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452A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452A
KR20220081452A KR1020200170847A KR20200170847A KR20220081452A KR 20220081452 A KR20220081452 A KR 20220081452A KR 1020200170847 A KR1020200170847 A KR 1020200170847A KR 20200170847 A KR20200170847 A KR 20200170847A KR 20220081452 A KR20220081452 A KR 20220081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cell
culture
lpq1
lactobacillus planta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947B1 (ko
Inventor
김택중
김민정
김민아
김완재
이주원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94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708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89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균주(수탁번호 KCTC 14137BP)에 관한 것으로,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는 손상된 근육세포의 생존율을 회복시켜 근감소증 및 근위축을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uscular disease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Q1(LPQ1)}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LPQ1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 및 근위축을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육질환은 골격근의 약화로 인해 보행 및 이동기능의 장애가 생겨 일상생활 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이 어려워지고, 심폐기능 장애를 초래하며, 다른 합병증들을 유발할 수 있다. 근력의 약화를 유발하는 질환은 노화와 함께 진행되는 근감소증(sarcopenia), 단백질 대사의 불균형이나 근육사용 감소에서 유발되는 근위축증(muscle atrophy), 기아, 소모성질환(암 등), 노화와 함께 진행되는 심위축증(acardiotrophy) 등이 있다.
그 중 근감소증(sarcopenia)은 근육량 감소에 따른 근력의 저하 뿐 아니라, 골격근의 수축을 유도하는 운동신경이 퇴행하여 골격근의 수축이 진행되지 않거나 골격근 내에서 근육의 수축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 혹은 변형되어 정상적인 골격근의 수축이 진행되지 않고, 장기적으로는 상기 운동 신경 또는 골격근이 섬유성 조직으로 변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신진대사의 감소 및 면역력 저하 등 고혈압, 당뇨, 관절염, 비만, 암 등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유병률을 높이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근감소증은 근육량의 감소뿐 아니라 근섬유의 종류 변화도 관찰되는데 노화로 인한 근섬유의 감소는 타입 1(크고 느리게 수축하는 근섬유) 및 타입 2(빠르게 수축하는 근섬유)가 비슷한 비율로 감소하는데 반해 근감소증은 타입 1 근섬유 두께가 눈에 띄게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방법으로는 첫 번째는 운동, 단백질 및 칼로리 보충으로 단기적으로 골격근의 단백질 합성 능력을 증가시키며, 노인들의 근육의 힘이나 운동성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노인들에게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두 번째는 약물치료로서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또는 아나볼릭 스테로이드(anabolic steroid)의 사용이 가능하나 이는 여성에게는 남성화를 유도하며, 남성의 경우 전립선 증상(prostate symptoms) 등 부작용을 나타낸다. 최근에는 위성 세포를 분리하여 체외에서 분화시킨 후 체내에 도입시키는 줄기세포치료법(stem cell therapy)과 직접 체내의 위성 세포를 활성화하여 근육 분화(myogenesis)를 촉진시켜 근육을 유지하거나 강화시키는 방법이 근감소증과 같은 근력약화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염증성 근육병은 근육과 주변 조직에 염증이 발생하고 상기 염증이 근육조직을 파괴하여 근육이 약화되어 힘이 빠지고 근육통이 발생하며, 장기적으로는 근육량이 줄어 근육 위축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육에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근육염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크게 다발성 근육염과 피부근육염으로 분류된다. 몸의 면역체계에 이상이 발생하여 발생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으로 바이러스나 일부 약물(페니실라민, 알파 인터페론, 시메티딘, 페니토인, B형 간염백신 등)에 의해서 발생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발성 근육염이나 피부근육염의 치료방법으로 첫 번째는 약물로 스테로이드가 주로 사용되며, 70 ~ 80%의 환자에서 호전되는 반응을 보인다. 고농도 경구 요법으로 사용되거나 주사제로 사용되며, 근력이 현저하게 호전될 수 있으나 부작용(체중 증가, 골다공증, 당뇨 악화, 속쓰림, 소화불량, 위궤양 악화 등)이 발생하여 이를 줄이기 위해 다른 면역억제제(이뮤란 등)를 병용한다. 두 번째는 다양한 면역 억제제에 대해 치료 효과가 떨어지거나 부작용으로 사용할 수 없을 때 정맥 면역 글로불린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최근 들어 새롭게 개발된 면역억제제 등도 다발성 근육염에 일부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으나, 부작용이 없는 치료제 개발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근위축(muscle atrophy)은 장애나 사고에 의해 장기간 해당 부위와 주변부의 근육을 사용하지 않아 근육 강도의 소실로 인해 점차 근위축으로 진행되는 무용성근위축(disuse atrophy), 근육 자체의 질병으로 인한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근육세포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근이영양증(dystrophy), 근육 자체에 발생하는 염증,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근위축인 척수성 근위축(spinal muscular amyotrophy), 근위축성 축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등의 형태로 발병된다.
