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399A -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399A
KR20220082399A KR1020200172277A KR20200172277A KR20220082399A KR 20220082399 A KR20220082399 A KR 20220082399A KR 1020200172277 A KR1020200172277 A KR 1020200172277A KR 20200172277 A KR20200172277 A KR 20200172277A KR 20220082399 A KR20220082399 A KR 20220082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lor
voltage
gamma
driving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0017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2399A/ko
Priority to CN202111485956.1A priority patent/CN114627790A/zh
Priority to US17/544,871 priority patent/US11508283B2/en
Publication of KR2022008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28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digital to analog [D/A] conversion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감마전압회로에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를 적용하고, 채널회로의 일부 구성을 공용화하여 데이터구동장치의 크기를 줄이는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DATA DRIVING DEVICE AND PANEL DRIVING METHOD OF DATA DRIVING DEVICE}
본 실시예는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데이터구동장치는 영상데이터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한다.
이러한 데이터구동장치는 영상데이터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감마기준전압을 생성한다.
기존의 데이터구동장치는 R(Red), G(Green), B(Blue)에 해당하는 감마전압회로를 각각 포함하기 때문에 데이터구동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 내에서 데이터구동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구동장치의 감마전압회로에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를 적용하고, 채널회로의 일부 구성을 공용화하여 데이터구동장치의 크기를 줄이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고,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는 감마전압회로; 및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1색상에 해당하는 제1색상데이터와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1데이터전압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2색상에 해당하는 제2색상데이터와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3색상에 해당하는 제3색상데이터와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채널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채널회로는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래치;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래치;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래치; 및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1래치로부터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1데이터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2래치로부터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3래치로부터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공용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감마전압회로는 제1기준전압을 입력받아서 최고버퍼링 전압을 출력하는 제1감마버퍼; 제2기준전압을 입력받아서 최저버퍼링 전압을 출력하는 제2감마버퍼;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는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 및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1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2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로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3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로 출력하는 분압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에 배치된 제1색상화소 및 제2색상화소와 상기 채널회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1색상화소와 상기 채널회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1데이터전압을 상기 제1색상화소로 입력시키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2색상화소와 상기 채널회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2데이터전압을 상기 제2색상화소로 입력시키는 멀티플랙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널회로는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는 공용 래치; 및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1데이터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공용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데이터구동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채널 단위로 분류되는 제1색상데이터들과 제1감마 설정값을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1감마 설정값을 이용하여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색상데이터들과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1데이터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데이터전압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1색상화소들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채널 단위로 분류되는 제2색상데이터들과 제2감마 설정값을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2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2감마 설정값을 이용하여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색상데이터들과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2데이터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일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2색상화소들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채널 단위로 분류되는 제3색상데이터들과 제3감마 설정값을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3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3감마 설정값을 이용하여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색상데이터들과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3데이터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일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3색상화소들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데이터구동장치는 채널회로를 다수 개 포함하고, 상기 채널회로는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는 공용 래치; 및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1데이터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공용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감마전압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는 제1기준전압을 입력받아서 최고버퍼링 전압을 출력하는 제1감마버퍼; 제2기준전압을 입력받아서 최저버퍼링 전압을 출력하는 제2감마버퍼;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는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 및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1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2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로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3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로 출력하는 분압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색상화소들에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구동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제1색상화소들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구동장치의 감마전압회로에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를 적용하고, 채널회로의 일부 구성을 공용화하기 때문에 데이터구동장치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데이터구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가 색상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가 데이터전압을 색상별로 생성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에 공급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하는 패널구동장치(125, 14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라인(GL) 이 배치되고, 다수의 화소(P)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화소(P)는 다수의 수평라인(Row)과 다수의 수직라인(Column)으로 구성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구동하는 장치들(125, 140, 150)이 패널구동장치로 호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구동회로(120)와 감마전압회로(130)를 포함한 데이터구동장치(125), 게이트구동장치(140), 데이터처리장치(150) 등이 패널구동장치로 호칭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장치(125, 140, 150)가 패널구동장치로 호칭될 수 있고, 전체 혹은 다수의 장치가 패널구동장치로 호칭될 수도 있다.
