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365A -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365A
KR20220085365A KR1020200175367A KR20200175367A KR20220085365A KR 20220085365 A KR20220085365 A KR 20220085365A KR 1020200175367 A KR1020200175367 A KR 1020200175367A KR 20200175367 A KR20200175367 A KR 20200175367A KR 20220085365 A KR20220085365 A KR 2022008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sk
setting data
time
ope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287B1 (ko
Inventor
문두현
이건우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287B1/ko
Priority to US17/519,987 priority patent/US20220188176A1/en
Priority to CN202111446926.XA priority patent/CN114637580A/zh
Publication of KR2022008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2Program synchronisation; Mutual exclusion, e.g. by means of semapho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81Scheduling strategies for dispatcher, e.g. round robin, multi-level priority que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81Scheduling strategies for dispatcher, e.g. round robin, multi-level priority queues
    • G06F9/4887Scheduling strategies for dispatcher, e.g. round robin, multi-level priority queues involving deadlines, e.g. rate based, period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04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to protect a block of data words, e.g. CRC or checks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2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 software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24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G06F11/341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by assessing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04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 G06F11/3612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by runtim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 G06F9/30076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to perform miscellaneous control operations, e.g. NOP
    • G06F9/30087Synchronisation or serialisation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rror detection, to error correction, and to monitoring
    • G06F2201/86Event-based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실행 시간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에 태스크 동작 정보를 저장할 저장 위치, 메모리 구조체의 크기, 혹은 상기 메모리 구조체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설정기, 및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에 태스크 동작 정보 요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태스크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APPARATUS FOR MONITORING TASK EXECUTION TIME AND OPERATING METHOD OF NODE}
본 발명은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시간 운영 체제 (RTOS; Real Time Operating System)는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개발된 운영 체제로써, CPU(Central Processing Unit) 시간 관리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되고 있다. 기본적인 설계 방식은, 이벤트 구동(event-driven) 방식과 분할(time-sharing) 스케줄링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벤트 구동 방식은 우선 순위 기반 스케줄링 또는 선점형 스케줄링이라고 불리며, 태스크(task) 전환이 현재 수행중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이벤트가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 이용된다. 시분할 스케줄링 방식은 클록 인터럽트나 라운드 로빈과 같은 주기적인 이벤트가 발생할 때 태스크의 전환을 수행하고 있다. 실시간 운영체제의 핵심은 응용 프로그램의 테스트 처리 시간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데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928349, 등록일: 2018년 12월 6일, 제목: 실시간 운영체제의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동기화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실행 시간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에 태스크 동작 정보를 저장할 저장 위치, 메모리 구조체의 크기, 혹은 상기 메모리 구조체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설정기; 및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에 태스크 동작 정보 요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태스크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는 대응하는 노드에서 측정한 태스크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포함하고, 상기 시작 시각 및 상기 종료 시각의 각각은 동기화 시각과 로컬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시각은 서로 다른 노드들의 태스크들의 동기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동기화기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컬 시각은 대응하는 노드의 부팅 이후 동작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위치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프로토콜 버전 정보, 매직 바이트 정보, 데이터 길이 정보, CRC(Cyclic Redundancy Check)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데이터는 저장 위치 