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587B1 -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587B1
KR102295587B1 KR1020190005151A KR20190005151A KR102295587B1 KR 102295587 B1 KR102295587 B1 KR 102295587B1 KR 1020190005151 A KR1020190005151 A KR 1020190005151A KR 20190005151 A KR20190005151 A KR 20190005151A KR 102295587 B1 KR102295587 B1 KR 10229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 field
target
field test
virtual reality
exa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630A (ko
Inventor
전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에스
Priority to KR102019000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587B1/ko
Priority to US17/273,667 priority patent/US20210315453A1/en
Priority to PCT/KR2019/009158 priority patent/WO2020050497A1/ko
Publication of KR2020008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4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determining the visual field, e.g. perimeter ty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으로서, 배경 이미지와 주시점 이미지를 포함하는 배경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배경 화면 상에 시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시표 출력에 따른 피검사자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REALITY-BASED VISUAL FIELD INSPECTION}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영상에 따른 피검사자의 안구 변화를 감지하여 시야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개인적, 환경적 및 습관에 따라 근시(Nearsightedness), 원시(Farsightedness), 난시(Astigmatism) 등과 같은 이상시력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빈번하다. 사람의 안과질환은 시력이상 증상뿐만 아니라 동공이상, 안구 움직임 이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안과질환이 의심되면 의사나 안경사가 안과검사를 진행하고, 안과질환으로 판단될 경우 이에 대응되는 치료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시력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안경사가 수정체를 향해 광을 조사한 후, 그 반사된 광을 통해 굴절률 정도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시력검사를 진행하고, 안경을 통해 시력을 교정할 수 있게 한다.
사람마다 다양한 안과질환 증세를 보이기 때문에 안과검사에는 시야검사, 사시각검사, 외안근검사, 입체시검사 또는 링카스터검사 등과 같은 다양한 검사가 있다.
시야란 사람이 각각의 눈으로 일정한 목표물을 주시하며 동시에 볼 수 있는 외계의 한계를 시각으로 표시한 것을 말 한다. 그리고 시야검사는, 피검사자가 어느 한 점(이하, 주시점)을 응시하였을 때 눈을 움직이지 않은 채로 볼 수 있는 외계의 범위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람은 시선이 고정된 상태에서 중심시야 범위, 주변 시야의 범위 및 빛 감도역치(sensitivity threshold) 등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시야 측정의 목적은 시력의 범위의 한계가 정상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 또는 국소적으로 얼마나 변화하였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시야검사는 중추신경계 질환뿐만 아니라 안과적인 녹내장, 망막 및 시신경질환의 진단과 경과관찰에 중요한 검사이다.
그러나 종래 안과질환 검사방법은 공통적으로 검사자(의사 또는 안경사)가 고가의 검안장비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안과질환자)의 눈 상태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수작업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검사자에 따라 피검사자의 검사결과가 객관적이지 못하며, 시간소요가 오래 걸리고 검사자의 인건비로 인해 과다한 검사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안과질환 중 시력검사를 하는 검안장비는 종래 시력 도표를 이용한 방식에서 개선된 것이 사실이지만, 검안장비를 통해 획득한 피검사자의 검사정보를 다시 검사자가 분석한 후, 안과질환의 종류를 결정하기 때문에 피검사자의 검사정보를 토대로 안과질환 신속하게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검안장비로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검사하는 경우에는 피검사자가 검안장비에 마련된 고정 위치에서 검사가 완료될 때까지 움직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 위치가 검사장비에 의존하기 때문에 경직된 상태에서 안과질환을 검사하는 등 피검사자의 검사 환경이 좋지 않았다.
특히, 시야검사의 경우에는, 피검사자가 지속적으로 시선을 주시점에 고정한 상태에서 여러 시야점에 서로 다른 밝기의 광을 많은 횟수로 깜빡이며 출력하면서 피검사자가 이에 반응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시야검사 도중 피검사자가 집중력을 잃고 주시점에 시선을 유지하지 못하여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피검사자의 피로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KR 10-2018-0083069 A
본 발명은, 기존 검안장비를 통한 시야검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VR을 이용한 디지털 방식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자세히, 본 발명은, 시야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야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일괄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디지털 방식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검안장비를 통해 시야검사를 수행할 경우에 비효율적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피검사자의 시야검사 과정에 관련된 정보와 시야검사 진행에 따른 검사자용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검사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야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검안장비가 필요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장치로 여러 안과검사가 가능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식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시야검사 과정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최신 기술로 손쉽게 업데이트된 시야검사를 진행하기 위하여,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과정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를 통해 처리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으로서, 배경 이미지와 주시점 이미지를 포함하는 배경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배경 화면 상에 시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시표 출력에 따른 피검사자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배경 이미지와 주시점 이미지를 포함하는 배경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부의 좌안 영역 측에 상기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의 우안 영역 측에 상기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검사자의 반응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검사자의 반응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 상에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밝기로 반응속도 측정용 시표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반응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속도, 상기 시표의 출력위치, 시표의 출력시점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시점을 기초로 시야검사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경 화면 상에 시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에 시표를 출력할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에 시표의 밝기를 제어하며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에 시표의 밝기를 제어하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표의 출력시점부터 시표의 밝기를 일정하고 연속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에 시표의 밝기를 제어하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표를 나타내는 픽셀의 투명도를 제어하여 상기 시표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경 화면 상에 시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표의 밝기가 증가하는 도중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시표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배경 화면에서 다음 시표를 출력할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은, 안과검사용 콘솔장치에서 시야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안과검사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입력하는 안과검사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안과검사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시야검사가 선택되면, 상기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시야검사에 대한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도록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 따른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야검사에 대한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시야검사 진행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야검사 진행정보는, 피검사자의 개인정보,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 상기 검사 데이터, 상기 검사 데이터에 따른 분석값, 실시간 시야검사 결과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은,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2차원으로 변환한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 데이터에 따른 분석값을 기반으로 시야검사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야검사에 대한 가상현실 영상에 매칭된 상기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시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데이터에 기초한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상기 시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식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피검사자의 시야검사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일괄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디지털 방식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시야검사에 필요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피검사자의 시야검사를 정규화된 자동 검사 형태로 진행할 수 있으고, 객관적인 시야검사 자료를 획득할 수 있며, 이를 통해 정확한 안과질환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피검사자의 시야검사 과정에 관련된 정보와 시야검사 진행에 따른 검사자용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검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검사자가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기존 검안장비에 비하여 저렴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식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저비용으로 높은 정확도의 시야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피검사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야검사가 가능하여, 보다 편안한 환경에서 피검사자의 시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를 통해 시야검사를 진행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켜 검사를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고, 최신 시야검사 방법을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에 따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시스템의 안과검사용 콘솔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시스템의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진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으로 시야검사 진행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기본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피검사자의 반응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출력되는 시표 이미지들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검사 진행시 헤드 마운디트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검사에 따른 결과 정보를 나타낸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진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검사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의 동기화 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검사용 콘솔장치와의 동기화 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검사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검사 진행 중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검사 진행 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검사 완료 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검사결과 화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검사시스템은, 안과검사용 콘솔장치(300, 400, 5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 Head-mounted display, HMD) 및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과 도 2의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안과검사용 콘솔장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 및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
