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553A - Sulfate-Free 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Cleansing Scalp Comprising Bead - Google Patents

Sulfate-Free 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Cleansing Scalp Comprising B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553A
KR20220084553A KR1020200174135A KR20200174135A KR20220084553A KR 20220084553 A KR20220084553 A KR 20220084553A KR 1020200174135 A KR1020200174135 A KR 1020200174135A KR 20200174135 A KR20200174135 A KR 20200174135A KR 20220084553 A KR20220084553 A KR 2022008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nionic surfactant
sodium
surfactant
isethi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헌
김다은
빈성아
서보현
정창조
최장원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0017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4553A/en
Priority to TW110145651A priority patent/TW202231263A/en
Priority to CN202111530002.8A priority patent/CN114617790A/en
Publication of KR2022008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5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설페이트-프리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자극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아니하면서도 기포력 및 투명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cleaning sulfate-free hair or scalp, and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nionic surfactant; and a cationic polymer,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provides a 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scalp comprising an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contain a sulfate-based surfactant known to be highly irritating, but has excellent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Description

설페이트-프리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Sulfate-Free 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Cleansing Scalp Comprising Bead}Sulfate-Free 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Cleansing Scalp Comprising Bead

본 명세서에는 설페이트-프리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이 개시된다.Disclosed herein is a composition for cleaning sulfate-free hair or scalp.

피부(두피 포함)는 신체의 가장 외부에 존재하는 기관으로서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외모 및 이미지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관이다. 모발 및/또는 두피를 세정하기 위한 각종 세정 제품에 합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합성 계면활성제는 피부와 눈을 자극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세정력과 기포력을 위해 합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를 증가시킬 경우에는 피부 당김, 가려움 또는 피부 거칠어짐 등의 피부에 대한 자극과 안자극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93211호에는 알킬 에톡시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저자극성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자극완화효과를 나타내는 첨가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자극이 현저하게 완화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자극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알킬에톡시화된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조성물로서 자극 완화 효과가 현저히 크지 않다. 이에 따라,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아니하면서도 기포력 및 투명도가 우수한 조성물에 대한 연구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The skin (including the scalp) is the most external organ of the body, and it is an important organ that has various functions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appearance and image. Synthetic surfactants are used in various cleaning products for cleaning the hair and/or scalp, and these synthetic surfactants tend to irritate the skin and eyes. In addi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ynthetic surfactant is increased for cleaning and foaming power, skin irritation such as skin tightness, itching, or rough skin and eye irritation tend to increas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093211 discloses an alkyl ethoxy sulfate-based anionic surfactant; hypoallergenic anionic surfactants; nonionic surfactants; amphoteric surfactants; Disclosed is a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in which skin irritation is remarkably alleviated by including, as an active ingredient, one or more substa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ditives exhibiting an irritation-relieving effect. However, the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is a composition containing an alkylethoxylated sulfate-based anionic surfactant, which is known to have relatively high irritation, and the effect of alleviating irritation is not significant. Accordingly, there is a further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 composition that does not contain a sulfate-based surfactant and has excellent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321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93211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아니하면서도 기포력 및 투명도가 우수한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cleaning hair or scalp that does not contain a sulfate-based surfactant and has excellent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전술한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anionic surfactant; and a cationic polymer,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provides a 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scalp comprising an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본 개시에 따르면 자극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아니하면서도 기포력 및 투명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contain a sulfate-based surfactant known to be highly irritating, but has excellent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도 1 내지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측정한 기포량, 기포 크기 및 투명도를 나타낸 그래프.1 to 6 are graphs showing the bubble amount, bubble size, and transparency measured fo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precedent, or emergence of new technology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than the simple name of the term.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generally understood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disclosure.

수치 범위는 본 개시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Numerical ranges are inclusive of the numerical values defined in this disclosure. Every maximum numerical limitation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ll lower numerical limitations as if the lower numerical limitation were expressly written. Every minimum numerical limitation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ll higher numerical limitations as if the higher numerical limitation were expressly written. Any numerical limitation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shall include all numerical ranges within the broader numerical range, as if the narrower numerical limitation were expressly written down.

이하, 본 개시에 대해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drawings.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어 “포함하는”, “갖는”, “함유하는”은 포괄적 또는 개방적이고, 추가의 언급되지 않은 요소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상기 용어에 앞서 열거된 품목들의 모든 순열 및 조합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A, B, C,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A, B, C, AB, AC, BC 또는 ABC, 및 특별한 문맥에서 순서가 중요한 경우에는 BA, CA, CB, CBA, BCA, ACB, BAC 또는 CAB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 예와 함께, 1개 이상의 품목 또는 용어의 반복을 함유하는 조합, 예컨대 BB, AAA, MB, BBC, AAABCCCC, CBBAAA, CABABB 등이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문맥상 달리 자명하지 않는 한, 전형적으로 임의의 조합에서 품목 또는 용어의 개수에 제한이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ing,” “having,” “comprising,” are inclusive or open-ended and do not exclude additional unrecited elements or method steps. As used herein, the term “or combinations thereof” refers to all permutations and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prior to the term. For example, “A, B, C, or a combination thereof” means A, B, C, AB, AC, BC or ABC, and BA, CA, CB, CBA, BCA where order is important in a particular context. , ACB, BAC or CAB. With this example, combinations containing repetitions of one or more items or terms are expressly included, such as BB, AAA, MB, BBC, AAABCCCC, CBBAAA, CABABB, and the like.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ypically no limit to the number of items or terms in any combination, unless the context makes it clear otherwise.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설페이트-프리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anionic surfactant; and a cationic polymer,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s an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d provides a sulfate-free hair or scalp cleaning composition.

상기 “모발”은 “살아있는”, 즉 살아있는 신체 상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유류, 인간 모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발”은 "살아있지 않은”, 즉 가발, 헤어피스 또는 살아있지 않은 케라틴성 섬유의 다른 집합체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울, 모피 및 다른 케라틴 함유 섬유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발”은 “모발 섬유”의 용어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Said “hair” may be “alive”, ie on a living body. Specifically, it may be mammalian or human hair. Alternatively, the “hair” may be in “non-living” i.e. wigs, hairpieces or other aggregates of non-living keratinous fibers. Specifically, it may be in wool, fur and other keratin-containing fibers. Thus, The term “hai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 “hair fiber”.

상기 표현 “설페이트-프리(sulfate-free)”는, 조성물에 설페이트(sulfate)계 계면활성제가 실질적으로 프리(free)함을 의미하며, 실질적으로 프리함은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영(zero)인 농도로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The expression “sulfate-free” above means that the composition is substantially free of sulfate-based surfactants, and substantially free means that the composition is 1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t is understood to mean containing a sulfate-based surfactant in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 by weight, preferably less than 0.1%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zero.

