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704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704A
KR20220081704A KR1020200171496A KR20200171496A KR20220081704A KR 20220081704 A KR20220081704 A KR 20220081704A KR 1020200171496 A KR1020200171496 A KR 1020200171496A KR 20200171496 A KR20200171496 A KR 20200171496A KR 20220081704 A KR20220081704 A KR 20220081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yclone
dust
lev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
현기탁
고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704A/ko
Priority to US18/256,497 priority patent/US20240023768A1/en
Priority to EP21903575.5A priority patent/EP4260784A1/en
Priority to PCT/KR2021/011493 priority patent/WO2022124528A1/ko
Publication of KR2022008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일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싸이클론부를 구비한 먼지통, 상기 먼지통과 연통되고 먼지통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모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먼지통은,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벽, 내부공간 중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일 측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제1먼지저장부, 제1개구부를 커버하는 제1캡, 내부공간 중 배출구와 연통되고 일 측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제2먼지저장부, 제2개구부를 커버하는 제2캡, 제1캡 또는 제2캡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큰 먼지와 미세한 먼지를 이격된 공간에 구분하여 집진하고, 순서대로 배출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미세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기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과 싸이클론 유동의 축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종래기술로 미국 등록특허 제9788697호를 제시한다. 종래기술은 싸이클론 분리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축을 갖는 원통형의 먼지통을 구비하고,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는 수직축을 갖는 복수개의 싸이클론부가 배치된다. 상기 먼지통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부에 의하여 먼지와 분리되며, 분리된 먼지는 먼지통의 하부에 집진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먼지통에는 다양한 크기의 먼지들이 집진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큰 먼지들은 중력에 의하여 쉽게 배출하여 버릴 수 있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미세한 먼지들은 먼지통에 침전되고 중력에 의하여 쉽게 배출되지 않는다. 나아가, 미세한 먼지들은 약간의 바람에 의하여도 쉽게 비산되는 바, 취급에 주의를 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종래기술에 종래기술에 따르면, 하나의 먼지통에 다양한 크기의 먼지들이 혼재하는 바, 미세한 먼지들은 먼지통에 남아있게 되거나, 쓰레기통에 버려지지 않고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큰 먼지들은 먼지통에서 큰 부피를 차지한다. 상기 큰 먼지들은 압축됨으로써 매우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고, 처리시에 공간을 덜 차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압축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바, 상기 먼지를 압축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도 있다.
미국 특허공보 제978869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빨아들인 먼지들을 크기별로 구분하여 따로 집진하고, 집진된 먼지들을 크기별로 따로 버리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제한된 먼지통의 용량 내에서 보다 많은 먼지들을 집진하기 위하여, 먼지통에 집진된 먼지들을 압축하여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압축부재를 구비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일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싸이클론부를 구비한 먼지통, 상기 먼지통과 연통되고 먼지통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모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먼지통은,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벽, 내부공간 중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일 측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제1먼지저장부, 제1개구부를 커버하는 제1캡, 내부공간 중 배출구와 연통되고 일 측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제2먼지저장부, 제2개구부를 커버하는 제2캡, 제1캡 또는 제2캡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제1개구부는 케이스의 일 측에 형성되고, 제2개구부는 케이스의 타 측에 형성되되, 제1개구부와 대향할 수 있다.
제1캡 또는 제2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 단에 케이스와 연결되는 힌지를 포함하고, 타 단에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캡은 케이스와 체결되는 제1캡 후크를 포함하고, 제2캡은 케이스와 체결되는 제2캡 후크를 포함하고, 제1후크와 제2후크는 레일과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캡은 케이스와 체결되는 제1캡 후크를 포함하고, 제2캡은 케이스와 체결되는 제2캡 후크를 포함하고, 제1후크와 제2후크는 레일을 중심으로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캡은 케이스와 체결되는 제2캡 후크를 포함하고, 케이스는 외둘레면의 일 측에 형성되고 제2캡 후크가 걸리는 제2캡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제2캡 돌기와 레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로 돌출된 제2해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가 제1방향으로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와, 레버가 제2방향으로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케이스는 레버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탄성부재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제1탠성부재는 탄성부재 지지돌기의 일 측에 지지되고, 제2탄성부재는 탄성부재 지지돌기의 타 측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캡에 배치되고, 제1캠버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압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의 외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1개구부 또는 제2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레버에 의하여 감싸지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분리벽을 기준으로 제1 먼지 저장부에는 보다 큰 먼지가 집진되고, 제2 먼지 저장부에는 모다 작은 먼지가 집진되는 바, 먼지의 크기별로 구분하여 집진함으로써 미세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레버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캡을 개방하거나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캡을 개방함으로써, 제1캡 또는 제2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바, 큰 먼지와 미세한 먼지를 구분하여 순서대로 버림으로써, 손쉽고 청결하게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레버가 제2방향으로 이동시, 제2캡이 개방됨과 동시에 제1 먼지 저장부에 존재하는 큰 먼지가 압축되는 바, 제1 먼지 저장부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제1 먼지 저장부에 존재하는 큰 먼지들을 손쉽게 압축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보다 많은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먼지통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은 도 4에서 A방향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B방향 단면도,
도 7은 도 4에서 C방향 단면도,
도 8은 집진된 먼지통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레버를 제2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캡을 개방한 때의 먼지통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제2캡의 개방 전후에 제2캡 후크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11은 도 9에서 레버를 제1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캡을 개방한 때의 먼지통의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서 제1캡의 개방 전후에 제1캡 후크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6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6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먼지통(60)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을 기준으로 흡입부(10)가 위치한 일측의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후술할 모터부(20)가 위치한 다른 일측의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본체(2)를 기준으로, 위쪽을 상방으로 정의하고, 아래쪽을 하방으로 정의한다.
