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650A -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650A
KR20220082650A KR1020200172740A KR20200172740A KR20220082650A KR 20220082650 A KR20220082650 A KR 20220082650A KR 1020200172740 A KR1020200172740 A KR 1020200172740A KR 20200172740 A KR20200172740 A KR 20200172740A KR 20220082650 A KR20220082650 A KR 20220082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mote control
cursor
app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철
이상민
권혁찬
전석환
권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Priority to KR102020017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2650A/ko
Publication of KR2022008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5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오토바이 등의 탈것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주행 중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는 무선 리모콘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 1 앱(First App)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앱에 대응하는 제 1 패턴(First Pattern)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앱과 다른 제 2 앱(Second App)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앱에 대응하는 제 2 패턴(Second Pattern)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WIRELESS REMOTE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오토바이 등의 탈것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주행 중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배송 등의 운수업에 종사하는 운전자는 스마트 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송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배송 요청을 선택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 중 수신한 배송 요청을 확인하고 이를 선택하는 것은 운전의 집중력을 저하시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륜차 운행 중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배송 업무를 할당받는 이륜차 배송 운전자는 배송 요청을 빠르게 선택하기 위해 이륜차를 한 손으로 운전하며 거치대에 고정된 스마트폰의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륜차 손잡이를 한 손으로만 잡고 운행할 경우 불안정한 노면 상태에서 균형 잡기가 힘들며, 도로 위의 돌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어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9021호[문헌 1]에서는 이륜차의 핸드 브레이크 부분을 포함한 손잡이 부분에 소정의 스위치를 설치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스위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이륜차의 손잡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수리 및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이 과도하게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0422호[문헌 2]에서는 기존의 오토바이 그립부를 대체하여 소정의 스위치가 구비된 그립부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부분을 오토바이 핸들에 설치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고장 발생 시 오토바이 그립부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9021호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0422호
본 발명은 이륜차 등의 차량의 핸들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륜차 등의 차량의 주행 중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는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륜차 등의 차량의 주행 중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메뉴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선택할 수 있는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는 무선 리모콘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 1 앱(First App)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앱에 대응하는 제 1 패턴(First Pattern)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앱과 다른 제 2 앱(Second App)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앱에 대응하는 제 2 패턴(Second Pattern)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롤(Scroll)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 1 거리에 대응하여 화면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거리와 다른 제 2 거리에 대응하여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커서의 위치는 상기 제 2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커서의 위치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리모콘 장치는 리모콘부(Remicon Part) 및 상기 리모콘부를 지지하는 거치대부(Support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부는 상기 상부 커버부와 상기 하부 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버튼(Button)을 포함하는 버튼부(Button Part) 및 상기 버튼부의 선택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Communicat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커서에 대응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커서와 메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커서와 상기 메뉴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은 이륜차 등의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 중에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확인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크래들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고정부와 볼마운트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연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연결부를 이용한 크래들부와 볼마운트부의 연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리모콘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리모콘 장치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무선 리모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제 5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37은 위치 정보 검출부와 하부 커버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 내지 도 41은 탄성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또 다른 무선 리모콘 장치의 구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및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과 교차(수직)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은 임의로 설정한 것으로 이것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1A, 이하 '리모콘 장치'라 칭할 수 있다)는 리모콘부(Remicon Part, 20) 및 리모콘부(20)를 지지하는 거치대부(Supporting Part, 1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콘부(20)는 거치대부(10)에 용이하게 탈착 혹은 부착될 수 있다.
거치대부(10)는 리모콘부(20)를 지지하고, 이륜차 등의 차량의 핸들(Handle)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리모콘부(20)는 상부 커버부(Upper Cover Part, 200), 하부 커버부(Bottom Cover Part, 210), 버튼부(Button Part, 220), 구동부(Driving Part, 230) 및 배터리부(Battery Part,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커버부(210)는 상부 커버부(200)에 대항될 수 있다.
버튼부(220)는 상부 커버부(200)와 하부 커버부(210)의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의 명령 혹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240)는 상부 커버부(200)와 하부 커버부(210)의 사이, 자세하게는 구동부(230)와 하부 커버부(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30)는 상부 커버부(200)와 하부 커버부(210)의 사이, 자세하게는 버튼부(220)와 배터리부(2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부(10)는 크래들부(Cradle Part, 100), 고정부(Fixating Part, 110), 볼마운트부(Ball Mount Part, 120) 및 연결부(Connecting Part, 13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부(100)에는 리모콘부(20)가 안착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링(Ring)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이륜차 등의 차량의 핸들에 끼워질 수 있다.
볼마운트부(120)는 고정부(110)에 연결되며 볼(Ball)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볼마운트부(120)와 크래들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거치대부(10)를 이륜차 등의 차량의 핸들에 장착하고, 거치대부(10)에 리모콘부(20)를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운행 중 혹은 정차 중에 리모콘부(20)를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리모콘 장치(1A)의 각 부분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크래들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크래들부(100)는 안착부(101), 이탈방지벽(102) 및 돌출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101)는 리모콘부(20)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안착부(101)의 안착면에는 리모콘부(20)의 하부 커버부(210)가 안착될 수 있다.
이탈방지벽(102)은 안착부(10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안착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벽(102)은 안착부(101)에 배치된 리모콘부(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103)는 고정부(110)를 향해 원통 또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03)의 외측면에는 제 1 나사선(HX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나사선(HX1)은 크래들부(100)와 연결부(130)의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103)는 제 1 돌출부분(103a) 및 제 2 돌출부분(103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출부분(103a)은 안착부(101)의 하면에서 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고, 제 1 돌출부분(103a)의 외측면에는 제 1 나사선(HX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돌출부분(103b)은 제 1 돌출부분(103a)의 끝단에서 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돌출부분(103b)의 직경은 제 1 돌출부분(103a)의 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 2 돌출부분(103b)은 고정부(110)를 향해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부(100)에서 안착부(101)가 위치한 쪽을 일측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크래들부(100)에서 돌출부(103)가 위치한 쪽을 타측이라고 할 수 있다.
