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192A - 롤러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192A
KR20220083192A KR1020200173185A KR20200173185A KR20220083192A KR 20220083192 A KR20220083192 A KR 20220083192A KR 1020200173185 A KR1020200173185 A KR 1020200173185A KR 20200173185 A KR20200173185 A KR 20200173185A KR 20220083192 A KR20220083192 A KR 20220083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craper
connecting member
postur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7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3192A/ko
Publication of KR2022008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08B1/005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8Rollers for roller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롤러 클리닝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는 강판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레이퍼;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롤러 표면에 착탈시키는 착탈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 클리닝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강판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 표면으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롤러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강판은 출하되기 전에 다양한 표면처리 공정을 거치게 된다.
가전제품이나 자동차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강판의 내식성 및 외관의 미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표면에 아연이나 마그네슘 등의 금속을 도금처리 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다.
한편, 강판은 표면처리시 공정의 효율을 고려하여 롤러에 의해 이송이 안내되는 주행 상태에서 표면처리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는 강판의 표면처리 과정에서 롤러가 오염될 우려가 커지게 된다.
오염된 롤러는 이송하는 강판의 표면으로 이물이 전사되도록 함으로써, 표면처리 된 강판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강판 도금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PVD))에 채용되는 롤러의 경우, 그 표면은 쉽게 오염되는 반면, 오염된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작업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물리적 기상 증착법은 증착하고자 하는 박막과 같은 재료를 진공 중에서 증발시켜 이송하는 강판에 증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강판에 증착되도록 활발하게 유동하는 증기 형태의 금속재료는 강판 표면은 물론 강판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 표면에도 쉽게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금 공정에서는 공정 설비의 가동을 중단하고 진공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오염된 롤러 표면의 이물을 제거해야 하고, 롤러의 이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다시 공정 설비를 재가동하면서 공정의 분위기를 진공 상태를 전환시켜야 하므로, 롤러의 이물 제거 작업으로 인해 공정 효율이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진공 상태의 환경에서 강판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 표면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롤러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회전 상태에 있는 롤러 표면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롤러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는 강판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레이퍼;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롤러 표면에 착탈시키는 착탈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이 결합하도록 상기 롤러와 평행하게 마련되고,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스크류축; 상기 스크류축과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축; 상기 스크류축과 가이드축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블록은 상기 롤러의 양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블록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스크레이퍼가 연결되고,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에 착탈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자세 전환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부재;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에 착탈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자세를 전환시키는 자세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기 롤러 쪽으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시소운동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연결부재 일측에 결합하는 제1스크레이퍼; 상기 연결부재 타측에 결합하는 제2스크레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전환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자세가, 상기 제1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에 접하고, 상기 제2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 일측이 눌려지도록 하는 제1자세; 상기 제1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에 접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이 눌려지도록 하는 제2자세; 상기 제1스크레이퍼와 제2스크레이퍼가 함께 롤러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제3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를 취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자세를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마련되는 날;을 포함하여 상기 날을 통해 상기 롤러 표면에 착탈하고, 상기 날은,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롤러 표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구비하고; 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롤러의 축에 대해 대개 경사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롤러 표면과 예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롤러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롤러 표면을 연마하는 지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석은 상기 스크레이퍼와 함께 상기 