본체(2)는 하우징(3)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된다.
하우징(3)에는 손잡이(40)가 형성된다.
하우징(3)의 전방에는 흡입부(10)가 결합된다.
하우징(3)의 전방에는 먼지통(60)이 결합된다. 하우징(3)과 먼지통(60)의 결합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우징(3)과 먼지통(60)은 서로 연통된다.
하우징(3)의 하부에는 전원부(50)가 결합된다.
하우징(3)의 상부에는 모터부(20)가 결합된다. 모터부(20)는 하우징(3)의 후방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10)는 내부가 개구된 원통형 형상이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구성이며,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흡입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흡입부(10)를 통해서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본체(2)로 안내될 수 있다.
흡입부(10)는 싸이클론부(30)의 유입구(311)와 연통된다.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는 흡입부(10)를 통과하고 유입구(311)를 통하여 싸이클론부(30)에 유입된다.
본체(2)는 모터부(20), 싸이클론부(30), 손잡이(40) 및 전원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부(20)는 흡입부(10)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즉, 기류)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모터부(20)는, 모터 하우징(20)과, 모터 하우징(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흡입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모터(미도시)는 모터 샤프트(미도시)와 모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 동작하는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모터(미도시)는 BLDC(Brushless DC) 모터일 수 있다. BLDC 모터는 브러쉬가 없는 타입의 DC 모터이다. BLDC 모터는 마모성 부품인 브러쉬가 없으므로 전기적, 기계적 잡음이 적을 뿐 아니라 고속회전에 문제가 없고 회전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모터부(20)는 흡입부의 길이방향 축(A1) 상에 배치된다. 모터부(20)의 무게중심은 흡입부의 길이방향 축(A1)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청소기(1)에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최소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청소기의 본체(2)는 하나의 강체로 정의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2)를 기준으로, 상측에 치우치게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만약 공기토출구가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공기유입방향과 공기토출방향이 상이하여 모멘트가 발생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청소기(1)를 조작하는 경우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흡입부의 길이방향 축(A1) 상에 모터부(20)를 배치하여, 청소기(1)에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최소로 하고, 청소기(1)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체(2)는 싸이클론부(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기 위한 먼지통(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60)은 일 측에 유입구(311)가 형성되고, 타 측에 배출구(331)가 형성되고, 내부에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싸이클론부(30)를 구비한다.
먼지통(60)은 원통 형상의 케이스(610)를 포함한다. 케이스(610)에는 먼지통(6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1)와, 먼지통(60)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331)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입구(311)는 먼지통(60)의 전방을 향하여 형성되고, 배출구(331)는 먼지통(60)의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다.
유입구(311)와 배출구(331)는 먼지통(6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유입구(311)는 먼지통(60)의 원주 방향으로 먼지를 유입시키는 바, 유입된 공기는 먼지통(60)의 내둘레면 또는 싸이클론 필터(350)의 외둘레면을 따라 싸이클론 유동을 한다.
유입구(311)의 길이방향 축과 배출구(331)의 길이방향 축은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지나는 직선(A1)으로 정의한다. 유입구와 배출구(331)를 지나는 직선은 흡입부의 길이방향 축(A1)과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610) 내부공긴은 분리벽(620)에 의하여 제1 먼지 저장부(630)와 제2 먼지 저장부(640)로 구획된다.
제1 먼지 저장부(630)는 케이스(610)의 내부공간 중 하나로, 유입구(311)와 연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먼지 저장부(630)는 분리벽(620)의 우측에 형성된다. 제1 먼지 저장부(630)는 제1 싸이클론(310)이 배치되고, 유입구(311)에서 유입된 공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큰 먼지를 1차로 분리한다.
제1 먼지 저장부(6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먼지 저장부(630)는 일 단이 분리판에 의하여 폐쇄되고, 타 단에 제1개구부(631)가 형성된다. 제1 먼지 저장부(630)에 침전된 먼지들은 제1개구부(6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1 먼지 저장부(630)의 제1개구부(631)에는 제1캡(632)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청소기(1) 작동중에 제1캡(632)은 제1개구부(631)를 폐쇄한다. 청소기(1)의 작동 후에 제1캡(632)은 제1개구부(631)를 개방하는 바, 제1 먼지 저장부(630)에 침전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제1캡(632)은 제1개구부(6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캡(632)은 제1개구부(631)를 커버한다.
제1캡(632)은 일 측에 힌지가 배치되고, 타 측에 후크가 배치된다. 도 3를 참조하면, 제1캡 힌지(6321)는 제1캡(632)의 하단에 배치된다. 제1캡(632)은 제1캡 힌지(6321)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제1개구부(631)를 개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캡 후크(653)는 제1캡(632)의 상단에 배치된다. 제1캡 후크(653)가 제1캡 돌기(6323)에 걸림으로써, 제1캡(632)은 제1개구부(631)를 폐쇄시킨 채로 고정된다. 제1캡 후크(653)의 체결은 레버(660)에 의하여 해제된다.
제1캡(632)에는 압축부재(650)가 배치될 수 있다. 압축부재(650)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2 먼지 저장부(640)는 케이스(610)의 내부공간 중 하나로, 배출구(331)와 연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먼지 저장부(640)는 분리판의 좌측에 형성된다. 제2 먼지 저장부(640)는 제2 싸이클론(330)이 배치되고, 유입구(311)에서 유입된 공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미세한 먼지를 2차로 분리한다.