정보, 최대 저장 크기 정보, 최대 저장 개수 정보, 및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모니터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태스크 실행 시간을 계산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노드의 동작 방법은,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태스크 동작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크기가 상기 설정 정보의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크기가 상기 제 1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개수가 상기 설정 정보의 제 2 기준값보다 초과하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개수가 상기 제 2 기준값보다 크지 않을 때,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태스크 동작 정보를 상기 설정 정보의 저장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는 대응하는 노드에서 측정한 태스크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포함하고, 상기 시작 시각 및 상기 종료 시각의 각각은 동기화 시각과 로컬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크기가 상기 제 1 기준값보다 크지 않을 때, 상기 수집된 태스크 동작 정보를 상기 저장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개수가 상기 제 2 기준값보다 클 때, 오래된 태스크 동작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프로토콜 버전 정보, 매직 바이트 정보, 데이터 길이 정보, CRC(Cyclic Redundancy Check)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데이터는 저장 위치 정보, 상기 제 1 기준값에 대응하는 최대 저장 크기, 상기 제 2 기준값에 대응하는 최대 저장 개수 정보, 및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노드의 동작 방법은,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 채널을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한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할 때, 저장기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동일한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저장기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을 때, 상기 저장기에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의 설정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데이터는 저장 위치 정보, 태스크 동작 정보의 크기 정보, 및 태스크 동작 정보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한 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데이터의 헤더의 프로토콜 버전 정보, 매직 바이트 정보, 데이터 길이 정보, CRC(Cyclic Redundancy Check)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의 유효성을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을 때, 상기 설정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동일할 때,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은, 모니터링 기준 시각에 동기화 시각을 추가함으로써, 각 노드에서 동작하는 시스템 동기화 동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은, 태스크 동작 정보의 메모리 구조체의 크기와 개수를 제한함으로써, 각 노드의 휘발성/비휘발성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실시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시스템(10)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각 기반의 시작/종료 시각으로 서로 다른 노드의 태스크 동작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200)의 설정기(210)과 노드의 저장기 사이에 전송 데이터 프로토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에서 태스크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설정 데이터 업데이트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내용을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혹은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혹은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혹은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시스템(10)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복수의 노드들(110, 120), 및 모니터링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노드들만 도시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노드의 개수가 여기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제 1 노드(110) 및 제 2 노드(120)의 각각은 태스크의 수행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태스크 동작 정보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노드(110)는 시간 동기화기(111), 측정기(112), 저장기(113), 및 출력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동기화기(111)는 제 1 노드(110)의 시간을 동일한 기준 시각으로 동기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측정기(112)는 태스크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저장함으로써, 태스크의 동작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112)는 측정하는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로컬 시각과 동기화 시각으로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로컬 시각은 부팅 이후에 동작 시각을 알기 위한 시각이고, 동기화 시각은 시간 동기화기(111)로부터 전송된 시각일 수 있다. 즉, 동기화 시각은 타겟의 부팅 이후 태스크의 동작 시간을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시각은 복수의 노드들이 동기에 맞춰 동작하는 지를 확인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저장기(113)는 측정기(114)로부터 전달받은 태스크 동작 정보를 메모리(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기(113)는 유한한 타겟의 메모리에 태스크 실행시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저장기(113)는 설정기(210)에 의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 위치(휘발성/비휘발성)를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저장기(113)는 설정기(210)에 의해 저장할 메모리 구조체의 최대 크기를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저장기(113)는 설정기(210)에 의해 저장할 메모리 구조체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구조체의 개수가 모니터링 장치(200)의 설정기(210)에서 설정한 메모리 구조체의 개수를 초과할 때, 가장 오래된 메모리 구조체는 삭제될 수 있다.
