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429A - 철재 공포부재 - Google Patents

철재 공포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429A
KR20220081429A KR1020200170467A KR20200170467A KR20220081429A KR 20220081429 A KR20220081429 A KR 20220081429A KR 1020200170467 A KR1020200170467 A KR 1020200170467A KR 20200170467 A KR20200170467 A KR 20200170467A KR 20220081429 A KR20220081429 A KR 20220081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iron
blank member
bla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405B1 (ko
Inventor
권오영
Original Assignee
권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영 filed Critical 권오영
Priority to KR102020017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4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재 공포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포를 구성하는 공포부재를 철재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에 구비되는 다른 공포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구조적인 내구성도 높일 수 있는 철재 공포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재로 이루어져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판과, 철재로 이루어져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 유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간격 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재 공포부재{an Eaves-suppoting Steel Member}
본 발명은 철재 공포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포를 구성하는 공포부재를 철재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에 구비되는 다른 공포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구조적인 내구성도 높일 수 있는 철재 공포부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고유의 건축으로서 환경 친화적이고 공간 구성이 아름다운 한옥의 가치에 대한 재발견과 한옥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한옥을 보전하고 현대화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한옥의 현대화 및 활성화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는 한옥을 보존하고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존 한옥이 상업시설, 업무시설 및 문화시설 등으로 개축되어 그 활용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숙박시설이나 공공시설이 한옥으로 계획되는 등 한옥의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한옥은 기본적으로 목재를 기반으로 하여 건축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화재 및 지진에 취약하며 구조상 고층의 건축물을 제작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철강과 목조를 혼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한옥 건축이 고층 한옥을 가능케하는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공포는 한옥에 있어서 건물 지붕의 무게를 분산 혹은 집중시켜 구조적으로 안전한 완충적 기능을 하기도 하고,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고 건물을 높여 웅장한 멋을 낼 뿐 아니라, 그 구성과 공작이 섬세하고 화려하여 장식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철 구조물에 한옥식 공포를 결합하여 현대건축물을 전통한옥으로 변신시키는 퓨전 한옥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그 일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82864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절곡선에 따라 접혀 한옥 공포의 외형을 형성하는 철재박판(1)과; 공포의 외관 무늬가 프린팅되며, 한옥 공포의 외형을 형성한 철재박판(1)을 둘러싸도록 밀착되는 시트커버(3)와; 상기 철재박판(3) 내에 삽입되어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5);를 포함하고, 상기 철재박판(3)은 상기 조명부(5)에 의한 빛이 외부로 투과되는 조명공(14)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조명공(14)은 상기 조명부에 의해 발산되는 빛을 보내고자 하는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조명관통공(142)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커버(3)는 조명관통공(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공(31)을 형성하도록 하여, 일정 지점에 대한 직접조명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82864호에 기재된 기술은 철재박판(1)을 사용하여 공포를 형성하고 표면에 부착되는 시트커버(3)에는 외관 무늬를 형성하도록 하여 한옥의 무늬를 가지도록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공포를 구성하는 첨차, 살미 등의 구성을 완전하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측에 보여지는 부분만 철재박판으로 형성함으로써, 외장재의 역할만 할 수 있을 뿐, 실제 공포부재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82864호(2020.07.08.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포를 구성하는 살미 등의 공포부재를 목재가 아닌 철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2측판과 상기 측판의 사이에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지는 간격 유지부재를 구비하여 형성함으로써,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당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철재 공포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포부재를 형성하는 제1,2측판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지지판이 형성되어 상부에 구비되는 공포부재를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제1,2측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기 위한 판형상의 보강대가 구비됨으로써, 지지력을 높여주어 상부에 지지되는 다른 공포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철재 공포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재로 이루어져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판과, 철재로 이루어져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 유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간격 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2측판에는 상기 간격 파이프의 중심공에 대응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상기 간격 파이프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사이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지지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 형상의 보강대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양측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강대는 제1측판과 제2측판이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합홈의 중심부에는 결합편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재 공포부재의 길이방향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경질의 합성수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공포를 구성하는 살미 등의 공포부재를 목재가 아닌 철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2측판과 상기 측판의 사이에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지는 간격 유지부재를 구비하여 형성함으로써,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당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포부재를 형성하는 제1,2측판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지지판이 형성되어 상부에 구비되는 공포부재를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제1,2측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기 위한 판형상의 보강대가 구비됨으로써, 지지력을 높여주어 상부에 지지되는 다른 공포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재 공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철재 공포부재를 구성하는 철재박판 및 시트커버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공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공포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공포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공포부재의 측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 실시 예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공포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공포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공포부재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공포부재의 측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 실시 예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한옥 구조에서 공포를 형성하는 살미 또는 첨차와 같은 공포부재를 철재로 형성한 철재 공포부재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판(210)과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판(220)과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 사이에 구비되되 스티로폼, 고무재,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간격 유지 부재(2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은 철재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목재로 형성할 경우에 소요되는 제조시의 비용을 줄여줄 수 있고 전문 목수가 시공을 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시공비용 및 시간을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간격 파이프(25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간격 파이프(250)는 PVC와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 유지 부재(260)는 상기 간격 파이프(250)에 의해 좌우 관통되게 됨으로써, 상기 간격 파이프(250)에 의해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간격 파이프(25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에는 고정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간격 파이프(250)의 양측에 형성되는 중공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측판(210,220)이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상기 간격 파이프(250)에 의해 측방에서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어 공포를 형성하는 공포부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철재 공포부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술과 같이 단순한 외관만을 위해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공포를 형성할 때, 살미 또는 첨차로 사용하여 다른 공포부재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버틸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240)이 형성되는데, 상기 간격 유지 부재(260) 역시 상기 결합홈(26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홈 형상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측판(210,220)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홈(240)의 사이에 위치하여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지지판(23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간격 유지 부재(260)의 상부를 커버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2측판(210,220)의 하단에도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지지판(230)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지지판(230)에 의해 상기 간격 유지 부재(260)의 상부와 하부를 커버하도록 함으로써, 공포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공포부재와 조립될 때, 간격 유지 부재(260)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철재를 사용한 판 형상의 보강대(2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대(232)는 상기 지지판(23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데, 지지판(230)이 하부에도 형성될 경우 지지판(230)의 상부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지지판(230)과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대(230)는 상기 제1,2측판(210',2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간격 유지 부재(260)의 양측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에 설치되는 보강대(2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으로써, 간격 유지 부재(260)가 절단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2측판(210',22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합홈(240)의 중심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편(242)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편(242)은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철재 공포부재의 결합홈(240)에 공포를 구성하는 살미 또는 첨차와 같은 공포부재가 삽입될 때, 상기 결합편(242)이 다른 공포부재의 하부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된 다른 공포부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력을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철재 공포부재의 길이방향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커버부재(27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커버부재(270)는 PVC와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270)의 형상은 제1,2측판(210,220)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양측에는 지지턱(272)이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제1,2측판(210,220)의 외측 단부와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270)를 설치할 때, 상기 지지턱(272)을 접착 등의 방식으로 제1,2측판(210,220)의 단부에 부착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철재 공포부재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빗물이나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재 공포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포를 구성하는 공포부재를 철재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에 구비되는 다른 공포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구조적인 내구성도 높일 수 있는 철재 공포부재에 관한 것이다.
210,210' : 제1측판 220,220' : 제2측판
230 : 지지판 232 : 보강대
240 : 결합홈
242 : 결합편 250 : 견격 파이프
260 : 간격 유지 부재 270 : 커버부재
272 : 지지턱

