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857A - 두위 동요 측정장치, 두위 동요 측정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 - Google Patents

두위 동요 측정장치, 두위 동요 측정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857A
KR20220082857A KR1020227015078A KR20227015078A KR20220082857A KR 20220082857 A KR20220082857 A KR 20220082857A KR 1020227015078 A KR1020227015078 A KR 1020227015078A KR 20227015078 A KR20227015078 A KR 20227015078A KR 20220082857 A KR20220082857 A KR 20220082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value
head displacement
subject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후지오카
카오리 카세다
요시하루 야마노베
카오루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filed Critical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Publication of KR2022008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61B5/1114Tracking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1Detecting trem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4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induced by stimuli or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5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o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23Evaluating sense of bal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3Measuring or inducing nystag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두위 동요 측정장치(D)는 눈의 개폐를 지시하는 터치 패널(1a)과, 두위 변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2a)와, 두위 변위에 기초하여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는 동요 인식부(1b)를 가진다. 가속도 센서(2a)는 개안 상태에서의 측정값인 제1 측정값을 측정한 후, 폐안 상태에서의 측정값인 제2 측정값을 측정한다. 동요 인식부(1b)는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두위 동요값을 인식한다.

Description

두위 동요 측정장치, 두위 동요 측정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
본 발명은 피험자의 두위 동요의 변동량을 나타내는 두위 동요값을 측정하는 두위 동요 측정장치 및 두위 동요 측정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기 자신 또는 주위의 것이 실제로는 움직이고 있지 않은데 그것들이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것처럼 느끼는 것을 현기증 발작이라고 부른다(이하, 단지 "현기증"이라고 한다). 현기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삼반규관 등의 내이기관의 이상에 의한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현기증을 발생시키는 질병의 진단에는 내이기관의 상태나 신체(특히 두위)의 동요를 측정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그렇기 때문에, 그 동요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진단 시에 참조하는 진단 보조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개2017-121512호 공보
그런데 현기증을 발생시키는 질병 중에서, 예를 들어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의 일부에서는 내이기관의 이상(내이장해) 상태가 불규칙하게 변동된다. 그러나 그 빈도, 그 이상에 기초한 청력 임계값의 변화의 변동폭, 증악기간 등에는 불명한 점이 많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단 보조방법 등에 채용되고 있는 측정장치에서는, 불규칙하게 변동되는 내이장해의 병태를 정밀도 좋게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현기증의 병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정밀도 좋게 취득 가능한 두위 동요 측정장치 및 두위 동요 측정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험자의 두위 동요의 변동량을 나타내는 값인 두위 동요값을 측정하는 두위 동요 측정장치이며,
상기 피험자에게 눈의 개폐를 지시하는 개폐 지시부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두위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와,
측정된 상기 두위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는 동요 인식부를 가지고,
상기 변위 측정부는 상기 개폐 지시부가 개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두위 변위의 측정값인 제1 측정값, 및 상기 개폐 지시부가 폐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두위 변위의 측정값인 제2 측정값 중 한쪽을 측정한 후,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른 쪽을 측정하고,
상기 동요 인식부는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1 측정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두위 동요 측정장치에서는, 개폐 지시부를 통해서 피험자에게 눈의 개폐를 지시함과 동시에, 개안 또는 폐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두위 변위의 측정값인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을 측정하고, 그들 측정값에 기초하여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고 있다.
이 때,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의 측정은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즉, 설계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행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의 측정은 눈의 개폐 상태를 제외하고, 필연적으로 동일한 자세로 행해진다.
그리고 이 두위 동요 측정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두위 동요값은 그와 같이 하여 측정된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것이므로, 종래의 측정장치로 얻어지는 값에 비해서 정확한 값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위 동요 측정장치로 얻어진 두위 동요값을 참조함으로써 현기증의 병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종래보다 정밀도 좋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개폐 지시부는 상기 피험자에 대한 눈의 개폐에 대한 지시를 나타내는 지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두위 동요의 측정을 행할 때에는 피험자는 어떠한 대상물을 보고 있는 상태가 아니면 주위의 대상물(예를 들어, 방에 있는 시계 등)을 보려고 하거나, 또는 아무것도 보지 않으려고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시선이 방황하게 되고, 피험자에게 신체 편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이와 같이 지시 화상을 통해서 눈의 개폐를 피험자에게 지시하도록 하면, 피험자에게 자연스럽게 그 지시 화상을 주시시키고, 피험자의 시선을 고정하여(나아가 자세를 안정시켜서) 피험자의 신체 편위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두위 동요값, 나아가 현기증의 병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정밀도 좋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시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인 경우,
상기 지시 화상은 소정의 도형 화상과, 상기 도형 화상의 배경이 되는 배경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도형 화상의 상기 배경 화상과의 경계 부분은 상기 도형 화상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서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이 서서히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위 동요 측정에 있어서, 피험자가 주시하는 도형 화상의 경계선이 명확한 것이면, 그 경계선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아서 시자극에 의한 동요 억제기능이 과도하게 발휘되어, 현기증에 의한 동요가 억제될 우려가 있다.