제2 먼지 저장부(6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먼지 저장부(640)는 일 단이 분리판에 의하여 폐쇄되고, 타 단에 제2개구부(641)가 형성된다. 제2 먼지 저장부(640)에 침전된 먼지들은 제2개구부(64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2캡(642)은 제2개구부(6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캡(642)은 제2개구부(641)를 커버한다.
제2캡(642)은 일 측에 힌지가 배치되고, 타 측에 후크가 배치된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캡 힌지(6421)는 제2캡(642)의 하단에 배치된다. 제2캡(642)은 제2캡 힌지(6421)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제2개구부(641)를 개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캡 후크(6422)는 제2캡(642)의 상단에 배치된다. 제2캡 후크(6422)가 제2캡 돌기(6423)에 걸림으로써, 제2캡(642)은 제2개구부(641)를 폐쇄시킨 채로 고정된다. 제2캡 후크(6422)의 체결은 레버(660)에 의하여 해제된다.
제1개구부(631)와 제2개구부(641)는 대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개구부(631)는 케이스(610)의 우측단에 형성되고, 제2개구부(641)는 케이스(610)의 좌측단에 형성된다. 제1개구부(631)와 제2개구부(641)를 공간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보다 큰 먼지와 보다 작은 먼지를 구분하여 배출할 수 있다.
분리벽(620)은 먼지통(60)의 내부공간을 제1 먼지 저장부(630)와 제2 먼지 저장부(640)로 구획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 싸이클론(310)은 적어도 일부가 분리벽(620)을 관통한다. 분리벽(620)은 제1분리벽(620a)과 제2분리벽(620b)으로 구성된다.
제1분리벽(620a)은 제1 싸이클론(310)의 외둘레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2분리벽(620b)은 제1 싸이클론(310)의 내둘레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2분리벽(620b)은 제1싸이클론(310)의 외둘레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1분리벽(620a)은 제1 싸이클론(310)의 측방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분리벽(620a)은 제1 먼지 저장부(630)와 제2 먼지 저장부(640)를 구획한다.
제2 분리벽(620b)은 제1 싸이클론(310)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 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분리벽(620b)은 제1 싸이클론(310)의 일 측단을 폐쇄한다.
제1 싸이클론(310)은 제1분리벽(620a)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제1 싸이클론(310)은 제2분리벽(620b)에 의하여 일 측이 폐쇄된다.
제1 싸이클론(310)은 먼지통(6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분리벽(620)은 먼지통(60)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1 싸이클론(310)을 지지한다.
분리벽(620)은 유입구와 배출구를 지나는 직선(A1)을 중심으로, 일 측에 제1먼지 저장부가 배치되고, 타 측에 제2먼지 저장부(640)가 배치되도록 케이스(610)의 내부공간을 분리한다. 유입구와 배출구를 지나는 직선(A1)은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과 동축이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유동의 양 측에 제1 먼지 저장부(630)와 제2 먼지 저장부(640)를 이격된 공간에 배치하여, 큰 먼지와 작은 먼지를 손쉽게 다른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분리벽(620)은 유입구(311)에서의 공기유입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분리벽(620)은 유입구와 배출구를 지나는 직선(A1)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분리벽(620)은 정면에서 볼 때, 제1 먼지 저장부(630)와 제2 먼지 저장부(640)를 좌우로 구획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유동의 양 측에서 큰 먼지와 작은 먼지를 손쉽게 다른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분리벽(620)은 제1싸이클론 유동의 축(A2) 또는 제2 싸이클론 유동의 축(A3)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 분리벽(62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벽(620)은 연통홀(621)을 포함한다. 연통홀(621)은 제1 먼지 저장부(630)와 제2 먼지 저장부(640)를 서로 연통시킨다.
연통홀(621)은 분리벽(620)의 일 측을 관통하여 형성한다. 연통홀(621)은 제1 싸이클론(310) 내부에 배치된다.
연통홀(621)은 분리벽(620)의 상측에 치우쳐져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통홀(621)은 상측에 치우쳐져 배치되고, 제1 싸이클론(310) 또한 분리벽(620)의 상측에 치우쳐져 배치된다. 제1 싸이클론(310)은 연통홀(621)을 감싼다.
분리벽(620)을 제1분리벽(620a)과 제2분리벽(620b)으로 구분할 때, 연통홀(621)은 제2분리벽(620b)에 형성된다.
연통홀(621)에는 싸이클론 필터(350)가 배치된다.
싸이클론부(30)는 흡입부(10)와 연통되며, 흡입부(10)를 통해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하는 집진기의 원리를 적용한 구성이다.
일 예로, 싸이클론부(30)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1 싸이클론(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싸이클론(310)은 흡입부(10)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부(1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제1 싸이클론(3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제1 싸이클론(3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좌우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싸이클론부(30)는 제1 싸이클론(31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2 싸이클론(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싸이클론(330)은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싸이클론(3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로 나뉘어 통과될 수 있다.
이때, 제2 싸이클론(33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3) 또한 좌우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싸이클론(3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2)과 제2 싸이클론(33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싸이클론 유동의 축(A2,A3)은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싸이클론 유동의 축(A2,A3)은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과 손잡이의 길이 방향 축(A4)에 모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싸이클론 유동의 축(A2,A3)은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에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흡입 공기는 흡입부의 길이방향 축(A1)을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고,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의 수직 방향으로 싸이클론부(30)로 유입된다.
