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809A - Air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concrete laying area and the method of using it - Google Patents

Air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concrete laying area and the method of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809A
KR20220081809A KR1020200171708A KR20200171708A KR20220081809A KR 20220081809 A KR20220081809 A KR 20220081809A KR 1020200171708 A KR1020200171708 A KR 1020200171708A KR 20200171708 A KR20200171708 A KR 20200171708A KR 20220081809 A KR20220081809 A KR 20220081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ouring area
bulkhead
specific gravity
concrete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2480B1 (en
Inventor
나옥빈
서태석
김준형
임창근
한승철
김삼수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480B1/en
Publication of KR2022008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8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의해 격벽의 상부에 고정되고, 선형부재를 권취 또는 릴리즈하는 릴부 및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분을 가지는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며, 선형부재와 연결되어 릴부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격벽을 따라 승강하는 몸통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inside a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lkhead by a fixing part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lkhead dividing the concrete pouring area and a fixing part, and winding or releasing a linear member 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reel unit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a linear member and includes a body portion that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partition wall of the concrete pouring area by the reel unit.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포 제거 방법{AIR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CONCRETE LAYING AREA AND THE METHOD OF USING IT}Air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CONCRETE LAYING AREA AND THE METHOD OF USING I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포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air bubbles in a concrete pouring area and a method for removing air bubbles using the same.

콘크리트는 물과 반응하는 석고 성분을 포함하여 휴지기, 응결, 경화 단계를 거쳐 높은 경도를 가지는 구조체를 얻을 수 있는 건설 재료이다.Concrete is a construction material that includes a gypsum component that reacts with water and undergoes resting, coagulation, and hardening stages to obtain a structure with high hardness.

이러한 콘크리트의 경화는, 얻고자하는 구조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거푸집(Mold), 폼워크(Formwork) 등의 틀(격벽)을 준비하고, 틀 내부에는 유동성이 있는 상태의 콘크리트 몰탈을 채워 넣은 뒤,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방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To harden concrete, prepare a frame (partition wall) such as a mold or formwork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ructure to be obtained, and fill the inside of the frame with concrete mortar in a fluid state, This is done in a manner that is left to stand until curing is complete.

다만, 콘크리트의 경화 과정에서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내측면에 기포가 맺힌 상태로 경화가 이루어질 경우, 틀을 분리한 뒤 얻어지는 표면상에 기공이 형성되어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으며, 지속적인 침습 등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면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hardening with air bubbles forming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during the hardening process, por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btained after separating the mold, which is not good for aesthetic appearance, and continuous invasion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cracks may occur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6128호(출원일: 2009.06.26., 공고일: 2011.10.13.,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손잡이를 가지는 갈퀴 형상으로 마련되어 콘크리트 내부를 헤집어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As a part of preventing this problem,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56128 (application date: 2009.06.26., announcement: 2011.10.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n the shape of a rake having a handle. There has been disclosed a technology for removing air bubbles from the inside by break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crete.

하지만,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격벽의 상부 영역에서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격벽 방향으로 손을 뻗어 격벽 면에 맺힌 기포를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칫 작업자의 추락 위험이 발생할 수 있고, 격벽의 높이 또는 격벽의 설치 각도에 따라서 격벽 면 전체에 대한 기포 제거가 불가능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user extends his hand from the upper region of the bulkhead to the bulkhead of the concrete pouring area to remove the bubbles formed on the bulkhead surface, there may be a risk of falling of the operator, and the height of the bulkhead or th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ulkhea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may not be possible to remove air bubbles from the entire face of the bulkhea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최소화하고, 격벽의 높이 및 설치각도와 상관없이 격벽에 맺힌 기포 제거가 가능한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removing bubbles inside a concrete pouring area in which the bubbles formed on the bulkhead can be removed regardless of the height and installation angle of the bulkhead, and minimize the risk of falling of the work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격벽의 상부에 고정되고, 선형부재를 권취 또는 릴리즈하는 릴부; 및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분을 가지는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릴부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격벽을 따라 승강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상기 릴부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하부에서 상기 돌기부분이 상기 격벽과 접촉한 채로 상승하여 상기 돌기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격벽에 맺힌 기포를 상기 격벽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inside a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a bulkhead dividing a concrete pouring area; a reel part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by the fixing part and winding or releasing the linear member; and a body portion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linear member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partition wall of the concrete pouring area by the reel unit; The body part ris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area i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by the reel part while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bulkhead, so that the protrusion separates the bubbles formed on the bulkhead in the concrete pouring area from the bulkhead. .

