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594A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594A
KR20220084594A KR1020200174213A KR20200174213A KR20220084594A KR 20220084594 A KR20220084594 A KR 20220084594A KR 1020200174213 A KR1020200174213 A KR 1020200174213A KR 20200174213 A KR20200174213 A KR 20200174213A KR 20220084594 A KR20220084594 A KR 20220084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ath
path
vertical
banknotes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정승식
문준호
이철규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4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4594A/ko
Publication of KR2022008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3Gathering; Associating; Assembling
    • B65H2301/431Features with regard to the collection, nature, sequence and/or the making thereof
    • B65H2301/4314Making packets of bundles of banknotes or the like in correct sequ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의 높이를 낮추고, 반송로의 길이를 단축하여 구조를 간소화 함과 아울러 다양한 거래 패턴에 대응하여 지폐의 원활한 반송이 가능한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가 입금되는 입금부; 지폐가 출금되는 출금부; 지폐의 권종 및 정상 여부를 감별하는 감별부; 지폐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류 카세트를 구비한 지폐 저장부; 및 상기 입금부와 출금부와 감별부 및 지폐 저장부를 연결하며 지폐가 반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반송로;를 포함하되, 상기 반송로는, 상기 감별부를 통과하며 수평하게 구비된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의 후방 측단에서 하방향으로 연결된 제1수직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의 하단에서 전방측으로 수평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의 하측에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폐 저장부의 상측에 구비된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의 전방 측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의 전방 측단에 연결된 제2수직 반송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TELLER CASH RECYCLER}
본 발명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거래 패턴에 대응하여 지폐의 원활한 반송이 가능한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의 도움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이다.
근래에 와서는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뿐 아니라, 금융기관 내부적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업무 종료 후 정산 작업 등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계원(Teller)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가 도입되고 있다.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계원의 책상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내부에 지폐의 저장을 위한 복수의 카세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계원의 조작에 의해 입금 또는 출금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실시간으로 지폐의 계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5038호에 공개된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감별부를 거치지 않는 단순 계수를 수행하기 위해 출금부의 일측에 U자 형태의 반송로를 포함하고, 게이트에서 지폐의 정상적인 반송 방향 절환을 제어하기 위하여 선후 지폐 간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반송로의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한 목적에서 반송로가 상하로 굴곡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구성에 의하면,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높이가 높아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계원용 책상 아래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책상의 높이 또한 높아져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고, 반송로가 상하로 굴곡지고 그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게이트의 설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지폐의 반송 시 지폐의 잼(jam)이 발생할 수 있는 구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기의 높이를 낮추고, 반송로의 길이를 단축하여 구조를 간소화 함과 아울러 다양한 거래 패턴에 대응하여 지폐의 원활한 반송이 가능한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가 입금되는 입금부; 지폐가 출금되는 출금부; 지폐의 권종 및 정상 여부를 감별하는 감별부; 지폐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류 카세트를 구비한 지폐 저장부; 및 상기 입금부와 출금부와 감별부 및 지폐 저장부를 연결하며 지폐가 반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반송로;를 포함하되, 상기 반송로는, 상기 감별부를 통과하며 수평하게 구비된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의 후방 측단에서 하방향으로 연결된 제1수직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의 하단에서 전방측으로 수평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의 하측에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폐 저장부의 상측에 구비된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의 전방 측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의 전방 측단에 연결된 제2수직 반송로를 포함한다.
상기 반송로는, 상기 입금부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연결하는 입금 반송로;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출금부 측으로 연결된 출금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의 하단에서 상기 지폐 저장부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부 환류 카세트와 하부 환류 카세트로 연결되는 제3수직 반송로; 및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지폐 저장부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상부 환류 카세트와 하부 환류 카세트로 연결되는 제4수직 반송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폐의 입금 시, 상기 입금부에 투입된 지폐는 상기 입금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따라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입금 시, 상기 환류 카세트에 지폐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입금 시,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 중에서 미사용 권종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입금 시,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 중에서 훼손권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될 수 있다.