일측과 타측의 위치에 대한 내용은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콘부(20)의 타측은 거치대부(10)의 안착부(101)를 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고정부와 볼마운트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볼마운트부(120)는 고정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마운트부(120)의 타측은 고정부(1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볼마운트부(120)는 머리부(Head Part, 121) 및 다리부(Leg Part, 122)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121)는 볼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리모콘부(20)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서는 머리부(121)는 구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리부(122)는 머리부(121)와 고정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DR1, DR2, DRH)으로 머리부(121)의 폭(W1)은 다리부(122)의 폭(W2)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제 1 고정부분(111)과 제 2 고정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분(111)과 제 2 고정부분(112)의 타측 부분(111c, 112c)에는 제 1 고정홀(JH1)이 형성되고, 일측 부분(111b, 112b)에는 제 2 고정홀(JH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분(111)의 일측 부분(111b)과 제 2 고정부분(112)의 일측 부분(112b)이 대응되고, 제 1 고정부분(111)의 타측 부분(111c)과 제 2 고정부분(112)의 타측 부분(112c)이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 볼트 등의 제 1 체결수단(FM1)이 제 1 고정부분(111)의 제 1 고정홀(JH1)과 제 2 고정부분(112)의 제 1 고정홀(JH1)을 관통하여 제 1 고정부분(111)과 제 2 고정부분(112)을 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스크류, 볼트 등의 제 2 체결수단(FM2)이 제 1 고정부분(111)의 제 2 고정홀(JH2)과 제 2 고정부분(112)의 제 2 고정홀(JH2)을 관통하여 제 1 고정부분(111)과 제 2 고정부분(112)을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수단(FM1)과 제 2 체결수단(FM2)을 고정부(110)를 조이는 조임부라고 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분(111) 및 제 2 고정부분(112)은 일측 부분(111b, 112b)과 타측 부분(111c, 112c)의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 굽은 부분(Curved Portion, 111a, 1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분(111)의 일측 부분(111b)과 제 2 고정부분(112)의 일측 부분(112b)이 마주보도록 대응되고 제 1 고정부분(111)의 타측 부분(111c)과 제 2 고정부분(112)의 타측 부분(112c)이 마주보도록 대응된 상태에서, 제 1 고정부분(111)의 굽은 부분(111a)과 제 2 고정부분(112)의 굽은 부분(112a)은 원 또는 타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제 1 고정부분(111)의 굽은 부분(111a)과 제 2 고정부분(112)의 굽은 부분(112a)의 사이에 이륜차 등의 차량의 핸들이 삽입될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수평방향(DR1, DR2, DRH)으로 제 1 고정부분(111)의 일측 부분(111b)의 폭(T1)은 제 2 고정부분(112)의 일측 부분(112b)의 폭(T2)보다 더 크고, 수평방향(DR1, DR2, DRH)으로 제 1 고정부분(111)의 타측 부분(111c)의 폭(T3)은 제 2 고정부분(112)의 타측 부분(112c)의 폭(T4)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볼마운트부(120)를 제 1 고정부분(111)에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110)를 핸들에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고정부분(111)의 사이즈를 제 2 고정부분(112)의 사이즈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부분(111)의 굽은 부분(111a)의 전체 길이는 제 2 고정부분(112)의 굽은 부분(112a)의 전체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고정부분(111)의 굽은 부분(111a)의 곡률 반경과 제 2 고정부분(112)의 굽은 부분(112a)의 곡률 반경이 대략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분(111)과 제 2 고정부분(112)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고정부분(111)의 굽은 부분(111a)과 제 2 고정부분(112)의 굽은 부분(112a)이 원 또는 타원을 이루는 것으로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원 또는 타원의 중심을 중심점(CP)이라고 더 가정하자.
여기서 중심점(CP)을 출발하여 제 1 고정부분(111)의 일측 부분(111b)을 지나는 직선과 중심점(CP)을 출발하여 제 1 고정부분(111)의 타측 부분(111c)을 지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제 1 각도(θ1)라고 할 수 있다.
제 1 각도(θ1)는 중심점(CP)으로부터 제 1 고정부분(111)을 바라보는 방향으로의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여기서 중심점(CP)을 출발하여 제 2 고정부분(112)의 일측 부분(112b)을 지나는 직선과 중심점(CP)을 출발하여 제 2 고정부분(112)의 타측 부분(112c)을 지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제 1 각도(θ1)보다 작은 제 2 각도(θ2)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각도(θ2)는 중심점(CP)으로부터 제 2 고정부분(112)을 바라보는 방향으로의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연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연결부(130)는 제 1 부분(First Part, 131) 및 제 2 부분(Second Part,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30)는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부분(131)은 크래들부(100)의 돌출부(103)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부분(131)도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부분(131)의 내측면에는 제 1 나사선(HX1)에 맞물리는 제 2 나사선(HX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부분(132)은 제 1 부분(131)으로부터 제 3 방향(DR3), 즉 수직방향(DRV)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부분(132)은 볼마운트부(120)에 대응되며, 제 2 부분(132)을 통해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가 삽입될 수 있다.
제 2 부분(132)은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0)의 일측에서의 직경(W3)은 타측에서의 직경(W4)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30)의 일측에서의 직경(W3)은 연결부(130)의 제 1 부분(131)의 출구에서의 직경을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130)의 타측에서의 직경(W4)은 연결부(130)의 제 2 부분(132)의 입구에서의 직경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제 2 부분(132)의 입구에서의 직경(W4), 즉 수평방향(DR1, DR2, DRH)으로 제 2 부분(132)의 입구의 폭(W4)은 머리부(121)의 폭(W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130)에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가 삽입된 상태에서 머리부(121)가 연결부(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연결부(130)를 이용하여 크래들부(100)와 볼마운트부(120)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9 내지 도 11은 연결부를 이용한 크래들부와 볼마운트부의 연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먼저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를 연결부(130)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10)의 제 1 고정부분(111)의 일측 부분(111b)에 볼마운트부(1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고정부분(111)의 타측 부분(111c)부터 연결부(130)의 일측 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
볼마운트부(120)와 연결부(130)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도 9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머리부(121)의 적어도 일부는 연결부(130)의 내측에 위치하고, 머리부(121)의 나머지 일부는 연결부(1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방향(DR3, DRV)으로 머리부(121)에서 연결부(130)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X1)은 연결부(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폭(X2)보다 더 클 수 있다.