근위축증 치료제에 관한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560,799호에는 hnRNP M(Heterogeneous nuclear ribonucleoprotein M) 또는 이를 코팅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용 조성물, 제1,468,123호에는 포유동물 탯줄 유래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질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제1,385,191호에는 치커리(Cichorium intyb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제1,349,361호에는 등골나물(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관절이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리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근본적 치료를 위하여 유전자 치료도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유일하게 인가되어 있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치료제로는 릴루졸(riluzole)이 있으며, 발증 요인의 하나로 여겨지는 글루탐산 독성에 길항하지만 연명 효과는 수개월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이다.
한편,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분류되는 장내 미생물 균형에 도움을 주는 항균 활성과 효소 활성을 가진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이 생산하는 생산물로, 건조세포나 발효산물 형태로 사람이나 동물에게 공급되어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 단일 또는 복합 균주 형태의 생균으로 정의되고 있다. 상기 생균을 이용하여 제조한 생균제로 사용되는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a), 바실러스(Bacillus) 등의 세균류,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를 포함하는 효모류,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등을 포함하는 곰팡이류 등이 있고, 비병원성이며, in vitro 증식이 용이하고, 생체 내에서 빠른 성장을 하며,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전달되는 식품 안에서 소비되기 전에 생존율과 활성을 유지하고, 감염 예방으로 사용되는 항생제에 대해 민감해야 하며, 항생제 내성을 갖는 플라스미드를 보유하지 않아야 한다.
최근 프로바이오틱스는 장 건강 개선을 비롯한 다양한 건강 기능 개선 효과가 보고되면서 기존 화합물에 기초한 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주요한 치료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세포독성이 없고 안정성이 확보된 근감소증 및 근위축을 포함하는 근육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신규 균주가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의한 근육세포의 손상 및 사멸을 억제하여 생존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560,799호(2015.10.08.) 한국등록특허 제1,349,361호(2014.01.02.)
Timothy J. Doherty, J. Appl. Physiol. 95, 1717-1727, 2003 Shihuan Kuang, and Michael A. Rudnicki, Trends in Molecular Medicine 14, 82-31, 2008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신규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며,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PQ1의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PQ1의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PQ1의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량 증강용 식품첨가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신규 균주는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의한 근육세포의 손상 및 사멸을 억제하여 생존율이 상승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LPQ1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는 근감소증 및 근위축을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의 16s rRNA을 기초로 계통발생론적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LPQ1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LPQ1의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 유도된 근육세포 손상을 회복하는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신규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의 16s rDNA를 분석한 결과, 상기 균주가 종래 공지된 바 없는 신규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LPQ1 신규 균주는 근육세포의 손상 및 사멸을 억제하여 생존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LPQ1 신규 균주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6s rDNA 서열을 포함하는 균주를 제공한다.