이에, 이와 같이 그 경계 부분을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하면, 그와 같은 동요 억제기능의 과도한 발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두위 동요값, 나아가 현기증의 병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정밀도 좋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시 화상이 도형 화상과 배경화상을 포함하는 구성인 경우,
상기 도형 화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화상이며,
상기 도형 화상의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의 값은 둘레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중심 측을 향해서 높아지고, 중앙 부분에서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원형"은 원 뿐만이 아니라, 타원과 같은 대략 원형도 포함한다. 또한 "다각형"은 각 변이 직선형인 것 외에, 각 변이 외주 측을 향해 만곡되어 있는 것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형 화상은 둘레 가장자리부분 및 중앙부분이 희미한 화상(즉, 환형으로 보이는 화상)이 된다. 이에 의해, 피험자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도형 화상의 중심부로 유도되므로, 시선을 확실하게 고정하여 불필요한 신체 편위를 효율 좋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은
상기 피험자의 청력 임계값을 측정하는 청력 측정장치, 상기 피험자의 안진데이터를 측정하는 안진 측정장치, 및 상기 피험자에 대한 현기증에 관한 문진결과를 인식하는 문진결과 인식부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어느 하나의 두위 동요 측정장치와,
상기 두위 동요 측정장치에 의한 두위 동요값의 측정 시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측정된 상기 청력 임계값, 상기 안진 데이터, 및 상기 문진결과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두위 동요값을 관련지어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기증의 병태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로서는, 두위 동요값 외에, 안진 데이터도 이용된다. 또한 현기증은 내이기관의 이상(내이장해)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현기증의 병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청력 임계값을 대비하여 검토함으로써 내이장해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실제의 현기증에 의한 영향은 피험자가 느끼는 방식에 따라서도 다르므로, 피험자에 대한 문진을 병용함으로써 그 일상생활에서의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에, 두위 동요 측정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두위 동요값과 함께, 청력 임계값, 안진 데이터, 또는 현기증에 관한 문진결과를 일련의 데이터로서 관련지어서 저장하도록 하면, 그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현기증의 병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정밀도 좋게 파악하거나, 내이장해의 병태를 정밀도 좋게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두위 동요 측정장치는 운반 가능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두위 동요 측정장치를 피험자의 자택 등에도 설치할 수 있다. 즉, 종래에 피험자가 내원했을 때에만 행해졌던 검사를 피험자의 자택 등에서 일상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험자에 관한 상세한 병태의 변화를 일상적으로(즉, 계속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치험에서의 치료 효과 등도 정밀도 좋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험자의 두위 동요의 변동량을 나타내는 값인 두위 동요값을 측정하는 두위 동요 측정방법이며,
상기 피험자에게 눈의 개폐를 지시하는 개폐 지시부가, 상기 피험자에 대해서 개안 및 폐안 중 한쪽을 지시한 후,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른 쪽을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두위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가, 상기 개폐 지시부가 개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두위 변위의 측정값인 제1 측정값, 및 상기 개폐 지시부가 폐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두위 변위의 측정값인 제2 측정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상기 두위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는 동요 인식부가,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1 측정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측정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정 시스템의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정 시스템에 의해 취득된 두위 변위의 시계열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측정 시스템이 피험자에게 개안을 지시하는 화상의 일례이다.
도 5는 도 1의 측정 시스템이 피험자에게 폐안을 지시하는 화상의 일례이다.
도 6은 도 1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두위 동요값을 측정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측정 시스템(S)(생체정보 취득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스템의 개략 구성]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측정 시스템(S)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측정 시스템(S)은 태블릿(1)과, 두위 동요 측정기(2)와, 오디오미터(3)(청력 측정장치)와, 프렌젤 안경(4)(안진 측정장치)과, 서버(5)를 구비하고 있다.
두위 동요 측정기(2), 오디오미터(3) 및 프렌젤 안경(4) 각각은 태블릿(1)과 근거리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상호 정보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태블릿(1)과 서버(5)는 인터넷 망, 공중회선 등을 통해서 상호 정보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위 동요 측정기(2) 및 프렌젤 안경(4)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오디오미터(3)는 운반 가능한 경량의 디바이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측정 시스템(S)을 구성하는 기기 중 서버(5) 이외의 기기는 운반 가능한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험자(T)의 자택 등에도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측정 시스템(S)에 의하면, 종래에 피험자(T)가 내원했을 때에만 행해졌던 검사를 피험자(T)의 자택 등에서 일상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험자(T)에 관한 상세한 병태의 변화를 일상적으로(즉, 계속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치험에서의 치료 효과 등도 정밀도 좋게 파악할 수 있다.