상기 “세정”은 모발 및/또는 두피 표면의 땀이나 피지, 먼지, 노화된 각질 등의 각종 노폐물과 메이크업,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며, 탈지(脫脂: Cleansing), 협의의 세정(洗淨: Washing)을 포함한다.The "cleaning" means removing various wastes, makeup, and contaminants such as sweat, sebum, dust, and aged dead skin cells on the surface of the hair and/or scalp. washing).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6 내지 5.9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5 중량% 초과,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75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25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75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25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2.75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6 중량% 미만, 5.9 중량% 이하, 5.85 중량% 이하, 5.8 중량% 이하, 5.75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25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75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2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75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ent of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6 to 5.9%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ore specifically, more than 0.5 wt%, 0.6 wt% or more, 0.7 wt% or more, 0.75 wt% or more, 1 wt% or more, 1.25 wt% or more, 1.5 wt% or more, 1.75 wt% or more, 2 wt% or more, 2.25 wt% or more % or more, 2.5 wt% or more, 2.75 wt% or more, 3 wt% or more; Less than 6 wt%, 5.9 wt% or less, 5.85 wt% or less, 5.8 wt% or less, 5.75 wt% or less, 5.5 wt% or less, 5.25 wt% or less, 5 wt% or less, 4.75 wt% or less, 4.5 wt% or less, 4.25 wt% or less, 4 wt% or less, 3.75 wt% or less, 3.5 wt% or less, 3 wt%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6 내지 0.54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05 중량% 초과, 0.06 중량% 이상, 0.07 중량% 이상, 0.08 중량% 이상, 0.09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15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25 중량% 이상; 0.55 중량% 미만, 0.54 중량% 이하, 0.53 중량% 이하, 0.52 중량% 이하, 0.51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4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0.35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 0.25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of the cationic polym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6 to 0.54%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ore specifically greater than 0.05 wt%, 0.06 wt% or more, 0.07 wt% or more, 0.08 wt% or more, 0.09 wt% or more, 0.1 wt% or more, 0.15 wt% or more, 0.2 wt% or more, 0.25 wt% or more; Less than 0.55 wt%, 0.54 wt% or less, 0.53 wt% or less, 0.52 wt% or less, 0.51 wt% or less, 0.5 wt% or less, 0.45 wt% or less, 0.4 wt% or less, 0.35 wt% or less, 0.3 wt% or less, It may be 0.25 wt%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의 함량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0.02 내지 0.18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 : 0.0167 초과, 1 : 0.02 이상, 1 : 0.03 이상, 1 : 0.033 이상, 1 : 0.04 이상, 1 : 0.045 이상, 1 : 0.05 이상, 1 : 0.055 이상, 1 : 0.06 이상, 1 : 0.065 이상, 1 : 0.07 이상, 1 : 0.075 이상, 1 : 0.08 이상, 1 : 0.083 이상; 1 : 0.183 미만, 1 : 0.18 이하, 1 : 0.17 이하, 1 : 0.16 이하, 1 : 0.15 이하, 1 : 0.14 이하, 1 : 0.13 이하, 1 : 0.12 이하, 1 : 0.11 이하, 1 : 0.1 이하, 1 : 0.09 이하, 1 : 0.083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ent ratio of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d the cationic polymer may be 1: 0.02 to 0.18 by weight. More specifically, 1: more than 0.0167, 1: 0.02 or more, 1: 0.03 or more, 1: 0.033 or more, 1: 0.04 or more, 1: 0.045 or more, 1: 0.05 or more, 1: 0.055 or more, 1: 0.06 or more, 1: 0.065 or more, 1: 0.07 or more, 1: 0.075 or more, 1: 0.08 or more, 1: 0.083 or more; 1:0.183 or less, 1:0.18 or less, 1:0.17 or less, 1:0.16 or less, 1:0.15 or less, 1:0.14 or less, 1:0.13 or less, 1:0.12 or less, 1:0.11 or less, 1:0.1 or less, 1: 0.09 or less, 1: 0.083 or less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세치오네이트(isethionate)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생분해성이 우수한 성분으로서, 또한 자극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성분이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소듐 라우로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lauroyl isethionate), 소듐 미리스토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myristoyl isethionate), 소듐 올레오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oleoyl isethion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이세치오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a component having excellent biodegradability and is also used to relieve irri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sodium cocoyl isethionate, sodium lauroyl isethionate, sodium myristoyl isethionate (sodium myristoyl isethionate), sodium oleoyl isethionate (sodium oleoyl isethionate), or a mixture thereof,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preferably sodium cocoyl isethionate thionate, sodium lauroyl isethionate or mixtures thereof.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조성물은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의 예로는 폴리쿼터늄-2,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17, 폴리쿼터늄-18,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24, 폴리쿼터늄-28, 폴리쿼터늄-32, 폴리쿼터늄-37, 폴리쿼터늄-39, 폴리쿼터늄-43,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46,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51,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쿼터늄-22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tionic polymer, and examples of the cationic polymer include polyquaternium-2, polyquaternium-4, polyquaternium-6, polyquaternium- 7, Polyquaternium-10, Polyquaternium-11, Polyquaternium-16, Polyquaternium-17, Polyquaternium-18, Polyquaternium-22, Polyquaternium-24, Polyquaternium-28, Polyquaternium-32, Polyquaternium-37, Polyquaternium-39, Polyquaternium-43, Polyquaternium-44, Polyquaternium-46, Polyquaternium-47, Polyquaternium-51, Guarhyde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and hydroxypropyl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ationic polymer is preferably polyquaternium-22.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4.67 중량% 초과, 5 중량% 이상, 5.25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5.7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6.25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6.75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10.5 중량% 미만, 10.2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75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25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75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4 중량% 이하, 8.25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75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25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mphoteric surfact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ent of the amphoteric surfacta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ore specifically, more than 4.67 wt%, 5 wt% or more, 5.25 wt% or more, 5.5 wt% or more, 5.75 wt% or more, 6 wt% or more, 6.25 wt% or more, 6.5 wt% or more, 6.75 wt% or more, 7 wt% % More than; Less than 10.5 wt%, 10.25 wt% or less, 10 wt% or less, 9.75 wt% or less, 9.5 wt% or less, 9.25 wt% or less, 9 wt% or less, 8.75 wt% or less, 8.5 wt% or less, 8.4 wt% or less, 8.25 wt% or less, 8 wt% or less, 7.75 wt% or less, 7.5 wt% or less, 7.25 wt% or less, 7 wt%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1.6 내지 3.3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 : 1.5567 초과, 1 : 1.6 이상, 1 : 1.65 이상, 1 : 1.7 이상, 1 : 1.75 이상, 1 : 1.8 이상, 1 : 1.85 이상, 1 : 1.9 이상, 1 : 1.95 이상, 1 : 2 이상, 1 : 2.05 이상, 1 : 2.1 이상, 1 : 2.15 이상, 1 : 2.2 이상, 1 : 2.25 이상, 1 : 2.3 이상, 1 : 2.33 이상; 1 : 3.5 미만, 1 : 3.4 이하, 1 : 3.3 이하, 1 : 3.2 이하, 1 : 3.1 이하, 1 : 3 이하, 1 : 2.9 이하, 1 : 2.8 이하, 1 : 2.7 이하, 1 : 2.6 이하, 1 : 2.5 이하, 1 : 2.4 이하, 1 : 2.33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ent ratio of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d the amphoteric surfactant may be 1:1.6 to 3.3 by weight. More specifically, 1: more than 1.5567, 1: 1.6 or more, 1: 1.65 or more, 1: 1.7 or more, 1: 1.75 or more, 1: 1.8 or more, 1: 1.85 or more, 1: 1.9 or more, 1: 1.95 or more, 1: 2 or more, 1: 2.05 or more, 1: 2.1 or more, 1: 2.15 or more, 1: 2.2 or more, 1: 2.25 or more, 1: 2.3 or more, 1: 2.33 or more; 1: less than 3.5, 1: 3.4 or less, 1: 3.3 or less, 1: 3.2 or less, 1: 3.1 or less, 1: 3 or less, 1: 2.9 or less, 1: 2.8 or less, 1: 2.7 or less, 1: 2.6 or less, 1: 2.5 or less, 1: 2.4 or less, 1: 2.33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설테인(sultaine)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설포베타인(Sulfobetaine)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베타인(Betaine)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암포아세테이트(Amphoacetate)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쪽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The amphoteric surfactant is a sultaine-based amphoteric surfactant (Sulfobetaine-based amphoteric surfactant), a betaine-based amphoteric surfactant, and an amphoacetate-based amphoteric surfactant. It may be one or more amphoteric surfacta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tive agents.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쪽 말단에 SO3-(설포기)를 가지는 설테인(sultaine)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테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코코-하이드록시설테인(coco-hydroxysultaine), 코코-설테인(coco-sultaine), 에루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erucamidopropyl hydroxysultaine), 하이드록시설테인(hydroxysultaine), 라우라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lauramidopropyl hydroxysultaine),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라우릴 설테인(lauryl sultaine), 메톡시신나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methoxycinnamidopropyl hydroxysultaine), 미리스타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myristamidopropyl hydroxysultaine), 올레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oleamidopropyl hydroxysultaine), 탈로우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tallowamidopropyl hydroxysulta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이다.The amphoteric surfactant may be a sultaine-based amphoteric surfactant having SO 3 - (sulfo group) at the anion-side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the sultaine-based amphoteric surfactant is a cocamidopropyl hydroxy group. 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coco-hydroxysultaine, coco-sultaine, erucamidopropyl hydroxysultaine, hydroxysultaine, laura Midopropyl hydroxysultaine, lauryl hydroxysultaine, lauryl sultaine, methoxycinnamidopropyl hydroxysultaine, myristamidopropyl hydride It may be myristamidopropyl hydroxysultaine, oleamidopropyl hydroxysultaine, tallowamidopropyl hydroxysultaine, or a mixture thereof,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mphoteric surfactant is preferably lauryl hydroxysultaine.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쪽 말단에 COO-를 가지는 베타인(Betaine)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 propyl betaine), 코코-베타인(coco betaine), 코코 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coco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라우릴 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lauryl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라우릴 디메틸-알파-카르복시에틸 베타인(lauryl dimethyl-alpha-carboxyethyl betaine), 세틸 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cetyl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라우릴 비스-(2-하이드록시에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lauryl bis-(2-hydroxyethyl) carboxymethyl betaine), 스테아릴-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 카르복시메틸 베타인(stearyl bis-(2-hydroxypropyl) carboxymethyl betaine), 올레일 디메틸-감마-카르복시프로필 베타인(oleyl dimethyl-gamma-carboxypropyl betaine), 라우릴-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 알파-카르복시에틸 베타인(lauryl bis-(2-hydroxypropyl) alpha-carboxyethyl betaine), 코코 디메틸 설포프로필 베타인(coco dimethyl sulfopropyl betaine), 스테아릴 디메틸 설포프로필 베타인(stearyl dimethyl sulfopropyl betaine), 코코아미도 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cocoamido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코코아미도 디메틸 설포프로필 베타인(cocoamido dimethyl sulfopropyl betaine), 라우릴아미도 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laurylamido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세틸아미도 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cetylamido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스테아릴아미도 디메틸 설포프로필 베타인(stearylamido dimethyl sulfopropyl beta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amphoteric surfactant may be a betaine-based amphoteric surfactant having COO- at the anion-side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the betaine-based amphoteric surfactant is cocamidopropyl betaine, coco-betaine, coco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lauryl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lauryl dimethyl-alpha-carboxyethyl betaine alpha-carboxyethyl betaine), cetyl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lauryl bis-(2-hydroxyethyl) carboxymethyl betaine (lauryl bis-(2-hydroxyethyl) carboxymethyl betaine), stearyl- Bis-(2-hydroxypropyl) carboxymethyl betaine (stearyl bis-(2-hydroxypropyl) carboxymethyl betaine), oleyl dimethyl-gamma-carboxypropyl betaine, lauryl-bis -(2-hydroxypropyl) alpha-carboxyethyl betaine (lauryl bis-(2-hydroxypropyl) alpha-carboxyethyl betaine), coco dimethyl sulfopropyl betaine, stearyl dimethyl sulfopropyl betaine ( stearyl dimethyl sulfopropyl betaine), cocoamido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cocoamido dimethyl sulfopropyl betaine, laurylamido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laurylamido dimethyl c) arboxymethyl betaine), cetylamido dimethyl carboxymethyl betaine, stearylamido dimethyl sulfopropyl betaine, or a mixture thereof.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암포아세테이트(Amphoacetate)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포아세테이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소듐 망고암포아세테이트, 소듐 쉐어버터암포아세테이트, 소듐 스위트아몬드암포아세테이트, 소듐 올리브암포아세테이트, 소듐 코코아버터암포아세테이트, 소듐 코튼씨드암포아세테이트, 소듐 아르간암포아세테이트, 디소듐 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및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The amphoteric surfactant may be an amphoacetate-based amphoteric surfactant, and more specifically, the amphoacetate-based amphoteric surfactant is, for example, sodium lauroamphoacetate, sodium cocoamphoacetate, sodium mango. Amphoteric Acetate, Sodium Shea Butter Amphoteric Acetate, Sodium Sweet Almond Amphoacetate, Sodium Olive Amphoacetate, Sodium Cocoa Butter Amphoacetate, Sodium Cottonseed Amphoacetate, Sodium Argan Amphoacetate, Disodium Lauroamphodiacetate Disodium Cocoamphoacetate and disodium cocoamphodiacetate.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 a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or a mixture thereof.