먼저,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안과검사용 콘솔장치와 안과검사에 필요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여, 검사자에게는 안과검사용 콘솔장치를 통해 안과검사 프로세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안과검사용 콘솔장치를 거치거나 직접 안과검사에 필요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와 송수신하여, 피검사자에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통한 안과검사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안과검사용 콘솔장치에게 검사자가 안과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피검사자용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검사자용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기존 안과검사 방법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안과검사 프로세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에 안과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검사자용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기존 검사방법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안과검사 프로세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피검사자용 프로그램, 검사자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과검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과검사에 따른 피검사자의 반응 등을 감지한 검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수신한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안과검사용 콘솔장치 또는/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로 송신하여, 검사 진행을 변경하거나 검사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안과검사 분석시 필요한 대용량의 딥러닝, 빅데이터 처리 등을 직접 처리한 후 안과검사용 콘솔장치 또는/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에게 제공하여, 안과검사용 콘솔장치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검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검사 데이터를 빅데이터화 하여 검사의 정확도, 검사방법의 개선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종류별 안과검사 실행횟수, 검사 데이터 분석횟수 또는 결과 데이터 송신횟수 등을 카운팅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카운팅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즉,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안과검사에 필요한 데이터, 분석 결과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해주어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무게, 데이터 처리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빠르게 검사를 진행시켜줄 수 있으며,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에 따른 비용을 검사종류, 분석처리 횟수 등에 따라 부과할 수 있다.
이하,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가 안과검사용 콘솔장치의 컴퓨팅 장치와 데이터 통신하며 안과검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컴퓨팅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컴퓨팅 장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 분석 중 일부는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다음으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피검사자가 헬멧이나 안경을 착용하듯 착용한 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 내에 배치된 광학 유닛과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 또는/및 안과검사용 콘솔장치로부터 안과검사와 관련된 가상현실 영상(VR: Virtual Reality)을 출력하고,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에 반응한 피검사자의 눈의 반응 또는/및 피검사자의 입력을 검사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영상은, 3차원 영상과 2차원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모든 영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생성한 검사 데이터를 직접 또는 안과검사용 콘솔장치 또는/및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로 송신하고, 송신된 검사 데이터는 안과검사 결과를 도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안과검사 결과는, 검사 데이터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수동검사시 검사자의 검사장비에 고정되어 검사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편안한 위치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를 웨어러블 기기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안과검사 장비 없이 안과질환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정규화된 자동 검사 형태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검사 자료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정확한 안과질환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웨어러블 컴퓨터로 구현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컴퓨터(또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wearable computing device)로 지칭되는)의 형태를 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컴퓨터는 헤드 마운터블 디스플레이(head-mountable display, HMD)의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HM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머리에 착용될 수 있고 착용자의 한쪽 또는 양쪽 눈들의 앞에 디스플레이를 둘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HMD는 헬멧 또는 안경(eyeglasses)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메인바디(200)와, 메인바디(200)의 후면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디스플레이부(270), 검안유닛(250), 광학유닛(220), 광학홀더(210), 하우징(160), 광간섭 방지유닛(300) 및 고정밴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여서,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되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메인바디(200) 후면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피검사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방향을 가리키고, 메인바디(200)의 전면은 피검사자의 시선방향을 의미한다.
먼저, 메인바디(200)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의 단단한 구조(solid structure)로 형성되거나, 또는 배선 및 컴포넌트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내부적으로 라우팅되기 위해 상호 연결되도록 유사한 물질의 속이 빈 구조(hollow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한 120은 사용자 입력부(120)이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on)/오프(off)하거나, 안과검사 관련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사용자 입력부(12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와 외부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진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이나, 사용자(피검사자 또는 검사자)가 안과질환을 검사할 때 검사 종류의 변경 및 선택하는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검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 또는 검사가 완료된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 형태의 LED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유/무선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와 연결되는 입력유닛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유닛는 안과검사 진행에 따라 검사자의 의사를 도출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입력유닛은, 검사자가 입력한 시점과 입력한 값을 기록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나 안과검사용 콘솔장치로 기록된 입력값을 송신하며, 송신된 입력값은 검사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유닛은, 클리커(clicker)일 수 있으며, 클리커는 사용자의 누름 입력을 감지하면 통신을 통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에 사용자 입력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밴드(170)는, 두 개의 고정밴드부로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메인바디(200)를 피검사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헬멧 형태, 또는 피검사자의 머리를 감싸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밴드들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27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70)는,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2차원 또는/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70)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가상현실 이미지(VR image)를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안과검사에 이용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부(270)는, 출력되는 그래픽 이미지 별로 사용자가 느끼는 거리를 변경해가며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70)의 패널이 단일 표시패널로 제공될 경우,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대응되는 분리 영상들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좌안과 우안 영역 별로, 분리된 표시패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검안유닛(250)은, 피검사자의 다양한 안과질환을 검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센서, 복수개의 카메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의 제어부 및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할 수 있는 회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안유닛(250)은, 시력검사를 받는 피검사자의 눈을 추적하는 시선추적(eye track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안유닛(250) 내에는 피검사자의 동공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카메라들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검안유닛(250)은, VR 이미지에 따라 변화하는 피검사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시야검사, 사시각검사, 외안근검사, 입체시검사 또는 링카스터검사 등의 안과질환 검사를 수행에 기초가 되는 검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검안유닛(250)이 촬영한 피검사자의 안구 영상은, 검사 데이터에 포함되어 안과검사용 콘솔장치 또는/및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로 송신될 수 있으며, 송신된 검사 데이터는 검사 결과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즉, 안과질환을 검사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야검사, 사시각검사, 외안근검사, 입체시검사, 링카스터검사 등의 검사에 필요한 광조사 수단, 촬영 수단 등을 센서 모듈이나 카메라 모듈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검안유닛(250)은, 시력검사를 위해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에 광을 조사하고 이를 수광하여 피검사자의 눈에 대한 굴절률 검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광학유닛(220)은, 검안유닛(250)과 하우징(160) 사이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안과검사 종류에 대응되는 가장 적합한 광학유닛(22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안과검사가 시력검사인 경우 수정체의 굴절률 측정을 위한 광학렌즈를 선택적으로 교환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의 안과 검사가 외안근검사 등 동공의 움직임 검사일 경우, 광학유닛(220)은 카메라에 의해 동공 움직임을 정밀하게 볼 수 있는 광학렌즈일 수 있다.