태블릿(1)은 터치 패널(1a)(개폐 지시부, 화상 표시부), 스피커(도시하지 않음), 마이크(도시하지 않음) 등의 입력부 및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태블릿(1)은 두위 동요 측정기(2)와 협동하여 두위 동요 측정장치(D)를 구성하고 있다(도 2 참조).
두위 동요 측정기(2)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다. 두위 동요 측정기(2)는 프레임의 내부에 피험자(T)의 두위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2a)(변위 측정부)가 내장되어 있다(도 2 참조). 가속도 센서(2a)로 측정된 피험자(T)의 두위 변위는 태블릿(1)에 송신된다.
또한 측정 시스템(S)에서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두위 동요 측정기(2)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2a)를 변위 측정부로서 이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변위 측정부는 그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험자의 두위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어 촬영 화상에 의해 변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변위 측정부로서, 측정을 행하는 방에 설치된 카메라, 측정에 사용되는 태블릿 등에 탑재된 카메라 등의 촬영기기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가속도 센서에 대신에 GPS 등의 다른 센서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탑재하고, 변위 측정부로서 그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 시스템(S)에서는, 두위 동요 측정장치(D)는 태블릿(1)과 두위 동요 측정기(2)가 협동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두위 동요 측정장치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태블릿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두위 동요를 측정할 수 있다면, 독립된 두위 동요 측정기를 생략하고, 태블릿만으로 두위 동요 측정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오디오미터(3)는 운반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오디오미터(3)는 피험자(T)가 장착하는 헤드폰과, 헤드폰과 접속되어 있는 본체부와, 소리가 들리고 있는지 여부를 피험자(T)가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가지고 있다.
프렌젤 안경(4)은 고글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프렌젤 안경(4)은 측정한 안구의 동영상을 안진 데이터로서 인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진 측정장치는 프렌젤 안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험자의 안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어 프렌젤 안경 대신에, 이른바 전기 안진계를 이용하여 안진 데이터를 측정해도 된다. 또한 프렌젤 안경 대신에, 태블릿에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를 안진 측정장치로 하고, 그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진 데이터를 측정해도 된다.
서버(5)에는 태블릿(1)을 통해서 두위 동요 측정장치(D)에 의해 측정된 피험자(T)의 두위 동요의 변동량을 나타내는 값인 두위 동요 측정값, 오디오미터(3)로 생성된 오디오그램, 프렌젤 안경(4)으로 측정된 안진 데이터, 및 태블릿(1)을 통해서 표시된 문진에 대한 피험자(T)의 회답내용(문진결과)이 서로 관련지어져서 송신된다. 서버(5)에는 그들 데이터가 일시마다 나누어져서 저장된다.
또한 측정 시스템(S)에서는 1개의 서버(5)에 대해서 두위 동요 측정장치(D), 오디오미터(3), 및 프렌젤 안경(4)과 같은 측정장치를 1개씩만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의 서버에 대해서 복수의 측정장치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두위 동요값, 청력 임계값, 안진 데이터, 및 문진결과에 관해서 다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 데이터로 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시스템(S)에서는 각 처리부를 두위 동요 측정기(2), 오디오미터(3), 프렌젤 안경(4), 및 서버(5)에 분산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각 처리부를 마련하는 기기는 적절히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청력 측정 및 안진에 대한 동영상의 촬영을 태블릿 등의 휴대단말로 행하는 경우에는, 청력 인식부 및 안진 측정부는 그 휴대단말에 마련하면 된다.
[처리부의 구성]
다음에, 도 2~도 5를 참조하여, 측정 시스템(S)이 구비하고 있는 처리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정 시스템(S)은 태블릿(1)에 실장된 하드웨어 구성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처리부)으로서, 동요 인식부(1b)와 문진결과 인식부(1c)를 구비하고 있다.
동요 인식부(1b)는 터치 패널(1a)를 통해서 피험자(T)에 대해서 눈의 개폐에 대한 지시를 나타내는 지시 화상(6)을 표시한다(도 4, 도 5 참조).
또한 동요 인식부(1b)는 두위 동요 측정기(2)의 가속도 센서(2a)에 기초하여 얻어진 측정값(즉, 피험자(T)의 두위 변위의 측정값)을 시계열에 따라 인식한다. 그리고 동요 인식부(1b)는 그 측정값에 기초하여 두위 동요 측정값을 인식함과 동시에 서버(5)에 송신한다.
또한 측정 시스템(S)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값으로서, 태블릿(1)이 개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두위 변위인 측정값인 제1 측정값, 및 태블릿(1)이 폐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두위 변위의 측정값인 제2 측정값을 채용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 측정값을 시계열에 따라서 플롯 하면,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데이터가 얻어진다.