싸이클론부(30)는 흡입부(10)의 하부에 배치된다. 흡입부(10)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먼지가 포함된다. 만약, 싸이클론부(30)가 흡입부(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싸이클론부(30)와 흡입부(10) 사이에 매우 큰 먼지가 침전될 수 있고, 상기 매우 큰 먼지는 싸이클론유동에 합류하지 못한 채로 싸이클론부(30)와 흡입부(10) 사이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싸이클론부(30)를 흡입부(10)의 하부에 배치하여, 먼지가 싸이클론부(30)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제1 싸이클론(310)과 제2 싸이클론(330)은 분리벽(620)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공간에 배치된다.
제1 싸이클론(310)은 정면에서 볼 때 분리벽(620)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 싸이클론(310)은 제1 먼지 저장부(630)에 배치된다.
제1 싸이클론(3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싸이클론(310)은 제1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먼지통(60)의 중심축과 평행한다.
제1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지면에 수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된 공기는 제1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을 따라 선회하고, 제1 싸이클론(310)의 바닥에 쌓인다.
제1 싸이클론(310)의 일 측에 유입구(311)가 형성된다. 유입구(311)는 흡입부(10)와 제1싸이클론(310)을 연결한다. 유입구(311)의 전단은 흡입부(10)와 연통되고, 유입구(311)의 후단은 제1싸이클론(310)과 연통된다.
유입구(311)는 제1 싸이클론(310)의 일 측에 치우쳐져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5를 참조하면 유입구(311)는 제1싸이클론(310)의 외둘레면에 형성된다. 유입구(311)는 제1 싸이클론(31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제1 싸이클론(310) 내부에 유입시킨다. 따라서, 제1 싸이클론(3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을 따라 싸이클론 유동을 한다.
제1 싸이클론(310)은 적어도 일부가 분리벽(620)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분리벽(620)은 제1 싸이클론(310)의 외둘레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싸이클론(310)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벽(620)을 관통하는 바, 압축판(651)의 행정거리가 보다 넓어질 수 있고, 제1 먼지 저장부(630) 내부에 존재하는 큰 먼지들이 보다 많이 압축될 수 있다.
제1 싸이클론(310)은 제1 먼지 저장부(630)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먼지들은 제1 싸이클론(310)의 하부공간에 쌓인다.
유입구(311)는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의 반경 방향에 배치되고, 싸이클론 유동의 축의 반경 방향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유입구(311)는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과 싸이클론 유동의 축의 교차점에 배치된다.
제1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과 교차하고, 손잡이의 길이 방향 축(A4)과 수직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 및 손잡이의 길이 방향 축(A4)과 모두 수직한다.
유입구(311)는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공기는 최소한의 저항을 가진 채로 제1싸이클론(31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제1 싸이클론(310) 내부에서는 활발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제1 싸이클론(310) 내부에서, 공기는 싸이클론 필터(35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한다.
제1 싸이클론(310)은 일 측이 폐쇄되고, 일 측이 개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싸이클론(310)의 좌측단은 제2분리벽(620b)에 의하여 폐쇄되고, 제1 싸이클론(310)의 우측단은 개방된다. 제2분리벽(620b)에는 연통홀(621)이 형성되는 바, 제1 싸이클론(310)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2 싸이클론(330)으로 유동한다. 제1 싸이클론(310)의 개방부는 제1 먼지 저장부(630)와 연통되는 바, 제1 싸이클론(310)의 바닥에 침전된 먼지들은 중력에 의하여 제1 먼지 저장부(630)로 떨어진다.
제1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과 교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흡입부의 길이방향 축(A1)에 수직하고, 지면에 수평한다. 다시 말해, 제1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유입구(311)와 배출구를 지나는 직선에 수직한다. 흡입부의 길이방향 축(A1)은 제1싸이클론(310)의 원주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흡입부(10)에서 유입된 먼지는 제1 싸이클론(310)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킨다. 먼지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한 원심력과 중력이 더해져 공기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다.
싸이클론부(30)는 흡입부(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 싸이클론(330)은 정면에서 볼 때 분리벽(620)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2 싸이클론(330)은 제2 먼지 저장부(640)에 배치된다.
제2 싸이클론(33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싸이클론(330)은 제2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은 먼지통(60)의 중심축과 평행한다.
제2 싸이클론은 외관(332)과 내관(333)으로 구성된다. 제2 싸이클론(330) 유동은 상기 외관(332)과 내관(333) 사이에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싸이클론(330)의 외관(332)과 내관(333) 사이에는 틈이 형성된다. 싸이클론 필터(3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 싸이클론(330)의 외관(332)과 내관(333)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다.
외관(332)의 단부는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고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싸이클론(330)은 블레이드(334)를 포함한다. 블레이드(334)는 제2 싸이클론(330)에서 싸이클론 유동의 발생을 돕는다.
블레이드(334)는 제2 싸이클론(330)의 외관(332)과 내관(333) 사이에 형성된다. 블레이드(334)는 일 방향으로 소용돌이를 형성한다. 좌측에서 바라볼 때, 블레이드(334)는 반시계방향으로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먼지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한 원심력과 중력이 더해져 공기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다.
공기는 외관(332)과 내관(333) 사이의 공간에서 싸이클론 유동을 한다. 싸이클론 유동을 하는 공기는 내관(3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지는 제2싸이클론(330)의 좌측으로 분리되고, 공기는 제2싸이클론(330)의 우측으로 유동한다.
