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927A -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 - Google Patents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927A
KR20220081927A KR1020210173867A KR20210173867A KR20220081927A KR 20220081927 A KR20220081927 A KR 20220081927A KR 1020210173867 A KR1020210173867 A KR 1020210173867A KR 20210173867 A KR20210173867 A KR 20210173867A KR 20220081927 A KR20220081927 A KR 20220081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late
container
pump
air hol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준
Original Assignee
이형준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준,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형준
Publication of KR20220081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3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3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에 의하면, 용기 내부 흡입판 에어홀의 압력을 이용하여 액체를 토출시킬 수 있으며, 기존 용기들의 문제점인 잔류용량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용기의 변형, 절개 등의 과정에서 비위생적인 환경에 의한 세균증식을 방지하고,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추가 작업에 필요한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 {Pumped container with air hole suction plate}
본 발명은 펌프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펌프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성이 있는 액체를 보관하는 원형으로 된 용기의 단점 때문에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점성이 있는 샴푸나 로션 등의 점성을 가지고 있는 액체형 상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입장으로 볼 때, 샴푸를 사용함에 있어 유리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를 거꾸로 들어서 용기를 위아래로 흔들어 액체에 힘을 가해서 꺼내어 쓰거나, 펌프식 장치를 설치하여 압력을 이용한 방법으로 쓰거나, 튜브로 된 용기를 중앙 부분을 눌려서 압력을 이용하여 용기의 머리부분에 작은 구멍을 통해서 꺼내어 쓰는 형태로 되어있다.
편리한 장치지만 용기 속에 들어있는 샴푸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 마지막에 용기의 내부 표면에 붙어 있는 내용물을 꺼내어 쓸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이는 샴푸와 같이 점성을 가지고 있는 액체로 되어 있어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에어홀 방식의 흡입판을 용기 내부의 흡입관과 연결하여 용기에 남아있는 액체를 압력을 이용하여 다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등록특허 제200-03241890호 (2003.08.11)
본 고안의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추가적인 작업 없이 사용 중인 용기 그대로 편리하게 남아있는 액체를 사용하기 위함에 있다.
그로인해 추가적인 작업 없이 사용함에 있어 경제적인 효과와 물을 넣거나 구멍을 뚫는 등의 작업이 없으므로 기존의 펌프식 용기에서의 세균 증식 및 비위생적인 환경으로 인해 내용물의 변질 또는 신체적 손상을 야기 시키는 원인을 보완하여 더욱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사람이 직접 용기를 개방하여 잔여물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기존 펌프식 용기의 흡입관과 흡입판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편리성을 극대화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점성을 가지는 유체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상단면에 긁개부재(500)가 설치되는 가이드홀(110)이 관통형성된 본체용기(10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펌프(200); 상기 토출펌프(200)에 연결되어, 본체용기(100)의 내부에 관입된 흡입관(300); 상기 흡입관(30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용기(100)의 저면부에 거치되는 흡입판(400); 상기 가이드홀(11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본체용기(100)의 내벽에 밀착하게 배치되어, 상하이동되면서 본체용기(100)의 내벽에 묻어 있는 유체를 긁어 내리는 긁개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판(400)은 흡입판(40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펌프(200)를 통해 형성된 압력을 통해 유체를 상기 흡입관(300)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수의 에어홀(410)을 포함하고, 상기 긁개부재(500)는 가이드홀(110)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프레임(510)과, 상기 프레임(5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링 형태의 긁개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긁개부(530)는 그 외측이 아래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5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를 제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에 의하면, 용기 내부 흡입판 에어홀의 압력을 이용하여 액체를 토출시킬 수 있으며, 기존 용기들의 문제점인 잔류용량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용기의 변형, 절개 등의 과정에서 비위생적인 환경에 의한 세균증식을 방지하고,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추가 작업에 필요한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에 대한 도면으로서, 누름부를 누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에 대한 도면으로서, 누름부를 누른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흡입판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긁개부재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펌프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에 대한 도면으로서, 누름부를 누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에 대한 도면으로서, 누름부를 누른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흡입판에 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긁개부재에 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용기(100)와, 토출펌프(200)와, 흡입관(300)과, 흡입판(400)과, 긁개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용기(100)는 소정의 점성을 가지는 유체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상단면에 긁개부재(500)가 설치되는 가이드홀(110)이 관통형성된 부분이다.
여기서, 소정의 점성을 가지는 유체는 샴푸, 바디워시 등의 제품을 예로 들 수 있다.
토출펌프(200)에 대해 설명한다. 토출펌프(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이다.
흡입관(300)에 대해 설명한다. 흡입관(300)은 상기 토출펌프(200)에 연결되어, 본체용기(100)의 내부에 관입된 부분이다.
흡입판(400)에 대해 설명한다. 흡입판(400)은 상기 흡입관(30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용기(100)의 저면부에 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흡입판(400)은 흡입판(40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펌프(200)를 통해 형성된 압력을 통해 유체를 상기 흡입관(300)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수의 에어홀(4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긁개부재(500)에 대해 설명한다. 긁개부재(500)는 상기 가이드홀(11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본체용기(100)의 내벽에 밀착하게 배치되어, 상하이동되면서 본체용기(100)의 내벽에 묻어 있는 유체를 긁어 내리는 부분이다.
상기 긁개부재(500)는 가이드홀(110)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프레임(510)과, 상기 프레임(5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링 형태의 누름부(520)와, 상기 프레임(5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링 형태의 긁개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누름부(520)를 가압하여 긁개부(530)를 아래로 이동시켜서 본체용기(100)의 내벽에 묻어 있는 유체를 아래로 긁어 내리는 것이다.
상기 긁개부(530)는 그 외측이 아래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5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531)에 의해 유체를 아래로 잘 긁어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본체용기
110 : 가이드홀
200 : 토출펌프
300 : 흡입관
400 : 흡입판
410 : 에어홀
500 : 긁개부재
510 : 프레임
520 : 누름부
530 : 긁개부
531 : 연장부