패널구동장치에서, 게이트구동장치(140)는 턴온전압 혹은 턴오프전압의 스캔신호를 게이트라인(GL)으로 공급할 수 있다. 턴온전압의 스캔신호가 화소(P)로 공급되면 해당 화소(P)는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되고 턴오프전압의 스캔신호가 화소(P)로 공급되면 해당 화소(P)와 데이터라인(DL)의 연결은 해제된다.
여기서, 게이트구동장치(140)는 게이트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로 호칭되는 게이트구동회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패널구동장치에서 데이터구동장치(125)는 데이터구동회로(120)와 감마전압회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회로(120)는 채널회로(122)에서 데이터전압을 생성하고, 데이터라인(DL)으로 데이터전압(V_GMA)을 공급한다. 데이터라인(DL)으로 공급된 데이터전압(V_GMA)은 스캔신호에 따라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된 화소(P)로 공급된다. 여기서, 화소(P)는 제1색상화소, 제2색상화소, 제3색상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전압(V_GMA)은 제1색상화소로 공급되는 제1데이터전압, 제2색상화소로 공급되는 제2데이터전압, 제3색상화소로 공급되는 제3데이터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색상화소는 R(Red)화소, 제2색상화소는 G(Green)화소, 제3색상화소는 B(Blue)화소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구동회로(120)는 채널회로(122)를 다수 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125)는 데이터구동회로(120)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감마전압회로(130)는 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해서 데이터구동회로(120)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감마전압회로(13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수평구동기간마다 각기 다른 색상에 대응하는 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해서 데이터구동회로(12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감마전압회로(130)는 각기 다른 색상에 따라 감마기준전압들을 가변하는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구동장치에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게이트구동장치(140) 및 데이터구동장치(125)로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5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이 시작되도록 하는 게이트제어신호(GCS)를 생성하여 게이트구동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외부 장치에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RGB)를 데이터구동장치(125)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한 영상데이터(RGB')를 데이터구동장치(125)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각 타이밍에 맞게 데이터구동장치(125)가 각 화소(P)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제어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luse), 소스 쉬프트 클럭(SSC: Source Shift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SOE:Source Output Enable)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 수평라인(Row)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RGB')를 데이터구동장치(125)에 전송할 때에 다수의 수평구동기간에 나눠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수평구동기간마다 상이한 감마 설정값을 데이터구동장치(125)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수평라인(Row)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RG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채널 단위로 분류되는 제1색상데이터들, 제2색상데이터들, 제3색상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제1수평구동기간(1H)에 제1색상데이터들과 제1감마 설정값을 데이터구동장치(125)에 전송하고, 제2수평구동기간(2H)에 제2색상데이터들과 제2감마 설정값을 데이터구동장치(125)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수평구동기간(3H)에 제3색상데이터들과 제3감마 설정값을 데이터구동장치(125)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감마 설정값은 감마전압회로(130)가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기 위한 설정값이고, 제2감마 설정값은 감마전압회로(130)가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기 위한 설정값일 수 있다. 그리고 제3감마 설정값은 감마전압회로(130)가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기 위한 설정값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데이터처리회로(150)는 타이밍컨트롤러로 호칭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데이터구동장치(200)에서는 도 2와 같이 감마전압회로(220)에 다수의 색상(예를 들어, 도2의 R,G,B)에 대응하는 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가 각각 존재하였다. 그리고 채널회로(210)에도 제1색상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 제2색상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 제3색상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도 각각 존재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데이터구동장치(200)는 크기가 크고, 제조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구동장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감마전압회로에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를 적용하고, 채널회로의 일부 구성을 공용화한다. 데이터구동장치(125)에서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전압을 생성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125)는 감마전압회로(130) 및 채널회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회로(122)는 도 1과 같이 데이터구동회로(120)에 포함된다.
감마전압회로(130)는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고,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할 수도 있다.