제2 싸이클론(330)은 제1 싸이클론(310)의 외둘레면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싸이클론(330)은 제1 싸이클론(310)의 좌측방, 하방, 우측방에 배치된다. 싸이클론 필터(350)에서 제2 먼지 저장부(640)로 유입된 공기는 회전하는 유동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공기는 각각의 제2 싸이클론(330)에 균등하게 유입될 수 있다.
제2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지면에 수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된 공기는 제2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을 따라 선회하고, 제2 싸이클론(330)의 바닥에 침전된다.
제2 먼지 저장부(640)의 일 측에 배출구(331)가 형성된다. 배출구(331)의 전단은 제2 먼지 저장부(640)와 연통되고, 배출구(331)의 후단은 하우징(3) 또는 모터부(20)와 연통된다.
배출구(331)는 먼지통(60)의 외둘레면에 형성되고, 공기를 원주 방향에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구(331)의 공기토출방향은 유입구(311)의 공기유입방향과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배출구(331)의 공기토출방향은 유입구(311)의 공기유입방향과 동축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2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은 흡입부의 길이방향 축(A1)에 수직하고, 지면에 수평한다. 다시 말해, 제2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은 유입구와 배출구를 지나는 직선(A1)에 수직한다.
제2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은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과 교차하고, 손잡이의 길이 방향 축(A4)과 수직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은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 및 손잡이의 길이 방향 축(A4)과 모두 수직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싸이클론부(30)는 연통홀(621)에 배치되는 싸이클론 필터(350)를 더 포함한다. 싸이클론 필터(350)는 제 1 싸이클론부(31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를 제2 싸이클론(330)으로 안내한다. 싸이클론 필터(350)는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를 필터링한다.
싸이클론 필터(350)는 제1 싸이클론부(310)와 제2 싸이클론부(330) 사이에 배치된다. 싸이클론 필터(350)는 연통홀(621)에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싸이클론 필터(350)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메쉬부(mesh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부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싸이클론 필터(350)는 적어도 일부가 제1 먼지 저장부(630) 방향으로 돌출된다. 싸이클론 필터(350)는 제1 먼지 저장부(630) 방향으로 돌출된 컵(cup)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싸이클론 필터(350)가 제1 먼지 저장부(630) 방향으로 돌출될 경우, 여과된 먼지는 싸이클론 필터(350) 내부에 쌓이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싸이클론 필터(350)는 제1 먼지 저장부(630)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싸이클론 필터(350)에 먼지가 일부 침전되더라도, 싸이클론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다시 비산되어, 결국 싸이클론 필터(350)에는 먼지가 침전되지 않아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싸이클론(310) 내부에서, 공기는 싸이클론 필터(35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한다. 일부의 공기는 싸이클론 필터(350)의 외둘레면을 따라 회전하고, 나머지 공기는 싸이클론 필터(350)를 통과하여 제2 먼지 저장부(640)로 유동한다.
압축부재(650)는 제1 먼지 저장부(630)에 배치되고, 제1 먼지 저장부(630) 내부에 침전된 큰 먼지를 압축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압축부재(650)는 제1캡(632)에 배치되고, 제1캠버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압축판(651)을 포함한다.
압축판(651)은 제1캡(632)에 배치된다. 제1캡(632)은 제1개구부(631)와 마주하는 위치에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압축판(651)은 상기 제1캡(632)의 함몰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압축판(651)은 제1캡(632)에 설치되되, 제1개구부(631) 상에 배치되어 제1개구부(631)를 폐쇄할 수 있다.
압축판(651)은 제1먼지 저장부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우측방에서 볼 때, 제1개구부(631)는 원형의 단면적을 갖는다. 압축판(651)은 제1개구부(631)의 단면적 형상에 따라, 원형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압축판(651)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압축판(651)이 이동함에 따라 먼지는 분리벽(620) 쪽으로 밀려 이동하며 압축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압축부재(650)는 압축판 안내바(652)를 포함한다.
압축판 안내바(652)는 압축판(651)의 일 측에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압축판 안내바(652)는 압축판(651)의 상측에서 우측방으로 연장된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압축판(651)의 하측이나 다른 쪽에 결합될 수도 있다.
압축판 안내바(652)는 외팔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압축판 안내바(652)는 제1캡(632)을 관통한다. 제1캡(632)은 압축판 안내바(652)가 삽입되도록 관통홀을 구비하며, 압축판 안내바(652)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압축판 안내바(652)의 일 단은 안내판과 결합되고, 타 단은 레버(660)와 연결된다. 레버(66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압축판 안내바(652)가 레버(660)를 따라서 이동하고, 안내판은 압축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압축부재(650)는 패킹(655)을 포함한다. 패킹(655)은 압축판 안내바(652)가 관통하는 관통홀로 먼지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패킹(655)은 압축판 안내바(652)에 의해 관통된다.
패킹(655)은 제1캡(632)의 외부면에 배치된다. 제1캡(632)은 패킹(655)이 삽입되는 위치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패킹(655)은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어 외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캡(632)은 제1외부캡과 제1내부캡의 이중 커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패킹(655)은 제1내부캡의 외부면에 배치된다. 왜냐 하면, 압축판(651)이 좌측으로 이동하며 압축하는 경우 내부공기가 관통홀로 새어나갈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655)은 제1내부캡의 외부면에 배치되어야 한다. 패킹(655)과 압축판 안내바(652)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패킹(655)은 제 위치를 유지하고, 압축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레버(660)는 제1캡(632) 또는 제2캡(642)을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레버(660)는 제1캡(63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캡(632)을 개방하는 제1레버(661)와, 제2캡(64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캡(642)을 개방하는 제2레버(662)를 포함한다. 제1레버(661)와 제2레버(66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캡 후크(653)와 제2캡 후크(6422)는 레일(680)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레버(66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 제1캡 후크(653)의 체결이 해제되어 제1캡(632)이 개방되고, 레버(66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 제2캡 후크(6422)의 체결이 해제되어 제2캡(642)이 개방된다.