연결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자세전환부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의 자세에 따라 상기 롤러 표면에 착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강판은 물리적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PVD))에 의해 표면이 도금되는 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물리적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PVD))에 의해 진공 분위기에서 표면이 도금되고 있는 상기 강판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롤러 클리닝 장치에 따르면, 진공 상태의 환경에서 강판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 표면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일 실시 예에 의한 롤러 클리닝 장치에 따르면, 회전 상태에 있는 롤러 표면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가 롤러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연결부재의 자세가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가 강판의 도금설비에 채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의 일 변형 예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참고로 도 1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10)가 롤러(2)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10)의 요부 구조의 측단면도와 평단면도가 각각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강판(1)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2)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롤러(2)는 강판(1) 표면을 강판(1)의 이송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표면처리 공정에서 강판(1)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롤러(2)는 롤러 축(2a)과, 롤러 축(2a) 둘레에 마련되는 롤러 몸체(2b)를 구비하여 롤러 축(2a)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베어링 블록(2c)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롤러(2)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를 포함하고, 구동롤러일 경우 일측의 베어링 블록에(2c)는 롤러 축(2a)을 회전시키는 구동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스크레이퍼(20)와, 스크레이퍼(20)를 롤러(2)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더(30)와, 스크레이퍼(20)를 롤러(2) 표면에 착탈시키는 착탈유닛(40)를 포함하여 강판(1)의 이송 경로를 회피하는 롤러(2)의 일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착탈유닛(40)에 의해 롤러(2) 표면에 접한 상태의 스크레이퍼(20)가 슬라이더(30)에 의해 롤러(2)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회전하는 롤러(2) 표면으로부터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레이퍼(20)는 슬라이더(30)에 의한 주행력과 회전하는 롤러(2)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상태에 있는 롤러(2) 표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롤러(2)의 클리닝이 필요치 않을 경우, 스크레이퍼(20)는 착탈유닛(40)에 의해 롤러(2) 표면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롤러(2)의 회전동작에 간섭될 우려가 없게 된다.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슬라이더(30)를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스크류축(50)과, 슬라이더(30)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축(60)과, 스크류축(50)과 가이드축(6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70)을 구비하여 롤러(2)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스크류축(50)과 가이드축(60)은 각각 롤러(2)와 평행하도록 한 쌍의 지지블록(70)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축(50)은 지지블록(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한 쪽 지지블록(70)에는 스크류축(50)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기(80)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구동기(80)는 모터(81)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롤러(2)의 회전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이 각각 스크류축(50)과 가이드축(60)에 결합하도록 스크류축(50)과 가이드축(60)에 함께 결합할 수 있다.
슬라이더(30)에는 롤러(2)의 회전방향 양측으로 스크류축(50) 및 가이드축(60)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31,32)이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더(30) 일측은 스크류축(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축(50)을 타고 양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홀(31)을 통해 스크류축(50)과 나사방식으로 결합하고, 슬라이더(30)의 타측은 결합홀(32)을 통해 가이드축(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축(60)은 스크류축(50)에 의해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더(30)의 회전을 방지하여 슬라이더(30)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동작이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한 쌍의 지지블록(70)을 한 쌍의 베어링 블록(2c)에 결합시킴에 따라 롤러(2)에 인접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30)는 회전구동기(8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축(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축(50)을 타고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할 수 있다.
착탈유닛(40)은 슬라이더(30)에 자세전환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크레이퍼(20)가 연결되는 연결부재(41)와, 연결부재(41)의 자세를 전환시키는 자세전환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1)는 롤러(2)를 향하는 슬라이더(30)의 내측에 자세전환 가능하게 결합하고, 스크레이퍼(20)는 연결부재(41)에 연결된 상태에서 자세전환부(42)에 의해 전환되는 연결부재(41)의 자세에 따라 롤러(2) 표면에 접하거나 롤러(2) 표면으로부터 이격 될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스크류축(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축(50)을 타고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고, 연결부재(41)는 롤러(2)의 축방향을 따라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롤러(2) 쪽으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시소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30) 내측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41)와 슬라이더(30) 중 어느 한 쪽의 중앙에는 바 형태의 돌기(41a)가 돌출하고, 다른 한 쪽의 중앙에는 돌기(41a)의 돌출방향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홈(33)이 마련될 수 있다.
