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090A -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 Google Patents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090A
KR20220085090A KR1020200174468A KR20200174468A KR20220085090A KR 20220085090 A KR20220085090 A KR 20220085090A KR 1020200174468 A KR1020200174468 A KR 1020200174468A KR 20200174468 A KR20200174468 A KR 20200174468A KR 20220085090 A KR20220085090 A KR 20220085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thalyzer
face recognition
drunk driving
electric kickboard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원
김홍록
최지우
김나현
Original Assignee
장기원
김홍록
최지우
김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원, 김홍록, 최지우, 김나현 filed Critical 장기원
Priority to KR1020200174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090A/ko
Publication of KR2022008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1Preventing theft of parts or accessories used on cycles, e.g. lamp, dynam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na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rketing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시동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플과 음주측정기을 이용하여 본인인식과 음주측정을 통해 시동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에 자외선 램프 살균기능과 무선충전 기능이 있는 음주측정기 보관함을 부착하여 음주측정기를 보관, 소독 및 충전을 하고, 상기 음주측정기를 이용하여 음주 측정을 하는 동시에 휴대폰 어플을 이용하여 얼굴 촬영을 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얼굴과 어플에 등록된 면허증으로 본인 확인을 하는 단계, 상기 음주 측정을 통해 알코올 농도를 분석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 농도가 기준치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시동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Smart phone breathalyzer with facial recognition to prevent drunk driving}
발명은 전동킥보드에 구비되는 자가 스마트폰 음주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리 음주측정을 방지한 스마트폰 얼굴 인식과정을 포함한 전동킥보드의 잠금해제 시스템을 말한다.
간편한 사용법과 저렴한 요금 등으로 인해 택시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보다는 전동킥보드를 이용하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전동킥보드 대여 사업도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 방법이 존재하지 않고 전동킥보드 음주운전이 발생하고 있다.
전동킥보드는 전기 모터로 움직이기 때문에 도로교통법상 '배기량 50cc 미만의 차'로 분류된다. 그에 따라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시 차량 음주운전과 처벌이 동일하다.
음주측정은 사람이 하는 것에 있어서는 모든 구간에서 하기에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자율적인 음주 측정 시스템을 도입한다. 전동킥보드를 대여 시 대여 어플을 통해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있는 음주 측정기를 휴대폰 단자에 연결 후 음주측정을 진행한다.
자가 음주측정 시스템이기 때문에 음주 대리 측정이 발생할 수 있다.
