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110B1 - 사용자 단말의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의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110B1
KR102277110B1 KR1020190154459A KR20190154459A KR102277110B1 KR 102277110 B1 KR102277110 B1 KR 102277110B1 KR 1020190154459 A KR1020190154459 A KR 1020190154459A KR 20190154459 A KR20190154459 A KR 20190154459A KR 102277110 B1 KR102277110 B1 KR 102277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arget user
target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568A (ko
Inventor
손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54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1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갖는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고,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타겟 사용자 단말에 대한 타겟 타임 슬롯을 결정하고, 타겟 사용자 단말을 타겟 타임 슬롯에 설정하고,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타임 슬롯에 타겟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의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아래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 수신 시에 발생하는 통신 부하를 분산하도록 정보를 수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Internet of Things: NB-IoT) 로라(LoRa)의 네트워크는 수용 용량이 LTE나 5G와 같은 셀룰러 통신에 비해 현저히 낮다. 이러한 네트워크 수용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복수의 장치들이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데이터가 유실되거나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복수의 장치들이 동시에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경우 서버에 과부하가 유발되어 데이터가 유실되거나, 서버를 증설해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서버에 전송되는 정보가 분산되도록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갖는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에 대한 타겟 타임 슬롯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을 상기 타겟 타임 슬롯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타임 슬롯에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갖는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와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의 제1 최대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용할 수 있는 제2 최대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 중 적은 용량에 대응하도록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상기 최대 개수보다 미만인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보 타임 슬롯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에 대한 타겟 타임 슬롯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타임 슬롯들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타임 슬롯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에 대한 타겟 타임 슬롯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정보의 특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 상기 타겟 타임 슬롯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인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은 상기 타겟 타임 슬롯에서 깨어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갖는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에 대한 타겟 타임 슬롯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을 상기 타겟 타임 슬롯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타임 슬롯에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갖는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와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의 제1 최대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용할 수 있는 제2 최대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 중 적은 용량에 대응하도록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상기 최대 개수보다 미만인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보 타임 슬롯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에 대한 타겟 타임 슬롯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정보의 특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 상기 타겟 타임 슬롯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전력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인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은 상기 타겟 타임 슬롯에서 깨어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서버에 전송되는 정보가 분산되도록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정보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타임 슬롯들과 각 타임 슬롯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추가 설정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타겟 타임 슬롯에서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정보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발달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정보 송수신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20)와 같은 사용자의 가정의 전자 장치들이 전자 장치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11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환경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들이 서버(11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정보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용량 및 서버(110)의 용량의 한계가 있으므로, 동시에 많은 수의 장치들로부터 정보가 서버(110)로 전송되는 경우 네트워크 또는 서버(110)에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하에 의해 정보가 유실될 수 있으므로, 실시간성이 요구되지 않는 정보라면 시간이 조절되어 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송 시간이 설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서버(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서버(110)일 수 있다.
통신부(210)는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A"를 송수신한다라는 표현은 "A를 나타내는 정보(information)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서버(200) 내의 회로망(circuitry)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내부 버스(internal bus) 및 외부 버스(external bus)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210)는 서버(200)와 외부의 장치를 연결하는 요소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230))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서(220)에 의해 유발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한다.
메모리(23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220)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를 갱신할 수 있도록 코딩되어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신텍스(syntax)들의 집합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서버(200)를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서버(200)를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는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된다.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에 대해, 아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의 단계들(310 내지 350)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서버(200)에 의해 수행된다.
단계(310)에서, 서버(200)는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한다. 타임 슬롯은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타임 슬롯은 1초일 수 있다. 타임 슬롯이 1초인 경우 1일에는 86400개의 타임 슬롯들이 생성될 수 있다.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320)에서, 서버(200)는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한다. 예를 들어, 정보(예를 들어, 계측 정보)를 전송한 타겟 사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할 수 있다. 서버(200)는 타겟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 및 정보가 수신되는 주기 정보를 타겟 사용자 단말과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200)는 서버(200)에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 보다 미만인 경우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가 10개이고,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0 내지 9개 인 경우 타겟 사용자 단말이 등록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200)는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타겟 사용자 단말이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보 타임 슬롯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 슬롯에 할당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최대 개수 미만인 타임 슬롯이 후보 타임 슬롯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서버(200)는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타겟 사용자 단말에 대한 타겟 타임 슬롯을 결정한다. 타겟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정보의 특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의 특성은 정보의 실시간성 또는 주기적인 전송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200)는 후보 타임 슬롯들에 기초하여 타겟 타임 슬롯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서버(200)는 타겟 사용자 단말을 타겟 타임 슬롯에 설정한다. 타겟 사용자 단말이 타겟 타임 슬롯에 설정된 경우 타겟 타임 슬롯에 설정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감소한다.
서버(200)는 타겟 사용자 단말로 타겟 타임 슬롯에 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타겟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각에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350)에서, 서버(200)는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타임 슬롯에 타겟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한다.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들을 타임 슬롯들을 이용하여 분배함으로써 특정 시간에 처리 가능 용량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310)는 아래의 단계들(410 내지 4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서버(200)는 서버(200)와 타겟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의 제1 최대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최대 용량은 네트워크가 동시에 처리 가능한 용량이다.
단계(420)에서, 서버(200)는 서버(200)가 수용할 수 있는 제2 최대 용량을 결정한다. 제2 최대 용량은 서버(200)가 동시에 처리 가능한 용량이다.
단계(430)에서, 서버(200)는 제1 최대 용량 및 제2 최대 용량에 기초하여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최대 용량 및 제2 최대 용량 중 적은 용량에 대응하도록 최대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타임 슬롯들과 각 타임 슬롯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추가 설정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를 도시한다.
하나의 타임 슬롯에 설정된 시간이 1초인 경우, 1시간 내에는 3600개의 타임 슬롯들이 존재할 수 있다.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가 10개로 설정된 경우, 10개를 초과하는 사용자 단말들은 하나의 타임 슬롯에 설정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제1 타임 슬롯 및 제2 타임 슬롯에는 이미 최대 개수인 10개의 사용자 단말들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의 사용자 단말들이 설정될 수 없다.
서버(200)는 추가의 사용자 단말이 설정 가능한 타임 슬롯들을 후보 타겟 타임 슬롯들로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타겟 사용자 단말이 전송할 정보의 특정에 기초하여 후보 타겟 타임 슬롯들 중 타겟 타임 슬롯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적인 정보 수신이 필요한 경우, 해당 주기를 만족하는 후보 타겟 타임 슬롯들 중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2시간 간격으로 정보 수신이 필요한 경우, 43200개의 타임 슬롯들의 주기로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타임 슬롯 및 제43203 타임 슬롯이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이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타겟 타임 슬롯에서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아래의 단계들(610 내지 640)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340)가 수행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단계(610)에서, 서버(200)는 타겟 사용자 단말(600)로 타겟 타임 슬롯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 정보는 타겟 타임 슬롯에 타겟 사용자 단말(600)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라는 제어 명령일 수 있다. 타겟 사용자 단말(600)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단계(620)에서, 타겟 사용자 단말(600)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를 타겟 타임 슬롯에 전송하도록 설정한다.
단계(630)에서, 타겟 사용자 단말(600)이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하는 경우, 타겟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간에 깨어난다. 다른 예로, 타겟 사용자 단말(600)이 타겟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간 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 빠르게 깨어날 수 있다.
단계(640)에서, 타겟 사용자 단말(600)은 타겟 사용자 단말(600)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집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정보는 지난 타겟 타임 슬롯 이후로부터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단계(640)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350)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200: 전자 장치
210: 통신부
220: 프로세서
230: 메모리