<서열목록 1>
AACTGGTGAGTAACACGTGGGAAACCTGCCCAGAAGCGGGGGATAACACCTGGAAACAGATGCTAATACCGCATAACAACTTGGACCGCATGGTCCGAGTTTGAAAGATGGCTTCGGCTATCACTTTTGGATGGTCCCGCGGCGTATTAGCTAGATGGTGAGGTAACGGCTCACCATGGCAATGATACGTAGCCGACCTGAGAGGGTAATCGGCC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CAGTAGGGAATCTTCCACAATGGACGAAAGTCTGATGGAGCAACGCCGCGTGAGTGAAGAAGGGTTTCGGCTCGTAAAACTCTGTTGTTAAAGAAGAAcATATCTGAGAGTAACTGTTCAGGTATTGACGGTATTTAACCAGAAAGCCACGGCTAACTACGTGCCAGCAGCCGCGGTAATACGTAGGTGGCAAGCGTTGTCCGGATTTATTGGGCGTAAAGCGAGCGCAGGCGGTTTTTTAAGTCTGATGTGAAAGCCTTCGGCTCAACCGAAGAAGTGCATCGGAAACTGGGAAACTTGAGTGCAGAAGAGGACAGTGGAACTCCATGTGTAGCGGTGAAATGCGTAGATATATGGAAGAACACCAGTGGCGAAGGCGGCTGTCTGGTCTGTAACTGACGCTGAGGCTCGAAAGTATGGGTAGCAAACAGGATTAGATACGGTGGTAGTCCATACCGTAAACGATGAATGCTAAGTGTTGGAGGGTTTCCGCCCTTCAGTGCTGCAGCTAACGCATTAAGCATTCCGCCTGGGGAGTACGGCCGCAAGGCTG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AGCTACGCGAAGAACCTTACCAGGTCTTGACATACTATGCAAATCTAAGAGATTAGACGTTCCCTTCGGGGACATGGAT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TATCAGTTGCCAGCATTAAGTTGGGCACTCTGGTGA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ATGGTACAACGAGTTGCGAACTCGCGAGAGTAAGCTAATCTCTTAAAGCCATTCTCAGTTCGGATTGTAGGCTGCAACTCGCCTACATGAAGTCGGAATCGCTAGTAATCGCGGATCAGCATGCC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TGAGAGTTTGTAACACCCAAAGTCGGTGGGGTAACCTTTTAGGAACCAGCCGCCTAAGGTGGGACAGATGATTAGGGTGAAGTC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조성물의 투여로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활성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탑재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생균체"는 본 발명의 신규한 유산균 그 자체 일 수 있고, "배양물"은 유산균을 배지에 배양시켜 수득한 산물로 상기 산물은 유산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균체"는 가열, 가압 또는 약물처리 등으로 살균 처리된 유산균일 수 있고, "파쇄물"은 유산균을 효소 처리, 균질화 또는 초음파 처리 등으로 파괴된 유산균일 수 있으며, "추출물"은 유산균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산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양물은 상기 LPQ1 균주를 배양배지에서 배양하여 수용한 배양물, 농축배양물, 배양물 건조물, 배양 여과액, 농축배양 여과액, 배양 여과액의 건조물일 수 있고, 상기 균주를 포함하거나 배양한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여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LPQ1 사균체는 LPQ1 생균체를 열처리, UV처리, 포르말린 또는 기타 살균제와 함께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죽어있는 균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LPQ1을 배양한 후, pH 5.5 내지 8.0의 약산성 내지 약알칼리성의 조건 및 20 내지 40 ℃의 온도범위에서 배양한 다음 열처리를 거쳐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LPQ1 배양시 pH가 5.5 미만 또는 8.0 초과일 경우 배양 후 생균체의 수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LPQ1 배양시 온도가 20 ℃ 미만 또는 40 ℃ 초과일 경우, 배양 후 생균체의 수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pH 5.5 내지 8.0의 중성 또는 약산성의 조건 및 20 내지 40 ℃의 온도범위에서 LPQ1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LPQ1 사균체는 유가 배양하여 수득한 LPQ1 생균체를 열처리하여 제조한 사균체를 가압멸균 및 여과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가압멸균은 0.1 내지 0.3 Mpa의 압력조건 및 70 내지 130 ℃의 온도조건에서 20 내지 120분간 가압멸균 할 수 있고, 상기 여과는 여과막 크기가 0.01 내지 0.5 ㎛인 여과막을 이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LPQ1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는 인체에 독성이 없이 안전하게 근육세포의 손상 및 사멸을 억제하여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의한 근육세포의 손상 및 사멸을 억제하여 손상된 근육세포를 회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근육질환은 노화에 따른 점진적인 골격 근육량이 감소하는 근감소증(sarcopenia), 근육의 신경장애로 근육이 쇠약해지는 근무력증(myasthenia), 근육 자체의 병으로 인한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골격근이 변성되고 위축되어 악화되는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자극이 제거된 상태에서 수축한 근육이 이완되지 않는 근육긴장증(myotonia), 근육의 저항이 낮아진 상태인 근긴장 저하(hypotonia), 근육의 힘이 감소된 근력 약화(muscular weakness), 점진적인 근력감소로 인한 근육퇴행위축(muscular dystrophy), 근육이 위축되는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육 조직의 손실로 인한 무용성근위축(disuse atrophy),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척수성 근위축(spinal muscular amyotrophy), 운동신경의 퇴행성 질환인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루게릭병), 진행성 신경근육질환인 척수구근 근위축(sphinobulbar muscular atrophy; 베르드니히-호프만병; 쿠겔베르그-벨란더병) 또는 근육과 주변 조직에 염증이 발생하는 염증성 근육병(inflammatory myopathy; 다발성 근염; 피부근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LPQ1 균주의 사균체가 세포독성이 없고(도 2 참조),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 스트레스로 유도된 근육세포 손상 및 사멸을 억제하여 생존율이 회복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3 참조). 