여기서, 상기 몸통부의 비중은 상기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portion is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또는, 상기 몸통부의 비중은 상기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중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mall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또는, 상기 몸통부는 내부에 충전제를 수용하는 수용부분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분에 투입되는 충전제의 투입량에 따라 상기 몸통부의 비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body part has a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filler therein, an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par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filler injected into the receiving part.

그리고, 상기 돌기부분은 브러쉬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brush.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의 상부에 선형부재를 권취 또는 릴리즈하는 릴부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격벽의 설치각도에 따라 비중이 조절된 원통형상의 몸통부를 상기 선형부재에 연결시켜 상기 타설 영역 하부에 위치시키는 위치단계; 상기 타설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릴부에 의해 권취되어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된 상기 몸통부가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하부에서 상기 격벽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격벽에 맺힌 기포를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단계는 상기 릴부에 의해 상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분이 상기 격벽과 접촉한 상태로 상승하여, 상기 돌기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격벽에 맺힌 기포를 상기 격벽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removing air bubbles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step of fixing the reel for winding or releasing the linear memb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lkhead dividing the concrete pouring area; a positioning step of connecting a cylindrical body part whose specific gravit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partition wall to the linear member and positioning it below the pouring area; a pouring step of pouring concrete into the pouring area; and a removal step of removing air bubbles formed on the bulkhead while the linear member is wound by the reel unit and the body part connected to the linear member moves upward along the bulkhead from the lower part of the area i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In the removing step,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by the reel part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rise in contact with the bulkhead, so that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ulkhead of the concrete pouring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separating from the partition wall.

이때, 상기 위치단계는 상기 격벽이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바닥면과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며 설치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몸통부의 비중을 상기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중보다 크게 조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positioning step is a step of adjust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to be greater than that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only when the bulkhead is installed at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to the floor surface of the concrete pouring area. .

그리고, 상기 위치단계는 상기 격벽이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바닥면과 예각을 이루며 설치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몸통부의 비중을 상기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중보다 작게 조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ositioning step is a step of adjust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only when the bulkhead is install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pouring area.

또한, 상기 위치단계는 상기 격벽의 설치각도에 따라, 내부의 충전제가 수용되는 수용부분이 마련된 상기 몸통부의 수용부분에 투입되는 충전제의 투입량을 조절하여 상기 몸통부의 비중을 상기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중보다 크거나 작게 조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ositioning step,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is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by adjusting the amount of filler injected into the receiving part of the body where the receiving part in which the filler is accommodated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ulkhea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tep of adjusting the specific gravity to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specific gravity.

아울러, 상기 돌기부분은 브러쉬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brush.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는 릴부에 가해진 회전력에 의해 몸통부가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하부에서 격벽에 접촉된 채로 상승하여 격벽에 맺힌 기포를 제거시킴에 따라, 콘크리트의 경화 이후에 격벽과 접촉한 표면에 기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기포 제거를 위한 작업 난이도 또한 완화되어, 기포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ubble removal device in the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bubbles formed on the bulkhead by rising while the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bulkhead from the lower part of the concrete pouring area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reel. Whi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ores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ulkhead, the difficulty of the work for removing air bubbles is also allevia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for workers performing the work of removing air bubb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는 비중이 서로 다른 몸통부로 교체하거나 비중 변경이 가능한 몸통부를 통해서 격벽의 설치각도와 상관없이 격벽 내측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격벽에 맺힌 기포 제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ubble removal device in the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state of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ulkhea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ulkhead through a body part that can be replaced with a body part having a different specific gravity or whose specific gravity can be chang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설치된 격벽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에서 돌기부분을 포함하는 몸통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과 예각을 이루며 설치된 격벽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에서 몸통부의 연결부분과 수용부분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a concrete pouring area for a bulkhead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body including a protrusion in the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a concrete pouring area for a bulkhead install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the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for removing air bubbles in a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기술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bubble removal technology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In addition,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fo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The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referable not to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Bubble removal device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설치된 격벽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a concrete pouring area for a bulkhead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100), 고정부(110), 릴부(120) 및 로프 등의 선형부재(R)로 릴부(120)와 연결되는 몸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body part connected to the reel part 120 with a linear member R such as the bubble removing device 100, the fixing part 110, the reel part 120 and the rope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 130) may be included.