또한, 광학유닛(220)은, 편광 특성이 있는 다수의 렌즈들이 적층된 구조의 광학렌즈일 수 있다.
이러한 광학유닛(220)은, 광학홀더(210)에 고정되는데, 안과검사 종류에 따라 필요한 광학유닛(220)들은 광학홀더(210)에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교체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160)은, 메인바디(200)의 개구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디스플레이부(270), 검안유닛(250), 광학유닛(220), 광학홀더(210) 또는/및 메인바디(200) 등을 광학적 얼라인을 유지시키면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피검사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착용할 경우, 안과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피검사자의 양안 사이의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하우징(160) 내측은, 광간섭 방지유닛(300)에 의해 독립적으로 분리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60)의 내부면은, 안과검사를 위해 광반사가 낮고 광흡수율이 높은 재료가 코팅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피검사자의 안과검사를 위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분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비슷한 위치와 형태의 양안(두 개의 눈)을 가지고 있으나, 각각의 눈은 독립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안과질환 역시 비슷하지만 일정 정도 다른 증상을 보인다. 따라서, 각각의 좌안과 우안에 대해 독립적인 안과검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검사들이 있다.
그런데 이때 좌안에 대한 안과질환 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광이 인접한 우안에 영향을 주거나 그 반대가 되는 경우, 정확하고 정밀한 안과질환 검사를 진행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우안을 가리고 좌안만 검사하는 경우와, 반대의 경우 일 영역에서 출력되는 광이 타 영역으로 간섭한다면, 검사 결과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광간섭 방지유닛(300)을 포함하여,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 각각에서 발생되는 광을 서로의 영역으로 침범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광간섭 방지유닛(300) 및 하우징(160)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부(270)의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이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좌안 영역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빛은 우안 영역으로 진입되지 않도록 차단될 수 있으며, 우안 영역 측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빛은 좌안 영역 측으로 진입하지 않게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안과검사를 진행할 때 좌측 눈(eye)에 대한 안과검사를 진행할 때에도, 피검사자는 우측 눈을 감지 않고 검사 진행이 가능하다.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좌측 눈에 대해 안과검사를 진행할 때, 우측 눈에 대해서도 검사를 위한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나머지 환경(예컨대, 좌안 영역과 동일한 배경 화면을 출력)을 동일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안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사람이 한쪽 눈을 감을 경우, 장시간 안과검사에서 불편을 느낄 수 있으며 눈을 감는 것이 다른 쪽 눈에 영향을 주어 안과검사의 정확도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으로 분리하고, 각 영역에서 인접한 영역으로 진행하는 광을 차단시키는 광차단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광차단율을 높이기 위해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피검사자가 검암용 HMD를 착용했을 때, 광차단부(301)와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 사이의 영역(미간 영역)에서 발생하는 광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광차단부(302)를 포함할 수 있고, 광간섭 유닛(300)이 피검사자의 미간 영역과 콧등 영역에 지지/고정되도록 하는 제1고정부(304)와 제2고정부(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광차단부(301)는 단순히 착용자의 코에 지지되는 형태가 아닌, 사용자의 미간영역부터 인중까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착용하였을 때 좌안영역과 우안영역을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양 사이의 광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광차단부(301)와 접촉 광차단부(302)는, 광반사가 적고 광흡수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 광차단부(302)는, 피검사자의 얼굴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완충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안과질환을 검사하는 영역에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광학적으로 분리함으로써, 검사 진행 시 발생될 수 있는 광간섭에 의한 검사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기능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배터리(110), 통신부(190), 센싱부(130), 저장부(140), 카메라 모듈(150), 사용자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2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또한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들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제어부(180) 는, 통상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90)를 제어하여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70)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영상출력부, 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피검사자 또는 검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피검사자의 눈을 검사한 검사데이터를 추출하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안과질환 자료를 기반으로 비교 및 직접 연산 작업을 수행한 후,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 제어부 및 충전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50)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저장부(14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90)를 통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모듈(150)은,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 종류 또는 검사 환경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시력검사를 하는 경우, 동공을 모니터링 하는 용도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고, 피검사자의 안구 운동을 추적하는 경우에는 안구 움직임 궤적을 따라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90)는, 외부 시스템인 안과검사용 콘솔장치 또는/및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와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외부 시스템은 다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9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30)는, 주변환경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가속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에서는 안과질환 검사를 위해 피검사자의 눈에 조사하는 광을 발생하고, 수광하는 광학센서들을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 안과검사용 콘솔장치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안과검사용 콘솔장치는, 콘솔 바디(21), 디스플레이 장치(500), 입력장치(400) 및 컴퓨팅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콘솔 바디(2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0), 입력장치(400) 및 컴퓨팅 장치(300)를 지지하는 외부 바디일 수 있다.