따라서, 상기 LPQ1 신규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를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제와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배설 속도, 질병 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kg 당 0.1 mg 내지 100 mg, 바람직하게는 0.2 mg 내지 17 mg을 매일 또는 격일로 투여하거나 1일 1회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근육 내,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피내, 또는 국소에 적용) 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는 콜로이드 현탁액, 분말, 식염수, 지질, 리포좀, 미소구체(microspheres), 또는 나노 구형입자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를 사용하여 운반될 수 있다. 이들은 운반 수단과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서로 연결 또는 담체 중에 포함될 수 있고, 지질, 리포좀, 미세입자, 금, 나노입자, 폴리머, 축합 반응제, 다당류, 폴리아미노산, 덴드리머, 사포닌, 흡착 증진 물질 또는 지방산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운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체 내로/내에서 운반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 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제화 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LPQ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사균체, 상기 균주의 파쇄물 및 상기 균주의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및 윤할제(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등을 섞어 제조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액상 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희석제(물, 리퀴드 파라핀), 부형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섞어 제조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되고, 상기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좌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LPQ1 균주가 포함되는 식품에는 음료,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가공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LPQ1 균주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음료조성물은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또는 천연 탄수화물(모노사카라이드, 예를들어, 포도당, 과당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g 내지 10 g이다.
또한,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팩트산 염, 알긴산, 알긴산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화제 및 과육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도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 당 일반적으로 약 0.1g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1g 내지 20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LPQ1 균주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을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원료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10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량 증강용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식품첨가제는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전체 식품 100 중량부당 0.1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중량부일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고,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LPQ1) 균주를 분리하기 위해 멸균증류수 9 ㎖와 김치 1 g을 10 분간 섞어서 나온 상등액을 멸균증류수로 희석한 후, 유산균 MRS 고체배지(Lactobacilli MRS Agar, BD, USA)에 도말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각의 콜로니를 분리하였다.
선별된 군주를 MRS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실시예 2> 균주의 동정
<2-1> API 50 CHL kit를 이용한 당의 이용범위 조사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LPQ1 균주의 탄수화물 이용성을 확인하기위해 API 50 CHL kit(Biomerieux, France)을 이용하여 생화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정하려는 균주를 MRS 고체배지에 도말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콜로니에 생리식염수 2 ㎖로 현탁시키고 서스펜션 배지(suspension medium) 5 ㎖에 상기 현탁한 균액을 넣어 분산시켜 탁도를 2 맥팔런트(McFarland)로 맞춰주었다. 탁도를 맞춘 균액을 API 50 CHL medium 10 ㎖에 접종하고 섞어준 후, API 50 CH strip에 150 ㎕씩 접종하고 37 ℃에서 24시간과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분리균은 다양한 당류를 이용하여 산을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1).
[표 1] 분리균의 총 49종의 탄수화물에 대한 당의 이용능력 확인 결과
Figure pat00001
또한, API동정용 시스템(apiwebTM)을 통해 생화학적 결과를 분석한 결과, 99.9%의 높은 유사성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인 것을 확인하였다.
<2-2>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한 균주의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LPQ1 균주를 16s rRNA를 PCR 방법을 이용하여 증폭하고 정제 과정을 거친 PCR 단편을 유전자 분석센터인 (주)마크로젠에 분석을 의뢰하여 균주의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얻은 균주의 염기서열은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NCBI) 홈페이지 내에 존재하는 GeneBank database에서 BLASN로 검색 후 기존 보고된 미생물의 16s rRNA와 유사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8268(accession No: MT538850) 16s rRNA 유전자와 99%(1398/1400) 일치하여 분류학상 위치는 Lactobacillus plantarum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이에 본 발명의 균주의 이름을 Lactobacillus plantarum Q1으로 명명하고 한국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4137BP).