[문헌1] 1020130155469 (2013.12.13) 이동단말기 무선충전기 [문헌2] 1020120128200 (2012.11.13) 자외선 살균기 [문헌3] 1019990036013 (1999.08.24.) 음주측정기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으로, 어플을 통한 전동킥보드의 잠금을 해제할 때 음주측정과 얼굴인식이라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친다. 음주측정은 스마트폰에 연결할 수 있는 음주측정기를 통해서 얼굴인식은 카메라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이는 전동킥보드의 음주측정을 방지하고 대리측정의 여지도 없애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를 운행하기 전 음주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 있어서 어플 가입을 통한 본인의 얼굴이 등록이 이루어지는 단계,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얼굴사진을 촬영하고 동시에 음주측정이 되는 단계, 상기 측정을 통해 알콜농도가 기준치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얼굴인식을 통해 본인 인증을 하는 단계, 이후 잠금장치가 해제의 유무를 판단하고 실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을 통한 음주 측정 시스템은 전동킥보드의 탑승 시 탑승자의 음주 여부와 본인확인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이는 대리 측정 및 다른 편법을 통해 음주측정을 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시스템 상 등록된 기준치와 탑승자의 체내 알콜량을 비교하여 잠금장치의 해제 여부를 달리 하고 이는 전동킥보드 음주운전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잠금 해제 매커니즘을 설명한 단면도
도2는 얼굴 인식 이미지 등록 과정을 설명한 단면도
도3은 전동킥보드에 달린 음주측정기 보관함 단면도
본 고안은 전동킥보드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주운전 잠금해제 과정에서 스마트폰 음주 측정기를 통한 알코올 감지와 카메라를 통한 본인인증으로 음주 운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플을 통해 사용 가능한 전동 킥보드가 많이 생겨나고 있고, 많은 사고들이 발생해서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 해 창안한 것으로, 전동 킥보드 잠금 해제 시 알코올 측정 절차와 얼굴 인식 절차를 포함함으로써 음주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여 전동 킥보드 음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스마트폰 충전기 부분에 연결 가능한 알코올 측정기와 스마트폰 카메라의 얼굴 인식 기능을 통해 각 모듈간의 정보 교환으로 전동 킥보드의 잠금 해제 유무를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도1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운전자가 전동 킥보드 대여 어플에 접속하면, 잠금 해지 단계 이전에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 인식과, 스마트폰 연결 음주 측정기를 이용한 음주 측정이 동시에 이뤄진다. 이때, 도2에서 등록했던 상기 이미지와 카메라에 찍힌 이미지의 대조 절차를 거쳐 본인 인증을 하게 된다. 본인 인증에 실패할 경우 재촬영을 하는 것으로 돌아가게 된다. 본인 인증에 성공할 경우 음주 측정기에 감지된 측정치를 감지하는데, 법정 측정치 이상일 경우 음주 측정을 반복하거나, 또는 잠금 해제 불능이라는 표시가 뜨게 된다.
도2는 본인 인증 시스템의 이미지 등록을 다룬 흐름도로, 여기서 등록 된 이미지는 추후 얼굴 인식 시스템을 이용 하는데 있어서 이용이 된다. 본 절차는 처음 어플을 가입할 때 신분증 등록이 이뤄지고, 이를 본인 카메라로 찍은 이미지와 대조해서 동일하다면 이미지 등록이 가능하게 한다. 만약 신분증 사진과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이는 다시 이미지 촬영 작업으로 돌아가게 된다.
도3은 상기 발명의 외관적인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휴대용 음주 측정기와 그 보관함의 구조에 대해서 가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4에 해당하는 스마트폰 음주 측정기는, 스마트폰 잭과 연결 가능한 휴대용 음주 측정기이다. 이는 알코올 센서가 탑재 돼 있어서 전동 킥보드 탑승자의 날숨 측정을 통해 음주 여부를 파악한다. 2는 4의 보관을 위한 보관함으로, 음주측정기 살균 소독을 위한 자외선 램프 살균기(3),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있는 문(1), 음주 측정기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기(5)을 포함한다. 4는 5에 해당하는 무선 충전기로써 충전이 가능하고, 4의 도난 방지를 위해 4가 충전 상태에 있지 않으면 반납이 불가능하다.3은 위생을 위한 살균기로, 많은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자외선을 통한 살균으로 청결도를 높인다. 이는 1의 구조에도 영향을 주는데, 적외선이 아니라 살균력이 높은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기이기 때문에 몸에 해로울 가능성을 배제하고자 자외선 차단 부재가 존재하는 문으로 구성한다.