Claims (8)

  1. 철재로 이루어져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판과,
    철재로 이루어져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 유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공포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간격 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공포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측판에는 상기 간격 파이프의 중심공에 대응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상기 간격 파이프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공포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사이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지지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공포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 형상의 보강대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양측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공포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제1측판과 제2측판이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공포부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중심부에는 결합편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공포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재 공포부재의 길이방향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경질의 합성수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공포부재.
KR1020200170467A 2020-12-08 2020-12-08 철재 공포부재 KR10254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67A KR102543405B1 (ko) 2020-12-08 2020-12-08 철재 공포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67A KR102543405B1 (ko) 2020-12-08 2020-12-08 철재 공포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429A true KR20220081429A (ko) 2022-06-16
KR102543405B1 KR102543405B1 (ko) 2023-06-15

Family

ID=8221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467A KR102543405B1 (ko) 2020-12-08 2020-12-08 철재 공포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4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703A (ko) * 2013-06-17 2014-12-29 주식회사 포스코 열교 차단용 단열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시스템
KR101551196B1 (ko) * 2015-06-12 2015-09-08 라은건설 (주) 한옥 양식 건축물의 공포 설치용 구조물 및 이에 의한 공포 설치방법
KR20200082864A (ko) 2018-12-31 2020-07-08 김진우 조명 기능을 갖는 한옥의 철재 공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703A (ko) * 2013-06-17 2014-12-29 주식회사 포스코 열교 차단용 단열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시스템
KR101551196B1 (ko) * 2015-06-12 2015-09-08 라은건설 (주) 한옥 양식 건축물의 공포 설치용 구조물 및 이에 의한 공포 설치방법
KR20200082864A (ko) 2018-12-31 2020-07-08 김진우 조명 기능을 갖는 한옥의 철재 공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405B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085B1 (ko) 다기능 조립식 목재기둥
US20070245638A1 (en) On a sauna structure
ITBO20030046A1 (it) Elementi prefabbricati per la realizzazione di solai pavimenti
KR101477410B1 (ko) 프레임 어셈블리
JP4607952B2 (ja) ホゾ継ぎ具
KR20220081429A (ko) 철재 공포부재
ATE264961T1 (de) Stütz- und verbindungsprofil
JP2017043916A (ja) 建築用板材の取付構造
KR102188098B1 (ko)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102626642B1 (ko) 결합식 목재 데크 난간
KR101388165B1 (ko) 건축물용 외장패널
KR200462075Y1 (ko) 목재와 금속재를 병용한 조립식 기둥
KR200449646Y1 (ko)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CN210239014U (zh) 外墙装饰风铃单元
KR101936931B1 (ko) 목재로 만들어진 흡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KR200285761Y1 (ko) 목조건축물의 조립구조
DE69911055D1 (de) Triangulierte holzbauweisen, wie gitterträger, brücke, decken
EA200601170A1 (ru) Композитный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KR100630845B1 (ko) 통나무집의 시공방법
KR200400151Y1 (ko) 목조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JP4210569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CN110453823A (zh) 一种免副龙骨的轻钢龙骨隔墙及其安装方法
KR200298884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4440685B2 (ja) T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システム天井構造
KR200475250Y1 (ko) 장식띠를 갖는 샌드위치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