지폐의 입금 취소 시, 상기 지폐 저장부에 저장된 입금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출금부는, 정상권 지폐가 출금되는 제1출금부와, 비정상권 지폐가 출금되는 제2출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입금부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연결하는 입금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1출금부 측으로 연결된 제1출금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2출금부 측으로 연결된 제2출금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 계수 시, 상기 입금부에 투입된 지폐는 상기 입금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따라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제1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출금부로 반송되며,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제2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2출금부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출금 시, 상기 지폐 저장부에 저장된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로 반송되며,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와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될 수 있다.
특정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일시저장부 측으로 연결되는 일시저장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출금 시, 상기 지폐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권종의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 및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의 일측에는 보충/회수 카세트가 구비되며,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와,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 측으로 연결된 보충/회수 반송로를 더 포함하고, 지폐의 회수 시, 상기 지폐 저장부에 저장된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로 반송되며,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와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되거나,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특정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일시저장부 측으로 연결되는 일시저장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회수 시, 상기 지폐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권종의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 및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의 일측에는 보충/회수 카세트가 구비되며,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와,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 측으로 연결된 보충/회수 반송로를 더 포함하고, 지폐의 보충 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에서 반출된 지폐는,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로 반송되거나,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로 반송되거나,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특정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일시저장부 측으로 연결되는 일시저장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보충 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에서 반출된 지폐는,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특정 권종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특정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일시저장부 측으로 연결되는 일시저장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류 카세트에 저장된 지폐의 정산 시, 상기 환류 카세트에 저장된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지폐의 매수를 카운팅한 후에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에 일시 저장되고, 상기 일시저장부에 일시 저장된 지폐 중에서,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제4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원래의 환류 카세트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될 수 있다.
지폐의 권종 복구 시, 상기 일시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권종의 지폐는,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하여 해당 권종의 환류 카세트로 반송되며,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된 보충/회수 카세트와, 미사용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 측으로 연결된 보충/회수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일시저장부 측으로 연결되는 일시저장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부분 보충 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에서 반출된 지폐는,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사용 권종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로 반송되거나,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미사용 권종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로 반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의하면, 상부 수평 반송로와 하부 수평 반송로를 수평한 상태로 구비함으로써 기기의 높이를 낮추어 계원의 책상 밑으로 기기의 일측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반송로의 길이를 단축하여 구조를 간소화 함으로써 장애 발생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항 거래 패턴에 대응하여 지폐의 원활한 반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입금 시 지폐의 반송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입금 취소 시 지폐의 반송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 계수 시 지폐의 반송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출금 시 지폐의 반송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 회수 시 지폐의 반송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 보충 시 지폐의 반송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 정산 시 지폐의 반송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의 권종 복구 시 지폐의 반송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의 부분 보충 시 지폐의 반송 경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도 1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전방, 좌측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는, 상부 모듈(10)과, 그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모듈(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모듈(10)에는 입금부(110)와 출금부(120;121,122)와 감별부(130) 및 일시저장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모듈(20)에는 지폐가 저장되는 지폐 저장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지폐 저장부(200)는, 상하로 적층되는 상부 카세트(210;210a,210b,210c,210d)와 하부 카세트(220;220a,220b,220c,22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듈(200)에는 상기 지폐 저장부(200)의 일측으로 비정상권 카세트(2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 모듈(20)의 외측 전방에는 상기 상부 카세트(210;210a,210b,210c,210d)와 하부 카세트(220;220a,220b,220c,220d)에 지폐를 보충하거나, 상기 상부 카세트(210;210a,210b,210c,210d)와 하부 카세트(220;220a,220b,220c,220d)로부터 지폐를 회수하기 위한 보충/회수 카세트(30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의 내부에서 지폐의 입금, 출금, 보충, 회수 등의 다양한 거래 패턴에 따라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400;401~412)와, 지폐의 반송 방향을 설정된 방향으로 절환하기 위한 복수의 게이트(501~5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금부(110)를 통하여 지폐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의 내부로 입금되고, 상기 출금부(120;121,122)를 통하여 지폐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의 외부로 출금될 수 있다.
상기 출금부(120;121,122)는 제1출금부(121)와 제2출금부(122)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출금부(121)는, 지폐의 입금 또는 보충 시, 상기 감별부(1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 중 유통이 가능한 지폐 또는 출금 시 감별부(13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출금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출금부(122)는, 지폐의 입금 또는 보충 시 상기 감별부(1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 중 유통이 불가능한 위조권이 출금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감별부(130)는, 반송로(402;400)를 따라 반송되는 지폐의 이상 유무와 권종을 감별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지폐가 반송되는 반송경로를 포함하고, 그 반송경로에는 지폐가 양방향으로 반송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구동기구가 구비된다.
