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235A -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235A
KR20220081235A KR1020200170909A KR20200170909A KR20220081235A KR 20220081235 A KR20220081235 A KR 20220081235A KR 1020200170909 A KR1020200170909 A KR 1020200170909A KR 20200170909 A KR20200170909 A KR 20200170909A KR 20220081235 A KR20220081235 A KR 20220081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ash
connecting device
door
sliding doo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588B1 (ko
Inventor
조수영
Original Assignee
조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영 filed Critical 조수영
Priority to KR102020017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5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part of which remains vi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상 하부 모서리에서 도어샷시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스프링이나 별도의 고정부품이 없이도 연결몸체에 상부로울러브라켓을 삽입에 의해서만 고정할 수 있고 도어의 하중에 의해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다른 도구 없이도 상부로울러브라켓을 쉽게 조립 및 분해를 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로울러브라켓 또한 삽입 및 인출에 의해 쉽게 고정 및 분해할 수 있는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는 사각형상의 육면체로 형성된 몸체 정면에는 도어판이 고정되는 접착면이 형성되고 배면에 상측으로는 걸림편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편 하측에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몸체 상측면에 형성된 삽입홀과 연통되도록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몸체 내측면과 하측면에는 삽입편을 형성하여 도어샷시에 삽입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도어샷시가 연결된 도어가 슬라이딩되도록 몸체와 수평선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로울러를 배면에 축설하도록 수직 절곡 된 상부로울러브라켓의 정면에는 걸림편이 삽입 걸림되도록 걸림요홈을 형성한 고정편을 절곡 형성한 로울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Coupling device of the door frame}
본 발명은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상 하부 모서리에서 도어샷시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스프링이나 별도의 고정부품이 없이도 연결몸체에 상부로울러브라켓을 삽입에 의해서만 고정할 수 있고 도어의 하중에 의해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다른 도구 없이도 상부로울러브라켓을 쉽게 조립 및 분해를 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로울러브라켓 또한 삽입 및 인출에 의해 쉽게 고정 및 분해할 수 있는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은 욕실, 주방, 세탁실, 다용도실 등에 사용되며 물건이 수납되어지도록 일면이 개방된 본체와 수납된 물건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체에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납장의 도어는 크게 여닫이식과 미닫이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여닫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어가 회전하면서 개폐되고 미닫이식은 레일을 따라 도어의 폭 만큼 개폐된다.
이러한 도어는 도어샷시를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연결부재에 나사체결을 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로울러브라켓을 체결하여 사용하여왔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3)는 롤러 브라켓(31) 및 프레임연결부(32)를 포함하여 상기 롤러 브라켓(31)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롤러 결합부(311)와 프레임 삽입부(312), 그리고 롤러 결합부(311)와 프레임 삽입부(312)를 연결하는 간격 유지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32)는 연결몸체(321), 제1삽입부재(322) 및 제2삽입부재(323)를 포함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림방지부재(324)는 슬라이드 몸체(341a) 일측과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몸체(32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눌림방지부재(324)의 넓이는 슬라이드 몸체(341a)를 함께 누르게 될 경우 슬라이드 몸체(314a)는 눌림방지부재(324)에 의해 눌리지 않는다.
이러한 연결장치(3)는 탄성부재(37)를 포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8812호(2016.04.29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때문에 탄성부재에 로울러브라켓을 고정함으로써 로울러브라켓의 고정 및 해정을 위해서는 탄성부재의 탄성을 극복해야 함으로써 로울러 브라켓의 고정 및 해정이 번거로웠으며 오랜시간의 사용시 탄성부재의 탄성이 저하되어 고정력이 저하됨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 및 생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어의 상 하부 모서리에서 도어샷시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스프링이나 별도의 고정부품이 없이도 연결몸체에 상부로울러브라켓을 삽입에 의해서만 고정할 수 있고 도어의 하중에 의해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다른 도구 없이도 상부로울러브라켓을 쉽게 조립 및 분해를 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로울러브라켓 또한 삽입 및 인출에 의해 쉽게 고정 및 분해할 수 있는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동일한 구조의 연결몸체를 도어의 상부와 하부에 사용할 수 있어 제품생산시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수를 줄여 도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는 사각형상의 육면체로 형성된 몸체 정면에는 도어판이 고정되는 접착면이 형성되고 배면에 상측으로는 걸림편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편 