<실시예 2> LPQ1 균주의 배양액 준비
포도당 2~5%(w/v), 효모추출물 2 ~ 5%(w/v), 소이펩톤 2 ~ 5%(w/v) 및 카제인 1 ~ 5%(w/v)의 유산균을 배양하기 위한 기본배지에 총 부피가 100%(v)가 되도록 물을 발효조에 가하여 용해한 후 0.15 Mpa 및 121 ℃에서 30분간 가압멸균하였다.
멸균된 락토바실러스 MRS 배지(Lactobacilli MRS Broth)에서 30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LPQ1 균주를 상기 멸균된 배지에 접종한 후, 40%(w/v)의 포도당 및 수산화나트륨을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6.0 내지 7.5로 유지하면서 100 rpm 및 30 ℃에서 20시간 동안 유가배양(fed-batch)하여 LPQ1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LPQ1 균주의 사균체 준비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LPQ1의 배양액을 0.15 Mpa 및 100 ℃에서 60분간 가압멸균하고, 여과막 사이즈가 0.1 ㎛인 막여과 농축기(DOW separation systems, Serial No.546/57 205-92.)에 통과시켜 사균체를 농축시킨 후 건조하여 LPQ1 사균체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 균주 사균체의 세포 독성(Cell viability) 확인
<1-1> 세포의 배양
정상근육세포(C2C12)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7.5 % NaHCO3 150 μg/ml, 글루타민 58.4 μg/ml 및 항생제(antibiotic)/항진균제(antimycotics) 4.4 μl/ml가 함유된 75 ㎠ 플라스틱 플라스크의 DMEM 배지에서 37 ℃ 및 5 % CO₂의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2일에 한 번씩 2차 배양하여 세포주를 유지하였다.
<1-2> 세포의 정량
상기 실험예 <1-1>에서 정상근육세포가 배양된 75 ㎠ 플라스틱 플라스크의 DMEM 배지에서 배지액을 제거하고, CMF-PBS(calcium magnesium free-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2)로 세척하였다. 세척 후 0.25 % 트립신/EDTA를 처리하여 정상근육세포를 플라스크 바닥으로부터 떼어내고, 세포 배양액으로 중화시킨 후 1200 rpm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후 남은 세포의 펠렛(pellet)에 배양액을 가하고 멸균 피펫으로 반복 흡입하여 단일세포 부유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포부유액과 트립판 블루(trypan blue)를 1:1로 혼합한 후, Luna 자동세포카운터(Logos Biosystems, Inc.)를 이용하여 광학 현미경상에서 세포를 측정하였다.
<1-3> 세포독성(Cell viability)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LPQ1 사균체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Qunati-MAXTM WST-8 Cell Viability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2>에서 정량한 정상근육세포(C2C12)를 96 well plate에 2×104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및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다양한 농도(0, 25, 50, 100, 250 및 500 ㎍/㎖)의 LPQ1 사균체를 첨가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정상근육세포의 세포생존율을 Qunati-MAXTM WST-8 Cell Viability Assay Kit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농도의 LPQ1 사균체를 첨가했을 때와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정상근육세포의 세포생존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실험예 2> 근육세포 손상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름 Q1 균주 사균체의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LPQ1 사균체의 근육세포 회복 효과를 확인하기위해 산화스트레스로 손상된 근육세포에 LPQ1 사균체를 처리한 후 Qunati-MAXTM WST-8 Cell Viability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2>에서 정량한 정상근육세포(C2C12)를 96 well plate에 2×104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및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다양한 농도(0, 25, 50, 100, 250 및 500 ㎍/㎖)의 LPQ1 사균체를 첨가하여 37 ℃ 및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10 % FBS DMEM 배지를 이용하여 전체부피가 100 ㎕로 되도록 조절하였다. 배양 후 배양기에서 배양액을 제거하고 농도가 1 mM인 H2O2를 전체부피가 100 ㎕로 되도록 첨가한 후 다시 37 ℃ 및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1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기에서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FBS DMEM 배지 90 ㎕ 및 Qunati-MAXTM WST-8 Cell Viability Assay Kit 10 ㎕를 첨가한 1시간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 손상된 근육세포의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H2O2만을 처리한 군의 정상근육세포는 H2O2를 처리하지 않은 군의 정상근육세포보다 세포생존율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H2O2 및 LPQ1를 병용처리한 군의 정상근육세포의 세포생존율은 H2O2만 처리한 군의 정상근육세포의 세포생존율보다 우수하고, LPQ1의 농도와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4).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LPQ1 사균체 1 ㎎ - 10 g
유당 1 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LPQ1 사균체 1 ㎎ - 10 g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정제의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LPQ1 사균체 1 ㎎ - 10 g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캡슐제의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제의 제조
LPQ1 사균체 1 ㎎ - 10 g
만니톨 180 ㎎
Na2·HPO4·2H2O 26 ㎎