이후, 도 10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볼마운트부(120)와 연결부(1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130)를 크래들부(100)의 돌출부(103)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나사선(HX1)과 제 2 나사선(HX2)이 맞물리도록 연결부(130)를 회전시켜 크래들부(100)의 돌출부(103)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볼마운트부(120)와 크래들부(100)의 관계를 살펴보면, 도 10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는 크래들부(100)의 돌출부(103)의 제 1 돌출부분(103a) 및 제 2 돌출부분(103b)과 중첩(Overlap)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마운트부(120)와 크래들부(100)가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머리부(121)는 제 1 돌출부분(103a)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수평방향으로 제 1 돌출부분(103a)과 중첩하는 부분), 제 2 돌출부분(103b)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수평방향으로 제 2 돌출부분(103b)과 중첩하는 부분) 및 돌출부(103)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방향(DR3), 즉 수직방향(DRV)으로 머리부(121)에서 제 1 돌출부분(103a)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Y1)은 돌출부(103)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폭(Y3)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으로 머리부(121)에서 제 1 돌출부분(103a)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Y1)은 제 2 돌출부분(103b)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Y2)보다 더 큰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볼마운트부(120)와 크래들부(100)가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일례가 도 11에 나타나 있다.
도 11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해석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3은 리모콘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리모콘부(20)는 상부 커버부(200), 하부 커버부(210), 버튼부(220), 구동부(230) 및 배터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커버부(200)는 하부 커버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커버부(200)와 하부 커버부(210)의 사이 공간에 버튼부(220), 구동부(230) 및 배터리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커버부(200)와 하부 커버부(210)는 리모콘부(20)의 외곽을 이룰 수 있다.
버튼부(220)는 소정의 명령 혹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제 1 버튼부(221), 제 2 버튼부(222) 및 제 3 버튼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버튼부(221)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등의 객체(Object)를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객체에 대해 메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메뉴'라고 하는 것은 '객체'라고 해석될 수 있다.
제 2 버튼부(222)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서 스크롤(Scroll)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버튼부(223)는 리모콘부(2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240)는 리모콘부(20)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배터리부(240)는 구동부(23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230)는 리모콘부(20)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전자 부품 혹은 기계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부(200), 하부 커버부(210), 버튼부(220), 구동부(230) 및 배터리부(240)가 결합된 리모콘부(20)의 일례가 도 12의 (B)에 나타나 있다.
도 12의 (B)의 RCH는 이하에서 설명될 인터페이스부(23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홀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부(230)는 통신부(231), 인터페이스부(232), 스위치부(233) 및 보드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드부(234)는 통신부(231), 인터페이스부(232) 및 스위치부(233)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통신부(231)는 버튼부(220)의 선택에 대응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치부(233)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220)의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보드부(234)에는 복수의 스위치부(23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드부(234)에는 제 1 버튼부(22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233), 제 2 버튼부(222)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233) 및 제 3 버튼부(223)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23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버튼부(221)를 선택하는 경우(압력을 가하는 경우 등), 제 1 버튼부(221)에 대응되는 스위치부(233)가 제 1 버튼부(221)의 선택을 감지하여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 1 버튼부(221)의 스위칭 신호에 대응하여 통신부(231)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리모콘 장치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장치(1A)는 이륜차 등이 차량의 핸들(HDL)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콘 장치(1A)의 거치대부(10)의 고정부(110)가 핸들(HDL)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리모콘 장치(1A)가 핸들(HDL)에 장착될 수 있다.
리모콘 장치(1A)를 핸들(HDL)에 장착한 상태에서 리모콘부(20)를 피봇(Pivot) 혹은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모콘 장치(1A)를 핸들(HDL)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 장치(1A)에 힘을 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5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리모콘 장치(1A)의 리모콘부(20)가 피봇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리모콘부(20)는 전후좌우로 방향으로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는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가 볼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륜차 등의 차량의 운전 중에도 자유롭게 리모콘부(20)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무선 리모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시스템은 서버(Server, 2A),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3A) 및 사용자 단말기(3A)에 대응되는 무선 리모콘 장치(1A)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A)는 무선 리모콘 기능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3A)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A)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3A)와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40)는 무선 리모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라고 칭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3A)로 배포(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40)는 무선 리모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앱(이하에서는 '무선 리모콘 앱'이라 칭할 수 있다.)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기(3A)에 대해 업데이트, 과금, 알람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리모콘 장치(1A)는 사용자 단말기(3A)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리모콘 장치(1A)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선택 신호를 블루투스 등의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3A)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리모콘 장치(1A)의 기능은 구동부(23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7을 살펴보면, 무선 리모콘 장치(1A)의 구동부(230)는 제 1 통신부(231), 제 1 인터페이스부(232), 제 1 스위치부(233), 제 1 메모리부(234) 및 제 1 제어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구동부(23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통신부(231)는 제 1 제어부(235)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A)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통신부(231)는 제 1 제어부(235)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키 선택 신호, 스크롤 신호 등의 다양한 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3A)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부(232)는 외부의 다른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통로를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인터페이스부(232)는 외부의 충전수단과 배터리부(240)를 연결하여, 배터리부(240)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 1 인터페이스부(232)는 외부의 다른 단말기와 제 1 제어부(235) 및/또는 제 1 메모리부(234)를 연결하여 제 1 메모리부(234)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부(233)는 제 1 제어부(235)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선택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스위치부(233)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모리부(234)는 제 1 제어부(235)의 제어에 따라 무선 리모콘 기능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데이터,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235)는 구동부(230)의 전반적인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제어부(235)는 무선 리모콘 장치(1A)에서 무선 리모콘 기능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235)는 사용자의 키 선택 신호의 제어신호로의 변환을 제어하고, 아울러 사용자의 키 선택 신호의 사용자 단말기(3A)로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A)는 서버(2A)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리모콘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3A)는 무선 리모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무선 리모콘 장치(1A)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3A)는 무선 