상기 감별부(130)에는 지폐가 반송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진 스큐(skew)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이미지 센서, 2매 감지부 등의 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반송로(402;400)를 통과하는 지폐를 감지하는 동시에, 지폐의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반송되는 지폐의 진위 여부, 권종 및 손상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일시저장부(140)에는 지폐의 출금이나 보충 또는 회수 시에 특종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거나, 환류 카세트(210a,210b,210c,210d,220a,220b,220c,220d)에 저장된 지폐의 정산 시에 지폐가 일시 저장되거나, 지폐의 부분보충 시 미사용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환류 카세트(210a,210b,210c,210d,220a,220b,220c,220d)는 상하로 적층된 상부 환류 카세트(210;210a,210b,210c,210d)와 하부 환류 카세트(220;220a,220b,220c,220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환류 카세트(210;210a,210b,210c,210d)와 하부 환류 카세트(220;220a,220b,220c,220d)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폐의 사용 빈도 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권종의 지폐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비정상권 저장 카세트(230)는 하부 모듈(20) 내부의 전방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지폐의 출금 또는 보충 시, 감별부(1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보충 카세트(300)는, 상기 환류 카세트(210a,210b,210c,210d,220a,220b,220c,220d)에 지폐를 보충하거나, 상기 환류 카세트(210a,210b,210c,210d,220a,220b,220c,220d)로부터 지폐를 회수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
상기 반송로(400)는, 입금부(110)를 통하여 유입된 지폐의 입금 경로를 형성하는 입금 반송로(401), 상기 입금 반송로(401)의 후방측 하단에 후방측으로 수평하게 연결되며 상기 감별부(130)를 통과하는 상부 수평 반송로(402),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의 후방 측단에서 하방향으로 연결된 제1수직 반송로(403),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의 하단에서 전방측으로 수평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의 하측에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폐 저장부(200)의 상측에 구비된 하부 수평 반송로(404),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의 전방 측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의 전방 측단에 연결된 제2수직 반송로(405),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제2수직 반송로(405)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제1출금부(121) 측으로 연결된 제1출금 반송로(406),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제2수직 반송로(405)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제2출금부(122) 측으로 연결된 제2출금 반송로(407),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의 후방 측단에서 일시저장부(140) 측으로 연결된 일시저장 반송로(408),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의 하단에서 하부 모듈(20) 내부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부 환류 카세트(210a,210b)와 하부 환류 카세트(220a,220b)로 연결되는 제3수직 반송로(409),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에서 분기되어 하부 모듈(20) 내부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상부 환류 카세트(210c,210d)와 하부 환류 카세트(220c,220d)로 연결되는 제4수직 반송로(410),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에서 비정상권 저장 카세트(230)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411), 및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와 제2수직 반송로(405)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보충/회수 카세트(300) 측으로 연결되는 보충/회수 반송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금부(110)와 출금부(120) 및 감별부(130)는 상부 모듈(10)에 구비되고, 상기 지폐 저장부(200)는 상기 상부 모듈(10)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모듈(20)에 구비되며, 상기 입금부(110)와 출금부(120)가 위치하는 상부 모듈(10)의 전방부는 계원용 책상(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감별부(130)와 상부 수평 반송로(402)가 위치하는 상부 모듈(10)의 후방부는 계원용 책상(2)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하부 수평 반송로(404)가 수평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상하로 굴곡진 형태로 설치된 반송로 구조와 비교하여 상부 모듈(1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계원용 책상(2) 밑으로 상부 모듈(20)의 일측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반송로(400)의 전체 길이를 단축하여 구조를 간소화 함으로써 지폐의 잼(jam) 발생 등의 장애 포인트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거래 패턴에 대응하여 지폐의 반송 방향을 설정된 방향으로 절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복수의 게이트(501~507)는, 상기 입금 반송로(401)와 상부 수평 반송로(402)가 연결되는 지점에 구비된 제1게이트(501),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제1수직 반송로(403) 및 일시저장 반송로(408)가 연결되는 지점에 구비된 제2게이트(502),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와 하부 수평 반송로(404) 및 제3수직 반송로(409)가 연결되는 지점에 구비된 제3게이트(503),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에서 상기 지폐 저장부(200)로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된 제4게이트(504),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에서 비정상권 저장 카세트(230)로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된 제5게이트(505),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412)가 연결되는 지점에 구비된 제6게이트(506),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출금 반송로(406,407)가 연결되는 지점에 구비된 제7게이트(5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게이트(502), 제3게이트(503), 제5게이트(505) 및 제7게이트(507)는 지폐의 반송 방향을 3방향으로 절환하는 3웨이 게이트로 구성된다.