여기서, 두위 동요값로서는, 예를 들어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롬버그 비율 등을 들 수 있다. 측정 시스템(S)에서는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 각각에 관해서, 측정 시간 내에서의 두위 변위의 궤적의 총 궤적길이 또는 변위의 궤적으로부터 구해지는 면적을 이용하여 롬버그 비율을 산출하고, 그 롬버그 비율을 두위 동요 측정값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두위 동요값은 롬버그 비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측정값, 및 그 제1 측정값에 대응하는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얻어진 값이면 된다. 예를 들어,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 각각에 대해서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한 시간의 차이의 값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기에 앞서서,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 각각에 대해서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정의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그들 측정값을 보정하도록 해도 된다.
문진결과 인식부(1c)는 복약 확인, 부작용 조사, 자각 증상 등의 생활 문진표로서 문진해야 하는 사항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문진결과 인식부(1c)는 터치 패널(1a)를 통해서 피험자(T)에 대해서 생활 문진표를 회답 가능한 형식으로 제시한다(도 1 참조). 그리고 피험자(T)로부터의 회답이 있었던 경우에는, 문진결과 인식부(1c)는 그 문진결과를 인식함과 동시에 서버(5)에 송신한다.
또한 문진에 대한 회답의 입력방법은 터치 패널(1a)에 대한 입력 외에, 태블릿(1)에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에 의한 음성 입력이어도 된다.
또한 측정 시스템(S)은 오디오미터(3)의 본체부에 실장된 하드웨어 구성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처리부)으로서 청력 인식부(3a)를 구비하고 있다.
청력 인식부(3a)는 헤드폰을 통해서 발하는 음(순음)의 주파수를 제어함과 동시에, 측정된 청력 임계값에 기초하여 오디오그램을 생성하고, 태블릿(1)을 통해서 그 오디오그램을 서버(5)에 송신한다.
또한 측정 시스템(S)은 프렌젤 안경(4)의 본체부에 실장된 하드웨어 구성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처리부)으로서 안진 측정부(4a)를 구비하고 있다.
안진 측정부(4a)는 프렌젤 안경(4)으로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를 안진 데이터로서 인식함과 동시에, 태블릿(1)을 통해서 그 안진 데이터를 서버(5)에 송신한다.
또한 서버(5)는 실장된 하드웨어 구성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처리부)으로서 데이터 저장부(5a)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저장부(5a)는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 내에 인식되어, 태블릿(1)으로부터 송신된 두위 동요값, 오디오그램, 안진 데이터, 및 문진결과를 서로 관련지어서 저장한다.
[지시 화상의 상세]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 시스템(S)에서는 터치 패널(1a)를 통해서 피험자(T)에 대해서 눈의 개폐에 대한 지시를 나타내는 지시 화상(6)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지시 화상(6)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일반적으로 두위 동요의 측정을 행할 때에는, 피험자는 어떠한 대상물을 보고 있는 상태가 아니면 주위의 대상물(예를 들어, 방에 있는 시계 등)을 보려고 하거나, 또는 아무것도 보지 않으려고 하게 된다. 그 결과, 시선이 방황하게 되어, 피험자에게 신체 편위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측정 시스템(S)은 태블릿(1)의 터치 패널(1a)에 지시 화상(6)을 표시하고, 그 지시 화상(6)을 통해서 눈의 개폐를 피험자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측정 시스템(S)에서는 피험자(T)에게 자연스럽게 그 지시 화상(6)을 주시시키고, 피험자(T)의 시선을 고정하여(나아가 자세를 안정시켜서) 피험자(T)의 신체 편위의 억제를 도모하고 있다.
측정 시스템(S)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1a)에 표시하는 지시 화상(6)은 지시 내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문장인 지시문(6a)과, 피험자(T)의 주시 대상이 되는 지표(6b)(도형 화상)와, 지표(6b)의 배경이 되는 배경 화상(6c)으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때마다 피험자(T)에게 지시하는 내용에 따라서 지시문(6a)은 문장의 내용이 변화되고, 지표(6b) 및 배경 화상(6c)은 표시 및 비표시가 완전히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지시문(6a)의 하방에 지표(6b) 및 배경 화상(6c)이 배치된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지만, 그 레이아웃은 측정 시에 권장되는 피험자(T)의 자세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여기서, 지표(6b)의 경계선이 명확한 것이면, 그 경계선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아서, 시자극에 의한 피험자(T)의 동요 억제기능이 과도하게 발휘되어, 현기증에 의한 동요가 억제될 우려가 있다.
이에, 측정 시스템(S)에서는, 지표(6b)의 배경 화상(6c)과의 경계 부분은 지표(6b)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서 채도가 서서히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 경계 부분을 애매하게 하여, 경계선으로부터의 자극에 의해 피험자(T)의 동요 억제기능이 과도하게 발휘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형 화상의 경계 부분은 반드시 채도만을 서서히 변화시켜서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명도, 또는 명도 및 채도를 서서히 변화시켜서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형 화상은 경계 부분을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피험자가 유아이기 때문에, 동요 억제기능이 과도하게 발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보다도 시선을 고정하는 것을 우선시 해야 하는 경우 등에는 윤곽이 뚜렷한 캐릭터의 화상을 도형 화상으로서 채용해도 된다.
