). 제2 센싱부(330)는 센싱된 중요증서의 시리얼 번호 정보를 관리 서버(340)에 제공할 수 있다(S500).
관리 서버(340)는 중요증서 수량 정보 및 중요증서의 시리얼 번호 정보를 통신부(360)에 제공할 수 있다(S600). 통신부(360)는 중요증서 수량 정보 및 중요증서의 시리얼 번호 정보를 상담자의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뱅킹 호스트
20: 금고
100: 상담원 단말
200: 증서 출납기
300: 디지털 데스크 장치
310: 장착부

Claims (7)

  1.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관리하는 중요증서 모출납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 각각의 식별자, 출납 여부, 종류 및 수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담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 중에서 출납되어 상기 상담원 단말에 인계된 중요증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요증서 모출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증서 모출납기는 복수의 중요증서들이 저장되는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중요증서 모출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증서는 체크 카드, OTP 카드, 보안 카드 및 통장을 포함하는 중요증서 모출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담원 단말로부터 상기 출납된 중요증서가 고객에게 발급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납된 중요증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관리하는 중요증서 모출납기.
  5. 상담원 단말:
    상기 상담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담원 ID 정보를 기초로 금융 업무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인출시키는 중요증서 모출납기; 및
    상기 중요증서 모출납기에서 인출된 상기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중요증서들이 장착되는 디지털 데스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중요증서 모출납기는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 각각의 식별자, 출납 여부, 종류 및 수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담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 중에서 출납되어 상기 상담원 단말에 인계된 중요증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중요증서들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스크 장치는 상기 중요증서를 발급하는 중요증서 발급기를 더 포함하는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증서 발급기는 정보 입력을 위한 태블릿, 핀패드, 신분증 스캐너, 인감 스캐너, 장정맥 단말기, 용지 프린터 및 통장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KR1020200175809A 2020-12-15 2020-12-15 중요증서 모출납기 및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KR20220085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809A KR20220085604A (ko) 2020-12-15 2020-12-15 중요증서 모출납기 및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PCT/KR2021/000601 WO2022131437A1 (ko) 2020-12-15 2021-01-15 중요증서 모출납기 및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809A KR20220085604A (ko) 2020-12-15 2020-12-15 중요증서 모출납기 및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604A true KR20220085604A (ko) 2022-06-22

Family

ID=8205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809A KR20220085604A (ko) 2020-12-15 2020-12-15 중요증서 모출납기 및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85604A (ko)
WO (1) WO20221314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3248B2 (en) * 1995-01-17 2010-06-22 Eorigi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a remote access service enabling trust and interoperability when retrieving certificate status from multiple certification authority reporting components
KR100785531B1 (ko) * 2006-05-23 2007-12-21 주식회사 신한은행 전자문서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090060009A (ko) * 2007-12-07 2009-06-11 주식회사 신한은행 은행 거래(또는 가입) 신청 전자문서와 전자문서 운용 장치
KR101484300B1 (ko) * 2011-12-16 2015-01-20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은행 업무를 위한 전자문서 처리 장치
KR101711292B1 (ko) * 2015-08-04 2017-02-28 중소기업은행 전자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437A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8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point-of-sale system
RU2336572C2 (ru) Иг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электронной системой перевода денежных средств
US68272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a point-of-sale system
US68867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a point-of sale device
US76006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transactions at a point-of-sale
US20070278286A1 (en) Atm systems and methods for cashing checks
US20020091603A1 (en) Payment instrument printing an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NZ53578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transactions at a point-of-sale
KR100663875B1 (ko) 수표 발행 및 수납이 가능한 다기능 금융 단말기 및 그시스템
KR20140035181A (ko) 하이브리드 atm을 이용한 금융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85604A (ko) 중요증서 모출납기 및 금융 업무 자동화 시스템
JP4353322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5104167B2 (ja) 窓口業務処理システム
JP2018142036A (ja)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プログラム
WO2022034832A1 (ja) 取引システム、取引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00063531A (ko) 에이티엠기기를 이용한 외국환 환전방법
KR20080062605A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실시간 수표 처리 방법
KR100617534B1 (ko) 외화 환전이 가능한 다기능 금융 단말기 및 그 시스템
JP5691570B2 (ja) 監視モニタシステム、自動取引装置及び監視モニタ
JP2008242784A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システム
KR20110011303U (ko) 무인 금융카드 발급장치
JPH06266927A (ja) 現金自動取引機
JPH0241068B2 (ko)
JP2003281606A (ja) 取引端末装置及び取引システム
JP2000090335A (ja) 自動取引装置と自動取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