상기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정력이 우수하며 두피 또는 모발에 대한 자극이 적은 천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상기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이소류신, 류신, 리신, 페닐알라닌, 세린, 티로신 및 발린과 같은 α-아미노산의 알킬화 및 아실화에서 유도될 수 있다. 대표적인 N-아실 아미노산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N-아실화 글리신의 카르복실레이트 염(예를 들어, 소듐, 포타슘, 암모늄 및 TEA), 예를 들어 소듐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및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N-알킬화 타우린의 설포네이트 염(예를 들어, 소듐, 포타슘, 암모늄 및 TEA), 예를 들어 포타슘 코코일 타우레이트, 포타슘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듐 카프로일 메틸 타우레이트, 소듐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듐 라우로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라우로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미리스토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올레오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팔미토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스테아로일 타우레이트; N-아실화 알라닌의 카르복실레이트 염(예를 들어, 소듐, 포타슘, 암모늄 및 TEA), 예를 들어 소듐 코코일 알라니네이트 및 TEA 라우로일 알라니네이트; N-아실화 글루탐산의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염(예를 들어, 소듐, 포타슘, 암모늄 및 TEA), 예를 들어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미리스토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팔미토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디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디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포타슘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포타슘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및 포타슘 미리스토일 글루타메이트; N-아실화 사르코신의 카르복실레이트 염(예를 들어, 소듐, 포타슘, 암모늄 및 TEA), 예를 들어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코코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미리스토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올레오일 사르코시네이트 및 암모늄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를 들 수 있다.The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 is a natural anionic surfactant having excellent cleaning power and less irritation to the scalp or hair. The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 may be derived from, for example, the alkylation and acylation of α-amino acids such a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serine, tyrosine and valine. . Representative examples of N-acyl amino acid surfactants include carboxylate salts of N-acylated glycine (eg, sodium, potassium, ammonium and TEA), such as sodium cocoyl glycinate and potassium cocoyl glycine. Nate; Sulfonate salts of N-alkylated taurine (eg sodium, potassium, ammonium and TEA) such as potassium cocoyl taurate, potassium methyl cocoyl taurate, sodium caproyl methyl taurate, sodium cocoyl taurate , Sodium Lauroyl Taurate,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Sodium Methyl Lauroyl Taurate, Sodium Methyl Myristoyl Taurate, Sodium Methyl Oleoyl Taurate, Sodium Methyl Palmitoyl Taurate, Sodium Methyl Stearoyl taurate; carboxylate salts of N-acylated alanine (eg sodium, potassium, ammonium and TEA) such as sodium cocoyl alaninate and TEA lauroyl alaninate; Mono- and di-carboxylate salts of N-acylated glutamic acid (eg sodium, potassium, ammonium and TEA) such as sodium cocoyl glutamate, sodium lauroyl glutamate, sodium myristoyl glutamate, sodium palmitoyl glutamate, sodium stearoyl glutamate, disodium cocoyl glutamate, disodium stearoyl glutamate, potassium cocoyl glutamate, potassium lauroyl glutamate and potassium myristoyl glutamate; carboxylate salts of N-acylated sarcosine (eg sodium, potassium, ammonium and TEA) such as sodium lauroyl sarcosinate, sodium cocoyl sarcosinate, sodium myristoyl sarcosinate, sodium oleoyl sarcosinate and ammonium lauroyl sarcosinate.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듐 코코일 알라니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 is preferably potassium cocoyl glycinate,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sodium cocoyl alaninate, or a mixture thereof.