또한 지표(6b)는 원형 화상이며, 지표(6b)의 채도의 값은 둘레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중심 측을 향해서 높아지고, 중앙 부분에서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지는 도형으로 되어 있다. 즉, 지표(6b)는 둘레 가장자리부분 뿐만이 아니라, 중앙 부분이 희미한 도형의 화상(즉, 환형으로 보이는 화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표(6b)의 배경인 배경 화상(6c)의 색은 백색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험자(T)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지표(6b)의 중심부로 유도되고,또한 배경 화상(6c)으로는 유도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결과, 피험자(T)의 시점을 확실하게 고정하여, 신체 편위를 효율 좋게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형 화상의 형상이 원형이 아니라 다각형인 경우에도, 명도 및 채도의 적어도 하나가 둘레 가장자리부분에서 중심 측에 가까워질수록 높아지고, 중앙부분에서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여기서, "원형"은 원 뿐만이 아니라, 타원과 같은 대략 원형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다각형"은 각 변이 직선형인 것 외에, 각 변이 외주 측을 향해서 만곡되어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경 화상이 백색일 필요는 없으며, 배경 화상에 맞추어서 표시되는 도형 화상의 색, 측정하는 장소의 밝기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형 화상은 중앙부분의 명도 또는 채도의 값을 배경 화상의 명도 또는 채도의 값과는 다른 것으로 하여, 지표(6b)와 같이 중앙부가 연한 색을 띤 화상으로 해도 되고, 도형 화상의 중앙부분의 명도 또는 채도의 값을 배경 화상의 명도 또는 채도의 값과 동일해질 때까지 변화시켜서 실제로 환형의 화상으로 해도 된다.
그런데 지표(6b)가 너무 작으면, 주시하는 것으로 인한 신체 편위의 억제를 충분히 발휘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지표(6b)가 너무 크면, 화상으로부터 받는 위압감에 의해 피험자의 자세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측정 시스템(S)에서는, 지표(6b)의 직경은 2.5cm 이상, 또한 10cm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값은 현기증 학회지(2000년 59권 6호 p.568-573)에 게재된 "중심 동요 검사에서의 시표의 영향에 대한 검토"에서의 기재를 참조하여 결정된 값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피험자(T)와 태블릿(1)의 터치 패널(1a)(즉, 지표(6b)) 사이의 거리가 1m 정도인 경우에(즉, 일반적인 팔의 길이이며, 지시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기기를 손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에) 적절히 그 신체 편위의 억제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피험자(T)에게 부여하는 위압감을 완화시켜서 자세의 불안정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형 화상의 크기는 이와 같은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측정 시의 피험자에게 권장하는 자세, 도형 화상을 표시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예를 들어, 안경 상의 디바이스로 렌즈에 도형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등)에 따라서 도형 화상의 크기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실행되는 처리]
다음에, 도 1, 도 2, 도 4~도 6을 참조하여 피험자(T)의 두위 동요값을 측정할 때에 측정 시스템(S)이 실행하는 처리(즉, 두위 동요 측정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는, 우선 태블릿(1)의 동요 인식부(1b)가, 태블릿(1)의 터치 패널(1a)에 개안을 지시하는 지시 화상(6)을 표시한다(도 6/STEP01).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요 인식부(1b)는 터치 패널(1a)에 "눈을 떠서 녹색 점을 봐 주십시오."라는 지시문(6a), 지표(6b) 및 배경 화상(6c)를 포함하는 지시 화상(6)을 표시한다.
다음에, 동요 인식부(1b)는 두위 동요 측정기(2)의 가속도 센서(2a)에 의해 측정된 피험자(T)의 두위 변위의 측정값의 취득을 개시한다(도 6/STEP02).
다음에, 동요 인식부(1b)는 두위 변위의 측정값의 취득을 개시하고 나서 40초가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6/STEP03).
40초가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TEP03에서 NO의 경우), 동요 인식부(1b)는 두위 변위의 측정값의 취득을 계속함과 동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다시 STEP03에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40초가 경과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TEP03에서 YES의 경우), 동요 인식부(1b)는 두위 변위의 측정값의 취득을 정지함과 동시에, 개안을 지시하는 지시 화상(6)을 표시하고 나서 취득한 측정값을 제1 측정값(개안 상태에서의 측정값)으로서 인식한다(도 6/STEP04).
다음에, 동요 인식부(1b)는 터치 패널(1a)에 폐안을 지시하는 화상을 표시한다(도 6/STEP05).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요 인식부(1b)는 터치 패널(1a)에 지표(6b) 및 배경 화상(6c)를 비표시로 하고, "눈을 감아 주세요."라는 지시문(6a)만 지시 화상(6)으로서 표시한다.
다음에, 동요 인식부(1b)는 폐안을 지시하는 화상을 표시하고 나서 6초가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6/STEP06).