자세히, 콘솔 바디(21)의 하단에는 콘솔 바디(21)의 메인 바디를 지지하면서 검사자가 손쉽게 콘솔 바디(21)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유닛(31, 3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유닛(31, 32)은, 지면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휠(wheel)을 포함하며, 휠과 메인 바디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바디는, 입력장치(40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22)와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받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22)는, 받침대 내로 수납되거나 배출될 수 있어, 공간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22) 상에는, 입력장치(400)로 키보드(401) 또는/및 마우스(40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장치(400)는 컴퓨팅 장치(300)와 유/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검사자가 검사 진행을 위한 입력을 감지하고 컴퓨팅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콘솔 바디(21)는,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높이 조절부(12)와, 받침대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배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높이 조절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제 1 높이 조절부(12)는, 받침대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락(lock) 해제시 받침대에 힘을 주어 받침대의 위치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높이 조절부(11)는, 디스플레이 장치(500)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락(lock) 해제시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힘을 주어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위치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받침대 상에 배치되어 검사자의 안과검사 진행을 위한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검사자가 안과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나, 안과검사 결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컨트롤을 위한 관련 그래픽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입력장치(400)와 더불어 검사자용 안과검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컴퓨팅 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컴퓨팅 장치(300)와 유/무선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표시패널 상에 터치 입력센서를 더 배치하여 검사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좀더 빠르고 직관적인 검사진행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300)는, 메인 바디(21) 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500), 입력장치(4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 등을 제어하여, 안과검사를 진행하는 메인 프로세서(36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300)는, 통신유닛(370), 입력부(310), 인터페이스부(320), 메모리(330), 출력부(340), 전원부(350) 및 프로세서(3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유닛(370)은, 외부시스템, 특히,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와 통신하여 안과검사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유닛(370)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등에 따라 구축된 네트워크망 상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RFID, NFC 등의 근거리 통신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310)는, 컴퓨팅 장치(300)의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입력부(310)일 수 있으며, 예컨대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32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 입력장치(400) 또는/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와 같은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데이터 통로일 수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부(320)는, 각종 포트 및/또는 케이블과 유선연결되어, 외부 장치들과 컴퓨팅 장치(3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320)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330)는, 실시예에 따른 안과검사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33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3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360)는, 검사자에게 안과검사 진행을 위하여 필요한 각종 검사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술한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36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직접 데이터 처리를 하여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 또는/및 안과검사용 콘솔장치의 제어를 통해 시야검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먼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안과검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S11)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가 피검사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검사자 또는 피검사자가 사용자 입력부(120) 또는/및 안과검사용 콘솔장치를 통해 활성화시키고 안과검사 프로그램이 실행시킬 수 있다.
안과검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안과검사 설정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상기 안과검사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야검사가 선택되면, 시야검사를 시작할 수 있다 (S12)
자세히, 검사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의 사용자 입력부(120)나, 안과검사용 콘솔장치의 입력장치(400)를 통해 안과검사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시야검사 실행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안과검사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검사자 정보 입력, 안과검사용 콘솔장치와의 동기화 및 복수의 안과검사 중 하나의 안과검사 선택 등이 가능할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Cailbration)설정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착용한 피검사자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작업일 수 있다.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좌안과 우안 영역이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포인터를 표시하고, 표시된 포인터를 바라보록 유도하는 문구를 표시하여, 피검사자가 포인터에 초점을 맞추게함으로써, 동기화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메인 시야검사 프로세스 진행 전 피검사자의 반응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S13)
자세히, 시야검사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시표가 표시되고,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피검사자는 시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며, 시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시야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검사는 피검사자가 주시점에 시선을 고정한 상태에서 시표를 인식하면 사용자 입력부(120)(예컨대, 클리커(clicker))을 누르는 방식으로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이하, 피검사자가 시표를 보고 반응하여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을 하기까지의 시간을 반응속도로 정의한다.
그런데 사람들마다 모두 반응속도가 다르므로 피검사자의 반응속도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야검사 진행시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야검사 전 피검사자의 반응속도를 측정한 후 이후 시야검사 결과 산출시 반응속도를 고려함으로써, 피검사자들 별로 시야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야검사와 동일한 환경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밝기의 시표를 적어도 1회 이상 출력하고, 시표 출력시점과 시표 출력 이후 사용자 입력시점의 차이를 기초로 반응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위치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가장 시표를 인식하기 좋은 위치로, 도 7을 참조하면, 반응속도 측정용 시표가 출력되는 위치는 주시점을 0도로 볼 때 좌상, 좌하, 우상, 우하로 9도씩 떨어진 위치들(P1, P2, P3, P4)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밝기는, 사용자가 인식하기 충분하면서도 이후 시야검사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전체 출력가능 밝기의 중간 밝기임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환경이란, 도 6과 같이 시야검사 진행된 상태에서 양안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배경 화면과 배경 화면 상에 주시점 이미지가 동일하게 표시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배경 화면 상에 주시점에서 좌상측으로 9도 떨어진 위치에 중간 밝기의 반응속도 측정용 시표를 1회 깜빡이도록 출력한 후 피검사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반응속도 측정용 시표 출력시점과 피검사자의 입력시점의 차이를 피검사자의 반응속도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좀더 정확한 반응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주시점으로부터 좌상, 좌하, 우상 및 우하 측으로 9도 떨어진 위치에 순차적으로 반응속도 측정용 시표를 출력하고, 각각의 시표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피검사자의 반응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복수의 횟수의 시표 출력시점과 입력시점 차이를 획득하면, 최소 시간차이를 반응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복수의 횟수의 시표 출력시점과 입력시점 차이를 획득하면, 평균 시간을 피검사자의 반응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반응속도는, 안과검사용 콘솔장치 또는/및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로 송신될 수 있다.
다음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양안 디스플레이에 시야검사 관련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여 시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양안 디스플레이에 배경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S14)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일정 채도와 밝기를 가지는 배경 이미지(BA) 상에 주시점(FP) 및 주시점(FP)을 주목시키는 서브 점을 포함하는 주시점(FP) 이미지를 표시하는 배경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배경 이미지(BA)는, 눈에 피로를 주지 않는 색으로, 아이보리, 그레이, 녹색 중 적어도 하나의 색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주시점(FP)은, 피검사자가 초점을 맞추어야 할 위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표시된 포인트일 수 있다. 그리고 주시점(FP)의 상하좌우로는, 주시점(FP) 측으로 초점을 유도하기 위한 서브 점들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즉, 피검사자가 주시점(FP)에 시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배경 화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시표가 출력되고 이를 인식하는지를 확인하도록 시야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양안에 서로 다른 이미지 출력이 가능하고, 양안측은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일측에서 출력된 광은 타측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실시예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장점을 이용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동일한 배경 화면을 좌안과 우안에 각각 출력하여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이 동일한 배경을 보는 것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부(270)는, 좌안 영역 디스플레이(LA)와 우안 영역 디스플레이(RA)에 각각 배경 이미지(BA)와 주시점(FP) 이미지를 포함하는 배경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안측에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좌안의 시야검사시에도 피검사자가 우안을 뜬 상태에서 좌안에 시야검사 진행이 가능하다. 반대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우안의 시야검사시에도 피검사자가 좌안을 뜬 상태에서 시야검사가 가능하다.
