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805A -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805A
KR20220081805A KR1020200171699A KR20200171699A KR20220081805A KR 20220081805 A KR20220081805 A KR 20220081805A KR 1020200171699 A KR1020200171699 A KR 1020200171699A KR 20200171699 A KR20200171699 A KR 20200171699A KR 20220081805 A KR20220081805 A KR 20220081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
control unit
uni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희
Original Assignee
이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희 filed Critical 이장희
Priority to KR1020200171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805A/ko
Publication of KR20220081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05B2047/001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more than one motor for the same function, e.g. for redundancy or increased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를 벽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도어 잠금부; 상기 도어의 타측 및 상기 벽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회전부; 및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개방 신호를 발생시키는 개방 스위치; 및 폐쇄 신호를 발생시키는 폐쇄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 스위치로부터 개방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쇄 스위치로부터 폐쇄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폐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장치{Do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닫이문은 한쪽의 세로틀 또는 거기에 부착한 경첩 등의 철물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형식으로 개폐하는 문으로서, 일반적으로 현관, 방, 사무실 등의 출입구에 설치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43568호(2019.11.05 등록)는 문틈 밀착형 끼임 방지 여닫이문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문틀; 문틀과 결합되는 결합면을 가지며 문틀의 일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 연결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 및 회전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일측면이 문틀 측으로 볼록한 회전단부가 형성된 문짝을 포함하고, 힌지의 결합면은 문틀의 높이 방향으로부터 수직하는 단면의 넓이를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넓이 보다 적은 넓이로 형성되고, 문틀의 문짝 측에 근접한 두 변으로 이루어지는 모서리는 문짝의 회전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써 두 변이 수직하는 수직모서리로 형성되고 두 변 중 어느 한 변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 회전축이 위치하며, 회전축 및 회전축과 동일한 축을 이루는 회전 연결부의 회전 연결축이 모두 개구된 상태로 별도의 막대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삽입되거나, 회전축이 회전 연결축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개구된 회전 연결축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고, 문짝은 0 내지 180°범위의 회전 반경을 가지고 상단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돌출되며 상단부가 둥근 막대형상인 고정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며, 힌지에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문짝을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시켜 문을 여는 경우 문짝이 고정되며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문짝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28554호(2018.02.06 등록)는 끼임 방지기능 및 오작동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안착홈부 및 설치홈부가 구비되는 문틀; 문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도어프레임이 설치되는 도어부재; 도어프레임에 연결되는 브래킷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도어부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구동부; 구동부에 구비되는 기어연결 강도를 향상시켜 도어부재의 개방작동 또는 폐쇄작동 중에 기어연결 부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부; 문틀과 도어부재 사이에 보행자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폐쇄작동 중인 도어부재와 보행자가 충돌되는 경우엔 도어부재에 의한 충격량을 감소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끼임방지부; 및 문틀과 도어부재 사이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가 통행하지 않는 동안에도 도어부재가 폐쇄되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하는 오작동방지부를 포함하고, 구동부는, 문틀 외측에 설치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주동기어; 주동기어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문틀 외측에 설치되는 종동기어; 및 주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권취되고,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순환되는 벨트부재를 포함하고, 소음저감부는, 주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에 구비되고, 제1경사부를 구비하는 제1기어치; 및 벨트부재에 구비되고, 제1기어치에 기어 연결되도록 제1경사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기어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여닫이문은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등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출입자가 여닫이문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레버 손잡이를 회동시켜 레버 손잡이에 연결된 걸쇠를 문틀로부터 이탈시킨 후 밀거나 당겨야 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몸이 불편하여 움직이기 힘든 사람들의 경우 혼자서 문을 개폐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문은 출입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할 수는 있으나, 옆으로 밀고 닫는 미닫이식 문에만 적용 가능한 기술로서, 이미 설치된 문이나 여닫이문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입력받아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는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를 벽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도어 잠금부; 상기 도어의 타측 및 상기 벽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회전부; 및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개방 신호를 발생시키는 개방 스위치; 및 폐쇄 신호를 발생시키는 폐쇄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 스위치로부터 개방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쇄 스위치로부터 폐쇄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개방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폐쇄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잠금부는, 일단부에 내부로 인입 또는 일측부로 인출되는 걸림쇠가 마련되고 타측부에 상기 걸림쇠를 이동시키고 중심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이동부가 마련된 도어 래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는 손잡이축; 상기 손잡이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축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축을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잠금부는, 내측 상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연통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삽입되고 하부에 래크기어가 형성된 슬라이딩바;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래크기어에 접촉되는 피니언기어휠; 및 상기 피니언기어휠에 작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휠을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회전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설치되고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기어휠을 포함하는 회전모터; 상기 벽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기어휠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모터와 연결되는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보행자가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부에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송신하여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어, 보행자의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에 개방 스위치 및 폐쇄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어, 보행자가 개방 스위치 또는 폐쇄 스위치를 눌러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어, 보행자의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잠금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회전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제어부 및 컨트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잠금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10)는 출입구가 형성된 벽(W)과,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벽(W)에 설치된 도어(D)에 설치되어, 도어(D)를 개폐시킴으로써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10)는 도어 잠금부(100), 도어 회전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부(100)는 도어(D)의 일측에 설치되고 도어(D)를 벽(W)의 일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도어 잠금부(100)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부(100)는 도어 래치(DR), 손잡이축(SC), 손잡이(SH) 및 작동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래치(DR)는 일단부에 내부로 인입 또는 일측부로 인출되는 걸림쇠(DRa)가 마련되고 타측부에 걸림쇠(DRa)를 이동시키고 중심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이동부(DRh)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래치(DR)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제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축(SC)은 삽입홀에 삽입되어 이동부(DRh)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축(SC)의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거나, 기어가 형성된 기어플랜지가 마련되거나, 기어가 형성된 이동기어휠(SCa)이 고정될 수 있다.