리모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무선 리모콘 장치(1A)와 블루투스 등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A)는 무선 리모콘 장치(1A)와의 통신을 통해 화면상에 커서(Cursor)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커서는 화면상에 오버레이(Overlay)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A)는,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제어부(300), 제 2 통신부(310), 제 2 인터페이스부(320), 디스플레이부(330), 음성 출력부(340), 사용자 입력부(350), 카메라부(360), 센서부(370) 및 제 2 메모리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제어부(300), 제 2 통신부(310) 등에서 '제 2'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사용자 단말기(3A)의 부분, 예컨대 제어부(300), 통신부(310) 등을 앞선 도 17에서 설명한 무선 리모콘 장치(1A)의 제어부(235), 통신부(231) 등과 구분하기 위함일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3A)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통신부(310)는 제 2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통신부(310)는 서버(2A)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A)는 서버(2A)로부터 무선 리모콘 앱 등의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는, 제 2 통신부(310)는 무선 리모콘 장치(1A)와 블루투스 등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A)는 무선 리모콘 장치(1A)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선택 신호(키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스크롤 신호 등의 다양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하나의 제 2 통신부(310)가 서버(2A) 및 무선 리모콘 장치(1A)와 각각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통신부(310)는 서버(2A)와의 통신을 위한 장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리모콘 장치(1A)와의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 등의 단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통신부(310)가 서버(2A)와의 통신 및 무선 리모콘 장치(1A)와의 통신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인터페이스부(320)는 제 2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A)와 다른 기기(충전기, 다른 단말기 등)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제 2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이 가능하도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30)는 화면에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50)는 사용자가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키 선택 수단, 터치 수단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360)는 제 2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주변의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부(360)는 무선 리모콘 장치(1A)를 사용하는 사용자, 예컨대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의 운전자의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센서부(370)는 무선 리모콘 기능의 구현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370)는 압력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메모리부(380)는 제 2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무선 리모콘 기능의 구현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메모리부(380)는 무선 리모콘 앱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 2 메모리부(380)는 사용자가 설정한 다양한 커서의 배치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 2 메모리부(380)는 무선 리모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A 대리운전 앱, B 화물운송 앱 및 C 은행 앱을 무선 리모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앱이라고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메모리부(380)는 제 2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A 대리운전 앱, B 화물운송 앱 및 C 은행 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 2 메모리부(380)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했던 커서의 배치 패턴에 대한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300)는 사용자 단말기(3A)의 전반적인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300)는 사용자 단말기(3A)의 수신 통화 및/또는 발신 통화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300)는 사용자 단말기(3A)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제어부(300)는 무선 리모콘 장치(1A)에서 무선 리모콘 기능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제어부(300)는 무선 리모콘 장치(1A)에서 전송하는 키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화면에 표시된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거나 혹은 실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제어부(300)는 선택 영역 판별부(301), 위치 조정부(302), 패턴부(303) 및 커서 자동 배치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제 2 제어부(30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택 영역 판별부(301)는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에서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는 영역, 즉 선택 영역을 판별할 수 있다.
선택 영역은 사용자가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혹은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영역을 메뉴 영역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선택 명령을 통해 선택할 수 없는 영역은 배경 영역이라고 할 수도 있다.
위치 조정부(302)는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커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위치 조정부(302)는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 표시된 커서와 선택 영역이 매치되지 않는 경우에, 커서와 선택 영역이 매칭되도록 커서를 소정 거리 이동시켜 커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패턴부(303)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커서의 배치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패턴부(303)는 사용자가 설정한 다양한 커서의 배치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패턴을 적용할 수 있다.
커서 자동 배치부(304)는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상의 소정의 위치에 커서를 자동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상에 표시된 비설정 앱에 따른 정보가 표시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비설정 앱은 사용자가 무선 리모콘 기능을 적용하는 앱으로 미리 설정한 앱이 아닌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무선 리모콘 기능을 적용할 앱으로 미리 설정한 앱을 설정 앱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설정 앱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무선 리모콘 기능을 사용할 앱이라고 할 수 있다.
비설정 앱은 설정 앱을 제외한 나머지 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서 자동 배치부(304)는 선택 영역 판별부(301)가 판별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의 소정 위치에 커서를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리모콘 장치(1A)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3A)에서 서버(2A)로 접속(S100)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3A)를 서버(2A)로부터 무선 리모콘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S110)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3A)가 무선 리모콘 앱을 설치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3A)는 무선 리모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3A)에서 무선 리모콘 앱을 실행(S120)하고,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설정(S130)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상에서 A 선택버튼에 대응하는 A 커서(CA), B 선택버튼에 대응하는 B 커서(CB), C 선택버튼에 대응하는 C 커서(CC), D 선택버튼에 대응하는 D 커서(CD)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A 선택버튼, B 선택버튼, C 선택버튼 및 D 선택버튼은 버튼부(220)의 제 1 버튼부(221)에 포함되고, 사용자의 단말기(3A)의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등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A)에서 위치 설정 메뉴를 실행하고, 각각의 선택 버튼에 대한 위치를 터치 등의 방법으로 수동으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 버튼에 대응하는 커서의 위치는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 내에서는 어디라도 가능할 수 있다.
A 커서(CA), B 커서(CB), C 커서(CC) 및 D 커서(CD)의 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 리모콘 기능을 적용할 소정의 앱을 실행시키면,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앱의 정보와 함께 A 커서(CA), B 커서(CB), C 커서(CC) 및 D 커서(CD)가 오버레이 방식으로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는, 화면상에 총 4개의 커서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1개, 2개, 8개 등 다양한 개수의 커서를 화면상에 함께 표시하고 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서의 위치를 설정(S130)한 이후에, 리모콘이 활성화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40)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콘이 활성화된다는 것은 무선 리모콘 장치(1A)와 사용자 단말기(3A)가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3A)와 무선 리모콘 장치(1A)가 무선 통신 연결되면 리모콘이 활성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더해, 사용자 단말기(3A)에서 무선 리모콘 기능을 적용할 설정 앱을 실행하는 경우에 리모콘이 활성화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3A)와 무선 리모콘 장치(1A)가 무선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기(3A)에서 설정 앱을 실행하는 경우에 리모콘이 활성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 S140 단계에서 판단결과, 리모콘이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1 기능(Default 1)을 수행(S150)할 수 있다.