제1수평구동기간에, 감마전압회로(130)는 데이터처리장치(150)가 전송한 제1감마 설정값에 따라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제2수평구동기간에, 감마전압회로(130)는 데이터처리장치(150)가 전송한 제2감마 설정값에 따라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제3수평구동기간에, 감마전압회로(130)는 데이터처리장치(150)가 전송한 제3감마 설정값에 따라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감마전압회로(130)는 제1감마버퍼(312), 제2감마버퍼(314),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316) 및 분압회로(3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감마버퍼(312)는 제1기준전압(Vref1)을 입력받아서 최고버퍼링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2감마버퍼(314)는 제2기준전압(Vref2)을 입력받아서 최저버퍼링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기준전압(Vref1)과 제2기준전압(Vref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관리장치(미도시)에서 출력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316)는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316)는 최고버퍼링 전압과 최저버퍼링 전압을 다수의 분기 전압으로 분압하는 저항 스트링(미도시), 다수의 분기 전압을 디코딩하여 다수의 디코딩 전압을 출력하는 디코딩부(미도시), 다수의 디코딩 전압을 버퍼링하는 다수의 버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평구동기간에 디코딩부(미도시)는 제1감마 설정값에 따라 제1색상에 대응하는 다수의 디코딩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버퍼(미도시)는 제1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제2수평구동기간에 디코딩부(미도시)는 제2감마 설정값에 따라 제2색상에 대응하는 다수의 디코딩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버퍼(미도시)는 제2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제3수평구동기간에 디코딩부(미도시)는 제3감마 설정값에 따라 제3색상에 대응하는 다수의 디코딩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버퍼(미도시)는 제3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분압회로(318)는 저항 스트링, 즉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평구동기간에, 분압회로(318)는 최고버퍼링 전압, 최저버퍼링 전압 및 제1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제2수평구동기간에, 분압회로(318)는 최고버퍼링 전압, 최저버퍼링 전압 및 제2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제2감마기준전압들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수평구동기간에, 분압회로(318)는 최고버퍼링 전압, 최저버퍼링 전압 및 제3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제3감마기준전압들로 출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전압회로(130)는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316)를 포함하기 때문에 기존의 감마전압회로(220)에 비해 버퍼의 개수, 저항 스트링의 개수, 배선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전압회로(130)는 수평구동기간마다 감마기준전압들을 가변해서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고,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서 채널회로(122)는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제1색상에 해당하는 제1색상데이터와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1데이터전압 출력하고,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제2색상에 해당하는 제2색상데이터와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회로(122)는 제1래치(322-1), 제2래치(322-2), 공용 DAC(324), 출력 버퍼(3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회로(122)는 제3래치(3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치(322-1)는 제1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제1수평구동기간에 제1색상데이터를 공용 DAC(324) 측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색상데이터는 데이터구동장치(125)가 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수신한 제1색상데이터들 중에서 일 채널의 색상데이터일 수 있다.
제2래치(322-2)는 제2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제2수평구동기간에 제2색상데이터를 공용DAC(324) 측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색상데이터는 데이터구동장치(125)가 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수신한 제2색상데이터들 중에서 일 채널의 색상데이터일 수 있다.
제3래치(322-3)는 제3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제3수평구동기간에 제3색상데이터를 공용 DAC(324) 측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색상데이터는 데이터구동장치(125)가 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수신한 제3색상데이터들 중에서 일 채널의 색상데이터일 수 있다.
공용 DAC(324)는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제1래치(322-1)로부터 제1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감마전압회로(130)로부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제1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제2래치(322-2)로부터 제2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감마전압회로(130)로부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채널회로(122)가 제3래치(322-3)를 더 포함하는 경우, 공용 DAC(324)는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제3래치(322-3)로부터 제3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1수평구동기간에, 공용 DAC(324)는 제1색상데이터에 따라 제1감마기준전압들 중 하나의 감마기준전압을 선택해서 제1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2수평구동기간에, 공용 DAC(324)는 제2색상데이터에 따라 제2감마기준전압들 중 하나의 감마기준전압을 선택해서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3수평구동기간에, 공용 DAC(324)는 제3색상데이터에 따라 제3감마기준전압들 중 하나의 감마기준전압을 선택해서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회로(122)는 하나의 공용 DAC(324)에서 수평구동기간마다 상이한 데이터전압을 출력하기 때문에 기존의 감마전압회로(220)에 비해 DAC의 개수와 배선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채널회로(122)는 래치를 공용화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회로(122)에서 제1래치(322-1), 제2래치(322-2), 제3래치(322-3)는 도 4와 같이 하나의 공용 래치(410)로 대체될 수도 있다.