즉, 실시예에 따른 시야검사는, 일측 눈에 대해 시야검사를 진행할 때, 타측 눈에 대해서도 검사를 위한 시표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나머지 환경을 동일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시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야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검사자의 검사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경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안구측 영역에 시표를 출력할 수 있다. (S15)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일측 영역의 배경화면 상의 랜덤(random)한 위치에 시표를 출력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배경 화면 상에 격자로 나누었을때, 주시점(FP)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배치된 격자점들이 시표를 표시할 위치들일 수 있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표를 표시할 위치들 중 하나의 위치를 랜덤하게 선택한 후 선택된 위치에 시표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격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해상도가 높아져 시야검사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으나 검사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으며, 반대로 격자의 크기가 커지면 해상도가 작아져 사야검사의 정밀도가 감소하나 검사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시표 출력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표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제어하며 출력하여 시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시표의 밝기란, 시표를 나타내는 픽셀에서 출력되는 광의 강도(luminance)를 의미한다.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표 출력시점에서 시표 밝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출력한 상태에서 밝기를 점차 증가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표 출력시점에서 시표를 출력 가능한 최하 밝기로 출력한 후 사용자 입력이 있기 전까지 일정 속도로 밝기를 증가시키면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의미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표의 밝기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시표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표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시표를 나타내는 픽셀의 디스플레이 팩터를 변화시켜 시표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부(270)는, 시표를 나타내는 픽셀의 팩터 중 투명도(α)를 변경하여, 시표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의 디스플레이부(270)는, 시표를 나타내는 팩터의 투명도(α) 값을 0 부터 255 사이라고 할 때, 픽셀의 투명도를 0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시표의 밝기를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70)는, 시표를 나타내는 픽셀의 투명도 값을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시표의 밝기 또한 일정하게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70)는, 시표를 나타내는 픽셀의 팩터 중 R, G, B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키셔 시표의 밝기를 제어할수도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표의 밝기가 증가되는 속도를 제어하여, 시야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사람이 잘인식하지 못하는 시표의 저밝기 구간에서는 시표의 밝기를 빠르게 증가시키고, 일반적으로 사람이 시표를 인식하는 중간 밝기 구간에서는 시표의 밝기를 천천히 증가시켜, 시야검사의 진행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시표가 출력된 이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S16)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표가 출력되고 밝기가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입력(예컨대, 클리커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피검사자는, 시표의 밝기가 증가하여 피검사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밝기가 되는 순간 시표를 인식할 것이며, 이때, 피검사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눌르게 하여, 시표 인식시점을 사용자 입력시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표가 최초 출력된 시점인 시표 출력시점과, 사용자 입력시점을 시야검사 측정 데이터로 저장하고, 안과검사용 콘솔장치나,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시점에서 기 출력된 시표 출력을 멈추고 다음 시표가 출력되지 않았던 위치를 랜덤하게 정하여 다시 다음 시표를 출력하여 시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즉,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배경화면에서 시야검사를 진행할 위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시표를 밝기를 증가시키며 출력하며 해당 시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시야검사가 진행된다. 그리고 시야검사를 진행할 모든 위치에 적어도 한번씩 시표가 출력되면, 시야검사가 완료될 수 있다.
시야검사가 진행되는 도중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아이트래킹 정보에 기초하여 피검사자의 초점이 주시점(FP)에 유지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S17)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동기화 검사시 사용자의 동공 위치에 따른 초점을 측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피검사자의 초점이 주시점(FP)에 유지되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피검사자의 초점이 주시점(FP)에서 이탈한 순간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이탈한 순간에 시야검사를 중지하고 주시점(FP)에 초점을 유지하도록 알람을 그래픽 이미지나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피검사자의 초점이 주시점(FP)에서 이탈하였을 때 측정된 데이터를 무효 처리하여, 시야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야검사가 진행될 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실시간으로 시야검사에 따라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안과검사용 콘솔장치 또는/및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로 송신할 수 있다. (S18)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표 출력위치, 시표 출력시점과 사용자 입력시점을을 실시간으로 안과검사용 콘솔장치 또는/및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측정되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실시간 시야검사 결과값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과검사용 콘솔장치는, 시표 위치에 대해 시표 출력시점과 사용자 입력시점의 차이에서 반응속도를 고려하여 빛 감도역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안과검사용 콘솔장치는, 실시간으로 산출된 빛 감도역치를 시표 위치에 표시하여, 검사자가 안과검사용 콘솔장치를 통해 피검사자의 시야검사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모든 시야검사 위치에 대해 시표가 출력되면 시야검사가 완료되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시야검사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S19)
자세히, 도 9와 같이 시야검사 결과 정보에는, 피검사자의 개인정보(81)와, 시야검사결과값(32) 및/또는 시야검사결과값((82)에 기초한 안구상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사야검사결과값으로는, 시야검사 위치별 빛 감도역치값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시야검사결과값에 기초한 안구상태 정보로는, WIthin normal limit, Borderline, Outside normal limits 등의 수치와, VFI, MD, PSD와 같은 지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시야검사 결과 정보는, 안과검사용 콘솔장치 또는/및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의 제어부에서 직접 수행될수도 있다.
또한,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에는, 안구 촬영 영상에서 동공의 위치를 트래킹한 값 정보, 안구의 포지션 정보, 안구 반응을 이미지 딥러닝한 정보, 센싱한 측정 데이터, 검사 데이터에 따른 분석값 및/또는 실시간 시야검사 결과값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객관적 정보에 따라 시야검사 결과정보가 산출되므로, 시야검사 결과정보는 정확하고 정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은, 일괄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시야검사를 제공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시야검사를 정규화된 자동 검사 형태로 진행할 수 있으며, 객관적인 시야검사 자료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안과질환을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은, 시표를 밝기를 연속적으로 제어하며 출력하고 피검사자가 인식 가능한 밝기로 시표 출력시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시야검사가 진행되어, 기존 시야검사에 비해 획기적으로 단축된 시간으로 시야검사 진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은, 피검사자의 반응속도를 고려하여 시야검사 결과를 산출함으로써, 시야검사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은, 실시간으로 검사자에게 피검사자의 시야검사 과정에 관련된 정보와 시야검사 진행에 따른 검사자용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검사자가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은, 기존 검안장비에 비하여 비교적 저렴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이용하며,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다수의 안과검사를 진행이 가능하므로, 안과검사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은, 피검사자의 시야검사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이용해 수행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환경에서 피검사자의 시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은, 시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를 통해 시야검사를 진행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켜 검사를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고, 최신의 시야검사 방법을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 있다.