제1캡 후크(653)와 제2캡 후크(6422)는 레일(680)을 중심으로 양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캡(632)과 제2캡(642)은 선택적으로 개방되고, 사용자는 제1먼지 저장부의 먼지와 제2 먼지 저장부(640)의 먼지를 순서대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레버(66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 제2캡(642)이 개방됨과 동시에 압축판(651)이 이동하여 제1 먼지 저장부(630) 내부의 먼지를 압축한다.
레버(660)는 제1캡(632)을 개방한다. 레버(66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캡(632)이 개방된다. 제1방향은 레버(660)에서 제1캡(632) 쪽의 방향이다.
도 11은 도 9에서 제2 먼지 저장부에 집진된 미세먼지들을 제거한 후, 레버를 제1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캡을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서 제1캡의 개방 전후에 제1캡 후크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즉, 도 11에서는 레버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캡을 개방하고, 제1 먼지 저장부(630) 내부에 집진된 압축된 먼지들을 제거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캡 후크(653)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660)에 걸린다. 제1캡 후크(653)는 압축판 안내바(652)의 단부에 형성된다. 레버(660)는 상기 제1캡 후크(653)와 체결되는 제1레버 후크(6611)가 형성된다. 제1레버 후크(6611)는 제1레버(661)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1캡 후크(653)가 제1레버 후크(6611)에 체결되는 경우, 제1캡(632)은 제1개구부(631)를 폐쇄한다.
제1레버(661)는 제1캡 후크(653)와 제1레버 후크(6611)의 체결을 해제한다.
압축판(651)은 제1레버 후크(6611)의 외측에 배치되고, 레버(660)쪽으로 돌출되는 제1해제돌기(654)를 포함한다. 제1해제돌기(654)는 압축판 안내바(652)를 상승시킨다. 압축판 안내바(652)가 상승되는 경우, 제1캡 후크(653)와 제1레버 후크(6611)의 체결은 해제된다.
제1레버(661)와 압축판 안내바(652)는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레버(661)와 제1캡 후크(653)와 제2해제돌기(6424)는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제1레버(661)의 우측단은 좌-상향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레버(662)는 제2해제돌기(6424)의 하단으로 삽입되고, 제2해제돌기(6424)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제2해제돌기(6424)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진 경우, 제1캡 후크(653)도 상방으로 밀어올려지며, 제1레버(661)와의 체결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캡(632)은 제1캡 힌지(632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된다.
레버(660)는 압축판(651)을 이동시켜 제1 먼지 저장부(630) 내의 먼지를 압축한다.
제1싸이클론(310)의 단부는 압축판(651)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싸이클론(310)은 적어도 일부가 분리벽(620)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바, 압축판(651)과 더욱 멀리 배치된다. 제1싸이클론(310)은 압축판(651)의 행정거리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버(660)가 제2방향으로 임계거리까지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1싸이클론(310)의 단부는 압축판(651)과 이격된다.
레버(660)는 제2캡(642)을 개방한다. 레버(66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캡(642)이 개방된다. 제2방향은 레버(660)에서 제2캡(642) 쪽의 방향이다.
도 8은 청소기 작동 후 먼지가 집진된 상태의 먼지통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레버를 제2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캡을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제2캡의 개방 전후에 제2캡 후크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즉, 도 9에서는 레버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먼지 저장부(640) 내부에 집진된 미세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제1 먼지 저장부(630) 내부에 집진된 큰 먼지를 압축시킨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캡 후크(6422)는 케이스(610)와 체결되고, 케이스(610)는 외둘레면의 일 측에 형성되고, 제2캡 후크(6422)가 걸리는 제2캡 돌기(6423)를 포함한다.
제2캡 후크(6422)는 제2캡(642)의 상단에 형성된다. 제2캡 돌기(6423)는 케이스(610)의 상단 단부에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2캡 후크(6422)는 제2캡 돌기(6423)에 체결된다. 제2캡 후크(6422)가 제2캡 돌기(6423)에 체결되는 경우, 제2캡(642)은 제2개구부(641)를 폐쇄한다.
제2레버(662)는 제2캡 후크(6422)와 제2캡 돌기(6423)의 체결을 해제한다.
제2레버(662)와 제2캡 후크(6422)와 제2캡 돌기(6423)는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제2레버(662)는 좌측단은 우-상향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제2캡 후크(6422)는 제2레버(662)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하단이 우-상향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2레버(662)는 제2캡 후크(6422)의 하단으로 삽입되고, 제2캡 후크(6422)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제2레버(662)가 좌측의 임계행정거리까지 이동한 경우, 제2캡 후크(6422)의 체결은 해제되고, 제2캡(642)은 제2캡 힌지(642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된다.
케이스(610)는 제2캡 돌기(6423)와 레버(660)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로 돌출된 제2해제돌기(6424)를 더 포함한다. 제2레버(662)가 제2방향으로 이동시 하면이 제2해제돌기(6424)의 상단을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해제돌기(6424)는 제2레버(662)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따라서, 제2캡 후크(6422)는 보다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고, 보다 손쉽게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레버(660)는 레일(68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레일(680)은 케이스(610)의 외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1개구부(631) 또는 제2개구부(6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연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일(680)은 케이스(610)의 상부에 돌출하여 형성되고, 좌우측으로 연장된다.