출력기(114)는 태스크 모니터(220)로부터 제 1 노드(110)의 태스크 실행에 대응하는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대한 태스크 동작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태스크 모니터(220)에 태스크 동작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2 노드(120)는 시간 동기화기(121), 측정기(122), 저장기(123), 및 출력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동기화기(121), 측정기(122), 저장기(123), 및 출력기(124)의 각각은, 제 1 노드(110)의 그것들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는 설정기(210), 및 태스크 모니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기(210)는 각 노드의 측정 데이터 저장 위치를 설정하거나, 각 노드의 메모리 구조체의 최대 크기를 설정하거나, 각 노드의 메모리 구조체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설정기(210)는 각 노드의 저장기의 설정 데이터(저장 위치 정보, 메모리 구조체의 크기, 메모리 구조체의 개수 등)를 획득함으로써, 현재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태스크 모니터(220)는 각 노드(110, 120)에 태스크 실행에 필요한 태스크 동작 정보 요청을 송신하고, 각 노드(110, 120)로부터 태스크 동작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모니터링 기준 시각에 동기화 시각을 추가함으로써, 각 노드(110, 120)가 동기화하여 동작하는 시스템의 동기화 동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시스템(10)은 태스크 정보를 저장할 메모리 구조체의 크기와 개수를 제한함으로써, 노드의 휘발성/비휘발성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태스크 식별자 로컬 시각 동기화 시각
시작 시각 종료 시각 시작 시각 종료 시각
노드 1 태스크1 0.0572 0.08198 10769.100112831 10769.11009001
노드 2 태스크2 12.11568 12.12565 10770.1 10770.2
표 1를 참조하면, 각 노드의 측정기에서 수집한 태스크 동작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태스크 식별자는 모든 노드 간의 유일한 식별자이다. 로컬 시각으로 표현된 태스크의 시작/종료 시각은 부팅 이후에 노드에서 동작한 태스크의 동작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이다. 동기화 시각으로 표현된 태스크의 시작/종료 시각은 타 노드의 태스크와 동기화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각 기반의 시작/종료 시각으로 서로 다른 노드의 태스크 동작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노드 1에서 제 1 태스크는 10769.1의 동기화 시각에서 시작해서 10769.11의 동기화 시각에서 종료 되고 있다. 노드 2에서 제 2 태스크는 10770.1의 동기화 시각에서 시작해서 10770.2의 동기화 시각에서 종료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200)의 설정기(210)과 노드의 저장기 사이에 전송 데이터 프로토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설정 정보는 프로토콜 버전 정보, 매직 바이트 정보, 데이터 길이 정보, CRC 정보, 설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니터링 설정 정보의 크기는 32 바이트 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니터링의 설정 정보의 크기가 여기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프로토콜 버전 정보는 전송 프로토콜 버전 확인을 위한 필드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토콜 버전 정보의 크기는 2 바이트일 수 있다.
매직 바이트 정보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위한 필드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매직 바이트 정보의 크기는 2 바이트일 수 있다.
데이터 길이 정보는 데이터 필드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필드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길이 정보의 크기는 4 바이트 일 수 있다.
CRC 정보는 데이터 필드의 유효성 검사를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필드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CRC 정보의 크기는 2 바이트 일 수 있다.
설정 데이터는 저장 위치 정보, 최대 저장 크기 정보, 최대 저장 개수 정보, 예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위치 정보는 태스크 동작 정보의 저장 위치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저장 위치 정보는 저장 위치가 RAM(Random Access Memory) 영역인 지, NVM(Non-Volatile Memory) 영역인 지를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위치 정보의 크기는 4 바이트 일 수 있다.
최대 저장 크기 정보는 태스크 동작 정보의 데이터 최대 크기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최대 저장 크기 정보의 크기는 4 바이트 일 수 있다.
최대 저장 개수 정보는 태스크 동작 정보의 최대 개수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최대 저장 개수 정보의 크기는 4 바이트 일 수 있다.
예비 정보는 추후 추가될 설정기의 데이터를 위한 영역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예비 정보의 크기는 10 바이트 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에서 태스크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태스크 동작 정보는 다음과 같이 저장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의 설정기(210)로부터 대응하는 노드에 대한 설정 데이터가 로드 될 수 있다(S110). 노드에서 태스크 동작 정보가 수집 될 수 있다(S120). 여기서 태스크 동작 정보는 태스크 동작의 시작/종료 시각에 대하여 로컬 시각과 동기화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태스크 동작 정보의 데이터 크기가 제 1 기준값보다 큰 지가 판별될 수 있다(S130). 여기서 제 1 기준값은 모니터링 장치(200)의 설정기(210)로부터 전송된 설정 데이터의 최대 저장 크기 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다.
만일, 데이터의 크기가 제 1 기준값보다 크다면, 태스크 동작 정보의 개수가 제 2 기준값보다 큰 지가 판별될 수 있다(S140). 여기서 제 2 기준값은 모니터링 장치(200)의 설정기(210)로부터 전송된 설정 데이터의 최대 저장 개수 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다. 만일, 태스크 동작 정보의 개수가 제 2 기준값보다 크다면, 오래된 태스크 동작 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S150). 이후에, 태스크 동작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S160).