돌기(41a)와 홈(33)은 연결부재(41)와 슬라이더(30) 사이의 중앙에서 시소운동하는 연결부재(41)의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전환부(42)는 연결부재(41)의 회전중심 양측을 롤러(2) 표면으로 가압하는 가압구동기(4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구동기(43)는 실린더몸체(43a)와, 피스톤로드(43b)를 포함하는 실린더(44,45)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44,45)는 실린더몸체(43a)가 슬라이더(30)에 결합하고, 실린더몸체(43a)로부터 연장되는 피스톤로드(43b)의 단부가 연결부재(41)에 결합함에 따라 연결부재(42)를 자세전환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더(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실린더(44,45)는 연결부재(41)의 회전중심 일측을 가압하는 제1실린더(44)와, 연결부재(41)의 회전중심 타측을 가압하는 제2실린더(4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20)는 연결부재(41) 일측에 결합하는 제1스크레이퍼(21)와, 연결부재(41) 타측에 결합하는 제2스크레이퍼(22)를 포함하여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스크레이퍼(21)와 제2스크레이퍼(22)는 서로 별도로 마련되어 연결부재(41)에 각각 결합하거나, 상호 한 몸을 이룬 상태에서 연결부재(41)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20)는 연결부재(41)에 결합하는 몸체(20a)와, 몸체(20a)의 끝단에 마련되는 날(20b)을 구비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20)는 실질적으로 날(20b)을 통해 롤러(2) 표면에 접한 상태에서 롤러(2) 표면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20)에 있어서 적어도 날(20b)은 롤러(2)의 회전방향으로 롤러(2) 표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구비하도록 곡률지게 마련되어 롤러(2) 표면과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20)는 그 가공성을 고려하여 몸체(20a)와 날(20b) 전체가 롤러(2)의 회전방향으로 롤러(2) 표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구비하도록 곡률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 스크레이퍼(20)의 날(20b)은 이물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롤러(2)의 길이방향으로 롤러 축(2a)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고, 롤러(2) 표면과 예각을 이룬 상태에서 롤러(2)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44,45)는 연결부재(41)의 자세를 제1스크레이퍼(21)가 롤러(2) 표면에 접하고 제2스크레이퍼(22)가 롤러(2)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실린더(44)에 의해 연결부재(41) 일측이 눌려지도록 하는 제1자세와, 제1스크레이퍼(21)가 롤러(2)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스크레이퍼(22)가 롤러(2) 표면에 접하도록 제2실린더(45)에 의해 연결부재(41)의 타측이 눌려지도록 하는 제2자세와, 제1스크레이퍼(21)와 제2스크레이퍼(22)가 함께 롤러(2)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제3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를 취하도록 연결부재(41)의 자세를 전환시킬 수 있다.
실린더(44,45)와 모터(81)의 구동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고, 롤러(2) 일측에는 롤러(2) 표면의 이물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90)가 마련될 수 있다.
롤러(2) 표면에 이물이 감지될 경우 감지부(90)는 그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부(미도시)는 실린더(44,45)와 모터(81)를 구동시켜 롤러 클리닝 장치(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롤러(2) 표면에 이물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1)가 제3자세를 유지하고 슬라이더(30)가 정지하도록 실린더(44,45)와 모터(81)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스크레이퍼(20)가 롤러(2)의 회전동작에 간섭되지 않게 롤러(2)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는 감지부(90)로부터 롤러(2) 표면의 이물감지 신호를 수신할 경우, 슬라이더(30)가 양 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슬라이딩 하도록 모터(8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크레이퍼(21)와 제2스크레이퍼(22) 중 슬라이더(30)의 주행방향 쪽의 스크레이퍼(20)가 롤러(2) 표면에 접하도록 실린더(44,45)의 구동을 제어하여 연결부재(41)의 자세가 제1자세와 제2자세로 번갈아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롤러(2) 표면의 이물이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말끔히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미도시)는 롤러 클리닝 장치(10)가 일정 시간을 주기로 동작하도록 실린더(44,45)와 모터(81)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때 감지부(90)는 생략이 가능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물리적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PVD))에 의한 강판(1)의 도금공정과 같이, 진공 분위기에서 강판(1)의 표면이 연속적으로 처리되는 공정에 채용될 경우 해당 공정의 효율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는 물리적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PVD))을 이용하여 강판(1)을 도금하기 위한 도금설비(3)의 코팅존의 일부 구조가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설비(3)는 일측으로 강판(1)이 이송되는 진공챔버(4)와, 진공챔버(4)에 마련되는 도가니(5)를 구비할 수 있다.
