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38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381A
KR20220085381A KR1020200175396A KR20200175396A KR20220085381A KR 20220085381 A KR20220085381 A KR 20220085381A KR 1020200175396 A KR1020200175396 A KR 1020200175396A KR 20200175396 A KR20200175396 A KR 20200175396A KR 20220085381 A KR20220085381 A KR 20220085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xtension
fixing
suppor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671B1 (ko
Inventor
반석현
표준호
원광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5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6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캐비닛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배수펌프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수펌프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까지 연장되되 적어도 한번 이상 굴곡되어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로써, 배수펌프의 진동 및 소음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 세탁물을 건조하는 장치,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세탁 과정에는 세탁이 완료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배수동작을 위해서는 배수펌프를 구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한국 공개특허 10-2017-0140701호에는 배수펌프를 캐비닛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단순히 배수펌프를 캐비닛에 고정시키고 있어 배수펌프의 작동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펌프의 집적 접촉 또는 배수펌프의 진동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구성이 파손될 수 있었다.
또한, 세탁 과정에서 드럼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는 동작과 세탁이 완료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하나의 모터와 임펠러를 이용하여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두개의 펌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배수펌프가 구비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배수펌프의 진동 및 소음이 더 크게 발생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배수펌프의 집적 접촉 또는 배수펌프의 진동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구성이 파손될 가능성도 증대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배수펌프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캐비닛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배수펌프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수펌프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까지 연장되되 적어도 한번 이상 굴곡되어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1고정부를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제1연장부를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에서 상기 제2연장부를 마주보도록 연장되되 상기 제2고정부와 연결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의 일면에서 돌출 구비되어 상기 배수펌프 작동 시 상기 배수펌프의 하중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리브는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탄성지지리브, 상기 제2연장부에서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탄성지지리브 및 상기 제3연장부에서 상기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3탄성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연장부의 연장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서 상기 탄성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배수펌프 작동 시 상기 배수펌프의 하중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리브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돌출되는 제1고정지지리브와 상기 제2고정부에서 돌출되는 제2고정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 및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1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는 상기 제2고정부에서 상기 제3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는 상기 제1고정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제1탄성중앙리브와 상기 제2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탄성외곽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는 상기 제1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1탄성외곽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제2탄성중앙리브와 상기 제3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탄성외곽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는 상기 제2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2탄성외곽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제3탄성중앙리브와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고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 상기 제1탄성외곽리브, 상기 제2탄성외곽리브 및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는 높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탄성중앙리브, 상기 제2탄성중앙리브, 상기 제3탄성중앙리브 및 상기 탄성고정리브는 높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배수펌프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 및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펌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배수펌프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연장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연장부와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와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제3연장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2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와 결합되는 제3탄성부재 및 상기 제3연장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3연장부 및 상기 제2고정부와 결합되는 제4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탄성부재와 상기 제1연장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고정탄성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는 제1연장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1연장부에 결합되는 제2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2연장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2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는 제3연장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탄성부재는 상기 제2연장부에 결합되는 제4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3연장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4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는 제5연장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4탄성부재는 상기 제3연장부에 결합되는 제6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6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는 제2고정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시 상기 제1고정탄성부재 및 상기 제1연장탄성부재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연장탄성부재 및 상기 제3연장탄성부재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4연장탄성부재 및 상기 제5연장탄성부재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6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2고정탄성부재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펌프가 캐비닛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기존의 지지부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펌프에 지지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지지부가 캐비닛의 일면을 바라보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지지부가 캐비닛의 다른면을 바라보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지지부가 복수 개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지지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펌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펌프의 