1 : 자외선 차단부재가 있는 음주측정기 보관함 문
2 : 음주측정기 보관함
3 : 자외선 램프 살균기
4 : 음주측정기
5 : 무선충전기

Claims (5)

  1.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음주측정 결과를 휴대폰으로 보내는 음주측정기(4);
    상기 음주측정기(4)를 보관, 소독, 충전하는 음주측정기 보관함(2);
    음주측정기(4) 도난 방지를 위한 도난방지시스템;
    상기 음주측정기(4)와 상기 음주측정기 보관함(2)을 구비한 전동킥보드;
    휴대폰 어플 첫 이용시 얼굴인식등록을 하는 얼굴인식등록 시스템;
    상기 전동킥보드를 대여함에 있어서 휴대폰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로 얼굴인식;
    상기 음주측정 결과와 상기 얼굴인식은 동시에 이루어지며 결과를 통해 이상이 없을 경우 대여하는 대여 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은,
    음주측정기(4) 살균 소독을 위한 자외선 램프 살균기(3);
    밖으로 나오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부재가 있는 문(1);
    음주측정기(4) 보관 시 음주측정기 배터리 충전을 하는 무선충전기(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시스템은,
    음주측정기 보관함(2)이 대여 시에 열리는 방식;
    반납 시 음주측정기(4)가 보관함(2)에 음주측정기가 충전 중인 상태여야만 반납 가능한 방식;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시스템은,
    얼굴인식 결과가 이상이 있는 경우 재인식을 요청하고,
    얼굴인식 결과가 이상이 없는 경우 음주 측정 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음주 측정 결과가 이상이 있는 경우 재측정을 요청하고,
    음주 측정 결과가 이상이 없는 경우 전동킥보드 대여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KR1020200174468A 2020-12-14 2020-12-14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KR20220085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68A KR20220085090A (ko) 2020-12-14 2020-12-14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68A KR20220085090A (ko) 2020-12-14 2020-12-14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090A true KR20220085090A (ko) 2022-06-22

Family

ID=8221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468A KR20220085090A (ko) 2020-12-14 2020-12-14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509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013A (ko) 1996-05-28 1999-05-25 모리시타 요이찌 자기저항효과소자, 자기저항효과형헤드,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8200A (ko) 2011-05-17 2012-11-27 김한나 움직이는 퍼즐칠판
JP2013155469A (ja) 2012-01-31 2013-08-15 Hokuetsu Kishu Paper Co Ltd ナノ繊維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013A (ko) 1996-05-28 1999-05-25 모리시타 요이찌 자기저항효과소자, 자기저항효과형헤드,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8200A (ko) 2011-05-17 2012-11-27 김한나 움직이는 퍼즐칠판
JP2013155469A (ja) 2012-01-31 2013-08-15 Hokuetsu Kishu Paper Co Ltd ナノ繊維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49738T3 (es) Procedimiento de entrega de un vehículo y sistema de entrega correspondiente
US10875499B2 (en) Vehicle occupant authentication system
US9802481B2 (en) Vehicle driver monitoring system
US20180107817A1 (en) Vehicle authorization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CN110392082B (zh) 车辆控制方法和系统
US20060182661A1 (en) Blood alcohol content (BAC) level actuated lock box
CN105320863A (zh) 驾驶员身份验证系统及方法
WO2004055302A1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車載機器制御装置、及び車載機器制御方法
WO2005032895A1 (ja) 生体認証装置
CN110712623B (zh) 车载机、运行管理装置、运行管理系统及驾驶员确认方法
CN111231893A (zh) 用于运行共享车辆的方法和共享车辆
US20200124589A1 (en) Alcohol Testing Machine With Lock Controller
CN109509267A (zh) 基于车牌识别的防篡改加密算法移动支付方法
EP1318459A1 (en) Device operation permitting/authenticating system
CN110909597A (zh) 车辆儿童锁落锁控制方法、装置及车载设备
KR20220085090A (ko)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얼굴 인식을 도입한 스마트폰 음주측정기
JPH11242778A (ja) 車両貸出装置、車両貸出料金算出装置および車両履歴検知装置
CN111127675B (zh) 城市道路泊车收费管理系统
Katti et al. Anti-Theft Face Recognition and Alcohol Detection Car Ignition System
CN115862200A (zh) 共享汽车管理方法及装置
JP2001126091A (ja) 乗員顔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通行料金収受システム
Ali et al. Authenticated Access Control for Vehicle Ignition System by Driver’s License and Fingerprint Technology
JP2008121654A (ja) 自動車の運転免許証と情報カードそしてエンジン始動の制御に関する。
WO2008122676A1 (es) Sistema de bloqueo para automóviles y otros vehículos
JP2009090691A (ja) 違法運転防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