이 6초의 기간은 피험자(T)가 눈을 뜨고 있는 상태로부터 눈을 감고 있는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대기시간인 상태 천이기간이다. 이 상태 천이기간은 피험자(T)의 신체 특성(예를 들어 연령 등), 측정 자세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6초가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TEP06에서 NO의 경우), 소정의 제어 주기로 다시 STEP06에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6초가 경과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TEP06에서 YES의 경우), 동요 인식부(1b)는 두위 동요 측정기(2)의 가속도 센서(2a)에 의해 측정된 피험자(T)의 두위 변위의 측정값의 취득을 개시한다(도 6/STEP07).
다음에, 동요 인식부(1b)는 두위 변위의 측정값의 취득을 개시하고 나서 40초가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6/STEP08).
40초가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TEP08에서 NO의 경우), 동요 인식부(1b)는 두위 변위의 측정값의 취득을 계속함과 동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다시 STEP08에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40초가 경과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TEP06에서 YES의 경우), 동요 인식부(1b)는 두위 변위의 측정값의 취득을 정지함과 동시에, 폐안을 지시하는 지시 화상(6)을 표시한 후에 6초가 경과되고 나서 취득한 측정값을 제2 측정값(폐안상태에서의 측정값)으로서 인식한다(도 6/STEP09).
여기까지의 처리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피험자(T)의 두위 변위에 관한 데이터가 취득된다.
다음에, 동요 인식부(1b)는 인식한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두위 동요값을 인식한다(도 6/STEP10).
구체적으로는, 동요 인식부(1b)에서는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시스템 설계자가 설정한 값(예를 들어, 롬버그 비율)이 산출되고, 그 값이 두위 동요값으로서 인식된다.
다음에, 동요 인식부(1b)는 인식한 두위 동요값을 서버(5)에 송신하고(도 6/STEP11),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측정 시스템(S)에서는 상기 순서에 의한 두위 동요값의 인식과 함께, 청력 임계값의 측정, 안진 데이터의 측정, 및 문진을 두위 동요값의 측정 시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기 전(즉, 소정의 측정기간(예를 들어 10분~15분) 이내)에 행하고, 그들 데이터를 서로 관련지어서 서버(5)의 데이터 저장부(5a)에 저장한다. 그들의 측정 순서 및 측정 기간은 측정에 이용하는 장치의 종류, 측정하는 생체정보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 시스템(S)이 구비하는 두위 동요 측정장치(D)에서는, 태블릿(1)의 터치 패널(1a)를 통해서 피험자(T)에게 눈의 개폐를 지시함과 동시에, 그것에 연동되는 형태로 개안 또는 폐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두위 변위의 측정값인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을 측정하고, 그들 측정값에 기초하여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고 있다.
이 때,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의 측정은 소정의 시간(즉, 설계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행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의 측정은 눈의 개폐 상태를 제외하고, 필연적으로 동일한 자세로 행해진다.
그리고 이 두위 동요 측정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두위 동요값은 그와 같이 하여 측정된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것이므로, 종래의 측정장치로 얻어지는 값에 비해서 정확한 값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위 동요 측정장치(D)로 얻어진 두위 동요값을 참조함으로써 현기증의 병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종래보다 정밀도 좋게 취득할 수 있다.
그런데 현기증의 병태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로서는, 두위 동요값 외에 안진 데이터도 이용된다. 또한 현기증은 내이기관의 이상(내이장해)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현기증의 병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청력 임계값을 대비하여 검토함으로써 내이장해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실제의 현기증에 의한 영향은 피험자(T)가 느끼는 방식에 따라서도 다르므로, 피험자(T)에 대한 문진을 병용함으로써 그 일상생활에서의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에, 측정 시스템(S)은 전술한 바와 같이, 두위 동요값 뿐만 아니라, 청력 임계값, 안진 데이터, 및 현기증에 관한 문진결과를 일련의 데이터로서 관련지어서 서버(5)의 데이터 저장부(5a)에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현기증의 병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정밀도 좋게 파악할 뿐만 아니라, 내이장해의 병태도 정밀도 좋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으로 도시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측정 시스템(S)은 피험자(T)의 두위 동요값에 더하여, 청력 임계값, 안진 데이터, 및 현기증에 관한 문진결과를 일련의 데이터로서 관련지은 것으로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이 측정 시스템(S)이 현기증에 더하여, 난청이라고 하는 내이기관의 이상을 정밀도 좋게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은 그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위 동요 측정장치에 더하여, 청력 측정장치, 안진 측정장치, 및 문진결과 인식부 중 적어도 1개와, 그들 데이터를 관련지어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이면 된다. 또한 두위 동요 측정장치를 단체로 이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지시부로서 태블릿(1)의 터치 패널(1a)을 채용하고, 그 터치 패널(1a)에 지시 화상(6)을 표시함으로써 피험자(T)의 눈의 개폐를 지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폐 지시부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험자에게 눈의 개폐를 지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어, 태블릿에 탑재되어 있는 스피커의 음성을 이용하여, 또는 음성과 화상을 병용하여 개폐 지시를 구성하고, 피험자의 눈의 개폐의 지시를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두위 동요 측정장치(D)에서는 터치 패널(1a)을 통해서 개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피험자(T)의 두위 변위의 측정값을 제1 측정값으로 하고, 터치 패널(1a)을 통해서 폐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피험자(T)의 두위 변위의 측정값을 제2 측정값으로 하고 있다. 게다가, 두위 동요 측정장치(D)에서는 제1 측정값을 40초간 측정한 후, 6초의 상태 천이기간을 두고 제2 측정값을 40초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두위 동요 측정장치는 그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 중 한쪽을 측정한 후,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른 쪽을 측정하는 것이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1 측정값의 측정기간, 제2 측정값의 측정기간, 상태 천이기간은 피험자의 상태, 측정장치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해도 된다. 또한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 중 한쪽을 측정한 후에, 상태 천이기간을 두지 않고 다른 쪽을 측정해도 된다.