유로선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임펠러 회전방향에 따라 물이 토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0), 상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30)을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조의 내부로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탑 로드 방식과 프론트 로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것이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탑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과 같이,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며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갖는 조작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도어(40)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물의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급수부(미도시)를 통해 터브(2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세탁 과정 중에는 드럼(30) 내부의 물을 순환 시키기 위한 펌프(일명 순환펌프) 또는 세탁이 완료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일명 배수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모터와 임펠러를 이용하여 상기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서 순환펌프와 배수펌프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펌프(일명 양방향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터브(20)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물을 배출하거나 상기 터브(20)로 물을 재공급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펌프는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서 연장되는 측면(13)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펌프는 상기 캐비닛(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결합되어 강한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펌프는 모터에 의해 임펠러를 회전시켜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펌프는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펌프의 진동 및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의 진동은 상기 펌프와 인접한 구성에 집적 접촉에 의한 파손 및 진동에 의한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펌프를 캐비닛에 고정시키며, 펌프의 진동 및 감소를 위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펌프가 캐비닛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기존에 구비된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b)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터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30)은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20)의 하측에 위치되는 배수펌프(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50)는 캐비닛(10) 외부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하 후술 하는 펌프는 배수펌프를 기준으로 설명 한다. 다만, 펌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는 순환펌프 및 양방향 펌프 모두에 적용될 수 있고 배수펌프에 한정해석 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존의 의류처리장치는 배수펌프(50)를 캐비닛(10)에 결합시키는 지지부(K)가 I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펌프(50)를 캐비닛(10)에 고정시키는 기능만 할 뿐, 배수펌프(50)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없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배수펌프(50)를 캐비닛(10)에 고정시키는 지지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배수펌프(50)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까지 연장되는 탄성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94)는 적어도 한번 이상 굴곡되어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에너지는 상기 탄성부(94)의 탄성운동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수펌프(50)의 소음에 의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에 의한 상기 배수펌프(50)의 집적 접촉으로 다른 구성들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에 따른 간접 영향으로 인한 다른 구성들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94)의 굴곡 횟수, 굴곡 방향 및 굴곡 정도는 상기 제1고정부(91)의 강성, 상기 제2고정부(93)의 강성, 상기 탄성부(94)의 강성, 상기 배수펌프(50)의 크기,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 및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 발생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94)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까지 연장되되 한 번 굴곡되어 연장 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94)는 반원, 반타원 및 C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탄성부(94)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제2고정부(93)에서 상기 제1고정부(91)를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 및 소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부(90)의 상기 탄성부(94)에 의한 운동이 커지게 되면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을 지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94)는 제1고정부(91)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95)는 상기 제1고정부(91)를 마주보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94)는 상기 제1연장부(95)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부(9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97)는 상기 제1연장부(95)를 마주보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94)는 상기 제2연장부(97)에서 연장되는 제3연장부(9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장부(99)는 상기 제2연장부(97)를 마주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연장부(99)는 상기 제2고정부(9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91) 및 상기 제2고정부(93)는 평평한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95)는 상기 제1고정부(91)와 마주보는 면적이 일정면적 이상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장부(97)는 상기 제1연장부(95)와 마주보는 면적이 일정면적 이상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연장부(99)는 상기 제2연장부(97)와 마주보는 면적이 일정면적 이상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94)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굴곡된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탄성부(94)는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면서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95)는 상기 제2연장부(97)와 상기 제1연장부(95)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장부(95)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장부(97)는 상기 제2연장부(97)의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연장부(99)와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장부(97)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1고정부(91)와 상기 제1연장부(95)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제3연장부(99)가 접촉되는 부분과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93)와 상기 제3연장부(99)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97)가 접촉되는 부분과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제작이 용이 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을 상기 제1연장부(95), 상기 제2연장부(97) 및 상기 제3연장부(99)에서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어 상기 탄성부(94)의 구조적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만, 의류처리장치에 과도한 충격이 발생되거나 배수펌프의 하중을 더 강하게 지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90)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탄성부의 압축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탄성부의 압축 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지지부(90)는 