고정부(110)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격벽(W)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격벽(W)은 콘크리트(C)의 경화 외형을 결정하기 위해 벽 형상으로 설치되는 거푸집(Mould), 폼워크(Formwork) 등을 의미하며, 도 1에서와 같이, 고정부(110)는 후술할 릴부(120)를 격벽(W)의 상부 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프 등이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110 may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lkhead W installed for pouring concrete. Here, the bulkhead (W) means a mold, a formwork, etc. installed in a wall shape to determine the hardened outer shape of the concrete (C), and as shown in FIG. 1 , the fixing part 110 is In order to position the reel part 12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upper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W, at least one clamp or the like may be coupled thereto.

릴부(120)는 고정부(110)에 의해 격벽(W)의 상부에 고정되고, 핸들부분(122)의 조작에 따라 선형부재(R)를 권취 또는 릴리즈할 수 있다. 여기서 릴부(120)는 사용자가 핸들부분(12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부분(122)과 연결된 축이 핸들부분(122)과 함께 회전되고, 이때, 일 영역이 해당 축에 감긴 선형부재(R)가 축으로부터 풀어지거나 감기게 되어 후술할 몸통부(130)가 격벽(120)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이때, 릴부(120)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향하는 격벽(W) 내측 면에서 몸통부(130) 중심 사이거리(d1)보다 짧은 거리(d2)를 이루며 선형부재(R) 풀어내거나 감아낸다. 이러한 이유는 콘트리트(C)가 타설된 이후에 몸통부(130)가 격벽(W)과 최대한 밀착되어 상승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며, 이는 다시 말해 기포(A) 제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The reel part 120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W by the fixing part 110 , and the linear member R may be wound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part 122 . Here, in the reel unit 120,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portion 122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shaft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122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handle portion 122, and at this time, a region is wound around the shaft. The linear member R is released or wound from the shaft, so that the body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partition wall 120 . At this time, the reel part 120 forms a distance d2 shorter tha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centers of the body part 1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W facing the concrete pouring area, and unwinds or winds the linear member R. The reason for this is to induce the body 130 to rise in close contact with the bulkhead W as much as possible after the concrete C is poured, which in other word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ubble A removal efficiency. .