상기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글리콜 카르복실레이트, 아미도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AEC) 및 폴리옥시에틸렌화 카르복실산 염을 들 수 있다. 글리콜 카르복실레이트 유형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 글리콜 카르복실레이트, 2-(2-히드록시알킬옥시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알킬 글리콜 카르복실레이트는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알킬 사슬을 포함할 수 있다. 글리콜 카르복실레이트 유형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소듐 라우릴 글리콜 카르복실레이트, 및 소듐 2-(2-히드록시알킬옥시 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아미도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AEC)의 예로는 소듐 라우릴 아미도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3 EO)를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화 카르복실산 염의 예로는 옥시에틸렌화(6 EO) 소듐 라우릴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C12-14-16 65/25/10), 올리브유 기원의 폴리옥시에틸렌화 및 카르복시메틸화 지방산, 및 옥시에틸렌화(6 EO) 소듐 트리데실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소듐 라우릴 글리콜 카르복실레이트이다.Examples of the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include glycol carboxylate, amido ether carboxylate (AEC) and polyoxyethylenated carboxylic acid salts. Anionic surfactants of the glycol carboxylate type may be alkyl glycol carboxylates, 2-(2-hydroxyalkyloxyacetates or mixtures thereof. Alkyl glycol carboxylates are linear containing 8 to 18 carbon atoms or branched,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and/or aromatic alkyl chain.Examples of glycol carboxylate type anionic surfactants include sodium lauryl glycol carboxylate, and sodium 2-(2-hydroxy alkyloxy acetate).An example of amido ether carboxylate (AEC) is sodium lauryl amido ether carboxylate (3 EO).An example of polyoxyethylenated carboxylic acid salt is oxy Ethylenated (6 EO) sodium lauryl ether carboxylate (C12-14-16 65/25/10), polyoxyethylenated and carboxymethylated fatty acids of olive oil origin, and oxyethylenated (6 EO) sodium tridecyl 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preferably sodium lauryl glycol carboxylate.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nionic surfactant further includes a sulfosucci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 alpha olefin sulf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or a mixture thereof, and the composition further includes an amphoteric surfactant can d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nionic surfactant is an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s,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s, or mixtures thereof; and a sulfosucci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 alpha olefin sulf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or a mixture thereof.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설포석시네이트(sulfosuccinate)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디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yl sulfosuccin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디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ulfosuccin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disodium lauryl sulfosuccinate, or It may be a mixture thereof,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ulfosuccin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preferably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disodium lauryl sulfosuccinate, or a mixture thereof. and more preferably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석유화학 공업에서 합성한 알파 올레핀을 무수 황산으로 설폰화하면 알켄 설폰산과 설톤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이것을 알칼리로 중화하면 알켄 설폰산은 알켄 설폰산 나트륨이 되고, 설톤의 일부는 중화되면서 알칸 디설폰산 나트륨이 되고 나머지는 하이드록시 알칸 설폰산 나트륨이 된다. 그리하여 최종 생성물 중에는 알켄 설폰산 나트륨 64 ~ 72%, 하이드록시 알칸 설폰산 나트륨 21 ~ 26%, 그리고 알칸 디설폰산 나트륨 7 ~ 11%와 기타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얻어지는데, 이것이 상기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alpha-olefin sulfonate)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이다. 이중에 알칸 디설폰산 나트륨은 세정에 도움이 안되는 물질이고 알켄 설폰산 나트륨이 하이드록시 알칸 설폰산 나트륨보다 세정력이 약간 좋지만 이 두 가지 물질이 적절히 혼합되어 있는 것이 단독으로 존재할 때보다도 세정력이 좋다. 상기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는 세정 효과, 내경수성, 생분해성이 좋고 피부 자극이 적어 활성분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의 염으로, 예를 들어,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나트륨의 구조식은 (R·CH=CHCH2SO3·Na + R·CHOHCH2CH2SO3·Na)로 표기되며, R의 탄소수는 10 ~ 18이다.When the alpha olefin synthesized in the petrochemical industry is sulfonated with sulfuric anhydride, a mixture of alkene sulfonic acid and sultone is obtained. When this is neutralized with alkali, the alkene sulfonic acid becomes sodium alkene sulfonate, a part of the sultone is neutralized to become sodium alkane disulfonate, and the remainder becomes sodium hydroxy alkane sulfonate. There is thus obtained a mixture comprising in the final product 64 to 72% sodium alkene sulfonate, 21 to 26% sodium hydroxyalkane sulfonate, and 7 to 11% sodium alkane disulfonate and other by-products, which are the alpha olefin sulfonates It is an (alpha-olefin sulf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mong them, sodium alkane disulfonate is not helpful in cleaning, and sodium alkene sulfonate has a slightly better cleaning power than sodium hydroxy alkane sulfonate, but a mixture of these two substances has better cleaning power than when they exist alone. The alpha olefin sulfonate is widely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because of its good cleaning effect, hard water resistance, and biodegradability and low skin irritation. As a salt of alpha olefin sulfonate, for example, the structural formula of alpha olefin sulfonate sodium is represented by (R·CH=CHCH 2 SO 3 ·Na + R·CHOHCH 2 CH 2 SO 3 ·Na), and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R is 10 to 18.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2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2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22 중량% 이하, 21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9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ent of the sulfosuccinate-based anionic surfactant, the alpha olefin sulf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or a mixture thereof is 2 to 2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t could be More specifically, 2 wt% or more, 3 wt% or more, 4 wt% or more, 5 wt% or more, 6 wt% or more, 7 wt% or more, 8 wt% or more, 9 wt% or more, 10 wt% or more, 11 wt% or more % or more, 12 wt% or more; 22% or less, 21% or less, 20% or less, 19% or less, 18% or less, 17% or less, 16% or less, 15% or less, 14% or less, 13% or less, It may be 12 wt%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2.1 내지 4.4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 : 2 초과, 1 : 2.1 이상, 1 : 2.2 이상, 1 : 2.3 이상, 1 : 2.4 이상, 1 : 2.5 이상, 1 : 2.6 이상, 1 : 2.7 이상, 1 : 2.8 이상, 1 : 2.9 이상, 1 : 3 이상; 1 : 4.5 미만, 1 : 4.4 이하, 1 : 4.3 이하, 1 : 4.2 이하, 1 : 4.1 이하, 1 : 4 이하, 1 : 3.9 이하, 1 : 3.8 이하, 1 : 3.7 이하, 1 : 3.6 이하, 1 : 3.5 이하, 1 : 3.4 이하, 1 : 3.3 이하, 1 : 3.2 이하, 1 : 3.1 이하, 1 : 3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ent ratio of the amphoteric surfactant and the anionic surfactant may be 1: 2.1 to 4.4 by weight. More specifically, 1: 2 or more, 1: 2.1 or more, 1: 2.2 or more, 1: 2.3 or more, 1: 2.4 or more, 1: 2.5 or more, 1: 2.6 or more, 1: 2.7 or more, 1: 2.8 or more, 1: 2.9 or higher, 1:3 or higher; 1: less than 4.5, 1: 4.4 or less, 1: 4.3 or less, 1: 4.2 or less, 1: 4.1 or less, 1: 4 or less, 1: 3.9 or less, 1: 3.8 or less, 1: 3.7 or less, 1: 3.6 or less, 1: 3.5 or less, 1: 3.4 or less, 1: 3.3 or less, 1: 3.2 or less, 1: 3.1 or less, 1: 3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화에 있어서 미국화장품·향료협회(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에서 발간하는 국제 화장품 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INCI)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formulation,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INCI) published by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헤어 린스, 샴푸, 헤어 컨디셔너, 헤어 팩, 헤어 오일,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젤, 헤어 에센스, 헤어 스프레이, 헤어 세럼, 헤어 앰플,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모발에 적용 후 제형이 린싱되어짐을 의미하는 린스-오프(rinse-off) 유형 또는 워시-오프(wash-off) 유형일 수 있거나; 또는 적용 후 제형이 모발 상에 잔류함을 의미하는 리브-온(leave-on) 또는 리브-인(leave-in) 유형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position includes hair conditioner, shampoo, hair conditioner, hair pack, hair oil, hair treatment, hair cream, hair lotion, hair gel, hair essence, hair spray, hair serum, hair ampoule, makeup remover, detergent, It can be formulated as a lotion, emulsion, cream, essence, etc. The formulation may be of a rinse-off type or a wash-off type, meaning that the formulation is rinsed after application to the hair; Or it can be of the leave-on or leave-in type meaning that the formulation remains on the hair after application.