지지리브(U,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U,C)는 탄성부(94)의 일면에서 돌출 구비되는 탄성지지리브(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리브(C)는 배수펌프(50) 작동 시 배수펌프(5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리브(C)는 의류처리장치(1)에 과도한 충격 및 진동이 있을 시 상기 배수펌프(5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리브(C)는 상기 배수펌프(50)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구성과 접촉되도록 기우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탄성지지리브(C)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에 따른 다른 구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지지리브(C)는 제1연장부(95)에서 제1고정부(91) 및 제2연장부(9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탄성지지리브(9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리브(C)는 상기 제2연장부(97)에서 상기 제1연장부 및 제3연장부(9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탄성지지리브(9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리브(C)는 상기 제3연장부(99)에서 상기 제2연장부(97) 및 제2고정부(9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3탄성지지리브(9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951),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971)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991)는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을 상기 탄성부(94)와 나누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에 따른 기울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951),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971)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991)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951),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971)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991)는 상기 제1연장부(95)의 연장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951),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971)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991)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951),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971)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991)는 단수로 구비되는 경우보다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951),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971)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991)는 각각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951),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971)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991)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시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951),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971)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991)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951),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971)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991)에 의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의 기울임은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90)는 배수펌프(50)의 진동 및 소음을 더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배수펌프(5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리브(U,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U,C)는 제1고정부(91) 및 제2고정부(93)에서 탄성부(94)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지지리브(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91)는 배수펌프(50)와 직접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부(93)는 캐비닛(10)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을 가장 크게 지지하는 부분은 상기 제1고정부(91) 및 상기 제2고정부(93)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리브(U)는 가장 큰 하중이 작용하는 상기 제1고정부(91) 및 상기 제2고정부(93)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누어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 작동 시 상기 배수펌프(50)의 기울임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리브(U)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돌출되는 제1고정지지리브(9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리브(U)는 상기 제2고정부(93)에서 돌출되는 제2고정지지리브(9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911) 및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911) 및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시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기울임이 효과적으로 방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탄성지지리브(C) 및 고정지지리브(U)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50) 작동 시 소음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의류처리장치(1)는 탄성지지리브(C) 및 고정지지리브(U)가 모두 구비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고정지지리브(911)는 제1고정부(91)에서 제1연장부(95)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91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911)는 상기 제1연장부(95)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제2고정부(93)에서 제3연장부(99)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제1연장부(95)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제1탄성지지리브(951)는 상기 제1고정부(91)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탄성중앙리브(9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중앙리브(9511)는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9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951)는 제2연장부(97)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탄성외곽리브(9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외곽리브(9513)는 상기 제1연장부(95)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제2탄성지지리브(971)는 상기 제1연장부(95)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탄성중앙리브(97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중앙리브(9711)는 상기 제1탄성외곽리브(95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971)는 제3연장부(99)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탄성외곽리브(9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외곽리브(9713)는 상기 제1연장부(95)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제3탄성지지리브(991)는 상기 제2연장부(97)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3탄성중앙리브(99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중앙리브(9911)는 상기 제2탄성외곽리브(97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991)는 제2고정부(93)를 향하여 돌출되는 탄성고정리브(99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리브(9913)는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9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리브가 구비되어 효율적으로 배수펌프(5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50)의 소음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1고정지지리브(911)는 제1연장부(95)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돌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중앙리브(9511)는 제1고정부(91)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돌출 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911)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작동 시 상기 