한편, 릴부(120)는 봉 형상의 감김부재(미도시)에 후술할 몸통부(130)에 연결된 선형부재(R)의 일 단부가 고정되어 감김부재(미도시)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선행부재(R)가 권치 또는 릴리즈 되고, 작업자가 핸들부분(122)을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선형부재(R)가 권취 또는 릴리즈 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릴부(120)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과 이를 조작하는 조작부재(미도시)를 포함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조작부재(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선형부재(R)를 권취 또는 릴리즈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작부재(미도시)는 릴부(120) 본체에 직접 마련되는 스위치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유선 컨트롤러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가 조작부재(미도시)를 조작하여 구동부재(미도시)를 회전 구동시켜 선형부재(R)가 권취 또는 릴리즈 하게 되면, 핸들부분(122)은 선형부재(R)의 권취 또는 릴리즈 방향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어, 작업자가 원거리에서 조작부재(미도시)를 통해 선형부재(R)를 권취 또는 릴리즈 시킬 때, 선형부재(R)의 권취 또는 릴리즈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부재(미도시)의 작동여부 또한 확인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el unit 120 is a rod-shaped winding member (not shown) with one end of a linear member (R) connected to the body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winding member (not shown). By this, the preceding member R is wound or released, and the linear member R can be wound or released by manually rotating the handle portion 122 by the operator. In addition, the reel unit 12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driv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motor and a manipulation member (not shown) for manipulating it, and by manipulating the manipulation member (not shown), a linear member (R) can be wound or released. In this case, the manipulation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witch provided directly on the body of the reel unit 120 ,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d controller connected through a cable in some cases. 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operates a manipulation member (not shown) to rotationally drive the driving member (not shown) so that the linear member R is wound or released, the handle portion 122 is wound or released of the linear member R. Since it can rotate together depending on the direction, when the operator winds up or releases the linear member (R) through the operation member (not shown) from a distance,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winding or release of the linear member (R) is Rather,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driving member (not shown) operate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에서 돌기부분을 포함하는 몸통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과 예각을 이루며 설치된 격벽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에서 몸통부의 연결부분과 수용부분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2 is a view showing a body including a protrusion in the bubble removing device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ulkhead install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briefly shows the bubble removing device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for Korea,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nnecting part and the receiving part of the body in the bubble removing device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몸통부(130)는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분(132)을 가지는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며, 선형부재(R)와 연결되어 릴부(120)에 의해 콘크리트(C) 타설 영역의 격벽(W)을 따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몸통부(130)는 릴부(120)에 의해 콘크리트(C)가 타설된 영역의 하부에서 돌기부분(132)이 격벽(W)과 접촉한 채로 상승하여 돌기부분(132)이 콘크리트(C) 타설 영역의 격벽(W)을 쓸어내어 격벽(W)에 맺힌 기포(A)를 격벽(W)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각 돌기부분(132)은 다수의 섬유체가 다발을 이루는 브러쉬 형태로 마련될 수 있어, 격벽(W)에 맺힌 기포가 돌기부분(132)의 브러쉬 형상 사이사이에 고정되어 격벽(W)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body 13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 portions 132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linear member R and connected to the reel portion 120 . ) can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bulkhead (W) of the concrete (C) pouring area. At this time, the body 130 ris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egion where the concrete C is poured by the reel unit 120 while the protrusion 132 is in contact with the bulkhead W, so that the protrusion 132 is formed from the concrete (C). ) By sweeping the bulkhead (W) of the pouring area, the bubbles (A) formed on the bulkhead (W) can be separated from the bulkhead (W). At this time, each protrusion 13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rush forming a bundle of a plurality of fibrous bodies, so that the air bubbles formed on the barrier rib W are fixed between the brush shapes of the protrusion 132 and are separated from the barrier rib W.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그리고, 몸통부(132)의 비중은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비중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몸통부(132)의 비중이 콘크리트(C)의 비중보다 클 경우, 릴부(120)의 조작에 의해 선형부분(R)이 감기면서 몸통부(130)가 상승하게 될 때, 몸통부(130)의 하중에 의해 돌기부분(132)이 격벽(W) 방향에 밀착되면서 격벽(W)에 ?셜? 기포(A)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몸통부(132)의 비중은 격벽(W)의 설치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몸통부(132)는 교체 가능한 형태로 선형부재(R)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portion 132 may be provided to be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rete (C) poured in the pouring area.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part 132 is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rete C, when the body part 130 rises while the linear part R is wound by the manipulation of the reel part 120, the body part 130 As the protrusion part 1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W) direction by the load of This is because the bubble A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part 132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partition wall (W). Therefore, the body portion 132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linear member (R) in a replaceable form.

만약, 도 3에서와 같이 격벽(W)의 설치각도가 예각을 이룰 경우,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비중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는 몸통부(130)에 선형부재(R)를 연결하고, 이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부력에 의해 콘크리트(C)의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타설 영역을 향하는 격벽(W) 내측면에 맺힌 기포(A)를 쓸어내어 기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If, as in FIG. 3, whe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ulkhead W is acute, the linear member R is connected to the body 130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the concrete C poured in the pouring area. , when concrete is poured afterwards,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bubbles by sweeping the bubbles (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W) facing the pouring area while rising upward by the buoyancy force (C).