상기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pH조정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contain fatty substances, organic solvents, solubilizers, thickeners, gelling agents, emollients, antioxidants, suspending agents, stabilizers, foaming agents, fragrances, Surfactants, preservatives, pH adjusters, water, ionic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sequestering agents,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blocking agent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s, cosmetics Adjuvant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cosmetics or dermatology, such as any other ingredients commonly used, may be additionally contained as needed.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개시는 설페이트-프리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용도를 제공하며,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As another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anionic surfactant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cleaning sulfate-free hair or scalp; and a cationic polymer,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s an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개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세정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As another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anionic surfactant; And it provides a hair or scalp wash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 to an individual in need thereof,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s an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개시는 모발 또는 두피 세정에 사용하기 위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제공하며,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As another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anionic surfactant for use in washing hair or scalp; and a cationic polymer,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s an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실시예}{Example}

이하, 본 개시를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examples to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참고예 1> 실험에 사용된 성분의 명칭 및 원료명<Reference Example 1> Names of ingredients and raw materials used in the experiment

하기 표 1에 기재된 명칭의 성분을 실험에 사용하였다.The components with the names shown in Table 1 below were used in the experiment.

분류classification INCIINCI 원료명Raw material name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sulfosuccinate
negative ions
Surfactants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Miconate LES(B)Miconate LES(B)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isethionate
negative ions
Surfactants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
(Sodium Cocoyl Isethionate)
Sodium Cocoyl Isethionate
(Sodium Cocoyl Isethionate)
Jordapon SCI PowderJordapon SCI Powder
소듐 라우로일 이세치오네이트
(Sodium Lauroyl Isethionate)
Sodium Lauroyl Isethionate
(Sodium Lauroyl Isethionate)
Pureact SLI Pureact SLI
소듐 라우로일 메틸 이세치오네이트
(Sodium Lauroyl Methyl Isethionate)
Sodium Lauroyl Methyl Isethionate
(Sodium Lauroyl Methyl Isethionate)
Iselux® LQ-CLR-SBIselux® LQ-CLR-SB
소듐 이세치오네이트
(Sodium Isethionate)
Sodium Isethionate
(Sodium Isethionate)
Sigma-aldrichSigma-aldrich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amino acid
negative ions
Surfactants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Potassium Cocoyl Glycinate)
Potassium Cocoyl Glycinate
(Potassium Cocoyl Glycinate)
MIAMI PCGMIAMI PCG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Sodium Lauroyl Sarcosinate)
Sodium Lauroyl Sarcosinate
(Sodium Lauroyl Sarcosinate)
MIAMI L-30MIAMI L-30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MIAMI CMTMIAMI CMT
디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Disodium Cocoyl Glutamate)
Disodium Cocoyl Glutamate
(Disodium Cocoyl Glutamate)
Amisoft ECS-22WAmisoft ECS-22W
소듐 코코일 알라니네이트
(Sodium Cocoyl Alaninate)
Sodium Cocoyl Alaninate
(Sodium Cocoyl Alaninate)
MIAMI PCGMIAMI PCG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carboxylate
negative ions
Surfactants
소듐 라우릴 글라이콜 카르복실레이트
(Sodium Lauryl Glycol Carboxylate)
Sodium Lauryl Glycol Carboxylate
(Sodium Lauryl Glycol Carboxylate)
Beaulight SHAABeaulight SHAA
양쪽성
계면활성제
amphoteric
Surfactants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
(Lauryl Hydroxysultaine)
lauryl hydroxysultaine
(Lauryl Hydroxysultaine)
AMPHITOL 20HDAMPHITOL 20HD
양이온성 고분자cationic polymer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Guarquat L80KCGuarquat L80KC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Hydroxypropyl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Hydroxypropyl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Hydroxypropyl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ESAFLOR HCTESAFLOR HCT
폴리쿼터늄-10(Polyquarternium-10)Polyquaternium-10 UCARE JR-30MUCARE JR-30M 폴리쿼터늄-7(Polyquarternium-7)Polyquaternium-7 Merquat 550Merquat 550 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Polyquaternium-22 Merquat 295Merquat 295

<참고예 2> 조성물의 기포력 및 투명도 평가 방법<Reference Example 2> Method for evaluating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of the composition

하기 시험예에서 기포력은 제조된 세정용 샴푸 조성물 50 mL를 Dynamic Foam Analyzer(DFA100, KRUSS)의 프로펠러 기구를 이용하여, 3500 rpm의 속도로 1분 동안 거품 발생시킨 후, 발생한 기포에 대하여, 기포량(폼 볼륨, 측정단위 mL)과 기포 크기(측정단위 μm2)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폼 볼륨이 100 mL 이상일 경우 사용 시 거품이 풍성하게 난다고 느끼며, 기포 크기가 8500 μm2 이하일 경우 사용 시 조밀하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 한편, 하기 시험예에서 투명도(Turbidity)는 LED가 장착된 포토박스에서 측정하였다(측정단위 Nephelometry Turbidity Unit, NTU). 일반적으로 투명도가 7 NTU 이하일 경우 육안 상으로 투명한 제형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test example, the foaming power was obtained by foaming 50 mL of the prepared washing shampoo composition using a propeller mechanism of Dynamic Foam Analyzer (DFA100, KRUSS) for 1 minute at a speed of 3500 rpm. The amount (foam volume, measurement unit mL) and bubble size (measurement unit μm 2 ) were measured and evaluated. In general, when the foam volume is 100 mL or more, it is felt that the foam is abundant when used, and when the bubble size is 8500 μm 2 or less, it tends to feel dense when used. 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test example, transparency (Turbidity) was measured in a photobox equipped with an LED (Nephelometry Turbidity Unit, NTU). In general, when the transparency is 7 NTU or less, it can be regarded as a transparent formulation to the naked eye.