제1연장부(95)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중앙리브(9511)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작동 시 상기 제1고정부(91)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탄성부(94)에 의한 탄성운동으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911)의 상기 제1연장부(95)와의 접촉 및 상기 제1탄성중앙리브(9511)의 상기 제1고정부(91)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911)의 돌출 길이 및 상기 제1탄성중앙리브(9511)는 돌출길이는 동일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911) 및 상기 제1탄성중앙리브(9511)는 마주보도록 돌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외곽리브(9513)는 제2연장부(97)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돌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중앙리브(9711)는 상기 제1연장부(95)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돌출 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외곽리브(9513)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작동 시 상기 제2연장부(97)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중앙리브(9711)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작동 시 상기 제1연장부(95)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탄성부(94)에 의한 탄성운동으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제1탄성외곽리브(9513)의 상기 제2연장부(97)와의 접촉 및 상기 제2탄성중앙리브(9711)의 상기 제1연장부(95)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외곽리브(9513)의 돌출 길이 및 상기 제2탄성중앙리브(9711)는 돌출길이는 동일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외곽리브(9513) 및 상기 제2탄성중앙리브(9711)는 마주보도록 돌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2탄성외곽리브(9713)는 제3연장부(99)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돌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탄성중앙리브(9911)는 상기 제2연장부(97)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돌출 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외곽리브(9713)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작동 시 상기 제3연장부(99)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탄성중앙리브(9911)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작동 시 상기 제2연장부(97)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탄성부(94)에 의한 탄성운동으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제2탄성외곽리브(9713)의 상기 제3연장부(99)와의 접촉 및 상기 제3탄성중앙리브(9911)의 상기 제2연장부(97)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탄성외곽리브(9713)의 돌출 길이 및 상기 제3탄성중앙리브(9911)는 돌출길이는 동일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외곽리브(9713) 및 상기 제3탄성중앙리브(9911)는 마주보도록 돌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탄성고정리브(9913)는 제2고정부(93)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돌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상기 제3연장부(99)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돌출 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리브(9913)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작동 시 상기 제2고정부(93)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작동 시 상기 제3연장부(99)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탄성부(94)에 의한 탄성운동으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탄성고정리브(9913)의 상기 제2고정부(93)와의 접촉 및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931)의 상기 제3연장부(99)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고정리브(9913)의 돌출 길이 및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돌출길이는 동일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고정리브(9913) 및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마주보도록 돌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1고정지지리브(911), 제1탄성외곽리브(9513), 제2탄성외곽리브 및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제1고정부에서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고정지지리브(911), 제1탄성외곽리브(9513), 제2탄성외곽리브 및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높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지지리브(911), 제1탄성외곽리브(9513), 제2탄성외곽리브 및 제2고정지지리브(931)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제1고정지지리브(911), 제1탄성외곽리브(9513), 제2탄성외곽리브 및 제2고정지지리브(931)에 의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의 기울임은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중앙리브(9511), 제2탄성중앙리브(9711), 제3탄성중앙리브(9911) 및 탄성고정리브(9913)는 제1고정부(91)에서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탄성중앙리브(9511), 제2탄성중앙리브(9711), 제3탄성중앙리브(9911) 및 탄성고정리브(9913)는 높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탄성중앙리브(9511), 제2탄성중앙리브(9711), 제3탄성중앙리브(9911) 및 탄성고정리브(9913)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탄성중앙리브(9511), 제2탄성중앙리브(9711), 제3탄성중앙리브(9911) 및 탄성고정리브(9913)에 의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의 기울임은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지지부가 캐비닛의 일면을 바라보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지지부가 캐비닛의 다른면을 바라보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의류가 투입되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캐비닛의 일면을 전방면으로 두고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탄성부가 캐비닛의 전방면 및 후방면을 바라보도록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지지부가 캐비닛에 분리되어 배수펌프의 하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6(c)는 지지부가 배수펌프에 분리되어 캐비닛의 바닥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a)는 탄성부가 캐비닛의 양측면을 바라보도록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지지부가 캐비닛에 분리되어 배수펌프의 하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7(c)는 지지부가 배수펌프에 분리되어 캐비닛의 바닥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지지부가 캐비닛에 결합시 탄성부가 캐비닛의 다양한 면을 바라볼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탄성부(94)의 굴곡진 형상(S자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은 캐비닛(10)의 전방면 및 캐비닛(10)의 후방면을 바라볼 수 있다. 또한, 탄성부(94)는 굴곡진 형상을 갖는 단면이 캐비닛(10)의 전방면 또는 캐비닛(10)의 후방면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94)는 굴곡진 형상을 갖는 단면이 돌출되는 캐비닛(10)의 전방면 또는 캐비닛(10)의 후방면을 향하는 방향보다 캐비닛(10)의 일측면 또는 캐비닛(10)의 타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이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94)는 캐비닛(10)의 일측면 또는 캐비닛(10)의 타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는 데 용이 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탄성부(94)의 굴곡진 형상(S자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은 캐비닛(10)의 일측면 및 캐비닛(10)의 타측면을 바라볼 수 있다. 또한, 탄성부(94)는 굴곡진 형상을 갖는 단면이 캐비닛(10)의 일측면 또는 캐비닛(10)의 타측면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94)는 굴곡진 형상을 갖는 단면이 돌출되는 캐비닛(10)의 일측면 또는 캐비닛(10)의 타측면을 향하는 방향보다 캐비닛(10)의 전방면 또는 캐비닛(10)의 후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이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94)는 캐비닛(10)의 전방면 또는 캐비닛(10)의 후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는 데 용이 할 수 있다.