이와 같이, 격벽(W)의 설치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는 몸통부(130)를 교체하는 것 외에도 도 4에서와 같이, 지면과 다양한 각도로 설치된 격벽(W)에 몸통부(130)를 밀착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후술할 수용부분(134) 및 연결부분(136)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돌기부분(132)을 삭제한 형태로 도시한 것이며,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4에 도시한 몸통부(130)는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분(132)이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져야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몸통부(130)는 내부에 충전제(F)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부분(136)이 마련되고, 별도의 뚜껑(미도시) 등을 통해 수용부분(136)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격벽(W)의 설치 각도에 따라 적정량의 충전제(F)를 수용부분(136)에 채워서 몸통부(130)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설치된 격벽(W)의 내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몸통부(130)의 양단에는 선형부재(R)의 일부가 권선된 형태로 연결되도록 선행부재(R)의 두께보다 큰 홈이 형성되어 선형부재(R)와 연결되는 연결부분(136)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분(136)은 타설 이전에 타설 영역 상에 몸통부(130)를 위치시킬 때, 선형부재(R)를 연결부분(136)의 홈에 일정 방향으로 감아두게 되면, 콘크리트(C)의 타설 이후에 핸들부분(122)을 조작하여 몸통부(130)를 끌어 올리게 되면, 몸통부(130)는 격벽(W)에 밀착된 상태로 격벽(W)을 따라 상승하면서 몸통부(130)의 하중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C)의 내부에서 돌기부분(132)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저항과 돌기부분(132)이 격벽(W)에 접촉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느리게 회전하게 되어, 선형부재(R)가 연결부분(136)에서 풀리는 속도 또한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분(136)에 선형부재(R)를 감는 방향에 따라서는 몸통부(130)가 격벽(W)을 따라 상승할 때, 돌기부분(132)이 격벽(W)을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쓸어내듯 몸통부(130)가 회전되면서 상승할 수 있게 되어, 몸통부(130)의 상승 높이 대비 기포(A)의 제거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선형부재(R)가 감기는 연결부분(136)의 홈의 형성 깊이는 선행부재(R)가 충분히 감길 수 있도록 선형부재(R)의 두께보다 적어도 두 배 이상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연결부분(136)의 홈이 이루는 폭 또한 선행부재(R)의 두께보다 적어도 두 배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in addition to replacing the body part 130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partition wall W, as shown in FIG. 4, the body part 130 is mounted on the partition wall W installed at various angles from the ground. It can also be attached. 4 is a view in which the protrusion part 132 is intentionally delet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part 134 and the connecting part 136 to be described later. Although not shown in FIG. 4, it is shown in FI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e body 13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body 130 shown in FIG. 4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36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ller F therein,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ceiving portion 136 through a separate lid (not shown) is possible. will be prepar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partition wall (W), an appropriate amount of filler (F) is fi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6) so that the body part 13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ed partition wall (W) at various angles. In addition, a groov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eceding member R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130 so that a part of the linear member R is connected in a wound shape, and a connection part 136 connected to the linear member R is formed. This can be provided. When the body part 130 is positioned on the pouring area before the connection part 136 is poured, the linear member R is wound in the groove of the connection part 136 in a certain direction, and the When the body part 130 is pulled up by manipulating the handle part 122 after pouring, the body part 130 rises along the partition wall W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W. rotated by the load. At this time, the rotational resistance generated by the protruding portion 132 in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C and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protruding portion 132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ulkhead W makes it rotate slowly, and the linear member R The speed of loosen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36 is also reduced. And,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ar member R is wound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136 , when the body 130 rises along the partition wall W, the protrusion part 132 moves the partition wall W from the bottom to the top. As the body part 130 is rotated as if sweeping it, it can ris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ability to remove air bubbles (A) compared to the height of the body part 130 rising.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of the groov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6 on which the linear member R is wound is formed to have a depth of at least twice the thickness of the linear member R so that the preceding member R can be sufficiently wound. And, the width formed by the groov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6 also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at least twice the thickness of the preceding member (R).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는 릴부에 가해진 회전력에 의해 몸통부가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하부에서 격벽에 접촉된 채로 상승하여 격벽에 맺힌 기포를 제거시킴에 따라, 콘크리트의 경화 이후에 격벽과 접촉한 표면에 기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기포 제거를 위한 작업난이도 또한 완화되어, 기포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bubble removing device in the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ises while the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bulkhead from the lower part of the concrete pouring area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reel to remove the bubbles formed on the bulkhead. Whi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ores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ulkhead after hardening, the operation difficulty for removing air bubbles is also alleviated,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for workers performing the air bubble removal 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는 비중이 서로 다른 몸통부로 교체하거나 비중 변경이 가능한 몸통부를 통해서 격벽의 설치각도와 상관없이 격벽 내측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격벽에 맺힌 기포 제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ubble removal device in the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state of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ulkhea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ulkhead through a body part that can be replaced with a body part having a different specific gravity or whose specific gravity can be chang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moved.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방법><How to remove air bubbles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for removing air bubbles in a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방법은 고정단계(S100), 위치단계(S200), 타설단계(S300) 및 제거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축약하도록 한다.1 to 5, the method for removing bubbles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step (S100), a positioning step (S200), a pouring step (S300) and removing It may include a step (S400).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are abbreviated for the sake of brevity of explanation.