-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시스템의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이하에서는, 안과검사용 콘솔장치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검사자와 피검사자가 효율적으로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360)가 외부장치들을 직접 제어하고, 외부장치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안과검사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안과검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이나 검사 데이터에 대한 분석 또는 분석을 통한 안과검사 결과값 산출 등을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에서 수행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먼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활성화된 컴퓨팅 장치(30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와 디스플레이 장치(500)와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컴퓨팅 장치(300)가 활성화되고 안과검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300)는, 기존/신규 연결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와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연결확인 신호를 송신하여 연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500)와 유선 연결된 컴퓨팅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가 전원이 켜져있다면,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안과검사 프로그램 시작관련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 (S301)
또한, 컴퓨팅 장치(300)는, 유/무선 통신으로 기 등록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에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S201)
그리고 컴퓨팅 장치(300)는, 연결확인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02)
연결을 확인한 컴퓨팅 장치(300)는, 초반에 피검사자에게 필요한 안과검사 설정을 위한 안과검사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103)
먼저, 컴퓨팅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통해 검사자에게 안과검사 설정과 관련된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입력장치(400) 또는 터치를 통해 검사자의 입력을 받아 검사를 진행시킬 수 있다. (S302)
자세히, 도 11을 참조하면, 안과검사 설정 인터페이스의 메인 화면은, 피검사자 정보 입력(41),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와의 동기화(42)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과검사를 실행시키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피검사자 정보 입력 아이콘은, 검사자가 검사할 피검사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설정창 실행 아이콘으로, 피검사자의 이름, 나이, 안구상태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이후 검사 데이터나 결과값을 피검사자의 개인정보와 매칭시켜 타 검사값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의 동기화(Cailbration) 실행 아이콘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착용한 피검사자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작업을 실행시킬 수 있다.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동기화를 실행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0)에서는, 검사자에게 동기화가 실행중임을 알리는 화면을 도 12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동기화 중에는 검사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컨트롤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 12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500)에서 안과검사를 진행하지 못하도록 입력을 막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는, 좌안과 우안 영역이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포인터가 표시되고, 표시된 포인터를 바라보록 유도하는 문구가 도 13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터는, 안구에 자극이 덜하고 시신경을 자극할 수 있는 녹색임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동기화가 완료되면, 컴퓨팅 장치(300)는, 검사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입력에 따라서 시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S104)
자세히, 컴퓨팅 장치(300)는, 입력장치(400)나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직접 터치를 통해 복수의 안과검사 중 시야검사에 대한 선택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가 제공하는 안과검사는, 시야검사, 사시각검사, 외안근검사, 입체시검사 및/또는 링카스터검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과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들은, 현재 의사들이 수동으로 피검사자의 안구에 직접 검사교구를 통해 측정하여 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동검사는 의사의 주관적인 판단과 피검사자의 느낌으로 진행되어 부정확하고 매우 오랜시간이 걸리며, 검사자와 피검사자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다시 설명으로 돌아와, 도 14을 참조하면, 검사자는, 시야검사, 사시각검사, 외안근검사, 입체시검사 및/또는 링카스터검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과검사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시야검사 아이콘(43)을 터치하여 시야검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시야검사 아이콘(43)이 선택되면, 선택된 시야검사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에서 수신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300)는, 최신으로 업데이트된 시야검사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피검사자와 검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안과검사 횟수를 카운팅하여 추후 서비스 제공비용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시야검사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330)에서 로딩하여, 시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현실을 기반으로한 시야검사는, 피검사자에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고, 제공한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자세히, 시야검사 진행을 위해, 컴퓨팅 장치(30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시야검사에 대한 가상현실 영상을 송신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시야검사 관련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상현실 영상을 수신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시야검사 관련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S202)
이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좌안영역과 우안영역으로 분리된 디스플레이부(270)로 구성되어, 좌안영역과 우안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할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하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좌안영역(LA)의 디스플레이부(270)에서 배경 이미지(BA)와 주시점(FP)를 포함하는 배경화면과 시표(P)가 출력할 수 있으며, 우안영역(RA)의 디스플레이부(270)에는 배경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시야검사는, 피검사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주시점(FP)를 지속적으로 주시하면서, 주시점(FP)를 주시하는 피검사자의 시점인 주시점(FP)의 주변 특정영역에서 출력되는 시표(P)를 인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진행될 수 있다.