이로써, 탄성부(94)의 굴곡진 형상(S자 형상)을 갖는 단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배수펌프(5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탄성부(94)의 굴곡진 형상(S자 형상)을 갖는 단면이 바라보는 방향은 배수펌프(50)의 구조,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예를 들면, 진동을 크게 발생시키는 구성)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배수펌프 및 캐비닛에 지지부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50)는 일면에 지지부(9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59)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펌프(50)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결합부(59)는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59)는 제1고정부(9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59)는 상기 제1고정부(91)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또는 단차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고정부(91)는 배수펌프(50)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해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59)는 상기 제1고정부(91)의 양끝단부가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배수펌프(50)에 용이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91)는 상기 제1결합부(59)와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91)는 상기 제1결합부(59)와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배수펌프(50)와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결합방식은 제1결합부(59)의 형상, 제1고정부(91)의 형상, 제1결합부(59)의 위치 및 제1고정부(91)의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의 일면에 지지부(9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펌프(50)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결합부(15)는 상기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결합부(15)는 제2고정부(9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5)는 상기 제2고정부(93)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또는 단차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고정부(93)는 배수펌프(50)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해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부(15)는 상기 제2고정부(93)의 양끝단부가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캐비닛(10)에 용이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93)는 상기 제2결합부(15)와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93)는 상기 제2결합부(15)와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배수펌프(50)와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결합방식은 제2결합부(15)의 형상, 제2고정부(93)의 형상, 제2결합부(15)의 위치 및 제2고정부(93)의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고정부(93)의 단면적은 제1고정부(91)의 단면적보다 크게 구비될 수있다. 배수펌프(50)의 하중은 제1고정부(91) 및 탄성부(94)를 통해 최종적으로 제2고정부(93)에 최대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93)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제2고정부(93)의 단면적을 상기 제1고정부(91)의 단면적보다 크게 구비하여 상기 배수펌프(5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지지부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배수펌프에 복수 개의 지지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캐비닛에 복수 개의 지지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지지부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즉, 배수펌프(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90)에 의해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캐비닛(10) 어느 하나의 면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캐비닛(10)의 하나 이상의 면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90)는 캐비닛의 바닥면(11)에 복수 개 구비되어 배수펌프(50)를 캐비닛(10)에 고정 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가 단수로 구비되는 경우보다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 및 효율을 효과적으로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배수펌프(50)는 캐비닛(10)의 두면 이상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90)는 상기 캐비닛(10)의 두면 이상에서 상기 배수펌프(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캐비닛(10)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펌프(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캐비닛(10)의 바닥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캐비닛(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펌프(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펌프(50)의 진동에 따른 캐비닛(10)의 바닥면의 진동 및 소음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며, 배수펌프(50)의 진동에 따른 캐비닛(10)의 측면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의 바닥면 및 캐비닛(10)의 측면을 향하여 배수펌프(50)가 기울어 지는 것이 방지되어 의류처리장치(1)의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접촉을 방지 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배수펌프(50)의 인접한 구성들의 파손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부(90)는 탄성부(94)가 캐비닛(10)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바라보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지지부(90)는 탄성부(94)가 캐비닛(10)의 일측면 또는 후방면을 바라보도록 구비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90)는 다양한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지지부(90)는 제1고정부(91)와 제1연장부(95)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9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961)는 일면이 상기 제1고정부(9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961)는 타면이 상기 제1연장부(95)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90)는 제1연장부(95)와 제2연장부(97)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9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963)는 일면이 상기 제1연장부(95)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963)는 타면이 상기 제2연장부(97)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90)는 제2연장부(97)와 제3연장부(99) 사이에 구비되는 제3탄성부재(9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부재(965)는 일면이 상기 제2연장부(97)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탄성부재(965)는 타면이 상기 제3연장부(99)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90)는 제3연장부(99)와 제2고정부(93) 사이에 구비되는 제4탄성부재(9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탄성부재(967)는 일면이 상기 제3연장부(99)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탄성부재(967)는 타면이 상기 제2고정부(93)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배수펌프(50)의 진동 및 소음을 탄성부(94)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제1탄성부재(961), 상기 제2탄성부재(963), 상기 제3탄성부재(965) 및 상기 제4탄성부재(967)를 통해 배수펌프(50)의 진동 및 소음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제1탄성부재(961), 상기 제2탄성부재(963), 상기 제3탄성부재(965) 및 상기 제4탄성부재(967)는 각각 단면적이 일정면적 이상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가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제1탄성부재(961), 상기 제2탄성부재(963), 상기 제3탄성부재(965) 및 상기 제4탄성부재(967)는 상기 제1고정부(91), 상기 제2고정부(93) 및 상기 탄성부(94)와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탄성부재(961), 상기 제2탄성부재(963), 상기 제3탄성부재(965) 및 상기 제4탄성부재(967)는 상기 제1고정부(91), 상기 제2고정부(93) 및 상기 탄성부(94)에 비해 탄성계수가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탄성부재(961), 상기 제2탄성부재(963), 상기 제3탄성부재(965) 및 상기 제4탄성부재(967)는 상기 탄성부(94)의 탄성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961), 상기 제2탄성부재(963), 상기 제3탄성부재(965) 및 상기 제4탄성부재(967)의 탄성계수는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 상기 지지부(90)의 설치 위치, 상기 제1탄성부재(961)의 단면적, 상기 제2탄성부재(963)의 단면적, 상기 제3탄성부재(965)의 단면적 및 상기 제4탄성부재(967)의 단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961), 상기 제2탄성부재(963), 상기 제3탄성부재(965) 