공용 래치(410)는 제1수평구동기간에 제1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공용 DAC(324) 측으로 출력하고, 제2수평구동기간에 제2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공용 DAC(324) 측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공용 래치(410)는 제3수평구동기간에 제3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공용 DAC(324) 측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공용 DAC(324)는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공용 래치(410)로부터 제1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감마전압회로(130)로부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제1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2수평구동기간에, 공용 DAC(324)는 공용 래치(410)로부터 제2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감마전압회로(130)로부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3수평구동기간에, 공용 DAC(324)는 공용 래치(410)로부터 제3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감마전압회로(130)로부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출력 버퍼(326)는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제1데이터전압을 버퍼링해서 멀티플랙서(124) 측으로 출력하고,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제2데이터전압을 버퍼링해서 멀티플랙서(124) 측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제3데이터전압을 버퍼링해서 멀티플랙서(124)측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5)의 데이터구동회로(120)에 포함된 멀티플랙서(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치된 제1색상화소(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의 R), 제2색상화소(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의 G)와 채널회로(122), 제3색상화소(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의 B)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멀티플랙서(124)는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제1색상화소와 채널회로(122)를 연결하여 제1데이터전압을 제1색상화소로 입력시킬 수 있다.
제2수평구동기간에, 멀티플랙서(124)는 제2색상화소와 채널회로(122)를 연결하여 제2데이터전압을 제2색상화소로 입력시킬 수 있다.
제3수평구동기간에, 멀티플랙서(124)는 제3색상화소와 채널회로(122)를 연결하여 제3데이터전압을 제3색상화소로 입력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채널회로(122)의 동작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데이터구동장치(125)에 포함된 다수의 채널회로, 즉 데이터구동장치(125)의 데이터구동회로(120)에 포함된 다수의 채널회로의 동작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구동회로(120)는 다수의 채널회로(122-1 내지 122-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구동장치(125)는 감마전압회로(130)와 다수의 채널회로(122-1 내지 12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채널회로(122-1 내지 122-6)의 개수를 6개로 한정하였지만, 일 실시예를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채널회로(122-1 내지 122-6)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채널회로가 공용 래치(4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일 실시예를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공용 래치(410)가 아닌 제1래치(322-1), 제2래치(322-2), 제3래치(322-3)가 채널회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수평구동기간에, 데이터구동장치(125)는 도 6과 같이 제1색상데이터들(R1, R2, R3, R4, R5, R6)과 제1감마 설정값(C/T_1)을 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제1색상데이터들(R1, R2, R3, R4, R5, R6)과 제1감마 설정값(C/T_1)을 패킷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색상데이터들은 다수의 채널(Ch.1 내지 Ch.6) 각각의 제1색상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5)가 수신한 제1색상데이터들은 각 채널의 공용 래치로 분배되어 다수의 채널회로(122-1 내지 122-6)에서 각 채널의 제1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플랙서(124)는 다수의 채널회로(122-1 내지 122-6)와 각 채널의 제1색상화소를 연결하여 각 채널의 데이터전압을 각 채널의 제1색상화소로 입력시킬 수 있다.
제2수평구동기간에, 데이터구동장치(125)는 도 6과 같이 제2색상데이터들(G1, G2, G3, G4, G5, G6)과 제2감마 설정값(C/T_2)을 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제2색상데이터들(G1, G2, G3, G4, G5, G6)과 제2감마 설정값(C/T_2)을 패킷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색상데이터들은 다수의 채널(Ch.1 내지 Ch.6) 각각의 제2색상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5)가 수신한 제2색상데이터들은 각 채널의 공용 래치로 분배되어 다수의 채널회로(122-1 내지 122-6)에서 각 채널의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플랙서(124)는 다수의 채널회로(122-1 내지 122-6)와 각 채널의 제2색상화소를 연결하여 각 채널의 데이터전압을 각 채널의 제2색상화소로 입력시킬 수 있다.