S130 단계에서 데이터의 크기가 제 1 기준값보다 크지 않거나, S140 단계에서 태스크 동작 정보의 개수가 제 2 기준값보다 크지 않거나, S160 단계 이후에, 태스크 동작 정보가 노드의 저장기에 저장될 수 있다(S17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설정 데이터 업데이트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노드의 저장기의 설정 데이터 업데이트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의 설정기(210)과 통신 채널이 초기화 될 수 있다(S210). 모니터링 장치(200)와 노드의 설정데이터 업데이트를 위한 채널의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노드와 모니터링 장치간 통신 할 수 있는 모든 채널(예, UART, Ethernet 등)을 지원 가능하다.
설정 데이터의 수신이 대기 될 수 있다(S220). 설정 데이터가 수신되었는 지가 판별될 수 있다(S230). 만일, S230 단계에서 설정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한 지가 판별될 수 있다(S240).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설정 데이터 헤더의 Protocol version, Magic Bytes, Data Length, CRC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된 설정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반면에, S230 단계에서 설정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S220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만일, S240 단계에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하다면, 저장기의 설정 데이터와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다른 지가 판별될 수 있다(S250).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설정 데이터의 수신 후에, 불필요한 업데이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노드에 저장되어 있고 저장기에 로드 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와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한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로써 다를 경우에만 업데이트가 진행될 수 있다. 반면에, S240 단계에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다면, S220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만일, 저장기의 설정 데이터와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다르다면, 저장기에 로드된 설정 데이터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S260). 이후에, 노드의 설정 데이터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S270). 반면에, S260 단계에서 저장기의 설정 데이터와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동일하거나, S270 단계 이후에, 설정 데이터 업데이트 동작은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순서로, 또는 병렬적으로, 또는 다른 에포크(epoch) 등을 위해 다른 실시예들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 프로그램, 상호작용 데이터 구조(interactive data structure), 클라이언트 및/또는 서버를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일부가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시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모듈"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단계들/모듈들을 구현/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수단들은 ASICs(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표준 집적 회로들,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적절한 명령들을 수행하는 컨트롤러, 및/또는 임베디드 컨트롤러,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CPLDs(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s), 및 그와 같은 것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술된 본 발명의 내용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구체적이고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수단 자체뿐 아니라, 장차 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아이디어인 기술적 사상을 포함할 것이다.
10: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110, 120: 노드
200: 모니터링 장치
210: 설정기
220: 태스크 모니터
111, 121: 시간 동기화기
112, 122: 측정기
113, 123: 저장기
114, 124: 출력기

Claims (16)

  1. 태스크 실행 시간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에 태스크 동작 정보를 저장할 저장 위치, 메모리 구조체의 크기, 혹은 상기 메모리 구조체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설정기; 및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에 태스크 동작 정보 요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태스크 모니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는 대응하는 노드에서 측정한 태스크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포함하고,
    상기 시작 시각 및 상기 종료 시각의 각각은 동기화 시각과 로컬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시각은 서로 다른 노드들의 태스크들의 동기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동기화기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시각은 대응하는 노드의 부팅 이후 동작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위치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프로토콜 버전 정보, 매직 바이트 정보, 데이터 길이 정보, CRC(Cyclic Redundancy Check)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데이터는 저장 위치 정보, 최대 저장 크기 정보, 최대 저장 개수 정보, 및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모니터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태스크 실행 시간을 계산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8. 태스크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노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태스크 동작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크기가 상기 설정 정보의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크기가 상기 제 1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개수가 상기 설정 정보의 제 2 기준값보다 초과하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개수가 상기 제 2 기준값보다 크지 않을 때,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태스크 동작 정보를 상기 설정 정보의 저장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는 대응하는 노드에서 측정한 태스크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포함하고,