및 상기 제4탄성부재(967)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재(961), 상기 제2탄성부재(963), 상기 제3탄성부재(965) 및 상기 제4탄성부재(967)는 상기 배수펌프(50)의 작동시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제1탄성부재(961), 상기 제2탄성부재(963), 상기 제3탄성부재(965) 및 상기 제4탄성부재(967)에 의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의 기울임은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90)의 설치환경(배수펌프의 하중, 지지부의 설치위치 등)을 고려하여 탄성부(94)의 탄성운동이 집중되도록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을 참조하면, 제1탄성부재(961)는 제1고정부(91)에 결합되는 제1고정탄성부재(96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부재(961)는 제1연장부(95)에 결합되는 제1연장탄성부재(9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탄성부재(9611)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장탄성부재(9613)와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탄성부재(963)는 제1연장부(95)에 결합되는 제2연장탄성부재(96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탄성부재(963)는 제2연장부(97)에 결합되는 제3연장탄성부재(96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탄성부재(9631)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연장탄성부재(9633)와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탄성부재(965)는 제2연장부(97)에 결합되는 제4연장탄성부재(96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탄성부재(965)는 제3연장부(99)에 결합되는 제5연장탄성부재(96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연장탄성부재(9651)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5연장탄성부재(9653)와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4탄성부재(967)는 제3연장부(99)에 결합되는 제6연장탄성부재(96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탄성부재(967)는 제2고정부(93)에 결합되는 제2고정탄성부재(96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연장탄성부재(9671)는 상기 제1고정부(91)에서 상기 제2고정부(9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탄성부재(9673)와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의 작동시 상기 제1고정탄성부재(9611) 및 상기 제1연장탄성부재(9613)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연장탄성부재(9631) 및 상기 제3연장탄성부재(9633)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4연장탄성부재(9651) 및 상기 제5연장탄성부재(9653)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6연장탄성부재(9671)와 상기 제2고정탄성부재(9673)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90)는 상기 탄성부(94)의 탄성운동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의 진동에 의한 상기 배수펌프(50)의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 효율적으로 상기 배수펌프(5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의 기울임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배수펌프로 순환펌프와 배수펌프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양방향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일명 양방향펌프)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20)의 하측에 위치되는 배수펌프(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50)는 상기 터브(20)의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터브(20)로 순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50)는 상기 터브(20)와 연통되어 상기 터브(20)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펌프하우징(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하우징(53)은 상기 터브(20)와 연결되는 펌프유입관(53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유입관(5381)은 상기 터브배수관(75)을 통해 상기 터브(2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유입관(5381)은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터브배수관(75)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유입관(5381)의 타측은 마개(53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개(538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마개(5383)를 제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하우징(53)은 임펠러(537)를 수용하는 임펠러하우징(5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은 상기 펌프유입관(5381)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은 상기 펌프유입관(5381)과 임펠러유입관(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브(20)로부터 상기 펌프유입관(5381)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임펠러유입관을 통해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에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유입관은 상기 펌프유입관(5381)의 일측 및 상기 펌프유입관(5381)의 타측 사이에서 상기 펌프유입관(5381)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펌프유입관(5381)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임펠러유입관에 의해 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브(20)로부터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펌프유입관(5381)의 타측에 분리되어 모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임펠러(537)는 파손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하우징(53)은 모터하우징(53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539)은 상기 임펠러(537)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임펠러하우징(535)은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으로부터 연장되어 임펠러(537)의 회전에 의해 물이 토출되는 제1토출관(5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은 상기 임펠러(537)의 회전에 의해 물이 토출되는 제2토출관(5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관(533)은 상기 제1토출관(531)과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토출관(531) 및 상기 제2토출관(533)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는 제1토출관(531) 및 제2토출관(533)과 연결되는 유로선택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51)는 임펠러(537)의 회전방향에 따라 캐비닛(10) 외부로 물이 배출되거나 터브(20)로 물이 순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펠러(53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터브(2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53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캐비닛(10)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반대로, 임펠러(53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터브(2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53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캐비닛(10)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펠러(53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터브(20)로 안내되고, 임펠러(53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캐비닛(10) 외부로 안내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유로선택부(51)는 제1토출관(531)과 연결되는 제1유입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부(513)는 상기 제1토출관(531)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51)는 제2토출관(533)과 연결되는 제2유입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부(515)는 상기 제2토출관(533)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51)는 캐비닛(10)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유입부(513)를 통과한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안내하는 제1유출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51)는 터브(20)와 연통되어 상기 제2유입부(515)를 통과한 물을 상기 터브(20)로 안내하는 제2유출부(5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51)는 제1유입부(513)와 연통되는 배수유입홀(5111a) 및 제1유출부(517)와 연통되는 배수유출홀(5111b)을 포함하는 배수유로(5111)와 제2유입부(515)와 연통되는 순환유입홀(미도시) 및 제2유출부(519)와 연통되는 순환유출홀(미도시)을 포함하는 순환유로(5113)를 포함하는 유로바디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로바디부(511)는 