레버(660)가 일 방향으로 이동시, 제1 먼지 저장부(630)의 내부공간은 감소하고, 제2 먼지 저장부(640)는 개방된다. 예를 들어, 레버(66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판(651)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 제1 먼지 저장부(630)의 내부공간은 감소하고 제1 먼지 저장부(630)의 먼지는 압축된다. 레버(660)가 제2방향으로 임계거리까지 이동한 경우, 제2캡 후크(6422)의 체결은 해제되고, 제2 먼지 저장부(640)는 개방된다.
레일(680)의 내부공간에는 탄성부재 지지돌기(673)가 돌출된다. 탄성부재 지지돌기(673)는 탄성부재(670)를 지지한다. 제1탄성부재(671)는 탄성부재 지지돌기(673)의 일 측에 지지되고, 제2탄성부재(672)는 탄성부재 지지돌기(673)의 타 측에 지지된다.
레일(680)과 레버(660) 사이에는 탄성부재(670)가 배치된다.
제1탄성부재(671)는 레버(660)가 제2방향으로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1탄성부재(671)는 일 단이 탄성부재 지지돌기(673)에 지지되고, 타 단이 제1레버(661)를 지지한다.
제2탄성부재(672)는 레버(660)가 제1방향으로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2탄성부재(672)는 일 단이 탄성부재 지지돌기(673)에 지지되고, 타 단이 제2레버(662)를 지지한다.
레버(660)가 제1방향으로 이동시 제1탄성부재(671)는 신장되고, 제2탄성부재(672)는 압축된다. 따라서, 레버(660)는 제2탄성부재(672)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된다. 반대로, 레버(660)가 제2방향으로 이동시 제1탄성부재(671)는 압축되고, 제2탄성부재(672)는 신장된다. 따라서, 레버(660)는 제1탄성부재(671)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된다.
손잡이(4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싸이클론부(30)를 기준으로 흡입부(10)와 반대방향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쥐는 부분인 파지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부(450)는 대략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길이 방향의 축(A4)을 갖는다. 또한, 파지부(450)는 상부가 전방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전원부(50)는 모터부(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배터리(510)를 포함한다. 전원부(50)는 상측으로는 손잡이(4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전방으로는 후술할 먼지통(60)의 외주면의 하부 일부분이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미도시)는 공기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에 설치되는 필터(미도시)에는 프리필터 및 헤파필터가 있다.
프리 필터는 원통 형상을 가진 메시 필터(mash filter)일 수 있다. 일 예로, 프리 필터는 나일론(Nylone) 및 스펀 본드 부직포(spun-bonded fabric)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펀 본드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등의 합성 섬유를 방사한 후 열을 가해 접착해서 만드는 부직포의 일종이다.
헤파 필터(미도시)는 프리 필터에서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먼지를 최종적으로 걸러주는 역할을 하며, 하우징(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청소기(1)가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2,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흡입부(1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는 싸이클론부(30)를 유동하며 먼지와 분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입구(311)에서 제1싸이클론(310)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제1 싸이클론(310)은 공기에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킨다. 제1 싸이클론(310)에서 공기는 큰 먼지와 1차로 분리되고, 싸이클론 필터(350)를 통하여 제2 싸이클론(330)으로 유동한다. 제1 싸이클론(310)에서 분리된 큰 먼지는 제1 싸이클론(310)의 바닥 또는 제1 먼지 저장부(630)의 바닥에 쌓인다.
제2 싸이클론(330)은 공기에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킨다. 제2 싸이클론(330)에서 공기는 미세한 먼지와 2차로 분리되고, 배출구(331)를 통하여 배출된다. 제2 싸이클론(330)에서 분리된 미세한 먼지는 제2 싸이클론(330)의 바닥 또는 제2 먼지 저장부(640)의 바닥에 쌓인다.
제1 먼지 저장부(630)의 바닥에는 상대적으로 큰 먼지가 쌓이고, 제2 먼지 저장부(640)의 바닥에는 상대적으로 미세한 먼지가 쌓인다. 큰 먼지와 미세한 먼지는 이격된 공간에 쌓이는 바, 구분하여 처리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레버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먼지 저장부(640) 내부에 집진된 미세먼지를 버릴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레버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캡을 개방시켜 제2 먼지 저장부(640) 내부에 집진된 미세먼지를 버림과 동시에, 압축판을 이동하여 제1 먼지 저장부(630) 내부에 집진된 큰 먼지들을 압축할 수 있다.
레버는 압축판과 연결되어 있는 바, 레버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축판이 제1 먼지 저장부(630)의 부피를 감소시켜 제1 먼지 저장부(630)에 집진된 큰 먼지들을 압축한다. 레버가 제2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면, 레버 중 제2레버 단부는 제2캡 후크(6422)를 들어올려 제2캡과의 체결을 해제하고, 제2캡을 개방하여 제2 먼지 저장부(640) 내부의 미세먼지들을 버릴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레버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먼지 저장부(630) 내부에 집진되고 압축된 큰 먼지들을 버릴 수 있다. 레버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압축판과의 연결을 해제함과 동시에 제1캡을 개방시켜, 제1 먼지 저장부(630) 내부에 집진된 큰 먼지들을 버릴 수 있다. 레버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레버 중 제1레버의 단부가 제1해제돌기(654)를 들어올리고, 제1해제돌기(654)가 상승하는 경우 제1캡 후크(653)도 상승되고, 제1캡 후크와 레버와의 체결이 해제되는 바, 제1캡이 개방된다.