특히, 종래기술의 U자형 반송로에는 2개의 3웨이 게이트가 필요했으나, 본 발명은 U자형 반송로 없이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제2수직 반송로(405)와 하부 수평 반송로(404)의 연결 구간에서 종래기술 대비 3웨이 게이트인 제7게이트(507) 1개로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반송로(400)에는 지폐의 반송 방향을 다양한 지폐의 거래 패턴에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절환하기 위한 복수의 게이트(501,502,503,504,505,506,507)가 구비되고, 상기 반송로(400)를 따라 반송되는 선행 지폐와, 상기 선행 지폐에 이어서 반송되는 후행 지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송되며, 상기 반송로(400)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501,502,503,504,505,506,507)에서 지폐의 반송 방향 절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반송속도로 구동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501,502,503,504,505,506,507)에서 반송되는 선행 지폐와 후행 지폐의 반송 경로를 오류 없이 정확하게 절환할 수 있도록 반송로(400)의 반송속도는 감속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감별부(130)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501,502,503,504,505,506,507)에서 지폐의 반송 방향 절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별속도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감별부(130)를 통과하는 지폐의 권종 및 정상 여부를 신속하게 감별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감별부(130)에서 감별되는 지폐의 감별 결과를 지폐가 감별부(130)를 통과한 후에 최소한의 시간 내에 얻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부 수평 반송로(402)를 종래기술 대비하여 수평한 구조로 짧게 구성하더라도 상기 복수의 게이트(501,502,503,504,505,506,507)에서 반송되는 선행 지폐와 후행 지폐의 반송 경로를 오류 없이 정확하게 절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에서 다양한 거래 패턴에 대응한 지폐의 반송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폐의 입금 시, 상기 입금부(110)에 투입된 지폐는 상기 입금 반송로(401)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를 따라 상기 감별부(130)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409) 또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와 상기 제4수직 반송로(410)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200)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상기 출금 반송로(407)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122)로 반송된다.
또한, 지폐의 입금 시, 상기 환류 카세트(210a,210b,210c,210d,220a,220b,220c,220d)에 지폐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감별부(13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411)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230)로 반송될 수 있다.
또한, 지폐의 입금 시, 상기 감별부(13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 중에서 미사용 권종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411)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230)로 반송될 수 있다.
또한, 지폐의 입금 시, 상기 감별부(1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 중에서 훼손권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411)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230)로 반송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폐의 입금 취소 시, 상기 지폐 저장부(200)에 저장된 입금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409)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410)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 및 상기 출금 반송로(406)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121)로 반송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폐 계수(Count) 시, 상기 입금부(110)에 투입된 지폐는 상기 입금 반송로(401)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를 따라 상기 감별부(130)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상기 제1출금 반송로(406)를 경유하여 상기 제1출금부(120)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상기 제2출금 반송로(407)를 경유하여 상기 제2출금부(120)로 반송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지폐의 출금 시, 상기 지폐 저장부(200)에 저장된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409)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410)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130)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출금 반송로(406)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121)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와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411)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230)로 반송된다.
또한, 지폐의 출금 시, 상기 지폐 저장부(200)에 저장된 특정 권종의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409)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410)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및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408)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140)로 반송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폐의 회수 시, 상기 지폐 저장부(200)에 저장된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409)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410)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130)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412)를 경유하여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300)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와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411)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230)로 반송되거나,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출금 반송로(406)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121)로 반송될 수 있다.
