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422A - 오토바이용 핸들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리모트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용 핸들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리모트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422A
KR20160120422A KR1020150049380A KR20150049380A KR20160120422A KR 20160120422 A KR20160120422 A KR 20160120422A KR 1020150049380 A KR1020150049380 A KR 1020150049380A KR 20150049380 A KR20150049380 A KR 20150049380A KR 20160120422 A KR20160120422 A KR 20160120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otorbike
smart device
remote controller
motor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102015004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422A/ko
Publication of KR2016012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14Handlebar constructions, or arrangements of controls thereon,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오토바이용 핸들 및 이와 유사한 형태의 핸들 사용에서 기존의 그립부를 탈거하여 대체 장착가능하며, 여기에 버튼과 유무선을 통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을 갖추어 주행 중에도 핸들에서 손을 놓지 않고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안.

Description

오토바이용 핸들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리모트 컨트롤러{Smart Device Remote Controller on Motorbike Handle}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포함한 무선통신기능을 통하여 휴대폰 및 기타 부가물을 제어하는 기술을 포함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토바이용 핸들에서 손을 감아지는 그립(Grip)부를 대체하여 주행에 있어 손을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떼지 않고서도 자유롭게 휴대폰과 기타 전자제품을 제어하는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블루투스를 활용하여 무선통신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주행 중에도 자유롭게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폰, 기타 전자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특허문헌 2에서와 같이 주행 중에 가장 손이 많이 머무르는 핸들의 스위치 장착 장치를 기반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특히, 근거리무선통신의 발달과 휴대폰 및 전자제품의 발달을 통해 그 영역이 무선으로, 다양한 기기로 발전해가고 있다.
KR 100602346 A KR 101307708 A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갈수록 증가하고, 이를 기반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용도가 증가하고 일상생활에 있어서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가 형성되었다.
이처럼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활용도 때문에 운전 중에도 사용할 필요성이 증대되지만 관련 법규와 안전의 문제로 인해 사용에 제약이 있어 다양한 형태로 조작성을 개선하고 안전에 저해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부가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미 자동차 업계에서는 자동차 자체가 스마트 기기화되어 운전 중에서 핸들의 스위치를 가볍게 조작하여 전화받기와 걸기, 음량제어, 기타 멀티미디어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최근에 들어서 오토바이쪽에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오토바이계에서의 흐름은 대부분 헬멧 장착형을 고수하고 있으며 유선제품들이 많다. 이는 설치 측면에서의 비용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으며, 범용적이지 않고, 특히 핸들에서 손을 떼어야 한다는 점에서 안전에 잠재적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기존의 핸들부에서 좌측에서는 주행 자체에 영향을 주는 기능은 클러치 제어라는 점에서 손의 활용도가 낮다는 점을 근거하여 기존에도 오토바이 자체의 대다수 제어 기능들이 밀집해있다는 점을 짚고 갈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핸들부에서 손이 닿는 그립부는 장/탈착이 가능하고 교체가 가능하다는 점을 활용하여 본 발명을 제시한다.
기존의 좌측 그립부를 탈거하여 본 발명품을 장착하며, 본 발명품에는 아래 포함된 도면과 같이 펑션버튼(1a)과 조그다이얼(1b), 두개의 기능버튼(1d)를 추가하여 조합을 통해 총 8가지의 기능제어가 가능토록 제시한다.
이를 통해 무선으로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스마트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에 표준이 존재하고, 또한 핸들부의 형태가 표준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범용적인 활용도를 가질 수 있다.
기존의 형태들처럼 오토바이를 주행함에 있어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스마트기기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하여 쾌적한 스마트기기 사용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간편한 장착과 사용, 특히 사용상에 있어 두 손을 모두 핸들에 위치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핸들 좌측의 그립부를 대체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해당 그립부 안쪽 측면에 상하로 움직이는 조그 다이얼(1b)과 조그 다이얼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돌출부(1c), 돌출부 상하로 부착이된 버튼 2개(1d), 그리고 그립부 우중앙부에 설치된 펑션버튼(1a)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제품은 금속과 비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부분은 해당 과제물의 무선 결합방식이다. 기존의 스마트기기에서 가장 보편화된 무선통신규약은 블루투스로 꼽을 수 있으며, 해당 과제물의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토록 만들어야 한다.
또한 해당 과제물의 통신정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스마트 기기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과정을 통해서 모든 제어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기능의 사용은 펑션버튼(1a)를 통하여 활성화와 비활성화로 구분하여 두가지 조합을 만들 수 있으며, 각 조합은 조그 다이얼(1b)의 상하 움직임과 조그 다이얼의 돌출부(1c) 위 아래로 설치된 두 개의 버튼(1d)를 조작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제어기능은 프로그램화하여 기본적으로 전화받기, 전화걸기, 음악재생 및 정지, 음량제어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스마트기기에 추가적인 소프트웨어를 장착함으로써 이 설정을 더욱 극대화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 설정가능하다.
1a - 도면1상의 클릭이 가능한 긴 막대 형태의 버튼(펑션버튼)
1b - 도면1상의 위아래로 움직여서 선택이 가능한 조그 다이얼
1c - 도면1상의 조그 다이얼(1b)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돌출부
1d - 도면1상의 클릭이 가능한 둥근 모양의 버튼(기능버튼)