Claims (18)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갖는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정보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을 상기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의 각각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에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갖는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와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의 제1 최대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용할 수 있는 제2 최대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 중 적은 용량에 대응하도록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상기 최대 개수보다 미만인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보 타임 슬롯들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타임 슬롯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은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의 센서를 이용하여 계측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은 상기 주기적으로 수집된 계측 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결정되는,
    정보 수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 상기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인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 각각에서 깨어나는,
    정보 수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갖는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정보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을 상기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의 각각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에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갖는 타임 슬롯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와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의 제1 최대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용할 수 있는 제2 최대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최대 용량 및 상기 제2 최대 용량 중 적은 용량에 대응하도록 상기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상기 최대 개수보다 미만인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할 타겟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보 타임 슬롯들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은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의 센서를 이용하여 계측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은 상기 주기적으로 수집된 계측 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결정되는,
    서버.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 상기 복수의 타겟 타임 슬롯들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이 전력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인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은 상기 타겟 타임 슬롯에서 깨어나는,
    서버.
KR1020190154459A 2019-11-27 2019-11-27 사용자 단말의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77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59A KR102277110B1 (ko) 2019-11-27 2019-11-27 사용자 단말의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59A KR102277110B1 (ko) 2019-11-27 2019-11-27 사용자 단말의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568A KR20210065568A (ko) 2021-06-04
KR102277110B1 true KR102277110B1 (ko) 2021-07-13

Family

ID=7639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459A KR102277110B1 (ko) 2019-11-27 2019-11-27 사용자 단말의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1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017B1 (ko) * 2007-12-13 2010-05-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적 채널 할당 방법 및 그 기지국
KR20130082290A (ko) * 2012-01-11 2013-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위성망에서의 분산형 자원 요청 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568A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8077B2 (en) Chip starting method, multi-core processor chip and storage medium
US8930950B2 (en) Management of migrating threads within a computing environment to transform multiple threading mode processors to single thread mode processors
US20130167149A1 (en) Register Mapping Techniques
CN105393240A (zh) 具有辅助异步向量处理器的异步处理器的方法和装置
CN102541630B (zh) 计算机处理器中线程间数据通信的方法和系统
US10409598B2 (en) Handling unaligned load operations in a multi-slice computer processor
CN110235106B (zh) 完成侧客户端节流
US20160085963A1 (en) Centralized platform settings management for virtualized and multi os systems
US106849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mory vulnerability prediction
WO2014056329A1 (zh) 内存数据的推送方法及装置
CN110235105B (zh) 用于在受信任客户端组件中的服务器处理之后的客户端侧节流的系统和方法
KR102277110B1 (ko) 사용자 단말의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US10437757B2 (en) Determine priority of requests using request signals and priority signals at an arbitration node
WO2017091963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9753832B2 (en) Minimizing bandwith to compress output stream in instruction tracing systems
US20160224252A1 (en) Hybrid memory architecture
US870692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rect memory access (DMA) in-flight status
US10908935B1 (en) Estimation of guest clock value based on branch instruction count and average time between branch instructions for use in deterministic replay of execution
CN108182081B (zh) 用户态定时器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2445587A (zh) 一种任务处理的方法以及任务处理装置
US9716646B2 (en) Using thresholds to gate timing packet generation in a tracing system
CN112463125B (zh) 一种虚拟定时器的定时方法及设备
JP5900272B2 (ja) アクセス制御回路、アクセス制御方法
KR102287429B1 (ko)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한 동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CN117331676B (zh) 系统管理模式进入方法、处理器和计算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