증류수 2974 ㎎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주사제의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2-1>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LPQ1 사균체 1 ㎎ - 10 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 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륨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과립을 제조하여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는 변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2-2> 건강기능음료의 제조
LPQ1 사균체 1 ㎎ - 10 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적량 가하여 총량을 900 ㎖로 함
상기 성분들은 혼합하고 건강기능음료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85 ℃에서 1시간동안 교반 및 가열한 후, 용액을 여과하고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멸균하였다. 상기 밀봉멸균한 용액을 냉장보관한 후 건강기능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건강기능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및 지역적·민족적 기호도에 따라 그 배합비는 변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 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균주의 수탁 정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 KCTC 14137BP를 2020년 04년 02일에 공인기탁기관인 한국생물자원센터(주소: 대한민국 56212 전라북도 정읍시 입신길 181 한국 생명공학연구원)에 특허기탁하여 KCTC 14137BP의 수탁번호를 부여받았다.
한국생물자원센터 KCTC14137BP 20200402
<110> Cuome Bio Co.Ltd. <120>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uscular disease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Q1(LPQ1) <130> PB2020-204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0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actobacillus plantarum Q1 <400> 1 aactggtgag taacacgtgg gaaacctgcc cagaagcggg ggataacacc tggaaacaga 60 tgctaatacc gcataacaac ttggaccgca tggtccgagt ttgaaagatg gcttcggcta 120 tcacttttgg atggtcccgc ggcgtattag ctagatggtg aggtaacggc tcaccatggc 180 aatgatacgt agccgacctg agagggtaat cggccacatt gggactgaga cacggcccaa 240 actcctacgg gaggcagcag tagggaatct tccacaatgg acgaaagtct gatggagcaa 300 cgccgcgtga gtgaagaagg gtttcggctc gtaaaactct gttgttaaag aagaacatat 360 ctgagagtaa ctgttcaggt attgacggta tttaaccaga aagccacggc taactacgtg 420 ccagcagccg cggtaatacg taggtggcaa gcgttgtccg gatttattgg gcgtaaagcg 480 agcgcaggcg gttttttaag tctgatgtga aagccttcgg ctcaaccgaa gaagtgcatc 540 ggaaactggg aaacttgagt gcagaagagg acagtggaac tccatgtgta gcggtgaaat 600 gcgtagatat atggaagaac accagtggcg aaggcggctg tctggtctgt aactgacgct 660 gaggctcgaa agtatgggta gcaaacagga ttagatacgg tggtagtcca taccgtaaac 720 gatgaatgct aagtgttgga gggtttccgc ccttcagtgc tgcagctaac gcattaagca 780 ttccgcctgg ggagtacggc cgcaaggctg aaactcaaag gaattgacgg gggcccgcac 840 aagcggtgga gcatgtggtt taattcgaag ctacgcgaag aaccttacca ggtcttgaca 900 tactatgcaa atctaagaga ttagacgttc ccttcgggga catggataca ggtggtgcat 960 ggttgtcgtc agctcgtgtc gtgagatgtt gggttaagtc ccgcaacgag cgcaaccctt 1020 attatcagtt gccagcatta agttgggcac tctggtgaga ctgccggtga caaaccggag 1080 gaaggtgggg atgacgtcaa atcatcatgc cccttatgac ctgggctaca cacgtgctac 1140 aatggatggt acaacgagtt gcgaactcgc gagagtaagc taatctctta aagccattct 1200 cagttcggat tgtaggctgc aactcgccta catgaagtcg gaatcgctag taatcgcgga 1260 tcagcatgcc gcggtgaata cgttcccggg ccttgtacac accgcccgtc acaccatgag 1320 agtttgtaac acccaaagtc ggtggggtaa ccttttagga accagccgcc taaggtggga 1380 cagatgatta gggtgaagtc 1400

Claims (15)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PQ1) KCTC 14137BP 균주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6s rDNA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균주.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PQ1) KCTC 14137BP 균주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것인,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PQ1) KCTC 14137BP 균주의 사균체는 약산성 내지 약알칼리성의 조건 및 20 내지 40 ℃의 온도범위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거쳐 수득되는 것인,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또는 약산성 조건은 pH 5.5 내지 8.0인,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PQ1) KCTC 14137BP 균주의 사균체는 유가 배양하는 단계를 거쳐 수득되는 것인,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PQ1) KCTC 14137BP 균주의 사균체는 가압멸균 및 여과하는 단계를 거쳐 수득되는 것인,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멸균은 0.1 내지 0.3 Mpa의 압력조건 및 70 내지 130 ℃의 온도조건에서 20 내지 120분간 진행되는 것인,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는 여과막 크기 0.01 내지 0.5 ㎛로 여과하는 것인,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PQ1) KCTC 14137BP 균주는 근육세포의 손상 및 사멸을 억제하고, 손상된 근육세포를 회복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인,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질환은 근감소증(sarcopenia), 근무력증(myasthenia),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긴장증(myotonia), 근긴장 저하(hypotonia), 근력 약화(muscular weakness), 근육퇴행위축(muscular dystroph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무용성근위축(disuse atrophy), 척수성 근위축(spinal muscular amyotrophy),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루게릭병), 척수구근 근위축(sphinobulbar muscular atrophy; 베르드니히-호프만병; 쿠겔베르그-벨란더병) 및 염증성 근육병(inflammatory myopathy; 다발성 근염; 피부근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하여 제조된,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제제.