하측에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몸체 상측면에 형성된 삽입홀과 연통되도록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몸체 내측면과 하측면에는 삽입편을 형성하여 도어샷시에 삽입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도어샷시가 연결된 도어가 슬라이딩되도록 몸체와 수평선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로울러를 배면에 축설하도록 수직 절곡 된 상부로울러브라켓의 정면에는 걸림편이 삽입 걸림되도록 걸림요홈을 형성한 고정편을 절곡 형성한 로울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에서 상기 몸체부의 몸체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 외측으로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과 연통되도록 몸체 외측면에는 해제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에서 상기 로울러부는 몸체와 수직선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로울러를 하부로울러브라켓에 축설하고 상기 하부로울러브라켓의 정면에는 양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하부고정편을 하부로울러브라켓의 정면에 수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상 하부 모서리에서 도어샷시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스프링이나 별도의 고정부품이 없이도 연결몸체에 상부로울러브라켓을 삽입에 의해서만 고정할 수 있고 도어의 하중에 의해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다른 도구 없이도 상부로울러브라켓을 쉽게 조립 및 분해를 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로울러브라켓 또한 삽입 및 인출에 의해 쉽게 고정 및 분해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동일한 구조의 연결몸체를 도어의 상부와 하부에 사용할 수 있어 제품생산시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수를 줄여 도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몸체부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의 상부로울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의 상부로울러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의 하부로울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의 하부로울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는 도어샷시(1)를 연결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서 가로와 세로의 수직으로 형성된 연결부(20)와, 상기 연결부(20)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도어를 슬라이딩되도록 몸체부(10)에 형성하는 로울러부(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몸체부(10)는 사각형상의 육면체로 형성된 몸체(11) 정면에는 도어판이 고정되는 접착면(12)이 형성되고 배면에 상측으로는 걸림편(13)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편(13) 하측에는 삽입홈(14)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몸체(11) 상측면(15)에는 상기 삽입홀(16)을 형성하여 걸림편(13) 내측으로 삽입홈(14)과 연통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으로는 도어샷시(1)에 삽입되는 연결부(2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몸체(11)의 내측면(17)과 하측면(18)에는 삽입편(21)을 형성하여 도어샷시(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연결부(20)의 삽입편(21)이 도어샷시(1)에 삽입되어 연결된 도어가 슬라이딩되도록 로울러부(30)를 형성한다.
상기 로울러부(30)는 몸체부(10)의 몸체(11)에 형성된 삽입홀(16)에 삽입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몸체(11)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14) 외측으로는 걸림턱(14')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4')과 연통되도록 몸체(11) 외측면(19)에는 해제홀(19')을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의 상부로울러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의 하부로울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울러부(30)는 몸체(11)와 수평선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로울러(31)를 배면에 축설하도록 수직절곡된 상부로울러브라켓(32)의 정면에는 걸림편(13)이 삽입 걸림되도록 걸림요홈(33)을 형성한 고정편(34)을 절곡 형성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울러부(30)는 몸체(11)와 수직선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로울러(35)를 하부로울러브라켓(36)에 축설하고 상기 하부로울러브라켓(36)의 정면에는 양측에 걸림돌기(38)를 형성한 하부고정편(37)을 하부로울러브라켓(36)에서 수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부(10)의 몸체(11)의 내측면(17)과 하측면(18)에 형성된 연결부(20)의 삽입편(21)을 도어샷시(1)에 삽입한다.
이렇게 고정된 도어샷시(1)의 일측단에는 다른 몸체(11)의 내측면(17)에 형성된 삽입편(21)을 삽입하고 하측단에는 다른 몸체(11)를 뒤집은 상태로 하측면(18)에 형성된 삽입편(21)을 삽입하여 사각형상으로 도어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부(10)의 몸체(11) 정면에 형성된 접착면(12)에는 미도시된 도어판을 부착한다.
이렇게 조립된 도어를 로울러부(30)를 결합하여 수납장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상기 로울러부(30) 중 상부로울러(31)는 상부로울러브라켓(32)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34)을 도어 상단에 결합된 몸체부(10)의 몸체(11)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14)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밀어올려 고정편(34)이 몸체(11)의 삽입홀(16)의 저면에서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편(34)이 삽입홀(16)에 삽입되면 걸림편(13)은 걸림요홈(33)에 걸리게 되어 도어의 하중에 의해 완전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로울러(35)는 하부로울러브라켓(36)의 정면에 형성된 하부고정편(37)을 삽입홀(16)의 외측 즉 저면에서 삽입하면 걸림돌기(38)가 휘어지면서 삽입되며 상기 걸림돌기(38)가 삽입홀(16)에 전부삽입되면 걸림턱(14')에 걸림되어 하부로울러를 조립한다.