제 1 기능의 예를 들면, 리모콘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거나, 실행된 앱이 무선 리모콘 기능을 적용할 설정 앱이 아니라는 것을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제 S140 단계에서 판단결과, 리모콘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 커서를 표시(S16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면에 설정 앱의 정보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커서(CA, CB, CC, CD)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적어도 하나의 커서(CA, CB, CC, CD)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70)할 수 있다.
제 S170 단계에서 판단결과, 어떤 커서(CA, CB, CC, CD)도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2 기능(Default 2)을 수행(S18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커서(CA, CB, CC, CD)가 선택될 때까지 대기하는 기능, 어떠한 커서(CA, CB, CC, CD)도 선택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기능 등일 수 있다.
반면에, 제 S17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적어도 하나의 커서(CA, CB, CC, CD)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커서(CA, CB, CC, CD)에 대응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해당 메뉴의 기능을 실행(S19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A 선택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A 선택버튼에 대응되는 A 커서(CA)에 대응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2의 (B)와 같이, A 커서(CA)에 대응되는 메뉴(화물 1)가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B 선택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B 선택버튼에 대응되는 B 커서(CB)에 대응되는 메뉴(캐치)를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커서의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한 커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고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간단한 방식으로 소정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의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충분히 안전하게 소정의 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위치 설정한 커서와 소정의 메뉴의 위치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커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3을 살펴보면, 화면상에 커서가 표시되면 커서가 선택 영역과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200)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영역은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에서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커서가 선택 영역과 매칭된다는 것은 커서가 소정의 메뉴와 매칭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제 S200 단계에서 판단결과, 커서가 선택 영역과 매칭되는 경우에는 제 S17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200 단계에서 판단결과 커서가 선택 영역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3A)의 제 2 제어부(300)의 선택 영역 판별부(301)가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상에서 선택 영역을 판별(S210)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사용자 단말기(3A)의 제 2 제어부(300)의 선택 영역 판별부(301)가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상에서 선택 영역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3A)의 제 2 제어부(300)가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커서의 위치가 선택 영역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S220)할 수 있다.
제 S220 단계에서 판단결과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커서의 위치가 선택 영역의 위치로부터 기준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3 기능(Default 3)을 수행(S23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기능은 메뉴를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는 기능일 수 있다.
반면에, 제 S220 단계에서 판단결과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커서의 위치가 선택 영역의 위치로부터 기준 거리이내인 경우에는 커서의 위치를 선택 영역과 매칭되도록(메뉴와 매칭되도록) 이동/조정(S24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선 도 22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A 선택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A 선택버튼에 대응되는 A 커서(CA)에 대응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아울러, A 커서(CA)에 대응되는 메뉴(화물 1)가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 캐치 메뉴, 거절 메뉴 및 보류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커서의 위치 정보와 메뉴의 위치 정보가 어긋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B 커서(CB)가 캐치 메뉴와 매칭되지 않고, C 커서(CC)가 거절 메뉴와 매칭되지 않고, D 커서(CD)가 보류 메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B 선택버튼, C 선택버튼, D 선택버튼 중 어떠한 선택버튼을 선택하더라도 해당 메뉴가 선택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도 25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B 커서(CB)의 위치가 캐치 메뉴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S1)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도 25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B 커서(CB)의 위치를 이동시켜 캐치 메뉴와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는, B 커서(CB)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C 커서(CC) 및 D 커서(CD)의 위치를 B 커서(CB)와 함께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무선 리모콘 장치(1A)의 기능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3A)에서 사용하는 앱의 종류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6을 살펴보면, 리모콘이 활성화된 상태(S140)에서 제 1 앱(First App)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300)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앱은 사용자가 무선 리모콘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 설정한 설정 앱일 수 있다.
제 S30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1 앱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 앱(Second App)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305)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앱도 제 1 앱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무선 리모콘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 설정한 설정 앱일 수 있다.
제 S305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2 앱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6 기능(Default 6)을 수행(S31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기능은 제 1 앱 및 제 2 앱이 아닌 다른 앱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일 수 있다.
제 S30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1 앱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제 1 앱에 대응하는 제 1 패턴(First Pattern)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3A)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를 표시(S301)할 수 있다.
또는, 제 S305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2 앱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제 2 앱에 대응하는 제 2 패턴(Second Pattern)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3A)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를 표시(S306)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턴 및/또는 제 2 패턴은 커서를 배열(표시)하는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의 (A)와 같은 패턴으로 A 커서(CA), B 커서(CB), C 커서(CC) 및 D 커서(CD)를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27의 (B), (C) 또는 (D)와 같은 패턴으로 A 커서(CA), B 커서(CB), C 커서(CC) 및 D 커서(CD)를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7의 (A)를 제 1 패턴, (B)를 제 2 패턴. (C)를 제 3 패턴, (D)를 제 4 패턴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7의 (A), (B), (C), (D)는 이해를 돕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앱이 실행되는 경우 도 27의 (A)와 같은 패턴(제 1 패턴)으로 화면에 커서를 배치하고, 제 2 앱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도 27의 (B)와 같은 패턴(제 2 패턴)으로 화면에 커서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실행되는 앱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적어도 하나의 커서를 배치하게 되면, 각각의 앱에서 적절한 위치에 커서를 배치하여 커서와 메뉴를 효과적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제 S301 단계에서 화면에 제 1 패턴에 대응하여 커서를 표시한 이후에 스크롤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302)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롤 명령은 사용자가 버튼부(220)의 제 2 버튼부(222)에 포함되는 스크롤 명령 입력용 방향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제 S302 단계에서 판단결과, 스크롤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4 기능(Default 4)을 수행(S304)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기능은 키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까지 대기하는 기능일 수 있다.
반면에, 제 S302 단계에서 판단결과, 스크롤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 1 거리에 대응하여 화면을 이동(S303)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8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A)의 디스플레이부(330)에 제 1 앱에 따른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롤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도 28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면을 제 1 거리(L1)만큼 스크롤(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 S306 단계에서 화면에 제 2 패턴에 대응하여 커서를 표시한 이후에 스크롤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307)할 수 있다.