또한, 지폐의 회수 시, 상기 지폐 저장부(200)에 저장된 특정 권종의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409)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410)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및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408)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140)로 반송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폐의 보충 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300)에서 반출된 지폐는,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412)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130)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409)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200)로 반송되거나,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와 상기 제4수직 반송로(410)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200)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상기 출금 반송로(406)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121)로 반송되거나,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411)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230)로 반송될 수 있다.
또한, 지폐의 보충 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300)에서 반출된 지폐는,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412)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130)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130)에서 특정 권종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408)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140)로 반송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환류 카세트(210a,210b,210c,210d,220a,220b,220c,220d)에 저장된 지폐의 정산 시, 상기 환류 카세트(210a,210b,210c,210d,220a,220b,220c,220d)에 저장된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409)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410)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130)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지폐의 매수를 카운팅한 후에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408)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140)에 일시 저장된다.
상기 일시저장부(140)에 일시 저장된 지폐 중에서, 상기 감별부(13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408),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409) 또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및 제4수직 반송로(410)를 통과하여 원래의 환류 카세트(210a,210b,210c,210d,220a,220b,220c,220d)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408),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411)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230)로 반송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지폐의 권종 복구 시, 상기 일시저장부(140)에 저장된 특정 권종의 지폐는,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408)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130)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409)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410)를 통하여 해당 권종의 환류 카세트(210a,210b,210c,210d,220a,220b,220c,220d)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411)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230)로 반송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폐의 부분 보충 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300)에서 반출된 지폐는,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412)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405)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130)로 반송된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사용 권종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403)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409)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200)로 반송되거나,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404)와 상기 제4수직 반송로(410)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200)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감별부(130)에서 미사용 권종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402)와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408)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140)로 반송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반송로(400)의 길이를 줄이고 구조를 간소화 하면서도, 다양한 지폐의 거래 패턴에 대응하여 지폐를 원활하게 반송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2 : 계원용 책상
10 : 상부 모듈 20 : 하부 모듈
21 : 도어 110 : 입금부
120 : 출금부 121 : 제1출금부
122 : 제2출금부 130 : 감별부
140 : 일시저장부 200 : 지폐 저장부
210a,210b,210c,210d : 상부 환류 카세트
220a,220b,220c,220d : 하부 환류 카세트
230 : 비정상권 카세트 300 : 보충/회수 카세트
400 : 반송로 401 : 입금 반송로
402 : 상부 수평 반송로 403 : 제1수직 반송로
404 : 하부 수평 반송로 405 : 제2수직 반송로
406 : 제1출금 반송로 407 : 제2출금 반송로
408 : 일시저장 반송로 409 : 제3수직 반송로
410 : 제4수직 반송로 411 : 비정상권 반송로
412 : 보충/회수 반송로 501 : 제1게이트
502 : 제2게이트 503 : 제3게이트
504 : 제4게이트 505 : 제5게이트
506 : 제6게이트 507 : 제7게이트

Claims (17)

  1. 지폐가 입금되는 입금부;
    지폐가 출금되는 출금부;
    지폐의 권종 및 정상 여부를 감별하는 감별부;
    지폐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류 카세트를 구비한 지폐 저장부; 및
    상기 입금부와 출금부와 감별부 및 지폐 저장부를 연결하며 지폐가 반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반송로;를 포함하되,
    상기 반송로는,
    상기 감별부를 통과하며 수평하게 구비된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의 후방 측단에서 하방향으로 연결된 제1수직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의 하단에서 전방측으로 수평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의 하측에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폐 저장부의 상측에 구비된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의 전방 측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의 전방 측단에 연결된 제2수직 반송로;
    를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는,
    상기 입금부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연결하는 입금 반송로;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출금부 측으로 연결된 출금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의 하단에서 상기 지폐 저장부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부 환류 카세트와 하부 환류 카세트로 연결되는 제3수직 반송로; 및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지폐 저장부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상부 환류 카세트와 하부 환류 카세트로 연결되는 제4수직 반송로;
    를 더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지폐의 입금 시,
    상기 입금부에 투입된 지폐는 상기 입금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따라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입금 시,
    상기 환류 카세트에 지폐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입금 시,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 중에서 미사용 권종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입금 시,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 중에서 훼손권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지폐의 입금 취소 시,