이렇게 조립된 도어는 수납장의 정면 상, 하측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장치의 상부로울러(31)는 삽입홀(16)에서 고정편(34)의 인출만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고 하부로울러(35)는 해제홀(19')을 통하여 걸림돌기(38)를 밀어 걸림턱(14')에서 쉽게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다른 복잡한 구조나 도구 없이도 삽입에 의해서 로울러를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생산성과 조립성 및 조립 고정력의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0 : 몸체부 11 : 몸체
12 : 접착면 13 : 걸림편
14 : 삽입홈 15 : 상측면
16 : 삽입홀 17 : 내측면
18 : 하측면 20 : 연결부
21 : 삽입편 30 : 로울러부
31 : 상부로울러 32 : 상부로울러브라켓
33 : 걸림요홈 34 : 고정편
35 : 하부로울러 36 : 하부로울러브라켓
37 : 하부고정편 38 : 걸림돌기

Claims (4)

  1. 사각형상의 육면체로 형성된 몸체(11) 정면에는 도어판이 고정되는 접착면(12)이 형성되고 배면에 상측으로는 걸림편(13)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편(13) 하측에는 삽입홈(14)을 형성하여 몸체(11) 상측면(15)에 형성된 삽입홀(16)과 연통되도록 형성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몸체(11)의 내측면(17)과 하측면(18)에는 삽입편(21)을 형성하여 도어샷시(1)에 삽입되는 연결부(20)와,
    상기 연결부(20)를 통하여 도어샷시(1)가 연결된 도어가 슬라이딩되도록 몸체(11)의 삽입홀(16)에 삽입되는 로울러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몸체(11)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14) 외측으로는 걸림턱(14')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4')과 연통되도록 몸체(11) 외측면(19)에는 해제홀(1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부(30)는 몸체(11)와 수평선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로울러(31)를 배면에 축설하도록 수직절곡된 상부로울러브라켓(32)의 정면에는 걸림편(13)이 삽입 걸림되도록 걸림요홈(33)을 형성한 고정편(34)을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부(30)는 몸체(11)와 수직선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로울러(35)를 하부로울러브라켓(36)에 축설하고 상기 하부로울러브라켓(36)의 정면에는 양측에 걸림돌기(38)를 형성한 하부고정편(37)을 하부로울러브라켓(36)에서 수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KR1020200170909A 2020-12-08 2020-12-08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KR102642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909A KR102642588B1 (ko) 2020-12-08 2020-12-08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909A KR102642588B1 (ko) 2020-12-08 2020-12-08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235A true KR20220081235A (ko) 2022-06-15
KR102642588B1 KR102642588B1 (ko) 2024-02-28

Family

ID=8198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909A KR102642588B1 (ko) 2020-12-08 2020-12-08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5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129B1 (ko) * 2015-02-05 2015-10-06 정용일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KR101618812B1 (ko) 2013-12-26 2016-05-10 기초과학연구원 전자 사이클로트론 공명 이온원 장치용 자석의 배치방법
KR101900144B1 (ko) * 2016-04-18 2018-09-18 이오식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라켓
KR20200044417A (ko) * 2018-10-19 2020-04-29 김춘겸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브라켓 결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812B1 (ko) 2013-12-26 2016-05-10 기초과학연구원 전자 사이클로트론 공명 이온원 장치용 자석의 배치방법
KR101558129B1 (ko) * 2015-02-05 2015-10-06 정용일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KR101900144B1 (ko) * 2016-04-18 2018-09-18 이오식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라켓
KR20200044417A (ko) * 2018-10-19 2020-04-29 김춘겸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브라켓 결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588B1 (ko)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6151C2 (ru) Выдвижной ящик
KR101558129B1 (ko)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US20110260592A1 (en) Combination cabinet
US8944532B2 (en) Modular apparatus for realization of wardrobes provided with plastic structure
JP2014145165A (ja) 収納家具
KR101422448B1 (ko)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KR20220081235A (ko)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KR102115975B1 (ko) 미닫이용 도어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1797237B1 (ko) 욕실용 수납장
KR10226345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미닫이도어를 갖는 수납장
KR101896298B1 (ko) 조립이 용이한 슬림형 슬라이드 도어의 내측 결합식 손잡이 구조
KR10252492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도어
KR101189985B1 (ko)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CA2386370C (en) Drawer with drawer slide quick-release mechanism
KR101139929B1 (ko)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CN102016465A (zh) 用于家用器具的门
US20090041538A1 (en) Cabinet door frame corner
KR200455503Y1 (ko) 도어 프레임
JP6340203B2 (ja) 引出し
KR20180047537A (ko) 가구용 서랍
KR20130001882U (ko) 방화문
CN112220248A (zh) 一种通用收纳装置
CN213849596U (zh) 一种通用收纳装置
CN211448091U (zh) 一种条形拉手结构
KR200318127Y1 (ko) 장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