고정단계(S100)는 콘크리트(C) 타설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W)의 상부에 핸들부분(122)의 조작에 의해 선형부재(R)를 권취 또는 릴리즈하는 릴부(120)를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릴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프 등이 결합된 형태로 마련되는 고정부(110)를 통해 격벽(W)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 fixing step (S100) is a step of fixing the reel unit 120 for winding or releasing the linear member R by manipulating the handle portion 122 on the upper part of the bulkhead W that divides the concrete (C) pouring area. . Here, the reel part 120 can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W through the fixing part 110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clamps are coupled.

위치단계(S200)는 격벽의 설치각도에 따라 비중이 조절된 원통형상의 몸통부(130)를 선형부재(R)에 연결시켜 콘크리트(C) 타설 영역 하부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격벽(W)이 콘크리트(C) 타설 영역의 바닥면과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며 설치된 경우에 한하여, 몸통부(130)의 비중을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비중보다 크게 조절하고, 격벽(W)이 콘크리트(C) 타설 영역의 바닥면과 예각을 이루며 설치된 경우에 한하여, 몸통부(130)의 비중을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중보다 작게 조절하는 단계이다. 만약, 몸통부(130)가 내부에 충전제(F)가 수용되는 수용부분(134)이 마련될 경우, 수용부분(134)에 투입되는 충전제(F)의 투입량을 조절하여 몸통부(130)의 비중을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비중보다 크거나 작게 조절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The positioning step (S200) is a step of connecting the cylindrical body 130 whose specific gravit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ulkhead to the linear member R to position it under the concrete (C) pouring area. In this step, only when the bulkhead W is installed at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C) pouring area,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13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crete (C)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It is a step of adjust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130 to be small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rete poured in the pouring area only when the bulkhead W is install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C) pouring area. If the body portion 130 is provid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134 in which the filler (F) is accommodated, the amount of the filler (F) injec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34 is adjusted to adjust the amount of the filler (F). It may be a step of adjusting the specific gravity to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rete (C) being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또한, 위치단계(S200)에서는 몸통부(130)의 연결부분(136)에 선형부재(R)를 감는 횟수(권선 횟수)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선형부재(R)의 권선 횟수는 격벽(W)의 높이, 격벽(W)의 설치각도와 타설될 콘크리트(C) 대비 몸통부(130)가 이루는 비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ositioning step S200, the number of windings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linear member R on the connecting portion 136 of the body 130 may be determined. ),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ulkhead W, an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130 compared to the concrete C to be poured may be determined.

타설단계(S300)는 타설 영역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이다.The pouring step (S300) is a step of pouring the concrete (C) in the pouring area.