또한 폐안상태에서 측정하는 제2 측정값을 측정한 후에 개안 상태에서 측정하는 제1 측정값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피험자에 대한 개안의 지시는 태블릿의 스피커 등으로부터 발하는 음성에 의해 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변위 측정부인 가속도 센서(2a)에서의 측정값을 동요 인식부(1b)가 적절히 취득하여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개안 또는 폐안을 지시하고 있는 기간에만 변위 측정부가 측정을 행해도 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험자(T)가 개안하고 있는 상태에서 40초간 제1 측정값을 측정한 후, 상태 천이기간인 6초가 경과된 후에 피험자(T)가 폐안하고 있는 상태에서 40초간 제2 측정값을 측정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측정값을 측정하고 있는 기간 및 상태 천이기간에 있어서, 태블릿(1)의 터치 패널(1a)에 지시 화상(6)을 표시하고 있다. 이것은 지시 화상(6)을 통해서 눈의 개폐를 피험자(T)에게 지시하도록 함으로써 피험자(T)에게 자연스럽게 그 지시 화상(6)을 주시시키고, 피험자(T)의 시선을 고정하여(나아가 자세를 안정시켜) 피험자(T)의 신체 편위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하여, 측정 시스템(S)에서는, 지시 화상(6)에 포함되는 지표(6b) 및 배경 화상(6c)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를 가함으로써 정밀도 좋게 측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지시 화상에 의한 효과는 반드시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 중 한쪽을 측정한 후,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른 쪽을 측정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측정값을 독립적으로 측정하는 경우(즉, 단지 개안 상태에서 측정하는 경우)에도 그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1 : 태블릿 1a : 터치 패널(개폐 지시부, 화상 표시부)
1b : 동요 인식부 1c : 문진결과 인식부
2 : 두위 동요 측정기 2a : 가속도 센서(변위 측정부)
3 : 오디오미터(청력 측정장치) 3a : 청력 인식부
4 : 프렌젤 안경(안진 측정장치) 4a : 안진 측정부
5 : 서버 5a : 데이터 저장부
6 : 지시 화상 6a : 지시문
6b : 지표(도형 화상) 6c : 배경 화상
D : 두위 동요 측정장치 S : 측정 시스템(생체정보 취득 시스템)
T : 피험자

Claims (7)

  1. 피험자의 두위 동요의 변동량을 나타내는 값인 두위 동요값을 측정하는 두위 동요 측정장치이며,
    상기 피험자에게 눈의 개폐를 지시하는 개폐 지시부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두위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와,
    측정된 상기 두위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는 동요 인식부를 가지고,
    상기 변위 측정부는 상기 개폐 지시부가 개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두위 변위의 측정값인 제1 측정값, 및 상기 개폐 지시부가 폐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두위 변위의 측정값인 제2 측정값 중 한쪽을 측정한 후,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른 쪽을 측정하고,
    상기 동요 인식부는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1 측정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위 동요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지시부는 상기 피험자에 대한 눈의 개폐에 대한 지시를 나타내는 지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위 동요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화상은 소정의 도형 화상과, 상기 도형 화상의 배경이 되는 배경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도형 화상의 상기 배경 화상과의 경계 부분은 상기 도형 화상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서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이 서서히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위 동요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 화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화상이며,
    상기 도형 화상의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의 값은 둘레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중심 측을 향해서 높아지고, 중앙부분에서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위 동요 측정장치.