제 S307 단계에서 판단결과, 스크롤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5 기능(Default 5)을 수행(S309)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기능은 키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까지 대기하는 기능일 수 있다.
반면에, 제 S307 단계에서 판단결과, 스크롤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 2 거리에 대응하여 화면을 이동(S308)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9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A)의 디스플레이부(330)에 제 2 앱에 따른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롤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도 29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면을 제 2 거리(L2)만큼 스크롤(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거리(L2)는 제 1 거리(L1)와 그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이처럼, 실행되는 앱에 따라 입력되는 스크롤 명령에 대응하여 다른 패턴으로 화면을 이동시키게 되면, 각각의 앱에서 적절한 길이만큼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어서 커서와 메뉴를 효과적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비설정 앱에서도 커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0을 살펴보면, 제 S305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2 앱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설정 앱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400)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앱이 아닌 앱을 통칭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무선 리모콘 기능을 적용하는 앱으로 미리 설정한 앱이 아닌 것을 비설정 앱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 있다.
제 S400 단계 판단결과, 비설정 앱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7 기능(Default 7)을 수행(S41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7 기능은 다른 앱이 실행되기까지 대기하는 기능이거나, 전원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 등일 수 있다.
반면에, 제 S400 단계 판단결과, 비설정 앱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선택 영역을 판별(S420)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3A)의 제 2 제어부(300)의 선택 영역 판별부(301)에서 비설정 앱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서 선택영역을 판별할 수 있다.
이후, 제 2 제어부(300)는 선택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S430)할 수 있다.
이후, 선택 영역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38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패턴 정보와 비교(S440)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앱에 대응하여 커서를 배치하는 패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확인한 선택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450)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패턴 정보가 된다는 것은 선택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패턴 정보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유사도보다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선택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패턴 정보가 대략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패턴 정보에 따라 커서를 화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선택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패턴 정보가 동일하지는 않으나 충분히 유사한 경우에도 해당 패턴 정보에 따라 커서를 화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커서와 메뉴와의 매칭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서의 위치 조정에 대해서는 앞선 도 23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제 S450 단계에서 판단결과 매칭되는 패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8 기능(Default 8)을 수행(S46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8 기능은 커서를 표시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는 기능 등일 수 있다.
반면에, 제 S450 단계에서 판단결과 매칭되는 패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패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A)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를 표시(S47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한 선택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앞선 도 27의 (A)와 동일하거나 충분히 유사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도 27의 (A)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커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선택 명령에 대응하여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거니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커서의 위치를 미리 설정하지 않은 앱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미리 설정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커서를 표시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제 5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1을 살펴보면, 화면에 커서를 표시(S160, S301, S306, S470)한 상태에서 중요콜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500)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콜은 화물 배송 앱, 승객 이송 앱 등의 앱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잡아야 하는 콜(요청)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중요콜은 금액, 거리, 위치, 시간대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배송, 화물 무게 10kg이하, 금액 30만원 이상에 대한 조건을 중요콜이 조건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위 조건에 매칭되는 조건의 콜이 수신되는 경우에 중요콜이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 S500 단계에서 판단결과 중요콜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9 기능(Default 9)을 수행(S51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9 기능은 중요콜이 아닌 일반콜을 수신하는 기능, 중요콜 수신을 위해 대기하는 기능을 예를 들 수 있다.
반면에, 제 S500 단계에서 판단결과 중요콜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3A)의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상에 중요콜의 수신을 알리는 알람을 표시(S520)할 수 있다.
이후, 아무 패턴 혹은 종류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530)할 수 있다.
제 S530 단계에서 판단결과 어떠한 선택 신호도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10 기능(Default 10)을 수행(S540)할 수 있다.
제 10 기능은 다른 콜의 수신을 대기하는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제 S530 단계에서 판단결과 아무 패턴 혹은 종류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콜을 캐치(S550)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버튼부(220)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그를 중요콜의 캐치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부(220)의 제 1 버튼부(221)의 A, B, C, D 선택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중요콜을 캐치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버튼부(220)의 제 1 버튼부(221)의 A 선택버튼과 B 선택버튼을 함께 선택하는 경우에도 해당 중요콜을 캐치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 2 버튼부(222)의 스크롤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 1 버튼부(221)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버튼과 제 2 버튼부(222)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버튼을 함께 선택하는 경우에도 해당 중요콜을 캐치할 수 있다.
이처럼, 중요콜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의 운전자가 아무 버튼이라도 선택하는 경우에 그 버튼의 종류, 패턴, 조합과는 관계없이 해당 중요콜을 캐치(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의 운전자는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중요콜을 캐치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모콘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무선 리모콘 장치(1AA)는 리모콘부(Remicon Part, 40) 및 리모콘부(40)를 지지하는 거치대부(Supporting Part, 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또 다른 무선 리모콘 장치(1AA)의 거치대부(30)는 앞서 설명한 무선 리모콘 장치(1A)의 거치대(10)에서 연결부(130)를 생략하면 사이즈를 다를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충분히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거치대부(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리모콘부(40)는 상부 커버부(200), 하부 커버부(400), 버튼부(220), 구동부(410), 배터리부(240) 및 위치 정보 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검출부에 대해서는 이후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또 다른 무선 리모콘 장치(1AA)의 리모콘부(40)는 앞서 설명한 무선 리모콘 장치(1A)의 리모콘부(20)에서 상부 커버부(200), 버튼부(220), 배터리부(240)와 비교하여 사이즈는 다를 수 있으나, 그 형태 및 기능이 대략 동일하거나 충분히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리모콘부(40)의 상부 커버부(200), 버튼부(220), 배터리부(2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커버부(200)는 하부 커버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커버부(200)와 하부 커버부(400)의 사이 공간에 버튼부(220), 구동부(230), 위치 정보 검출부(미도시), 배터리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커버부(200)와 하부 커버부(400)는 리모콘부(40)의 외곽을 이룰 수 있다.