Claims (2)

  1. 핸들장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장치들에 있어서,
    오토바이용 핸들에 부착되어 다른 전자제품에 유/무선의 형태로 연결되어 제어할 수 있고 외부전원 또는 내부전원을 포함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형태.
  2. 제 1항에 있어서, 오토바이용 핸들과 유사한 형태를 지닌 자전거 등의 핸들에 응용 사용 가능한 형태.
KR1020150049380A 2015-04-08 2015-04-08 오토바이용 핸들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리모트 컨트롤러 KR20160120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380A KR20160120422A (ko) 2015-04-08 2015-04-08 오토바이용 핸들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리모트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380A KR20160120422A (ko) 2015-04-08 2015-04-08 오토바이용 핸들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리모트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422A true KR20160120422A (ko) 2016-10-18

Family

ID=5724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380A KR20160120422A (ko) 2015-04-08 2015-04-08 오토바이용 핸들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리모트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4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114B1 (ko) 2020-12-24 2021-06-11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102324700B1 (ko) 2020-12-24 2021-11-10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20220082650A (ko)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346B1 (ko) 2004-09-16 2006-07-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블루투스를 이용한 헬멧용 무선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07708B1 (ko) 2011-05-18 2013-09-11 (주)엘지하우시스 지능형 리모콘이 구비된 조향핸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346B1 (ko) 2004-09-16 2006-07-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블루투스를 이용한 헬멧용 무선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07708B1 (ko) 2011-05-18 2013-09-11 (주)엘지하우시스 지능형 리모콘이 구비된 조향핸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650A (ko)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102264114B1 (ko) 2020-12-24 2021-06-11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102324700B1 (ko) 2020-12-24 2021-11-10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무선 리모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6037B2 (en) Thumb switch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or electrical components and a control system operable via such a thumb switch
KR20160120422A (ko) 오토바이용 핸들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리모트 컨트롤러
WO2013103723A3 (en) Vehicle dashboard wireless display system
CN103840861A (zh) 一种带侧面控制按键的蓝牙指环在通信和遥控中的应用
KR20090081171A (ko) 무전통신이 가능한 헬멧형 핸즈프리 시스템
CN103996473A (zh) 一种马达电位器
CN203902443U (zh) 基于智能手表的汽车控制系统
EP4224327A3 (en) Cable chip system
JP2011050034A (ja) 携帯式電子装置
JP3184671U (ja) マッサージ器
TW202146275A (zh) 智能車輛系統
CN104393897A (zh) 戴在大拇指上的智能蓝牙可穿戴设备
WO2017120197A3 (en)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CN203261386U (zh) 车用手套键盘
CN203093924U (zh) 车用外接设备控制装置
US20140207471A1 (en) Arrangement for facilitating selection and activation of a voice control system by a vehicle operator
KR20230087882A (ko) 블루투스 모듈 기반 스마트폰 버튼 악세서리를 통한 동작제어 시스템
KR10169368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hmd의 외부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3189431U (ja) 携帯式通信装置の投影式キーボード
CN102236504A (zh) 一种在移动终端的触控板上兼容五向键功能及操作方式
CN202979092U (zh) 一种儿童手机
KR20190058181A (ko) 자동차 키어플 시스템
KR101870080B1 (ko)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다기능 원격제어장치
KR20160146439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치알람 리모컨
CN201830327U (zh) 一种语音控制电话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