Claims (1)

  1. 소정의 점성을 가지는 유체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상단면에 긁개부재(500)가 설치되는 가이드홀(110)이 관통형성된 본체용기(10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펌프(200);
    상기 토출펌프(200)에 연결되어, 본체용기(100)의 내부에 관입된 흡입관(300);
    상기 흡입관(30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용기(100)의 저면부에 거치되는 흡입판(400);
    상기 가이드홀(11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본체용기(100)의 내벽에 밀착하게 배치되어, 상하이동되면서 본체용기(100)의 내벽에 묻어 있는 유체를 긁어 내리는 긁개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판(400)은
    흡입판(40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펌프(200)를 통해 형성된 압력을 통해 유체를 상기 흡입관(300)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수의 에어홀(410)을 포함하고,

    상기 긁개부재(500)는
    가이드홀(110)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프레임(510)과,
    상기 프레임(5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링 형태의 긁개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긁개부(530)는
    그 외측이 아래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5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
KR1020210173867A 2020-12-09 2021-12-07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 KR202200819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15 2020-12-09
KR20200171215 2020-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927A true KR20220081927A (ko) 2022-06-16

Family

ID=8221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867A KR20220081927A (ko) 2020-12-09 2021-12-07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19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1890A (ja) 2002-02-20 2003-08-29 Tekusasu Kk 電子ペ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1890A (ja) 2002-02-20 2003-08-29 Tekusasu Kk 電子ペ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205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43098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FI88255C (fi) Anordning vid en oegondusch
US9938069B2 (en) Medical device sanitizer
KR20220081927A (ko)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
EP3535197B1 (en) Controlled pour bottle
WO1996003625A1 (en) Dosing cap for dispensing liquids from deformable containers
JP2016043227A (ja) 泡ソープ自動ディスペンサー
KR20200103340A (ko) 펌프식 액체 용기
KR101075887B1 (ko) 액체보관용기용 디스펜서
JP2013180762A (ja) ノズルキャップ付き容器
US644131A (en) Force-can.
KR20160062639A (ko) 절약형 용기
KR20220061428A (ko) 에어홀 방식 흡입판을 이용한 펌프식 용기
KR200468191Y1 (ko) 절약형 용기
JP6019584B2 (ja) チューブ容器
JP7203549B2 (ja) 吐出キャップ
JP6973912B2 (ja) 泡吐出容器
KR200372891Y1 (ko) 펌프식 화장품용기의 딥튜브 펌핑구조
JP5883666B2 (ja) カップ型容器
JP4676795B2 (ja) 高粘度液体用容器のスペーサー
JP6341589B2 (ja) 液体注出容器
KR200466076Y1 (ko) 흡입관 및 그것을 구비한 펌프식 용기
JP3188806U (ja) 液体容器のポンプ吸引管
JP5825958B2 (ja) 吐出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