강판(1)은 일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복수의 롤러(2)에 의해 이송이 안내되는 과정에서 전처리 구간을 경유하여 코팅존을 통과할 수 있다.
도가니(5)는 내부로 공급되는 도금매질을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가열하여 용탕을 형성하고, 용탕을 통해 발생하는 도금 증기는 도가니(5) 상부로 배출되어 이송되는 강판(1)의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강판(1)으로 제공된 금속 증기는 기체 상태가 고체 상태로 변하는 물리적 변화를 통해 강판(1)에 물리적 기상 증착되어 강판(1)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가니(5)를 통해 발생하는 금속 증기의 일부는 롤러(2) 쪽으로도 안내되어 롤러(2)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 장치(10)를 상기 롤러(2)에 적용할 경우, 전술한 방식으로 롤러 클리닝 장치(10)를 동작시켜 롤러(2) 표면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이때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스크레이퍼(20)를 롤러(2) 표면으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롤러(2)의 축방향으로 주행시킴으로써, 회전 상태에 있는 롤러(2) 표면의 이물이 스크레이퍼(20)에 의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판(1)의 도금 공정에서는 강판(1)의 이송을 중단하거나 진공챔버(4)의 진공 상태를 해제시키지 않고서도 롤러(2) 표면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롤러(2)의 이물 제거 작업으로 인해 도금 공정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변형 예에서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롤러(2) 표면을 연마하는 지석(1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석(100)은 스크레이퍼(20)와 함께 연결부재(41)에 마련되고, 자세전환부(42)에 의해 전환되는 연결부재(41)의 자세에 따라 롤러(2) 표면에 착탈될 수 있다.
지석(100)은 제1스크레이퍼(21) 쪽으로 연결부재(41)의 회전중심 일측에 배치되어 연결부재(41)의 제1자세에서 제1스크레이퍼(21)와 함께 롤러(1) 표면에 접촉하는 제1지석(100a)과, 제2스크레이퍼(22) 쪽으로 연결부재(41)의 회전중심 타측에 배치되어 연결부재(41)의 제2자세에서 제2스크레이퍼(22)와 함께 롤러(2) 표면에 접촉하는 제2지석(100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롤러(2) 표면의 이물을 긁어내어 제거함은 물론, 이물이 제거된 롤러(2) 표면을 지석(100)을 이용하여 즉각적으로 연마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변형 예에서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롤러(2) 표면으로터 제거되는 이물을 받아 내기 위한 이물수집부재(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 클리닝 장치(10)는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롤러(2) 표면으로부터 제거되는 이물이 롤러(2)에 의해 이송하는 강판(1) 표면으로 부착될 우려 없이 이물수집부재(110)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물수집부재(110)는 슬라이더(30) 하부에 결합하는 고정부(111)와, 이물을 수집하도록 고정부(111)로부터 연장되는 수집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집부(112)는 그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는 이물을 내부에 수집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마련되고, 롤러(2)의 회전 동작에 간섭될 우려가 없도록 롤러(2)와 스크레이퍼(20) 사이의 저부로 위치될 수 있다.