    상기 지폐 저장부에 저장된 입금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부는, 정상권 지폐가 출금되는 제1출금부와, 비정상권 지폐가 출금되는 제2출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입금부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연결하는 입금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1출금부 측으로 연결된 제1출금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2출금부 측으로 연결된 제2출금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 계수 시,
    상기 입금부에 투입된 지폐는 상기 입금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따라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제1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출금부로 반송되며,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제2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2출금부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출금 시,
    상기 지폐 저장부에 저장된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로 반송되며,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와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특정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일시저장부 측으로 연결되는 일시저장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출금 시,
    상기 지폐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권종의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 및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의 일측에는 보충/회수 카세트가 구비되며,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와,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 측으로 연결된 보충/회수 반송로를 더 포함하고,
    지폐의 회수 시,
    상기 지폐 저장부에 저장된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로 반송되며,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와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되거나,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일시저장부 측으로 연결되는 일시저장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회수 시,
    상기 지폐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권종의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 및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의 일측에는 보충/회수 카세트가 구비되며,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와,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 측으로 연결된 보충/회수 반송로를 더 포함하고,
    지폐의 보충 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에서 반출된 지폐는,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로 반송되거나,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출금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출금부로 반송되거나,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일시저장부 측으로 연결되는 일시저장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보충 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에서 반출된 지폐는,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특정 권종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는 비정상권 카세트가 구비되고,
    특정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연결되는 비정상권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일시저장부 측으로 연결되는 일시저장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류 카세트에 저장된 지폐의 정산 시,
    상기 환류 카세트에 저장된 지폐는,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해 반출되어,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지폐의 매수를 카운팅한 후에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에 일시 저장되고,
    상기 일시저장부에 일시 저장된 지폐 중에서,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제4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원래의 환류 카세트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 상기 제1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6.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지폐의 권종 복구 시,
    상기 일시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권종의 지폐는,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 또는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하여 해당 권종의 환류 카세트로 반송되며,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 상기 제2수직 반송로,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 및 상기 비정상권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비정상권 카세트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된 보충/회수 카세트와,
    미사용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 측으로 연결된 보충/회수 반송로와,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일시저장부 측으로 연결되는 일시저장 반송로를 더 포함하며,
    지폐의 부분 보충 시,
    상기 보충/회수 카세트에서 반출된 지폐는, 상기 보충/회수 반송로와 상기 제2수직 반송로 및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감별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사용 권종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1수직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로 반송되거나, 상기 하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제4수직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지폐 저장부로 반송되고,
    상기 감별부에서 미사용 권종으로 감별된 지폐는, 상기 상부 수평 반송로와 상기 일시저장 반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저장부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20200174213A 2020-12-14 2020-12-14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220084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213A KR20220084594A (ko) 2020-12-14 2020-12-14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213A KR20220084594A (ko) 2020-12-14 2020-12-14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594A true KR20220084594A (ko) 2022-06-21

Family

ID=8222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213A KR20220084594A (ko) 2020-12-14 2020-12-14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45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851B1 (ko) 지폐 입출금 기구 및 현금 자동 거래 장치
WO2013084630A1 (ja) 紙幣処理装置
KR102202966B1 (ko) 보충회수박스가 구비된 계원용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에 적용되는 지폐 처리 방법
JP5760984B2 (ja) 紙幣処理装置
KR102112615B1 (ko) 횡방향 입출금 방식이 적용된 환류형 지폐/수표 입출금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지폐/수표 처리방법
JP5178012B2 (ja) 自動取引装置
KR20170043190A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매체 처리 방법
JP2013171402A (ja) 媒体取引装置
KR101310499B1 (ko) 지폐처리장치
KR100805285B1 (ko) 현금 자동 거래 장치
KR101354514B1 (ko)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1345957B1 (ko) 지폐처리장치
KR101082511B1 (ko) 지폐입출금장치
KR102399016B1 (ko)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20220084594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H08194861A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2092692A (ja) 紙葉類取り扱い装置
JPS6027093A (ja) 紙幣循環式入出金装置の精査・装填方式
KR20220086930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79292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H02278398A (ja) 紙幣入出金装置
JPH01118986A (ja) 自動取引装置
KR20220079291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220079290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090124600A (ko) 현금자동입출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