손잡이(SH)는 손잡이축(SC)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작동모터(140)는 손잡이축(SC)에 연결되어 손잡이축(SC)을 회전시킬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작동모터(140)의 작동축(141)에는 기어가 형성된 작동기어휠(142)이 연결될 수 있고, 작동기어휠(142)은 이동기어휠(SCa)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모터(140)는 손잡이축(SC)을 회전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작동기어휠(142)은 손잡이축(SC)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에 접촉되거나, 기어플랜지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모터(140)는 손잡이축(SC)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부(100)는 프레임(110), 슬라이딩바(120), 피니언기어휠(130), 작동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내측 상부에 슬라이딩 공간(110p)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슬라이딩 공간(110p)에 연통되는 설치공간(110q)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은 도어(D)의 일측에 설치되고, 도어(D)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공간(110p)이 개방될 수 있다.
슬라이딩바(120)는 슬라이딩 공간(110p)에 삽입되고 하부에 래크기어(1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바(120)는 슬라이딩 공간(110p)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일측부가 도어(D)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벽(W)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도어(D)를 벽(W)에 고정시킬 수 있다.
피니언기어휠(130)는 설치공간(110q)에 배치되고 래크기어(121)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피니언기어휠(130)는 작동모터(140)에 의해 회전되어 래크기어(121)를 밀어 슬라이딩바(120)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작동모터(140)는 피니언기어휠(130)에 작동축(141)이 결합되어 피니언기어휠(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작동모터(140)는 피니언기어휠(130)를 회전시켜 슬라이딩바(120)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작동모터(140)는 슬라이딩바(120)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벽(W)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시킴으로써 도어(D)를 벽(W)에 고정시킬 수 있고, 작동모터(140)는 슬라이딩바(12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딩바(120)를 걸림홈으로부터 탈거시키며 슬라이딩 공간(110p)으로 인입시킴으로써 도어(D)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동모터(140)는 도어(D)를 잠그거나 도어(D)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어 잠금부(100)는 손잡이기어휠(SG), 손잡이축(SC), 손잡이(SH)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기어휠(SG)는 설치공간(110q)에 배치되고 래크기어(121)에 접촉될 수 있다.
손잡이축(SC)은 손잡이기어휠(SG)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SH)는 손잡이축(SC)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에 의해 손잡이(SH)가 회전됨에 따라 손잡이기어휠(SG)가 회전되며 래크기어(121)를 밀어 슬라이딩바(120)를 이동시킴으로써, 보행자는 도어(D)를 개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SH) 및 손잡이축(SC)은 종래 여닫이문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작동모터(140)가 고장나 작동하지 않더라도, 보행자는 도어(D)를 개폐시킬 수 있다.
도어 회전부(200)는 도어(D)의 타측 및 벽(W)의 타측에 설치되고 도어(D)를 회전시켜 도어(D)를 개폐시킬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도어 회전부(200)는 제1 브라켓(210), 회전모터(220), 제2 브라켓(230), 고정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210)은 도어(D)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모터(220)는 제1 브라켓(210)에 설치되고 회전축(221)에 결합되는 회전기어휠(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230)은 벽(W)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대(240)는 제2 브라켓(2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대(240)는 회전모터(220)의 회전기어휠(22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240h)이 형성되어 회전모터(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회전모터(220)는 회전기어휠(222)가 고정대(240)의 고정홈(240h)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됨으로써, 회전축(221) 또는 고정홈(240h)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도어(D)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220)는 도어(D)를 회전시켜 도어(D)를 개폐시킬 수 있다.
제어부(300)는 도어 잠금부(100) 및 도어 회전부(200)에 연결되고 도어 잠금부(100) 및 도어 회전부(200)를 제어하여 도어(D)를 개폐시킬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어부(300)는 전선(L)을 통해 작동모터(140) 및 회전모터(220)와 연결되어 작동모터(140) 및 회전모터(2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개방 스위치(310) 및 폐쇄 스위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스위치(310)는 개방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개방 스위치(310)로부터 개방 신호를 전달받아 도어 잠금부(100) 및 도어 회전부(200)를 제어하여 도어(D)를 개방시킬 수 있다.