리모콘부(40)는 거치대부(30)의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4 내지 도 37은 위치 정보 검출부와 하부 커버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하부 커버부(400)는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가 삽입될 수 있는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머리부(121)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제 1 홀(H1)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홀(H1)은 하부 커버부(400)의 밑면(Bottom Surface)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커버부(400)의 밑면에는 측벽(Side Wall, 401, 401a, 401b, 401c)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401, 401a, 401b, 401c)은 하부 커버부(400)의 밑면에서 상부 커버부(200)를 향해 제 3 방향(DR3)으로 돌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401, 401a, 401b, 401c)은 제 1 측벽(401a)과 제 2 측벽(40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측벽(401a)과 제 2 측벽(401b)은 서로 인접하며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수평방향(DRH, 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1 측벽(401a)의 단면의 진행방향은 제 2 측벽(401b)의 단면의 진행방향과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방향(DRH)제 1 측벽(401a)의 단면의 진향방향은 제 1 방향(DR1)이고, 제 2 측벽(401b)의 단면의 진행방향은 제 2 방향(DR2)일 수 있다.
측벽(401, 401a, 401b, 401c)은 제 3 측벽(40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측벽(401c)은 제 2 측벽(401b)과는 교차하고, 제 1 측벽(401a)과는 나란할 수 있다.
제 3 측벽(401c)은 하부 커버부(4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측벽(401, 401a, 401b, 401c)은 제 1 홀(H1)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측벽(401a), 제 2 측벽(401b) 및 제 3 측벽(401c)이 제 1 홀(H1)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가 제 1 홀(H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측벽(401, 401a, 401b, 401c)은 머리부(12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5를 살펴보면, 구동부(410)는 머리부(121)를 기준으로 리모콘부(40)의 피봇 및/또는 회전 등의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정보 검출부(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검출부(412)는 상부 커버부(200)와 하부 커버부(4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위치 정보 검출부(412)는 제 1 위치 정보 검출부(412a)와 제 2 위치 정보 검출부(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 정보 검출부(412a)는 리모콘부(40)의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위치 정보 중 X-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머리부(121)가 제 1 홀(H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위치 정보 검출부(412a)는 제 1 측벽(401a)과 머리부(12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측벽(401a)과 제 1 위치 정보 검출부(412a)의 사이에는 스프링부(40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제 1 위치 정보 검출부(412a)와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위치 정보 검출부(412b)는 리모콘부(40)의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위치 정보 중 Y-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머리부(121)가 제 1 홀(H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위치 정보 검출부(412b)는 제 2 측벽(401b)과 머리부(12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측벽(401b)과 제 2 위치 정보 검출부(412b)의 사이에도 스프링부(40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제 2 위치 정보 검출부(412b)와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머리부(121)가 제 1 홀(H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머리부(121)는 제 1 위치 정보 검출부(412a) 및 제 2 위치 정보 검출부(412b)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리모콘부(40)를 피봇 및/또는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위치 정보 검출부(412a) 및 제 2 위치 정보 검출부(412b)의 관점에서는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가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제 1 위치 정보 검출부(412a)와 제 2 위치 정보 검출부(412b)는 머리부(121)의 회전에 따른 커서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한 정보(X-좌표, Y-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35에서는 제 1 위치 정보 검출부(412a)와 제 2 위치 정보 검출부(412b)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제 1 위치 정보 검출부(412a)와 제 2 위치 정보 검출부(412b)가 검출한 위치 정보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라인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7을 살펴보면, 하부 커버부(400)는 진입 방지벽(Anti-Intrusion Wall, 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입 방지벽(410)은 제 1 홀(H1)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입 방지벽(410)은 제 1 홀(H1)의 상부에서 제 3 방향(DR3)으로 머리부(121)의 과도한 진입을 막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진입 방지벽(410)은 하부 커버부(400)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 등의 제 3 체결수단(FM3)이 진입 방지벽(410)과 하부 커버부(400)의 밑면을 체결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커버부(400)의 하부에는 볼마운트부(120)를 향해 돌출부되는 돌출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420)를 이하에서는 제 2 돌출부(420)라고 칭할 수 있다.
이처럼, 하부 커버부(400)에 제 2 돌출부(420)가 형성된 경우에는 제 1 홀(H1)은 제 2 돌출부(4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돌출부(420)는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돌출부(420)의 돌출 높이(Z1)는 적어도 도 3에서 설명한 식별부호 103의 돌출부의 높이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처럼, 원통 형태의 제 2 돌출부(420)가 하부 커버부(400)의 하부에 형성된 경우에는 보다 용이하게 리모콘부(40)를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리모콘부(40)를 머리부(121)에 용이하게 연결하고 또한 용이하게 탈착시키기 위해서 하부 커버부(400)에 탄성을 갖는 탄성부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8 내지 도 41은 탄성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8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부(40)는 제 1 홀(H1)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탄성부(Elastic Part, 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430)는 실리콘 재질, 수지 재질 등 충분한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430)의 연성은 하부 커버부(400)의 연성보다 더 클 수 있다.
탄성부(430)는, 도 38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링(Ring)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부(430)는 제 2 돌출부(420)의 내측면에 끼워질 수 있다.
탄성부(430)를 안정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제 2 돌출부(420)의 내측면에는 내측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홈(421)은 제 2 돌출부(420)의 내측면을 두르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430)는 내측홈(421)에 끼워질 수 있다.