앞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일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
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청소기
2: 본체 3: 하우징
10: 흡입부 20: 모터부
30: 싸이클론부 310: 제1 싸이클론
311: 유입구 330: 제2 싸이클론
331: 배출구 350: 싸이클론 필터
40: 손잡이 50: 전원부
60: 먼지통 610: 케이스
620: 분리벽 621: 연통홀
630: 제1 먼지 저장부 631: 제1개구부
632: 제1캡 6321: 제1캡 힌지
6323: 제1캡 돌기
640: 제2 먼지 저장부 641: 제2개구부
642: 제2캡 6421: 제2캡 힌지
6422: 제2캡 후크 6423: 제2캡 돌기
6424: 제2해제돌기
650: 압축부재 651: 압축판
652: 압축판 안내바 653: 제1캡 후크
654: 제1해제돌기 655: 패킹
660: 레버 661: 제1레버
6611: 제1레버 후크 662: 제2레버
670: 탄성부재 680: 레일

Claims (16)

  1. 일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싸이클론부를 구비한 먼지통;
    상기 먼지통과 연통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벽;
    상기 내부공간 중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일 측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제1먼지저장부;
    상기 제1개구부를 커버하는 제1캡;
    상기 내부공간 중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일 측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제2먼지저장부;
    상기 제2개구부를 커버하는 제2캡;
    상기 제1캡 또는 상기 제2캡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케이스의 타 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개구부와 대향하는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 또는 제2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 단에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는 힌지를 포함하고,
    타 단에 상기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은,
    상기 케이스와 체결되는 제1캡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캡은,
    상기 케이스와 체결되는 제2캡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와 제2후크는,
    상기 레일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은,
    상기 케이스와 체결되는 제1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캡은,
    상기 케이스와 체결되는 제2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와 제2후크는,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양 측에 배치되는 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캡은,
    상기 케이스와 체결되는 제2캡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외둘레면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캡 후크가 걸리는 제2캡 돌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캡 돌기와 상기 레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로 돌출된 제2해제돌기;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제1방향으로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레버가 제2방향으로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레버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탄성부재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돌기의 일 측에 지지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돌기의 타 측에 지지되는 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캠버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압축판;을 포함하는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에 걸리는 제1캡 후크를 포함하는 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판은,
    상기 제1레버 후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쪽으로 돌출되는 제1해제돌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클론부는,
    상기 제1 먼지 저장부에 배치되는 제1싸이클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싸이클론의 단부는 상기 압축판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청소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클론부는,
    상기 제1 먼지 저장부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분리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싸이클론을 포함하는 청소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개구부 또는 상기 제2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에 의하여 감싸지는 레일을 포함하는 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일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제1 먼지 저장부의 내부공간은 감소하고,
    상기 제2 먼지 저장부는 개방되는 청소기.
KR1020200171496A 2020-12-09 2020-12-09 청소기 KR20220081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96A KR20220081704A (ko) 2020-12-09 2020-12-09 청소기
US18/256,497 US20240023768A1 (en) 2020-12-09 2021-08-27 Cleaner
EP21903575.5A EP4260784A1 (en) 2020-12-09 2021-08-27 Cleaner
PCT/KR2021/011493 WO2022124528A1 (ko) 2020-12-09 2021-08-27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96A KR20220081704A (ko) 2020-12-09 2020-12-09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704A true KR20220081704A (ko) 2022-06-16

Family

ID=8197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496A KR20220081704A (ko) 2020-12-09 2020-12-09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23768A1 (ko)
EP (1) EP4260784A1 (ko)
KR (1) KR20220081704A (ko)
WO (1) WO2022124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0847A (en) * 2022-06-29 2024-01-2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8697B2 (en) 2011-12-22 2017-10-17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882B1 (ko) * 2001-12-29 2006-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KR100714493B1 (ko) * 2005-10-14 2007-05-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US9888817B2 (en) * 2014-12-17 2018-02-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411705B1 (ko) * 2007-11-19 201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CN201299516Y (zh) * 2008-11-08 2009-09-02 姜义邦 吸尘器旋风分离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8697B2 (en) 2011-12-22 2017-10-17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528A1 (ko) 2022-06-16
US20240023768A1 (en) 2024-01-25
EP4260784A1 (en)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722B1 (ko) 청소기
KR101622726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
US7604675B2 (en) Separately opening dust containers
KR10093606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RU2670406C1 (ru)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ылесоса и пылесос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EP1857032A2 (en) Vacuum cleaner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cyclone units
KR101641261B1 (ko) 청소기
KR20110106918A (ko) 핸드헬드 청소기
CA2658176A1 (en) Handheld cleaning appliance
KR20160089201A (ko) 진공 청소기용 집진장치
KR20220045717A (ko) 청소 시스템과 도킹장치
EP4260784A1 (en) Cleaner
AU2017423525B2 (en) Vacuum cleaner
AU2018404659B2 (en) Cleaner
KR101147770B1 (ko) 진공 청소기
KR20220099037A (ko) 청소기
AU2021277114A1 (en) Cleaner
JP6969898B2 (ja)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7018408A (ja)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4033879A (ja) 塵埃分離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WO2018146944A1 (ja) 電気掃除機
CN107847096B (zh) 灰尘分离装置和电动扫除机
KR20220087200A (ko) 청소기
KR20220080818A (ko) 청소기
GB2618413A (en) Vacuum clean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