일측에 제1유입부(513) 및 제2유입부(515)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에 제1유출부(517) 및 제2유출부(519)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입부(513)는 제1토출관(531)에서 제2토출관(533)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입부(513)는 상기 유로바디부(511)까지 굴곡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유입부(513)는 배수펌프(50)의 높이 자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바디부(511)가 상기 제1유입부(513)와 상기 제2유입부(515) 사이에 위치되어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입부(515)는 제2토출관(533)에서 제1토출관(53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입부(515)는 상기 유로바디부(511)까지 굴곡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유입부(515)는 배수펌프(50)의 높이 자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바디부(511)가 상기 제1유입부(513)와 상기 제2유입부(515) 사이에 위치되어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유입부(513) 및 제2유입부(515)는 유로바디부(511)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유로선택부(51)는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51)는 제1토출관(531) 및 제2토출관(533)에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유로바디부(511)는 상기 유로바디부(511)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이아프레임(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은 배수유로(5111)와 순환유로(5113)를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은 임펠러(537)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배수유로(5111)를 폐쇄키거나 상기 순환유로(5113)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은 상기 유로바디부(511)의 내부면과 함께 일측에 배수유로(5111)를 형성하며 타측에 순환유로(5113)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바디부(511)는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과 함께 내부면이 배수유로(5111)를 형성하는 배수바디부(51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바디부(511A)와 결합되며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과 함께 내부면이 순환유로(5113)를 형성하는 순환바디부(5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바디부(511A)는 상기 순환바디부(511B)와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수바디부(511A) 및 상기 순환바디부(511B)의 결합 및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50)는 터브(20)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캐비닛(1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0) 내부에는 세탁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설치 될 수 있으며,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구성요소들이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될 수 잇다. 다수의 구성요소들은 용이하게 지지 및 배치되기 위해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 배치되거나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토출관(531)은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토출관(533)은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토출관(531) 및 제2토출관(533)은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유출관(73) 및 터브(20)와 연통되는 터브순환관(71)과 배수펌프(50)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배수유로(5111) 및 순환유로(5113)는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토출관(531) 및 제2토출관(533)이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배수유로(5111) 및 순환유로(5113)는 펌프하우징(53)의 상부 측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50)의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가 최소화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과정 중 세탁에 의한 진동으로 배수펌프(50)의 상측에 위치되는 터브(20) 및 터브(20)의 부속 구성들과의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펌프(50)의 접촉에 의한 파손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 및 터브(20)의 부속구성 들의 접촉에 의한 파손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나아가, 펌프하우징(53)과 터브(20) 사이의 빈 공간에 유로선택부(51)를 배치시켜 의류처리장치(1)의 공간활용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유로바디부(511)는 배수유로(5111)를 형성하는 일면에 구비되는 배수폐쇄면(5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수바디부(511A)는 배수폐쇄면(5111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은 다이아프레임(60)에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에 따라 양방향으로 돌출변형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폐쇄면(5111c)은 임펠러(537)가 일방향(C1)으로 회전시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C1)은 시계방향일 수 있다. 즉, 임펠러(537)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토출관(533)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토출관(533)으로 유입된 물은 제2유입부(515)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2유입부(515)를 통과한 물은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결과,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은 배수폐쇄면(5111c)과 접촉되어 배수유로(5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배수폐쇄면(5111c)은 다이아프레임(60)에 의해 배수유출홀(5111b)로 물이 안내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순환바디부(511B)의 내주면과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 사이에 형성되는 순환유로(5113)는 개방될 수 있다. 순환유로(5113)를 통과한 물은 제2유출부(519)를 통해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도 15 참조)
즉, 세탁과정에서 물을 순환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임펠러(537)를 일방향(C1)으로 회전시켜 물을 공급 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에 의해 배수유출홀(5111b)은 물의 유입이 최대한 방지되어 펌프 효율이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유로바디부(511)는 순환유로(5113)를 형성하는 타면에 구비되는 순환폐쇄면(5113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순환바디부(511B)는 순환폐쇄면(5113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은 다이아프레임(60)에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에 따라 양방향으로 돌출변형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폐쇄면(5113c)은 임펠러(537)가 타방향(C2)으로 회전시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방향(C2)은 시계반대방향일 수 있다. 즉, 임펠러(537)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토출관(531)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토출관(531)으로 유입된 물은 제1유입부(513)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부(513)를 통과한 물은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결과,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은 순환폐쇄면(5113c)과 접촉되어 순환유로(5113)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순환폐쇄면(5113c)은 다이아프레임(60)에 의해 순환유출홀로 물이 안내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배수바디부(511A)의 내주면과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유로(5111)는 개방될 수 있다. 배수유로(5111)를 통과한 물은 제1유출부(517)를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5 참조)
즉, 세탁과정에서 물을 캐비닛(10) 외부로 배수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임펠러(537)를 타방향(C2)으로 회전시켜 물을 공급 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에 의해 순환유출홀은 물의 유입이 최대한 방지되어 펌프 효율이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캐비닛
20 : 터브 30 : 드럼
50 : 배수펌프 90 : 지지부
91 : 제1고정부 93 : 제2고정부
94 : 탄성부 95 : 제1연장부
97 : 제2연장부 99 : 제3연장부
911 : 제1고정지지리브 913 : 제2고정지지리브
951 : 제1탄성지지리브 971 : 제2탄성지지리브
991 : 제3탄성지지리브 961 : 제1탄성부재
963 : 제2탄성부재 965 : 제3탄성부재
967 : 제4탄성부재 59 : 제1결합부
15 : 제2결합부