자세한 시야검사 진행과정은, 전술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시야검사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에 따른 안구반응을 검안유닛(250)을 통해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203)
또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입력유닛 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주시점(FP)에 기반한 피검사자의 인식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사용자 입력과 입력시점을 연관지어 측정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시야검사 진행을 위한 다양한 가상현실 영상은, 컴퓨팅 장치(300)를 통해 순차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전송되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면서 이에 기초한 피검사자의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여 컴퓨팅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검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컴퓨팅 장치(300)는,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컴퓨팅 장치(300)의 제어에 의해 검사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야검사가 진행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S303)
이를 위해, 컴퓨팅 장치(300)는, 실시간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시야검사를 위한 가상현실 영상을 2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변환한 시야검사 영상, 측정 데이터, 측정 데이터 분석값 등을 포함한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 컴퓨팅 장치(300)는,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시야검사 진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도 16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300)는, 피검사자의 개인정보(61),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적합하게 변환한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62),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센싱한 측정 데이터(64), 측정 데이터(64)에 따른 시야검사 결과값(65), 동기화 데이터, 기타정보(6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시야검사 진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300)는, 생성한 시야검사 진행정보를 기초로 하는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컴퓨팅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시야검사 진행정보를 기초로 하는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을 표시하여 검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S304)
이때, 상기 정보들은, 컴퓨팅 장치(300)의 실시간 분석을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시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가 이중 일부의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자세히, 피검사자의 개인정보(61)를 통해 검사자는, 올바른 피검사자가 검사를 수행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측정 데이터(64)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검사를 올바르게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로, 시야검사 진행화면에는, 안구의 동기화 데이터인 안구 포지션 값 또는/및 동공 트래킹 값이 수치로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에 따른 피검사자의 반응 정보를 수치화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빠르게 시야검사 진행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실시간 측정 데이터(64)에 따른 시야검사 결과값(65)을 시야검사 제공화면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상기와 같은 시야검사 결과값(65)을 검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검사자가 직관적으로 피검사자의 안구 상태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검사자가 시야검사 결과값(65)을 기반으로 시야검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검사자가 시야검사를 위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시표(P)의 표시 위치를 임의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시야검사 결과값(65)을 표시하는 화면 상에서 검사자가 임의로 선택한 시표(P)의 표시 위치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실시예로, 먼저 검사자는, 디스플레이 장치(500)에서 출력되는 시야검사 결과값(65)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시야검사를 위한 시표(P)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시야검사 결과값(65)에 표시된 인식 시표(P)를 확인한 검사자는, 확인한 인식 시표(P)보다 주시점(FP)에 근접한 영역에 속하는 시표(P)들을 인식가능한 시야영역에 속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자는, 인식가능한 시야영역에 속한다고 판단된 시표(P)들을 제외한 나머지 시표(P)들에 대하여 시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사자는, 나머지 시표(P)들 중 시야검사에 가장 효과적인 시표(P)의 위치라고 판단된 시표(P)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시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검사자로부터 시야검사 결과값(65)을 기반으로 가장 효과적인 시표(P)의 위치라고 판단된 시표(P)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검사자가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현재까지 측정된 측정 데이터(64)에 따른 안구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검사자는, 안구상태 정보를 통해 보다 빠르게 검사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검사를 종료할 수도 있다.
이때, 안구상태 정보는, 컴퓨팅 장치(300)에서 직접 분석하여 도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안구상태 정보와 더불어 이러한 결과값(65)이 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안구상태 정보를 함께 출력함으로써, 검사자가 보다 명확하게 검사결과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적합하게 변환한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62)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500)에서 출력되는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62)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2D 그래픽 이미지로 변환한 가상현실 영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2D 그래픽 이미지를 통해 올바르게 시야검사가 진행되는지 검사자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피검사자의 안구반응을 직접 촬영한 실시간 안구 촬영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피검사자의 안구를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을 시야검사 진행화면에 포함할 수 있으며,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의 피검사자 동공 트래킹 정보, 안구 포지션 정보 및/또는 안구 포지션 정보 등을 시야검사 진행화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피검사자의 실시간 안구 촬영영상에 피검사자의 동공 트래킹 정보, 안구 포지션 정보 및 안구 포지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일괄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다중의 정보를 검사자가 한 눈에 파악하기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시야검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시야검사 결과의 신뢰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피검사자의 주시점 주시여부를 검사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시야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피검사자가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주시하도록 제공받는 주시점을 놓치지 않고 연속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검사결과의 정확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검안장비에서는 검사자가 이러한 피검사자의 주시점 주시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가상현실을 기반으로한 디지털 방식의 시야검사에서는, 피검사자의 주시점 주시여부에 대한 확인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시 설명으로 돌아와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검사자에게 피검사자의 동공 트래킹 정보, 안구 포지션 정보 및/또는 안구 포지션 정보 등을 피검사자의 실시간 안구 촬영영상에 함께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시야검사를 진행 중인 피검사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주시점(FP)를 지속적으로 정확히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기존의 검안장비에서는 확인이 어려운 주시점에 대한 피검사자의 주시반응을 감지하여 검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한 시야검사 결과를 도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아이콘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300)는,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에 포함된 제어아이콘을 통해 검사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영상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하면, 해당 신호를 반영한 가상현실 영상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로 전송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S106, S204)
자세히, 제어아이콘에는, 시야검사를 진행할 안구를 결정할 수 있는 안구선택 아이콘(71)이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안구선택 아이콘(71)은, 검사를 진행할 안구가 좌안인지 우안인지 선택하는 아이콘으로, 좌안 아이콘 선택 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좌안영역(LA)에 가상현실 영상이 출력되어 피검사자의 좌안에 대한 시야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아이콘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의 색깔을 결정하는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제어아이콘은, 가상현실 영상의 색을 변경시킬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색 변경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색 변경 아이콘은, 색맹과 색약을 가지는 피검사자의 검사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아이콘에는, 가상현실 영상의 깊이(depth)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바(73)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바(73)는, 가상현실 영상의 위치를 변화시켜 다양한 시야검사를 진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제어아이콘에는, 시야검사 진행을 중지하거나 시작하거나 전체를 초기화하는 리셋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진행관련 실행 아이콘(74)은, 검사자가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측정 데이터(64)와 2D 검사 영상을 통해 검사가 잘못되었거나 피검사자에게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빠르게 검사를 중단하고 다시 시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아이콘에는, 검사 결과를 저장하고, 오프라인 출력자료로 프린트하기 위한 버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정리하면,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제어하여 시야검사 진행정보를 출력함으로써 검사자가 검사 진행과정을 확인하도록 보조하며, 이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좀 더 빠르고 정확한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컴퓨팅 장치(300)는, 측정 데이터(64)를 기초로 생성한 시야검사 진행정보를 기반으로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컴퓨팅 장치(300)는,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에 매칭된 측정 데이터(64)들을 기초로 생성한 시야검사 진행정보를 기반으로 피검사자의 시야검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가 가상현실 영상에 매칭된 측정 데이터(64)를 시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로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시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700)가 측정 데이터(64)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산출한 후 산출된 결과를 컴퓨팅 장치(300)로 송신함으로써,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에는, 안구 촬영 영상에서 동공의 위치를 트래킹한 값 정보, 안구의 포지션 정보, 안구 반응을 이미지 딥러닝한 정보, 센싱한 측정 데이터(64), 측정 데이터(64)에 따른 안구상태 정보 및/또는 기타정보(65)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객관적 정보에 따라 시야검사 결과정보가 산출되므로, 시야검사 결과정보는 정확하고 정밀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컴퓨팅 장치(300)는, 획득된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500)가 수신한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5)