제거단계(S400)는 핸들부분(122)의 조작에 의해 권취된 선형부재(R)를 따라 몸통부(130)가 콘크리트(C)가 타설된 영역의 하부에서 격벽(W)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격벽(W)에 맺힌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릴부(120)에 의해 몸통부(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분(132)이 격벽(W)과 접촉한 상태로 상승한다. 이때, 연결부분(136)에 감긴 선형부재(R)가 몸통부(130)의 상승과 함께 몸통부(130)의 자중 및 몸통부(130) 콘크리트(C) 내부에서 상승될 때 콘크리트(C)로부터 가해지는 저항에 의해 풀리면서, 몸통부(130)가 회전되어짐에 따라, 돌기부분(132)이 콘크리트(C) 타설 영역을 향하는 격벽(W)의 내측 면에 맺힌 기포(A)를 격벽(W)의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쓸어내 듯 격벽(W)으로부터 분리시켜, 격벽(W)에 맺힌 기포(A)를 제거하게 된다. 상술한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방법의 실시 이후에 격벽과 접촉된 상태로 경화된 콘크리트(C)의 표면에는 기공이 제거되어, 시각적 거부감과 내구성이 개선된 콘크리트 외부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In the removing step (S400), the body part 130 moves upward along the partition wall (W) from the lower part of the area where the concrete (C) is poured along the linear member (R) wound by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part (122). It is a step of removing the bubbles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W) while doing so.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2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130 by the reel unit 120 and protrude rise while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W). At this time, when the linear member R wound around the connection part 136 rises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30 and the body 130 concrete C with the rise of the body 130, the concrete (C) As the body part 130 is rotated while being released by the resistance applied from the It is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wall (W) as if sweeping from the lower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of W), thereby removing the bubbles (A)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W).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for removing air bubbles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described above, pores are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hardened concrete (C) in contact with the bulkhead,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ncrete exterior surface with improved visual rejection and durability.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common knowledge ab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100: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
110: 고정부
120: 릴부
122: 핸들부분
130: 몸통부
132: 돌기부분
134: 수용부분
136: 연결부분
A: 기포
C: 콘크리트
F: 충전제
R: 선형부재
W: 격벽
100: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110: fixed part
120: reel unit
122: handle part
130: body
132: protrusion
134: receiving part
136: connection part
A: air bubble
C: Concrete
F: filler
R: Linear member
W: bulkhead

Claims (10)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격벽의 상부에 고정되고, 선형부재를 권취 또는 릴리즈하는 릴부; 및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분을 가지는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릴부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격벽을 따라 승강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상기 릴부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하부에서 상기 돌기부분이 상기 격벽과 접촉한 채로 상승하여 상기 돌기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격벽에 맺힌 기포를 상기 격벽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
A fixing part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lkhead dividing the concrete pouring area;
a reel part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by the fixing part and winding or releasing the linear member; and
A body portion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linear member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partition wall of the concrete pouring area by the reel portion; includes,
The body part ris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area i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by the reel part while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bulkhead, so that the protrusion separates the bubbles formed on the bulkhead in the concrete pouring area from the bulkhead. A device for defoaming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비중은 상기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portion is a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characterized in that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비중은 상기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중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portion is a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characterized in that small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내부에 충전제를 수용하는 수용부분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분에 투입되는 충전제의 투입량에 따라 상기 몸통부의 비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art has a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filler therein, an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par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filler injected into the receiv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분은 브러쉬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portion is a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shape of a brush.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의 상부에 선형부재를 권취 또는 릴리즈하는 릴부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격벽의 설치각도에 따라 비중이 조절된 원통형상의 몸통부를 상기 선형부재에 연결시켜 상기 타설 영역 하부에 위치시키는 위치단계;
상기 타설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릴부에 의해 권취되어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된 상기 몸통부가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하부에서 상기 격벽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격벽에 맺힌 기포를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단계는 상기 릴부에 의해 상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분이 상기 격벽과 접촉한 상태로 상승하여, 상기 돌기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향하는 격벽의 내측면에 맺힌 기포를 상기 격벽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방법.
A fixing step of fixing a reel unit for winding or releasing a linear member on an upper portion of a bulkhead dividing a concrete pouring area;
a positioning step of connecting a cylindrical body part whose specific gravit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partition wall to the linear member and positioning it below the pouring area;
a pouring step of pouring concrete into the pouring area; and
The linear member is wound by the reel part and the body part connected to the linear member is moved upward along the partition wall from the lower part of the area i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and removing the bubbles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In the removing step, a plurality of protrusion parts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by the reel part rise in a state of contact with the bulkhead, and the protrusion part faces the concrete pouring area. A method of removing bubbles inside a concrete pouring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separating the bubbles formed on the side surface from the bulkhea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단계는 상기 격벽이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바닥면과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며 설치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몸통부의 비중을 상기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중보다 크게 조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ositioning step is a step of adjust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portion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concrete being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only when the bulkhead is installed at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to the floor surface of the concrete pouring area. How to remove air bubbles inside the are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단계는 상기 격벽이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바닥면과 예각을 이루며 설치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몸통부의 비중을 상기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중보다 작게 조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ositioning step is a step of adjust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to be small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only when the bulkhead is install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bottom of the concrete pouring area. How to remove air bubbl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단계는 상기 격벽의 설치각도에 따라, 내부의 충전제가 수용되는 수용부분이 마련된 상기 몸통부의 수용부분에 투입되는 충전제의 투입량을 조절하여 상기 몸통부의 비중을 상기 타설 영역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중보다 크거나 작게 조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positioning step,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partition wall, the amount of filler injec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ody provid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filler is accommodated is adjusted so tha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is adjusted to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pouring area. A method of removing air bubbles inside the concrete pouring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to adjust it to be larger or small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분은 브러쉬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 내부의 기포 제거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ethod for removing bubbles in the concrete pouring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provided in a brush shape.
KR1020200171708A 2020-12-09 2020-12-09 Air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concrete laying area and the method of using it KR102482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708A KR102482480B1 (en) 2020-12-09 2020-12-09 Air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concrete laying area and the method of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708A KR102482480B1 (en) 2020-12-09 2020-12-09 Air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concrete laying area and the method of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809A true KR20220081809A (en) 2022-06-16
KR102482480B1 KR102482480B1 (en) 2022-12-27