<시험예 1>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조성물의 기포력 및 투명도 평가<Test Example 1> Evaluation of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1. 재료 준비1. Material preparation

하기 표 2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상기 제조된 샴푸 조성물을 정제수로 희석시킨 1/50 희석 샴푸 조성물 50 mL를 평가에 사용하였다.A shampoo composition for washing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shown in Table 2 below (unit: wt%). 50 mL of a 1/50 diluted shampoo composition in which the prepared shampoo composition was diluted with purified water was used for evaluation.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증류수Distilled water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212 1212 1212 1212 1212 1212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00 0.50.5 1One 33 55 66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66 66 66 66 66 66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77 77 77 77 77 77 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 0.250.25 0.250.25 0.250.25 0.250.25 0.250.25 0.250.25 시트르산일수화물citric acid monohydrate 0.30.3 0.30.3 0.30.3 0.30.3 0.30.3 0.30.3

2. 기포력 및 투명도 평가 결과2.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evaluation result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측정한 기포량(폼 볼륨, 측정단위 mL)과 기포 크기(측정단위 μm2), 및 투명도(측정단위 NTU)를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The amount of bubbles (foam volume, measurement unit mL) and bubble size (measurement unit μm 2 ), and transparency (measurement unit NTU) measured fo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3 and FIG. 1 .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폼 볼륨foam volume 7474 120120 117117 109109 102102 8181 기포 크기bubble size 11,80011,800 10,55210,552 8,2338,233 7,5467,546 6,9126,912 6,7446,744 투명도transparency 33 55 44 55 55 9090

상기 표 3 및 도 1로부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를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함유하는 실시예 1, 3 및 4의 경우, 비교적 폼 볼륨이 크면서 기포 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나, 거품이 풍성하고 조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3 및 4의 경우, 기포력이 우수하면서도 투명한 제형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able 3 and FIG. 1, in the case of Examples 1, 3 and 4 containing sodium cocoyl isethionate in a preferred content range as an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the foam volume is relatively large and the cell size is small. appeared, a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foam was rich and dense.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s 1, 3 and 4, it was confirmed that a transparent formulation was formed while having excellent foaming power.

<시험예 2>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조성물의 기포력 평가<Test Example 2> Evaluation of foaming power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1. 재료 준비1. Material preparation

하기 표 4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상기 제조된 샴푸 조성물을 정제수로 희석시킨 1/50 희석 샴푸 조성물 50 mL를 평가에 사용하였다.A shampoo composition for washing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shown in Table 4 (unit: wt%). 50 mL of a 1/50 diluted shampoo composition in which the shampoo composition prepared above was diluted with purified water was used for evaluation.

구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8Example 8 증류수Distilled water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212 1212 1212 1212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33 -- -- -- 소듐 라우로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Lauroyl Isethionate -- 33 -- -- 소듐 라우로일 메틸 이세치오네이트Sodium Lauroyl Methyl Isethionate -- -- 33 -- 소듐 이세치오네이트Sodium Isethionate -- -- -- 33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66 66 66 66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77 77 77 77 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 0.250.25 0.250.25 0.250.25 0.250.25 시트르산일수화물citric acid monohydrate 0.30.3 0.30.3 0.30.3 0.30.3

2. 기포력 평가 결과2. Foam force evaluation result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측정한 기포량(폼 볼륨, 측정단위 mL)과 기포 크기(측정단위 μm2)를 표 5 및 도 2에 나타내었다.The amount of bubbles (foam volume, measurement unit mL) and bubble size (measurement unit μm 2 ) measured fo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5 and FIG. 2 .

구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8Example 8 폼 볼륨foam volume 109109 111111 122122 7676 기포 크기bubble size 7,5467,546 7,6227,622 11,12511,125 11,54211,542

상기 표 5 및 도 2로부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소듐 라우로일 이세치오네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 6의 경우, 비교적 폼 볼륨이 크면서 기포 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나, 거품이 풍성하고 조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able 5 and FIG. 2, in the case of Example 1 containing sodium cocoyl isethionate as an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d Example 6 containing sodium lauroyl isethionate, the foam volume was relatively large. It was confirmed that the bubble size was small and the bubble was rich and dense.

<시험예 3> 양이온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조성물의 기포력 및 투명도 평가<Test Example 3> Evaluation of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ationic polymer

1. 재료 준비1. Material preparation

하기 표 6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상기 제조된 샴푸 조성물을 정제수로 희석시킨 1/50 희석 샴푸 조성물 50 mL를 평가에 사용하였다.A shampoo composition for washing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shown in Table 6 below (unit: wt%). 50 mL of a 1/50 diluted shampoo composition in which the shampoo composition prepared above was diluted with purified water was used for evaluation.

구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9Example 9 실시예 10Example 10 실시예 11Example 11 실시예 12Example 12 증류수Distilled water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212 1212 1212 1212 1212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33 33 33 33 33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66 66 66 66 66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77 77 77 77 77 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 0.250.25 -- -- -- -- 폴리쿼터늄-7Polyquaternium-7 -- 0.250.25 -- -- --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 -- 0.250.25 -- --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Hydroxypropyl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 -- -- 0.250.25 --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 -- -- -- 0.250.25 시트르산일수화물citric acid monohydrate 0.30.3 0.30.3 0.30.3 0.30.3 0.30.3

2. 기포력 및 투명도 평가 결과2.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evaluation result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측정한 기포량(폼 볼륨, 측정단위 mL)과 기포 크기(측정단위 μm2), 및 투명도(측정단위 NTU)를 표 7 및 도 3에 나타내었다.The amount of bubbles (foam volume, measurement unit mL) and bubble size (measurement unit μm 2 ), and transparency (measurement unit NTU) measured fo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7 and FIG. 3 .

구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9Example 9 실시예 10Example 10 실시예 11Example 11 실시예 12Example 12 폼 볼륨foam volume 109109 7878 4949 4242 4444 기포 크기bubble size 7,5467,546 7,6567,656 6,6766,676 6,8986,898 7,0127,012 투명도transparency 55 4040 150150 200200 230230

상기 표 7 및 도 3으로부터, 양이온성 고분자로서 폴리쿼터늄-22를 함유하는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적 폼 볼륨이 크면서 기포 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나, 거품이 풍성하고 조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기포력이 우수하면서도 투명한 제형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able 7 and FIG. 3, in the case of Example 1 containing polyquaternium-22 as a cationic polymer, the foam volume was relatively large and the bubble size was small, confirming that the foam was rich and dense.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a transparent formulation was formed while having excellent foaming power.

<시험예 4> 양이온성 고분자의 함량에 따른 조성물의 기포력 평가<Test Example 4> Evaluation of the foaming power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cationic polymer

1. 재료 준비1. Material preparation

하기 표 8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상기 제조된 샴푸 조성물을 정제수로 희석시킨 1/50 희석 샴푸 조성물 50 mL를 평가에 사용하였다.A shampoo composition for washing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shown in Table 8 below (unit: wt%). 50 mL of a 1/50 diluted shampoo composition in which the prepared shampoo composition was diluted with purified water was used for evaluation.

구분division 실시예 13Example 13 실시예 14Example 14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15Example 15 실시예 16Example 16 증류수Distilled water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212 1212 1212 1212 1212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33 33 33 33 33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66 66 66 66 66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77 77 77 77 77 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 0.050.05 0.10.1 0.250.25 0.50.5 0.550.55 시트르산일수화물citric acid monohydrate 0.30.3 0.30.3 0.30.3 0.30.3 0.30.3

2. 기포력 평가 결과2. Foam force evaluation result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측정한 기포량(폼 볼륨, 측정단위 mL)과 기포 크기(측정단위 μm2)를 표 9 및 도 4에 나타내었다.The amount of bubbles (foam volume, measurement unit mL) and bubble size (measurement unit μm 2 ) measured fo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9 and FIG. 4 .

구분division 실시예 13Example 13 실시예 14Example 14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15Example 15 실시예 16Example 16 폼 볼륨foam volume 7676 100100 109109 107107 9090 기포 크기bubble size 8,7128,712 8,0028,002 7,5467,546 7,1127,112 6,5836,583

상기 표 9 및 도 4로부터, 이 양이온성 고분자로서 폴리쿼터늄-22를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함유하는 실시예 1, 14 및 15의 경우, 비교적 폼 볼륨이 크면서 기포 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나, 거품이 풍성하고 조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14 및 15의 경우, 기포력이 우수하면서도 투명한 제형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able 9 and FIG. 4, in the case of Examples 1, 14, and 15 containing polyquaternium-22 in a preferred content range as the cationic polymer, it appears that the foam volume is relatively large and the bubble size is small, It could be seen that it was rich and dense.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s 1, 14, and 15, it was confirmed that a transparent formulation was formed while having excellent foaming power.