제3수평구동기간에, 데이터구동장치(125)는 도 6과 같이 제3색상데이터들(B1, B2, B3, B4, B5, B6)과 제3감마 설정값(C/T_3)을 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제3색상데이터들(B1, B2, B3, B4, B5, B6)과 제3감마 설정값(C/T_3)을 패킷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색상데이터들은 다수의 채널(Ch.1 내지 Ch.6) 각각의 제3색상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5)가 수신한 제3색상데이터들은 각 채널의 공용 래치로 분배되어 다수의 채널회로(122-1 내지 122-6)에서 각 채널의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플랙서(124)는 다수의 채널회로(122-1 내지 122-6)와 각 채널의 제3색상화소를 연결하여 각 채널의 데이터전압을 각 채널의 제3색상화소로 입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수평구동기간(1H)에, 데이터구동장치(125)는 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수신하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에 따라 도 7과 같이 멀티플랙서(124)의 스위칭을 제어해서, 제1데이터전압들을 제1색상화소들에 공급할 수 있다.
제2수평구동기간(2H)에,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에 따라 도 7과 같이 멀티플랙서(124)의 스위칭을 제어해서, 제2데이터전압들을 제2색상화소들에 공급할 수 있다.
제3수평구동기간(3H)에,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에 따라 도 7과 같이 멀티플랙서(124)의 스위칭을 제어해서, 제3데이터전압들을 제3색상화소들에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원이 입력되는 기간동안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위와 같은 구성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영상데이터를 온전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감마전압회로(130), 채널회로(122)를 포함한 데이터구동장치(125)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데이터구동장치(12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채널 단위로 분류되는 제1색상데이터들과 제1감마 설정값을 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810). 여기서, 제1색상데이터들이 채널 단위로 분류된다는 것은 도 6과 같이 제1색상데이터들이 다수의 채널 각각의 제1색상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수평구동기간에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제1감마 설정값을 이용하여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S820).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제1색상데이터들과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1데이터전압들을 생성하고, 제1데이터전압들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1색상화소들에 공급할 수 있다(S830, S840)
상기 단계 S840 이후에 데이터구동장치(12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채널 단위로 분류되는 제2색상데이터들과 제2감마 설정값을 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850).
제2수평구동기간에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제2감마 설정값을 이용하여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S860).
그리고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제2색상데이터들과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2데이터전압들을 생성하고, 제2데이터전압들을 일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2색상화소들에 공급할 수 있다(S870, S880).
상기 단계 S810에서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제1색상데이터들과 제1감마 설정값을 제1수평구동기간 이전에 수신하거나 제1수평구동기간 내에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단계 S850에서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제2색상데이터들과 제2감마 설정값을 제2수평구동기간 이전에 수신하거나 제2수평구동기간 내에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880 이후에 데이터구동장치(12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채널 단위로 분류되는 제3색상데이터들과 제3감마 설정값을 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수평구동기간에 제3감마 설정값을 이용하여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고, 제3색상데이터들과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3데이터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구동장치(125)는 제3데이터전압들을 일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3색상화소들에 공급할 수 있다.