탄성부(430)의 외직경(R1)은 제 1 홀(H1)의 직경(R3)보다는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머리부(121)가 제 1 홀(H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430)의 내직경(R2)은 머리부(121)의 직경(W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리모콘부(40)가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리모콘부(40)는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피봇 및/또는 회전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리모콘부(40)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앞선 도 15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한편, 리모콘부(40)를 볼마운트부(12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면 리모콘부(40)의 제 1 홀(H1)에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를 충분히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는, 도 4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모콘부(40)가 머리부(121)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충분한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리모콘부(40)를 머리부(121)로부터 빼내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장치(1A)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부(40)는 연결캡(Connection Cap, 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캡(500)의 내측면에 탄성부(43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캡(500)의 내측에는 제 4 나사선(HX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돌출부(420)의 외측면에는 제 4 나사선(HX4)에 맞물리는 제 3 나사선(HX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나사선(HX3)과 제 4 나사선(HX4)이 맞물리도록 연결캡(500)을 회전시켜 리모콘부(40)의 제 2 돌출부(420)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캡(500)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연결캡(500)은 직경이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분(K1)과 직경이 거치대부(30)를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K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직경이 증가하는 부분(K2)의 내측면에 홈(501)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501)에 탄성부(430)가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탄성이 저하된 탄성부(430)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42는 또 다른 무선 리모콘 장치의 구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2를 살펴보면, 또 다른 무선 리모콘 장치(1AA)의 구동부(410)는 제 1 통신부(231), 제 1 인터페이스부(232), 제 1 스위치부(413), 제 1 메모리부(234), 제 3 제어부(411) 및 위치 정보 검출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구동부(41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2에서는 앞선 도 17과 비교하여 그 내용이 동일하거나 충분히 유사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위치 정보 검출부(412)는 볼마운트부(120)의 머리부(121)를 기준으로 리모콘부(40)의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X-좌표, Y-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 검출부(412)는 제 1 위치 정보 검출부(412a) 및 제 2 위치 정보 검출부(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 검출부(412)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위치 정보 검출부(412)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통신부(231)는 제 3 제어부(41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A)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통신부(231)는 제 3 제어부(41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키 선택 신호, 스크롤 신호 등의 다양한 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3A)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통신부(231)는 제 3 제어부(411)의 제어에 따라 위치 정보 검출부(412)가 검출한 커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A)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부(413)는 제 3 제어부(41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선택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스위치부(413)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제어부(411)는 구동부(410)의 전반적인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3 제어부(411)는 또 다른 무선 리모콘 장치(1AA)에서 무선 리모콘 기능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 3 제어부(411)는 사용자의 키 선택 신호의 제어신호로의 변환을 제어하고, 아울러 사용자의 키 선택 신호의 사용자 단말기(3A)로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제어부(411)는 리모콘부(4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커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의 검출, 검출한 커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의 사용자 단말기(3A)로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또 다른 무선 리모콘 장치(1AA)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3을 살펴보면, 무선 리모콘을 수행하기 위한 앱(무선 리모콘 앱)을 실행(S110)한 이후에 리모콘이 활성화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600)할 수 있다.
리모콘의 활성화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리모콘의 활성화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S600 단계에서 판단결과, 리모콘이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11 기능(Default 11)을 수행(S610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기능은 리모콘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거나, 실행된 앱이 무선 리모콘 기능을 적용할 설정 앱이 아니라는 것을 알리는 기능 등이 가능하다.
반면에, 제 S600 단계에서 판단결과, 리모콘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 커서를 표시(S62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 하나의 커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커서에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630)할 수 있다.
제 S630 단계에서 판단결과,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12 기능(Default 12)을 수행(S64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기능은 메뉴가 선택될 때까지 대기하는 기능 등이 가능하다.
반면에, 제 S630 단계에서 판단결과, 커서에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커서에 대응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해당 메뉴의 기능을 실행(S650)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무선 리모콘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 1 앱(First App)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앱에 대응하는 제 1 패턴(First Pattern)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앱과 다른 제 2 앱(Second App)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앱에 대응하는 제 2 패턴(Second Pattern)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롤(Scroll)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 1 거리에 대응하여 화면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거리와 다른 제 2 거리에 대응하여 화면을 이동시키는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커서의 위치는
    상기 제 2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커서의 위치와 다른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모콘 장치는
    리모콘부(Remicon Part); 및
    상기 리모콘부를 지지하는 거치대부(Support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부는
    상기 상부 커버부와 상기 하부 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버튼(Button)을 포함하는 버튼부(Button Part); 및
    상기 버튼부의 선택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Communicat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커서에 대응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실행하는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커서와 메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커서와 상기 메뉴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KR1020200172740A 2020-12-10 2020-12-10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20220082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40A KR20220082650A (ko) 2020-12-10 2020-12-10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40A KR20220082650A (ko) 2020-12-10 2020-12-10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650A true KR20220082650A (ko) 2022-06-17

Family

ID=8226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740A KR20220082650A (ko) 2020-12-10 2020-12-10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265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422A (ko) 2015-04-08 2016-10-18 이창훈 오토바이용 핸들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리모트 컨트롤러
KR20170129021A (ko) 2016-05-16 2017-11-24 최형근 이륜차용 스마트폰 터치 리모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422A (ko) 2015-04-08 2016-10-18 이창훈 오토바이용 핸들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리모트 컨트롤러
KR20170129021A (ko) 2016-05-16 2017-11-24 최형근 이륜차용 스마트폰 터치 리모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8422B2 (en) Method for locating a vehicle
KR101866272B1 (ko) 그립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EP3092559B1 (en) Presenting and interacting with audio-visual content in a vehicle
EP2712152B1 (en) Method and Device
US9501292B2 (en) Automatic sleep mode prevention of mobile device in car holder
EP2693720B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nd in-vehicle apparatus
JP6678382B2 (ja) 車両用の携帯端末操作システム
JP6308944B2 (ja) 車両用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64114B1 (ko)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JP5585545B2 (ja) 近距離通信システム、車両用機器および携帯通信端末
EP3092563A2 (en) Presenting and interacting with audio-visual content in a vehicle
US20230185298A1 (en) Activating an Automated Parking Maneuver by Way of an Activation Movement Carried Out by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96718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media apparatus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for portable apparatus
US2019011413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displays and control method
CN105556424A (zh) 运行机动车多个显示装置的方法和系统及有该系统的机动车
US20130176100A1 (en) Automated electronic device network pairing based on electric field coupling
US7200765B2 (en) Docking station for a wireless mouse with control of a computer
KR102324700B1 (ko)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20220082650A (ko)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102429600B1 (ko) 차량용 에이브이엔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4840243B2 (ja) 車載用ポータブルナビゲータ
JP2012208053A (ja) アプリ制御システム
CN101408798A (zh) 多媒体装置
US99656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unlocking of portable terminal
KR102332055B1 (ko)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