<시험예 5>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조성물의 기포력 및 투명도 평가<Test Example 5> Evaluation of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amphoteric surfactant

1. 재료 준비1. Material preparation

하기 표 10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상기 제조된 샴푸 조성물을 정제수로 희석시킨 1/50 희석 샴푸 조성물 50 mL를 평가에 사용하였다.A shampoo composition for washing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shown in Table 10 below (unit: wt%). 50 mL of a 1/50 diluted shampoo composition in which the shampoo composition prepared above was diluted with purified water was used for evaluation.

구분division 실시예 17Example 17 실시예 18Example 18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19Example 19 실시예 20Example 20 증류수Distilled water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212 1212 1212 1212 1212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33 33 33 33 33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66 66 66 66 66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4.674.67 5.255.25 77 8.48.4 10.510.5 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 0.250.25 0.250.25 0.250.25 0.250.25 0.250.25 시트르산일수화물citric acid monohydrate 0.30.3 0.30.3 0.30.3 0.30.3 0.30.3

한편,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 및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 및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의 함량비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ratio of the amphoteric surfactant (lauryl hydroxysultaine) and the anionic surfactant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sodium cocoyl isethionate and potassium cocoyl glycinate) is shown in the table below. 11 is shown.

구분division 실시예 17Example 17 실시예 18Example 18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19Example 19 실시예 20Example 20 양쪽성 계면활성제 :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비Amphoteric surfactant: content ratio of anionic surfactant 1 : 4.51:4.5 1 : 41: 4 1 : 31: 3 1 : 2.51: 2.5 1 : 21: 2

2. 기포력 및 투명도 평가 결과2.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evaluation result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측정한 기포량(폼 볼륨, 측정단위 mL)과 기포 크기(측정단위 μm2), 및 투명도(측정단위 NTU)를 표 12 및 도 5에 나타내었다.The amount of bubbles (foam volume, measurement unit mL) and bubble size (measurement unit μm 2 ), and transparency (measurement unit NTU) measured fo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12 and FIG. 5 .

구분division 실시예 17Example 17 실시예 18Example 18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19Example 19 실시예 20Example 20 폼 볼륨foam volume 8484 101101 109109 111111 112112 기포 크기bubble size 9,2109,210 7,9987,998 7,5467,546 7,6247,624 7,3217,321 투명도transparency 33 55 55 77 110110

상기 표 12 및 도 5로부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을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함유하면서, 동시에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바람직한 함량비 범위로 함유하는 실시예 1, 18 및 19의 경우, 비교적 폼 볼륨이 크면서 기포 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나, 거품이 풍성하고 조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18 및 19의 경우, 기포력이 우수하면서도 투명한 제형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able 12 and FIG. 5, Example 1 containing lauryl hydroxysultaine in a preferred content range as the amphoteric surfactant, and at the same time, the amphoteric surfactant and the anionic surfactant in a preferred content ratio range, In the case of 18 and 19, the foam volume was relatively large and the bubble size was small, confirming that the foam was rich and dense.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s 1, 18, and 19, it was confirmed that a transparent formulation was formed while having excellent foaming power.

<시험예 6>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조성물의 기포력 및 투명도 평가<Test Example 6> Evaluation of foaming power and transparency of compositions according to types of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s and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s

1. 재료 준비1. Material preparation

하기 표 13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상기 제조된 샴푸 조성물을 정제수로 희석시킨 1/50 희석 샴푸 조성물 50 mL를 평가에 사용하였다.A shampoo composition for washing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shown in Table 13 below (unit: wt%). 50 mL of a 1/50 diluted shampoo composition in which the shampoo composition prepared above was diluted with purified water was used for evaluation.

구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1Example 21 실시예 22Example 22 실시예 23Example 23 실시예 24Example 24 실시예 25Example 25 증류수Distilled water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212 1212 1212 1212 1212 1212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33 33 33 33 33 33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66 -- -- -- -- --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Sodium Lauroyl Sarcosinate -- 66 -- -- -- --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Sodium Methyl Cocoyl Taurate -- -- 66 -- -- -- 디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Disodium Cocoyl Glutamate -- -- -- 66 -- -- 소듐 코코일 알라니네이트Sodium Cocoyl Alaninate -- -- -- -- 66 -- 소듐 라우릴 글라이콜 카르복실레이트Sodium Lauryl Glycol Carboxylate -- -- -- -- -- 66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77 77 77 77 77 77 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 0.250.25 0.250.25 0.250.25 0.250.25 0.250.25 0.250.25 시트르산일수화물citric acid monohydrate 0.30.3 0.30.3 0.30.3 0.30.3 0.30.3 0.30.3

2. 기포력 평가 결과2. Foam force evaluation result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측정한 기포량(폼 볼륨, 측정단위 mL)과 기포 크기(측정단위 μm2)를 표 14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The amount of bubbles (foam volume, measurement unit mL) and bubble size (measurement unit μm 2 ) measured fo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14 and FIG. 6 .

구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1Example 21 실시예 22Example 22 실시예 23Example 23 실시예 24Example 24 실시예 25Example 25 폼 볼륨foam volume 109109 7676 134134 7979 115115 117117 기포 크기bubble size 7,5467,546 6,9976,997 7,9647,964 7,2437,243 7,8927,892 7,3567,356

상기 표 14 및 도 6으로부터,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 1,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 22 및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소듐 코코일 알라니네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 24, 그리고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소듐 라우릴 글라이콜 카르복실레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 25의 경우, 비교적 폼 볼륨이 크면서 기포 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나, 거품이 풍성하고 조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able 14 and FIG. 6, Example 1 containing potassium cocoyl glycinate as an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 Example 22 containing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as an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 and an amino acid-based anionic interface For Example 24 containing sodium cocoyl alaninate as an active agent, and Example 25 containing sodium lauryl glycol carboxylate as a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the foam volume was relatively large and the cell size was appeared as smal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bubble was rich and dense.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Formulation examples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other various formulations are also applicable, which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to describe it in detail.

[제형예 1] 샴푸[Formulation Example 1] Shampoo

하기 표 1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샴푸를 제조하였다.A shampoo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5 below.

성분ingredient 함량(중량%)content (wt%)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212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33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66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77 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 0.250.25 시트르산일수화물citric acid monohydrate 0.30.3 방부제antiseptic 0.030.03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remaining amount 향료Spices 0.50.5

[제형예 2] 린스[Formulation Example 2] Rinse

하기 표 1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린스를 제조하였다.A rinse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6 below.

성분ingredient 함량(중량%)content (wt%)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212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33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66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77 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 0.250.25 시트르산일수화물citric acid monohydrate 0.30.3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1.01.0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4.04.0 방부제antiseptic 0.030.03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remaining amount 향료Spices 0.50.5

[제형예 3] 연고[Formulation Example 3] Ointment

하기 표 1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An ointment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7 below.

성분ingredient 함량(중량%)content (wt%)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212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33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66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77 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 0.250.25 시트르산일수화물citric acid monohydrate 0.30.3 스쿠알란squalane 1.01.0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1.51.5 밀납beeswax 4.04.0 방부제antiseptic 0.030.03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remaining amount 향료Spices 0.50.5

다양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적어도 하기 양태에 관한 것이며, 적어도 하기 양태를 포함한다.In various aspects,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d includes at least the following aspects.

[양태 1]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설페이트-프리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 [Aspect 1] Anionic surfactant; And a cationic polymer,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comprises an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sulfate-free hair or scalp cleaning composition.

[양태 2] 양태 1에 있어서,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6 내지 5.9 중량%인, 조성물. [Aspect 2] The composition of aspect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0.6 to 5.9%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양태 3] 양태 1 또는 양태 2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6 내지 0.54 중량%인, 조성물. [Aspect 3] The composition of aspect 1 or 2, wherein the content of the cationic polymer is 0.06 to 0.54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양태 4] 양태 1 내지 양태 3 중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의 함량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0.02 내지 0.18인, 조성물. [Aspect 4] The composition of any one of Aspects 1 to 3, wherein the content ratio of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d the cationic polymer is 1: 0.02 to 0.18 by weight.