    상기 시작 시각 및 상기 종료 시각의 각각은 동기화 시각과 로컬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크기가 상기 제 1 기준값보다 크지 않을 때, 상기 수집된 태스크 동작 정보를 상기 저장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의 개수가 상기 제 2 기준값보다 클 때, 오래된 태스크 동작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프로토콜 버전 정보, 매직 바이트 정보, 데이터 길이 정보, CRC(Cyclic Redundancy Check)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데이터는 저장 위치 정보, 상기 제 1 기준값에 대응하는 최대 저장 크기, 상기 제 2 기준값에 대응하는 최대 저장 개수 정보, 및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태스크 실행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노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 채널을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한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할 때, 저장기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동일한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저장기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을 때, 상기 저장기에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의 설정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데이터는 저장 위치 정보, 태스크 동작 정보의 크기 정보, 및 태스크 동작 정보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한 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데이터의 헤더의 프로토콜 버전 정보, 매직 바이트 정보, 데이터 길이 정보, CRC(Cyclic Redundancy Check)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의 유효성을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을 때, 상기 설정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가 동일할 때,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175367A 2020-12-15 2020-12-15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 KR102485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67A KR102485287B1 (ko) 2020-12-15 2020-12-15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
US17/519,987 US20220188176A1 (en) 2020-12-15 2021-11-05 Apparatus for monitoring task execution time and method of operating node
CN202111446926.XA CN114637580A (zh) 2020-12-15 2021-11-30 任务执行时间监控装置及节点的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67A KR102485287B1 (ko) 2020-12-15 2020-12-15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365A true KR20220085365A (ko) 2022-06-22
KR102485287B1 KR102485287B1 (ko) 2023-01-04

Family

ID=8194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367A KR102485287B1 (ko) 2020-12-15 2020-12-15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88176A1 (ko)
KR (1) KR102485287B1 (ko)
CN (1) CN1146375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53316B (zh) * 2023-12-04 2024-04-16 郑州佳兴电子有限公司 一种模块化电气智能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4991A (ja) * 2001-09-10 2003-03-20 Fujitsu Ltd メモリ管理方法
JP2010033496A (ja) * 2008-07-31 2010-02-12 Fujitsu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20110036237A (ko) * 2009-10-01 2011-04-0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실시간 운영체제에서의 프로세서 부하율 계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6313A (ko) *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클라우다인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6186704A (ja) * 2015-03-27 2016-10-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33761A (ko) * 2016-09-26 2018-04-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실시간 운영체제의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4991A (ja) * 2001-09-10 2003-03-20 Fujitsu Ltd メモリ管理方法
JP2010033496A (ja) * 2008-07-31 2010-02-12 Fujitsu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20110036237A (ko) * 2009-10-01 2011-04-0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실시간 운영체제에서의 프로세서 부하율 계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6313A (ko) *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클라우다인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6186704A (ja) * 2015-03-27 2016-10-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33761A (ko) * 2016-09-26 2018-04-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실시간 운영체제의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928349B1 (ko) 2016-09-26 2018-12-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실시간 운영체제의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8176A1 (en) 2022-06-16
KR102485287B1 (ko) 2023-01-04
CN114637580A (zh)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0086B1 (en) Device identifier selection
KR101988558B1 (ko) 멀티 코어를 갖는 마이크로콘트롤러 유닛을 감시하는 감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729007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manage timing in a blockchain network
KR102485287B1 (ko) 태스크 실행 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노드의 동작 방법
CN103677988A (zh) 用于软件系统的多进程通讯方法及系统
CN104917813A (zh) 请求资源的方法及装置
JP2017004331A (ja) ゲートウェイ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載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
CN1322721C (zh) 使用总线的预仲裁装置及其方法
US9646252B2 (en) Template clauses based SAT techniques
WO2018207352A1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2015501994A (ja) オブジェクトを取得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4771438B2 (ja) メモリアクセス制御装置、メモリ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メモリアクセス制御用プログラム
JP6717184B2 (ja) 車載制御装置
CN112055849B (zh) 排他控制系统以及排他控制方法
CN112817701A (zh) 定时器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2256714A (zh) 数据同步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224756A (zh) 确定数据传输异常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50354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CN115250251B (zh) 片上网络仿真中的传输路径规划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609841B (zh) 异步处理消息的方法、装置、可读介质及电子设备
CN112804371B (zh) 一种域名解析处理方法及装置
JP2010086132A (ja) ハードウェア・モジュール制御システム
JP6280061B2 (ja) 音声通話システム及び加入者データ提供方法
US7574341B1 (en) Speculative expectation based event verification
CN114168403A (zh) 信息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