  1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근육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1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 KCTC 14137BP 균주의 균체, 상기 균체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기 균주의 균체 추출물, 상기 균체의 파쇄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의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추출물, 및 상기 균주의 사균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근육량 증강용 식품첨가물.






KR1020200170847A 2020-12-0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47A KR102668947B1 (ko) 2020-12-0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47A KR102668947B1 (ko) 2020-12-0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452A true KR20220081452A (ko) 2022-06-16
KR102668947B1 KR102668947B1 (ko) 2024-05-28

Family

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640B1 (ko) * 2023-05-31 2023-09-12 이아름 바실러스 서틸리스 sb011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61B1 (ko) 2012-02-02 2014-01-1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등골나물 추출물의 근위축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
KR101560799B1 (ko) 2013-10-07 2015-10-16 광주과학기술원 척수성 근위축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61B1 (ko) 2012-02-02 2014-01-1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등골나물 추출물의 근위축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
KR101560799B1 (ko) 2013-10-07 2015-10-16 광주과학기술원 척수성 근위축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ihuan Kuang, and Michael A. Rudnicki, Trends in Molecular Medicine 14, 82-31, 2008
Timothy J. Doherty, J. Appl. Physiol. 95, 1717-1727, 200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640B1 (ko) * 2023-05-31 2023-09-12 이아름 바실러스 서틸리스 sb011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972B1 (ko) 치매, 치매관련 질환의 예방/치료 및 인지기능장애 개선에 효과가 있는 유산균 발효 산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3303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tci378 및 지방 감소 및 위장 기능 향상에 있어서 그의 용도
KR102206628B1 (ko)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51195B1 (ko) 발효 뽕잎, 발효 뽕잎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011883B1 (ko)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3 균주 및 이의 용도
EP2223697A1 (en) Lactic acid bacterium-containing preparation
AU2019260952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fat accumulation
KR20150110378A (ko)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EP3875576A1 (en) Novel lactic acid bacteria and use thereof
TWI689585B (zh) 新穎乳酸菌株及包含新穎乳酸菌株之免疫賦活劑
KR102543494B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KR20230005057A (ko)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한약재를 포함하는 병용 요법을 이용한 항노화 조성물
KR1018258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20930B1 (ko) 미립화된 유산균 사균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78581B1 (ko) 신종균 크리세오박테리움 thg-c4-1 및 이를 이용한 지페노사이드 17 생산 방법
KR100773059B1 (ko) 배당체 가수분해능을 가진 신규한 미생물, 이를 함유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9838B1 (ko)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KR102668947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2236A (ko) 신규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220081452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Q1(Lactobacillus plantarum Q1, LPQ1)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2498A (ko) 질염 원인균에 대한 증식억제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조합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JP2015168614A (ja) Glp−1分泌促進剤
KR102495246B1 (ko)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bcc-lh-0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34006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