[양태 5] 양태 1 내지 양태 4 중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이세치오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Aspect 5]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Aspects 1 to 4, wherein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sodium cocoyl isethionate, sodium lauroyl isethionate, or a mixture thereof.

[양태 6] 양태 1 내지 양태 5 중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폴리쿼터늄-22인, 조성물. [Aspect 6] The composition of any one of aspects 1 to 5, wherein the cationic polymer is polyquaternium-22.

[양태 7] 양태 1 내지 양태 6 중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인, 조성물. [Aspect 7]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Aspects 1 to 6, wherein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 amphoteric surfactant, wherein the content of the amphoteric surfactant is 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양태 8] 양태 7에 있어서,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1.6 내지 3.3인, 조성물. [Aspect 8] The composition of aspect 7, wherein the content ratio of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d the amphoteric surfactant is 1:1.6 to 3.3 by weight.

[양태 9] 양태 7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설테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암포아세테이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조성물. [Aspect 9] The composition of aspect 7, wherein the amphoteric surfacta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ultaine-based amphoteric surfactant, a betaine-based amphoteric surfactant, and an amphoteric amphoteric surfactant.

[양태 10] 양태 7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인, 조성물. [Aspect 10] The composition of aspect 7, wherein the amphoteric surfactant is lauryl hydroxysultaine.

[양태 11] 양태 1 내지 양태 10 중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Aspect 11] The anionic surfactant according to any one of aspects 1 to 10,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is an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 a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a sulfosucci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d an alpha olefin sulfonate-based anion A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anionic surfacta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rfactants.

[양태 12] 양태 11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듐 코코일 알라니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Aspect 12] The composition of aspect 11, wherein the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 is potassium cocoyl glycinate,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sodium cocoyl alaninate, or a mixture thereof.

[양태 13] 양태 11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글리콜 카르복실레이트인, 조성물. [Aspect 13] The composition of aspect 11, wherein the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sodium lauryl glycol carboxylate.

[양태 14] 양태 11에 있어서, 상기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디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Aspect 14] The composition of aspect 11, wherein the sulfosuccin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disodium lauryl sulfosuccinate, or a mixture thereof.

[양태 15] 양태 11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Aspect 15] The composition of aspect 11,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comprises an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 a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d a sulfosuccinate-based anionic surfactant.

[양태 16] 양태 15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2.1 내지 4.4인, 설페이트-프리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 [Aspect 16] The sulfate-free hair according to aspect 15, wherein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 amphoteric surfactant, and the content ratio of the amphoteric surfactant and the anionic surfactant is 1: 2.1 to 4.4 by weight. Or a composition for cleaning the scalp.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이 포함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설페이트-프리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
anionic surfactants; and
It contains a cationic polymer,
The anionic surfactant comprises an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sulfate-free hair or scalp cleaning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6 내지 5.9 중량%인,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of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0.6 to 5.9%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6 내지 0.54 중량%인,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of the cationic polymer is 0.06 to 0.54%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com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의 함량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0.02 내지 0.18인, 조성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ratio of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d the cationic polymer is 1: 0.02 to 0.18 by weight, th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이세치오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sodium cocoyl isethionate, sodium lauroyl isethionate, or a mixture thereof, th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폴리쿼터늄-22인,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ationic polymer is polyquaternium-22, th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인,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 amphoteric surfactant, wherein the content of the amphoteric surfactant is 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세치오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1.6 내지 3.3인, 조성물.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ent ratio of the isethion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d the amphoteric surfactant is 1: 1.6 to 3.3 by weight, the compos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설테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암포아세테이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조성물.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mphoteric surfacta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ultaine-based amphoteric surfactant, a betaine-based amphoteric surfactant, and an amphoteric surfactant, the compos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인, 조성물.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mphoteric surfactant is lauryl hydroxysulf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anionic surfactan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anionic surfacta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s,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s, sulfosuccinate-based anionic surfactants, and alpha olefin sulfonate-based anionic surfactants which, composi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듐 코코일 알라니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 is potassium cocoyl glycinate,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sodium cocoyl alaninate, or a mixture thereof, the composi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글리콜 카르복실레이트인,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sodium lauryl glycol carboxylate, the composi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디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lfosuccinate-based anionic surfactant is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disodium lauryl sulfosuccinate, or a mixture thereof.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설포석시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ionic surfactant comprises an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 a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and a sulfosuccinate-based anionic surfactan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2.1 내지 4.4인, 설페이트-프리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 amphoteric surfactant, wherein the content ratio of the amphoteric surfactant and the anionic surfactant is 1: 2.1 to 4.4 by weight, sulfate-free hair or scalp cleaning composition.
KR1020200174135A 2020-12-14 2020-12-14 Sulfate-Free 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Cleansing Scalp Comprising Bead KR20220084553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135A KR20220084553A (en) 2020-12-14 2020-12-14 Sulfate-Free 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Cleansing Scalp Comprising Bead
TW110145651A TW202231263A (en) 2020-12-14 2021-12-07 Sulfate-free hair washer or scalp cleanser
CN202111530002.8A CN114617790A (en) 2020-12-14 2021-12-08 Sulfate-free hair or scalp clea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135A KR20220084553A (en) 2020-12-14 2020-12-14 Sulfate-Free 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Cleansing Scalp Comprising Be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553A true KR20220084553A (en) 2022-06-21

Family

ID=8189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135A KR20220084553A (en) 2020-12-14 2020-12-14 Sulfate-Free 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Cleansing Scalp Comprising Bea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84553A (en)
CN (1) CN114617790A (en)
TW (1) TW20223126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211A (en) 2005-02-21 2006-08-24 씨제이라이온 주식회사 Low irritant liquid cleanser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211A (en) 2005-02-21 2006-08-24 씨제이라이온 주식회사 Low irritant liquid cleanser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17790A (en) 2022-06-14
TW202231263A (en)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5497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Zwitterionic Alkyl-Alkanoylamides and/or Alkyl Alkanoates
EP2612653B1 (en) Composition for cleaning scalp and head hair
PT9920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ERSONAL CLEANING COMPOSITIONS COMPOSING ANIONIC AND ANFOTERIC TENSIOACTIVE AGENTS AND A VEGETABLE OIL ADUCT
ES2212480T3 (en) ANTI-SPORTS TRANSPARENT SHAMPS.
CA3009144C (en)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taurine, arginine, glycine
US20200276099A1 (en) Plant-based cosmetic compositions
JP7471780B2 (en) Skin cleansing spray
EP3063137B1 (en) Detergent compositions
CN1244788A (en) Method for removing make-up from skin
KR102430622B1 (en) Low irritant detergent composition
RU2657805C1 (en) Composition for washing and lavation of babies
KR20220084553A (en) Sulfate-Free 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Cleansing Scalp Comprising Bead
KR20020011976A (en) Skin cleaning method for eliminating comedones and scales from parts of the skin subjected to the proliferation of candida albicans
JPH083585A (en) Detergent composition
US9526684B2 (en) Isotropic, flowable, skin pH aqueous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N-acyl glycinates as primary surfactants
RU2331405C2 (en) Cosmetic composition &#34;love secrets&#34; for washing hair and/or skin
JP2020007303A (en) Skin cleanser composition
US20230398046A1 (en) Structured surfactant blend and sulfate-free aqueous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prepared thereof
JP5872425B2 (en) Hair cleanser
Singh Sulfate free solutions for personal care applications
RU2224500C1 (en) Preparation and method for hair washing and hair conditioning
CN115887316A (en) Mild liquid glycine surfactant crystalline facial cleans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H07258689A (en) Liquid cleaning agent composition
WO2019113813A1 (en) A hair cleansing composition
KR20160056770A (en)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mild surfact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