  5. 상기 피험자의 청력 임계값을 측정하는 청력 측정장치, 상기 피험자의 안진 데이터를 측정하는 안진측정장치, 및 상기 피험자에 대한 현기증에 관한 문진결과를 인식하는 문진결과 인식부 중 적어도 1개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두위 동요 측정장치와,
    상기 두위 동요 측정장치에 의한 두위 동요값의 측정 시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측정된 상기 청력 임계값, 상기 안진 데이터, 및 상기 문진결과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두위 동요값을 관련지어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위 동요 측정장치는 운반 가능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
  7. 피험자의 두위 동요의 변동량을 나타내는 값인 두위 동요값을 측정하는 두위 동요 측정방법이며,
    상기 피험자에게 눈의 개폐를 지시하는 개폐 지시부가 상기 피험자에 대해서 개안 및 폐안 중 한쪽을 지시한 후,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른 쪽을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두위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가, 상기 개폐 지시부가 개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두위 변위의 측정값인 제1 측정값, 및 상기 개폐 지시부가 폐안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두위 변위의 측정값인 제2 측정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상기 두위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는 동요 인식부가,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1 측정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두위 동요값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위 동요 측정방법.
KR1020227015078A 2019-10-24 2020-10-23 두위 동요 측정장치, 두위 동요 측정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 KR202200828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93335 2019-10-24
JP2019193335 2019-10-24
PCT/JP2020/039838 WO2021079970A1 (ja) 2019-10-24 2020-10-23 頭位動揺測定装置、頭位動揺測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生体情報取得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857A true KR20220082857A (ko) 2022-06-17

Family

ID=7562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078A KR20220082857A (ko) 2019-10-24 2020-10-23 두위 동요 측정장치, 두위 동요 측정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09096A1 (ko)
EP (1) EP4029455A4 (ko)
JP (1) JPWO2021079970A1 (ko)
KR (1) KR20220082857A (ko)
CN (1) CN114585304A (ko)
WO (1) WO20210799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1512A (ja) 2017-03-02 2017-07-13 公立大学法人奈良県立医科大学 めまい患者のめまいの病因の診断補助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0912B2 (ja) * 1995-02-21 1998-09-21 アニマ株式会社 重心動揺計
JP2760483B2 (ja) * 1995-09-11 1998-05-28 アニマ株式会社 重心動揺計
JP4471588B2 (ja) * 2003-05-22 2010-06-02 有限会社ジーエムアンドエム 平衡感覚機能診断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装置
US20060251334A1 (en) * 2003-05-22 2006-11-09 Toshihiko Oba Balance functio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US11273344B2 (en) * 2007-09-01 2022-03-15 Engineering Acoustics Incorporated Multimodal sensory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and assessment of disequilibrium, balance and motion disorders
US10258259B1 (en) * 2008-08-29 2019-04-16 Gary Zets Multimodal sensory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and assessment of disequilibrium, balance and motion disorders
JP4651720B2 (ja) * 2009-03-12 2011-03-16 尚治 北島 眼振記録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眼振検査システム
JP6569148B2 (ja) * 2015-05-22 2019-09-04 国立大学法人横浜国立大学 指標値算出装置、指標値算出システム、指標値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53532B2 (ja) * 2017-03-13 2021-03-31 国立大学法人横浜国立大学 指標値算出装置、指標値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1512A (ja) 2017-03-02 2017-07-13 公立大学法人奈良県立医科大学 めまい患者のめまいの病因の診断補助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9455A1 (en) 2022-07-20
US20220409096A1 (en) 2022-12-29
JPWO2021079970A1 (ko) 2021-04-29
EP4029455A4 (en) 2023-10-25
CN114585304A (zh) 2022-06-03
WO2021079970A1 (ja)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19386B (zh) 显示系统和方法
JP2022502221A (ja) 眼球検査及び測定を行う方法、装置並びにシステム
CN109285602B (zh) 用于自我检查用户眼睛的主模块、系统和方法
US11311188B2 (en) Visual and mental testing using virtual reality hardware
WO2020175759A1 (ko) 생체 신호 센서 탑재 hmd 기기를 활용한 사용자의 스트레스 분석 및 개인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8187287A (ja) 感性推定装置、感性推定システム、感性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519195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使用した視覚検査
US9888847B2 (en) Ophthalmic examination system
US20170290505A1 (en) Visual field measuring device and system
US20240164635A1 (en) Ophthalmic instrument,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device
KR102295587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US20240115831A1 (en) Enhanced meditation experience based on bio-feedback
KR20180123458A (ko) 생체신호 기반의 환자 맞춤형 중독치료 시스템 및 방법
KR10203026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진 측정 장치
KR20220082857A (ko) 두위 동요 측정장치, 두위 동요 측정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생체정보 취득 시스템
US20240164672A1 (en) Stress detection
Janky et al. Unilateral centrifugation: utricular assessment and protocol comparison
EP4161387B1 (en) Sound-based attentive state assessment
JP7162360B2 (ja) 視覚系診査装置
US20210121059A1 (en) Ophthalmic instrume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n ophthalmic instrument
KR102682493B1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헬스케어 자가진단 시스템
US20230404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s
EP4262520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visual performance
US20230259203A1 (en) Eye-gaze based biofeedback
KR102189783B1 (ko) 이석증의 질병예측정보 표시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