1: 강판 2: 롤러
10: 롤러 클리닝 장치 20: 스크레이퍼
30: 슬라이더 40: 착탈유닛
41: 연결부재 42: 자세전환부
50: 스크류축 60: 가이드축
70: 지지블록 80: 회전구동기

Claims (7)

  1. 강판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롤러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스크레이퍼;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롤러 표면에 착탈시키는 착탈유닛;를 포함하는 롤러 클리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이 결합하도록 상기 롤러와 평행하게 마련되고,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스크류축;
    상기 스크류축과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축;
    상기 스크류축과 가이드축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블록은 상기 롤러의 양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블록에 각각 결합하는 롤러 클리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스크레이퍼가 연결되고,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에 착탈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자세 전환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부재;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에 착탈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자세를 전환시키는 자세전환부;를 포함하는 롤러 클리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기 롤러 쪽으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시소운동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연결부재 일측에 결합하는 제1스크레이퍼;
    상기 연결부재 타측에 결합하는 제2스크레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전환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자세가,
    상기 제1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에 접하고, 상기 제2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 일측이 눌려지도록 하는 제1자세;
    상기 제1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스크레이퍼가 상기 롤러 표면에 접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이 눌려지도록 하는 제2자세;
    상기 제1스크레이퍼와 제2스크레이퍼가 함께 롤러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제3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를 취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자세를 전환시키는 롤러 클리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마련되는 날;을 포함하여 상기 날을 통해 상기 롤러 표면에 착탈하고,
    상기 날은,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롤러 표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롤러의 축에 대해 대개 경사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롤러 표면과 예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롤러와 접촉하는; 롤러 클리닝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표면을 연마하는 지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석은 상기 스크레이퍼와 함께 상기 연결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자세전환부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의 자세에 따라 상기 롤러 표면에 착탈되도록 마련되는 롤러 클리닝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물리적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PVD))에 의해 표면이 도금되는 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물리적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PVD))에 의해 진공 분위기에서 표면이 도금되고 있는 상기 강판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클리닝 장치.
KR1020200173185A 2020-12-11 2020-12-11 롤러 클리닝 장치 KR20220083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185A KR20220083192A (ko) 2020-12-11 2020-12-11 롤러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185A KR20220083192A (ko) 2020-12-11 2020-12-11 롤러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192A true KR20220083192A (ko) 2022-06-20

Family

ID=8225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185A KR20220083192A (ko) 2020-12-11 2020-12-11 롤러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31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27442A (zh) * 2023-09-25 2023-11-10 沧州晟实伟业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移动式调节钢模板安装高度的辅助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27442A (zh) * 2023-09-25 2023-11-10 沧州晟实伟业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移动式调节钢模板安装高度的辅助装置
CN117027442B (zh) * 2023-09-25 2024-03-26 沧州晟实伟业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移动式调节钢模板安装高度的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3192A (ko) 롤러 클리닝 장치
FI77725C (fi) Anordning foer utbyte av aotminstone en vals i en kalander.
RU2615382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толщины слоя фильтру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дискового фильтра
US8667927B2 (en) Apparatus for coating a cylinder, in particular a wiping cylinder of an intaglio printing press
JP2008260628A (ja) 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
KR102521828B1 (ko) 롤러 부재의 청소 장치 및 청소 방법
JP6667641B2 (ja) メッキ装置およびメッキ方法
CN108883440A (zh) 用于胶分配设备的具有自动清洁系统的传送机
US61420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web substrate
JPH07267420A (ja) シート搬送ロールの掃除装置
JP2001065545A (ja) ロール表面の清掃装置
EP1110638A2 (en) Device for mechanically cleaning wire rod for drawn metal wires
CN211760305U (zh) 一种全自动内孔磨床
GB2044133A (en) Cleaning a coating roll
KR20190002445A (ko) 밴드 마감 장치
KR19980043349U (ko) 이송강판표면의 이물제거용 유동브러쉬롤
KR200193006Y1 (ko) 이동식 집진후드를 갖춘 여과집진장치
US20050178404A1 (en) Edge cleaner device for coating process
EP1441037B1 (en) Spreader machine for tannery hides
SE527090C2 (sv) Rengörings- och beläggningsapparat för rengöring av rörlig yta
JP2660847B2 (ja) 堆積汚れ除去用機器
KR20230090508A (ko) 롤 클리닝 장치
EP2039463B1 (en) Automatic grinding wheel adjusting system, especially for glass grinding machines
JP3754187B2 (ja) 摺動ドクター装置
KR200257475Y1 (ko) 자력을 이용한 미세 금속 칩의 분리 수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