Claims (17)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캐비닛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배수펌프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수펌프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까지 연장되되 적어도 한번 이상 굴곡되어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1고정부를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제1연장부를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에서 상기 제2연장부를 마주보도록 연장되되 상기 제2고정부와 연결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의 일면에서 돌출 구비되어 상기 배수펌프 작동 시 상기 배수펌프의 하중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1고정부를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제1연장부를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에서 상기 제2연장부를 마주보도록 연장되되 상기 제2고정부와 연결되는 제3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리브는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탄성지지리브;
    상기 제2연장부에서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탄성지지리브; 및
    상기 제3연장부에서 상기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3탄성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연장부의 연장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 및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1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고정지지리브; 및
    상기 제2고정부에서 상기 제3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고정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지지리브는 상기 제1고정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제1탄성중앙리브와 상기 제2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탄성외곽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지지리브는 상기 제1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1탄성외곽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제2탄성중앙리브와 상기 제3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탄성외곽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3탄성지지리브는 상기 제2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2탄성외곽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제3탄성중앙리브와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 상기 제1탄성외곽리브, 상기 제2탄성외곽리브 및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는 높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탄성중앙리브, 상기 제2탄성중앙리브, 상기 제3탄성중앙리브 및 상기 탄성고정리브는 높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서 상기 탄성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배수펌프 작동 시 상기 배수펌프의 하중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리브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돌출되는 제1고정지지리브와 상기 제2고정부에서 돌출되는 제2고정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지지리브 및 상기 제2고정지지리브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배수펌프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 및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펌프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배수펌프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연장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연장부와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와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제3연장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2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와 결합되는 제3탄성부재; 및
    상기 제3연장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3연장부 및 상기 제2고정부와 결합되는 제4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탄성부재와 상기 제1연장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고정탄성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는 제1연장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1연장부에 결합되는 제2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2연장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2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는 제3연장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탄성부재는 상기 제2연장부에 결합되는 제4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3연장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4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는 제5연장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4탄성부재는 상기 제3연장부에 결합되는 제6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6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는 제2고정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시 상기 제1고정탄성부재 및 상기 제1연장탄성부재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연장탄성부재 및 상기 제3연장탄성부재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4연장탄성부재 및 상기 제5연장탄성부재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6연장탄성부재와 상기 제2고정탄성부재는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75396A 2020-12-15 2020-12-15 의류처리장치 KR102560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96A KR102560671B1 (ko) 2020-12-15 2020-12-1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96A KR102560671B1 (ko) 2020-12-15 2020-12-1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381A true KR20220085381A (ko) 2022-06-22
KR102560671B1 KR102560671B1 (ko) 2023-07-27

Family

ID=8221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396A KR102560671B1 (ko) 2020-12-15 2020-12-1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6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9728A (en) * 1987-08-17 1989-02-27 Yotaro Hatamura Multilayer spring
JP2016138621A (ja) * 2015-01-28 2016-08-04 青木あすなろ建設株式会社 緩衝装置
KR20180054454A (ko) * 2016-11-15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9728A (en) * 1987-08-17 1989-02-27 Yotaro Hatamura Multilayer spring
JP2016138621A (ja) * 2015-01-28 2016-08-04 青木あすなろ建設株式会社 緩衝装置
KR20180054454A (ko) * 2016-11-15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671B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821B1 (ko) 의류처리장치
JP2023099193A (ja) 衣類処理装置
EP2799611B1 (en) Washing machine
KR102515953B1 (ko) 의류처리장치
US20060096336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210105683A (ko) 의류처리장치
US7373793B2 (en) Damper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US20060059959A1 (en) Washing machine
KR2023011118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01053A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566366B2 (en) Washing machine
KR102560671B1 (ko) 의류처리장치
EP1472403B1 (en) A washing machine and dryer having being improved duct structure thereof
EP3541983B1 (en) Washing machine
EP4155448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KR10255066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05798A (ko) 의류처리장치
KR10109102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30126584A (ko) 건조 겸용 세탁기
JP7225227B2 (ja) 洗濯機
JP7258927B2 (ja) 衣類処理装置
AU2021200076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296054B1 (ko) 유로 변환 펌프
JP202301556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10089024A (ko) 유로 변환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