Claims (9)

  1.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고,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는 감마전압회로; 및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1색상에 해당하는 제1색상데이터와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1데이터전압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2색상에 해당하는 제2색상데이터와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3색상에 해당하는 제3색상데이터와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채널회로
    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회로는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래치;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래치;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래치; 및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1래치로부터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1데이터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2래치로부터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3래치로부터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공용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전압회로는
    제1기준전압을 입력받아서 최고버퍼링 전압을 출력하는 제1감마버퍼;
    제2기준전압을 입력받아서 최저버퍼링 전압을 출력하는 제2감마버퍼;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는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 및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1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2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로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3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로 출력하는 분압회로
    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에 배치된 제1색상화소 및 제2색상화소와 상기 채널회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1색상화소와 상기 채널회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1데이터전압을 상기 제1색상화소로 입력시키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2색상화소와 상기 채널회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2데이터전압을 상기 제2색상화소로 입력시키는 멀티플랙서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회로는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는 공용 래치; 및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1데이터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공용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
  6. 데이터구동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채널 단위로 분류되는 제1색상데이터들과 제1감마 설정값을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1감마 설정값을 이용하여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색상데이터들과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1데이터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데이터전압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1색상화소들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채널 단위로 분류되는 제2색상데이터들과 제2감마 설정값을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2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2감마 설정값을 이용하여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색상데이터들과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2데이터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일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2색상화소들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채널 단위로 분류되는 제3색상데이터들과 제3감마 설정값을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3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3감마 설정값을 이용하여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색상데이터들과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제3데이터전압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일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3색상화소들에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구동장치는 채널회로를 다수 개 포함하고,
    상기 채널회로는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는 공용 래치; 및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1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1데이터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2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공용 래치로부터 상기 제3색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로부터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3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공용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구동장치는 감마전압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감마전압회로는 제1기준전압을 입력받아서 최고버퍼링 전압을 출력하는 제1감마버퍼;
    제2기준전압을 입력받아서 최저버퍼링 전압을 출력하는 제2감마버퍼;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1색상에 대응하는 제1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2색상에 대응하는 제2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제3색상에 대응하는 제3버퍼링 전압들을 출력하는 프로그래머블 감마회로; 및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1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1감마기준전압들을 출력하고, 상기 제2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2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2감마기준전압들로 출력하며, 상기 제3수평구동기간에는 상기 최고버퍼링 전압, 상기 최저버퍼링 전압 및 상기 제3버퍼링 전압들을 분압해서 상기 제3감마기준전압들로 출력하는 분압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화소들에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구동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데이터전압들을 상기 제1색상화소들에 공급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
KR1020200172277A 2020-12-10 2020-12-10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 KR20220082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277A KR20220082399A (ko) 2020-12-10 2020-12-10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
CN202111485956.1A CN114627790A (zh) 2020-12-10 2021-12-07 数据驱动装置及数据驱动装置的面板驱动方法
US17/544,871 US11508283B2 (en) 2020-12-10 2021-12-07 Data driving device and panel driving method of data driv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277A KR20220082399A (ko) 2020-12-10 2020-12-10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399A true KR20220082399A (ko) 2022-06-17

Family

ID=8189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277A KR20220082399A (ko) 2020-12-10 2020-12-10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08283B2 (ko)
KR (1) KR20220082399A (ko)
CN (1) CN114627790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041B1 (ko) 2005-01-18 200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소스구동 방법
KR101585683B1 (ko) 2009-07-14 2016-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10075158A (ko)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기준전압 생성회로
KR102013381B1 (ko) 2012-08-28 2019-08-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마기준전압 발생회로 및 그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US9099026B2 (en) * 2012-09-27 2015-08-04 Lapis Semiconductor Co., Ltd. Source driver IC chip
KR101603297B1 (ko) 2014-09-02 2016-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구동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27790A (zh) 2022-06-14
US20220189374A1 (en) 2022-06-16
US11508283B2 (en)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3145B2 (en) Pixel structure,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35514B1 (ko) 표시 패널 드라이버
US7486303B2 (en) Circuit for adjusting gray-scale voltages of a self-emitting display device
US8698720B2 (en) Display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09021924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river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KR101228654B1 (ko) 표시장치
JP2003177722A (ja) 表示装置
KR20060130231A (ko) 감마 보정 회로, 표시 패널 및 그것들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KR20120085076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데이터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488505B2 (en) Data driving device and gamma voltage circuit for driving pixels arranged in display
US11094287B2 (en) Data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data driv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US20040104878A1 (en) Display device and its gamma correction method
KR201900264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방법
KR20220082399A (ko)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구동장치의 패널 구동 방법
JP6343138B2 (ja) Led表示装置
US20020135604A1 (en) Display drive circuit,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isplay panel, and display drive method
JP7422837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US70158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utput variation by sharing analog circuit characteristics
US7615932B2 (en) Reference current generating circuit, organic EL drive circuit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employing it
US11393406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10923034B2 (en) Driving system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356811B1 (ko) 엘시디 소스 드라이버
KR100638781B1 (ko) 액정 구동 회로
US20240071318A1 (en) Display driver and display device
KR100540566B1 (ko) 액정표시장치의 디지털아날로그변환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