Family

ID=8221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708A KR102482480B1 (en) 2020-12-09 2020-12-09 Air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concrete laying area and the method of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48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718A (en) * 1998-10-05 2000-04-18 Mitsubishi Electric Corp Apparatus for automatically washing water tank
KR20100088472A (en) *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ubular well using top and bottom driving brush
JP2012041027A (en) * 2010-08-13 2012-03-01 Atsushi Shibata Boat bottom cleaning tool with buoyant body
JP3174750U (en) * 2012-01-24 2012-04-05 有限会社マツモト建設 Concrete stirr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750B2 (en) * 1997-09-26 2001-06-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Vehicle ligh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718A (en) * 1998-10-05 2000-04-18 Mitsubishi Electric Corp Apparatus for automatically washing water tank
KR20100088472A (en) *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ubular well using top and bottom driving brush
JP2012041027A (en) * 2010-08-13 2012-03-01 Atsushi Shibata Boat bottom cleaning tool with buoyant body
JP3174750U (en) * 2012-01-24 2012-04-05 有限会社マツモト建設 Concrete stirr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480B1 (en)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2818A (en) Anchor bolt positioning system for concrete foundations
JP2576755B2 (en) Pile head treatment method for ready-made prestressed concrete pile
CN111042185B (en)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raft foundation with tower crane foundation
WO2005060421A2 (en) Concrete anchor float
CN209384639U (en) A kind of impression-taking apparatus applied to house sliding formwork molding machine
US10603815B2 (en) Concrete form system
KR20220081809A (en) Air bubble removal device inside concrete laying area and the method of using it
US4998705A (en) Apparatus for forming voids in concrete
CN104164974A (en) Building casting method and casting mold system used for building casting method
JP3440062B2 (en) Concrete compaction device for building skeleton and method of building skeleton
JP4240469B2 (en) Strut, strut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t manufacturing apparatus
CN108589925B (en) Super high-rise building core barrel shaft structure
JP3445017B2 (en) Machine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210067826A (en) Gang form deconstruction device for preventing worker falling and de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EP1479851A1 (en) Railing anchor and accompanying railing support
CN219860079U (en) Prefabricated part hoisting round head hanging nail structure
JP2009161927A (en) Temporary support joint, temporary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slab on a plurality of stories
CN204139592U (en) That builds for building builds mold system
KR20170106869A (en) Rope fixing device for building cleaning
CN214604986U (en) Pore-forming module
JP6874051B2 (en) Groove construction method
JP3672545B2 (en) Planned height display ruler for concrete placement and planned height finishing method
JPH11141126A (en) Processing method of driving joining part in reversely driving method
CN110670875A (en) Concrete formwork system
JP2009007747A (en) Method for repairing elevated floor sl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