자세히, 도 17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300)는, 시야검사 결과정보에 피검사자의 개인정보(81), 측정 데이터(64)를 기반으로한 시야검사결과값(82) 및/또는 시야검사결과값(82)에 기초한 안구상태 정보(8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야검사결과값(82)은,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62), 측정 데이터(64), 기타정보(65) 및/또는 딥러닝을 통한 측정 데이터 분석정보 등을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기반 시야검사의 최종적인 결과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시야검사결과값(82)에 기초한 안구상태 정보(83)는, 사용자가 시야검사를 기초로한 피검사자의 안구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야검사 결과를 적용시킨 안구 이미지를 활용하여 안구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은, VR을 이용한 디지털 방식의 시야검사를 진행함으로써, 별도의 검안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피검사자의 시야검사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4)

  1.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으로서,
    배경 이미지와 주시점 이미지를 포함하는 배경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배경 화면 상에 시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시표 출력에 따른 피검사자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 화면 상에 시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에 시표를 출력할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에 시표의 밝기를 소정의 밝기부터 연속하여 증가하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시점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시점의 시표의 위치와 밝기를 포함하는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 화면 상에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밝기로 반응속도 측정용 시표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반응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시점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시점의 시표의 위치와 밝기를 포함하는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시점에서 상기 산출된 반응속도를 반영하여 상기 시표의 위치에 대한 빛 감도역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시표의 표시 위치 별로 각각 산출된 빛 감도역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상기 시야검사 결과정보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배경 이미지와 주시점 이미지를 포함하는 배경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부의 좌안 영역 측에 상기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의 우안 영역 측에 상기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시표의 밝기를 제어하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표의 출력시점부터 시표의 밝기를 일정하고 연속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시표의 밝기를 제어하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표를 나타내는 픽셀의 투명도를 제어하여 상기 시표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화면 상에 시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표의 밝기가 증가하는 도중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시표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배경 화면에서 다음 시표를 출력할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9. 안과검사용 콘솔장치에서 시야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안과검사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입력하는 안과검사 설정 인터페이스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안과검사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시야검사가 선택되면, 상기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시야검사에 대한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 따른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야검사에 대한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배경 화면에 시표를 출력할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에 시표의 밝기를 소정의 밝기부터 연속하여 증가하도록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시점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시점의 시표의 위치와 밝기를 포함하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 상에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밝기로 반응속도 측정용 시표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반응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시점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시점의 시표의 위치와 밝기를 포함하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시점에서 상기 산출된 반응속도를 반영하여 상기 시표의 위치에 대한 빛 감도역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시표의 표시 위치 별로 각각 산출된 빛 감도역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상기 시야검사 결과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시야검사 진행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야검사 진행정보는,
    피검사자의 개인정보,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측정 데이터에 따른 분석값, 실시간 시야검사 결과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검사 가상현실 영상은,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2차원으로 변환한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용 시야검사 진행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데이터에 따른 분석값을 기반으로 시야검사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검사에 대한 가상현실 영상에 매칭된 상기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시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데이터에 기초한 시야검사 결과정보를 상기 시야검사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KR1020190005151A 2018-09-04 2019-01-15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KR10229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51A KR102295587B1 (ko) 2019-01-15 2019-01-15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US17/273,667 US20210315453A1 (en) 2018-09-04 2019-07-24 Visual field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PCT/KR2019/009158 WO2020050497A1 (ko) 2018-09-04 2019-07-24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51A KR102295587B1 (ko) 2019-01-15 2019-01-15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30A KR20200088630A (ko) 2020-07-23
KR102295587B1 true KR102295587B1 (ko) 2021-08-31

Family

ID=7189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151A KR102295587B1 (ko) 2018-09-04 2019-01-15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16583A1 (en) 2021-05-11 2022-11-17 Neuroptek Corporation Inc. Eye examination apparatus with cameras and display
KR102569027B1 (ko) * 2021-09-02 2023-08-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우반구의 협응반응 측정을 통한 치매 진단 장치
KR20230036576A (ko) * 2021-09-06 2023-03-1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시야손상 환자의 선호망막부위 탐색 및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7802A (ja) * 2006-03-30 2007-10-18 Hokkaido 検査システム、訓練システムおよび視覚情報呈示システム
WO2016072272A1 (ja) * 2014-11-04 2016-05-12 株式会社クリュー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 視覚検査装置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型表示装置
JP2016193067A (ja) *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ニデック 視野計
JP6230086B2 (ja) * 2015-08-03 2017-11-15 国立大学法人愛媛大学 視野計測方法、視野計測装置および視力検査視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072A (ko) * 2015-10-26 2017-05-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웨어러블을 통한 안구상태 검사 및 관련 컨텐츠 제공 서비스
KR101966164B1 (ko) 2017-01-12 2019-04-05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7802A (ja) * 2006-03-30 2007-10-18 Hokkaido 検査システム、訓練システムおよび視覚情報呈示システム
WO2016072272A1 (ja) * 2014-11-04 2016-05-12 株式会社クリュー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 視覚検査装置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型表示装置
JP2016193067A (ja) *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ニデック 視野計
JP6230086B2 (ja) * 2015-08-03 2017-11-15 国立大学法人愛媛大学 視野計測方法、視野計測装置および視力検査視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30A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4036B (zh) 用于眼科测试和测量的方法、设备和系统
KR101966164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7106569B2 (ja) ユーザーの健康状態を評価するシステム
KR102295587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CN109310314A (zh) 用于眼位偏斜测量的移动装置应用
KR101812249B1 (ko) 사시 자동측정기구
KR102304369B1 (ko) Vr을 이용한 안과검사방법 및 시스템
KR102344493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US20210315453A1 (en) Visual field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US20220071484A1 (en) Virtual reality-based portable nystagmography device and diagnostic test method using same
JP2018019777A (ja) 眼科検査装置
US20230255473A1 (en) Integrated apparatus for visual function testing and method thereof
JP5706508B2 (ja) 眼科装置
US20230404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s
KR102406823B1 (ko) 망막 질환 및 치매 진단용 스마트 리모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진단 방법
KR20230046564A (ko)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2073154A (ja) 検眼装置
IL305329A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optometric parameters
JP2023142781A (ja) 眼科システム
JP2022038942A (ja) 検眼装置及び検眼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20200068493A (ko)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의 진단방법
KR20220168883A (ko) 사시선별검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68495A (ko) 이석증의 진단명 표시방법
CN114025657A (zh) 用于测量视觉功能的临床参数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