폐쇄 스위치(320)는 폐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폐쇄 스위치(320)로부터 폐쇄 신호를 전달받아 도어 잠금부(100) 및 도어 회전부(200)를 제어하여 도어(D)를 폐쇄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10)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제어부(300)에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400)는 개방 버튼(410) 및 폐쇄 버튼(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버튼(410)은 제어부(300)에 개방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컨트롤러(400)로부터 개방 신호를 전달받아 도어 잠금부(100) 및 도어 회전부(200)를 제어하여 도어(D)를 개방시킬 수 있다.
폐쇄 버튼(420)은 제어부(300)에 폐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컨트롤러(400)로부터 폐쇄 신호를 전달받아 도어 잠금부(100) 및 도어 회전부(200)를 제어하여 도어(D)를 폐쇄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10)는 보행자가 컨트롤러(400)를 통해 제어부(300)에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송신하여 도어(D)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어, 보행자의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에 개방 스위치(310) 및 폐쇄 스위치(320)가 마련되어 있어, 보행자가 개방 스위치(310) 또는 폐쇄 스위치(320)를 눌러 도어(D)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어, 보행자의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도어 개폐장치
100 : 도어 잠금부 110 : 프레임
110p : 슬라이딩 공간 110q : 설치공간
120 : 슬라이딩바 121 : 래크기어
130 : 피니언기어휠 140 : 작동모터
141 : 작동축 142 : 작동기어휠
DR : 도어 래치 DRa : 걸림쇠
DRh : 이동부 200 : 도어 회전부
210 : 제1 브라켓 220 : 회전모터
221 : 회전축 222 : 회전기어휠
230 : 제2 브라켓 240 : 고정대
240h : 고정홈 300 : 제어부
310 : 개방 스위치 320 : 폐쇄 스위치
400 : 컨트롤러 410 : 개방 버튼
420 : 폐쇄 버튼 L : 전선
D : 도어 W : 벽
SG : 손잡이기어휠 SC : 손잡이축
SH : 손잡이

Claims (5)

  1.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를 벽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도어 잠금부;
    상기 도어의 타측 및 상기 벽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회전부; 및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개방 신호를 발생시키는 개방 스위치; 및
    폐쇄 신호를 발생시키는 폐쇄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 스위치로부터 개방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쇄 스위치로부터 폐쇄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폐쇄시키는 도어 개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개방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폐쇄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 잠금부 및 도어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폐쇄시키는 도어 개폐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부는,
    일단부에 내부로 인입 또는 일측부로 인출되는 걸림쇠가 마련되고 타측부에 상기 걸림쇠를 이동시키고 중심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이동부가 마련된 도어 래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는 손잡이축;
    상기 손잡이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축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축을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부는,
    내측 상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연통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삽입되고 하부에 래크기어가 형성된 슬라이딩바;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래크기어에 접촉되는 피니언기어휠; 및
    상기 피니언기어휠에 작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휠을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회전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설치되고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기어휠을 포함하는 회전모터;
    상기 벽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기어휠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모터와 연결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장치.
KR1020200171699A 2020-12-09 2020-12-09 도어 개폐장치 KR20220081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699A KR20220081805A (ko) 2020-12-09 2020-12-09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699A KR20220081805A (ko) 2020-12-09 2020-12-09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805A true KR20220081805A (ko) 2022-06-16

Family

ID=8221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699A KR20220081805A (ko) 2020-12-09 2020-12-09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18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6442B2 (ja) レールで案内される走行装置をロックするためのロック装置
JP5069680B2 (ja) 入り口バリアのための保安システム
KR101664565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JP413002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US5657578A (en) Easy out fire escape window gate
US5590555A (en) Anti-rotation mechanism for lockset chassis
JP2017193943A (ja) 車両用シンチングラッチ組立体
US6382005B1 (en) Garage door locking apparatus
EP3737814A1 (en) 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
JP7351568B2 (ja) 自動ドア
WO2006094368A1 (en) Locking mechanism
KR20220081805A (ko) 도어 개폐장치
KR101843047B1 (ko) 슬라이딩 잠금장치를 갖는 푸쉬풀 도어락
CN113557345B (zh) 铰链锁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US4270370A (en) Radio operated latch dead-bolting system
CN109779431A (zh) 用于平开窗的打开控制装置
KR102516335B1 (ko) 출입문 손끼임 방지장치
KR200463601Y1 (ko) 자동 미닫이문 장치
KR101053302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200182658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10226012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20200001071A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CN220504800U (zh) 一种用于房车门锁的副锁结构
KR102618779B1 (ko) 도어용 비상 개방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