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212A -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212A
KR20220081212A KR1020200170858A KR20200170858A KR20220081212A KR 20220081212 A KR20220081212 A KR 20220081212A KR 1020200170858 A KR1020200170858 A KR 1020200170858A KR 20200170858 A KR20200170858 A KR 20200170858A KR 20220081212 A KR20220081212 A KR 20220081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vehicle
time
area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212A/ko
Priority to US17/478,436 priority patent/US11880673B2/en
Publication of KR2022008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4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ed to technical updates when adding new parts or soft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2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업데이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가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되는 차량에 대해, OTA 업데이트의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 스케줄과 연동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인 배터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UPDATING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업데이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자화가 가속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에 다수의 제어기가 사용되고 있다. 동시에 제어기의 기능 향상 또는 신규 서비스의 적용 등을 위해서 무선 업데이트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차량의 업데이트는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차량이 운행되지 않는 상태(IG-OFF)에서 수행된다. 이때, 차량의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서 리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용량적, 시간적 제약이 발생한다.
전기차(EV/PHEV)는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급속 충전 및 완속 충전을 수행하게 되는데, 완속 충전의 경우 충전 요금의 효율화를 위해 충전 요금에 따른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정차상태에서 충전을 수행한다.
하지만, 배터리와 충전 상태에 따라서 리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 다운로드 및 리프로그램의 실시가 제한될 가능성이 있어, 배터리가 안전한 상태에서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필요성은 자율주행 등의 기능이 증가함에 따라 고정밀 지도 데이터, 영상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 등과 같은 업데이트 정보 사이즈 또한 증가하여, 더욱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배터리의 상태를 고려한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안정적인 업데이트를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기차의 충전 스케줄과 연동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인 배터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OTA 업데이트를 위한 룩업테이블 기반의 데이터 변환을 통해 데이터 변환의 효율을 높이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제어기의 추가 구성 또는 하드웨어의 추가 구성없이, 충전 스케줄 정보를 활용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기술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여, 비용이 크게 들지 않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업데이트 시간 및 배터리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성능의 증가 대신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업데이트 시간 및 배터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장치는 배터리가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되는 차량에 대해, OTA 업데이트의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에 관한 룩업테이블을 구성하고, 상기 룩업테이블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이 상기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전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영역을 전체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부분 업데이트가 가능한 제 2 업데이트 영역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보다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 내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이 상기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에서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부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고려하여 판단된 업데이트가 가능한 전원 공급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OTA 업데이트에 소비된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반영하여, 상기 충전 스케줄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완속 충전 중인 경우,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방법은, 배터리가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되는 차량에 대해, OTA 업데이트의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에 관한 룩업테이블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이 상기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전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영역을 전체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부분 업데이트가 가능한 제 2 업데이트 영역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보다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 내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이 상기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에서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부분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고려하여 판단된 업데이트가 가능한 전원 공급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OTA 업데이트에 소비된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반영하여, 상기 충전 스케줄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완속 충전 중인 경우,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배터리의 상태를 고려한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안정적인 업데이트를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기차의 충전 스케줄과 연동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인 배터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OTA 업데이트를 위한 룩업테이블 기반의 데이터 변환을 통해 데이터 변환의 효율을 높이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어기의 추가 구성 또는 하드웨어의 추가 구성없이, 충전 스케줄 정보를 활용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기술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여, 비용이 크게 들지 않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업데이트 시간 및 배터리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성능의 증가 대신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업데이트 시간 및 배터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프로파일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에 관한 룩업테이블을 통해 산출된 업데이트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프로세서(11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차량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차량과 별개의 구성으로 차량에 설치/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는 차량과 일체로 구현되고, 다른 일부는 차량과 별개의 구성으로 차량에 설치/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가 구비된 차량은 전기를 외부에서 충전함으로써 공급받는, EV(Electric Vehicle) 또는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업데이트 대상(120)과 전기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차량의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계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충전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충전 서버로부터 충전기 및 차량에 구비된 충전 제어기를 거쳐서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서, 충전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차량에 구비된 충전 제어기는 충전기로부터 PLC 통신을 통해 충전과 동시에 충전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충전 스케줄에 따라서,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업데이트 대상(120)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업데이트 대상(120)별 업데이트 시간 및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업데이트 대상(120)별 업데이트에 관한 룩업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룩업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해 OTA 업데이트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업데이트 대상(120)별 업데이트 관련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업데이트 대상(120)은 OTA 업데이트의 대상이 되는 차량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데이트 대상(120)은 OTA 업데이트가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OTA 업데이트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롬(ROM, Read-Only Memory) 파일을 기반으로 차량의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롬 파일을 전송받고 제어기를 리프로그램하는 업데이트 과정 중 제어기를 리프로그램하는 과정의 제어를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OTA 서버(210), 차량상태 획득부(220), 충전 제어부(23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서버(210)는 OTA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서버로 OTA 업데이트에 필요한 롬 파일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서버(210)는 OMA-DM(Open Mobile Alliance-Device Management) 통신을 통해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에 롬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차량상태 획득부(220)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상태 획득부(220)는 차량의 배터리의 상태 및 차량의 전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상태 획득부(220)는 차량의 배터리의 상태 및 차량의 전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상태 획득부(220)는 배터리 센서(IBS, Intelligent Battery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상태 획득부(220)는 차량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30)는 차량이 충전기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30)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제어부(230)는 충전기를 통해 충전되는 양 및 충전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제어부(230)는 전용 충전기와 PLC 통신을 이용하여 충전과 동시에 롬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제어부(230)는 충전량 및 충전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제어부(230)는 완속 충전의 경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충전 스케줄에 따라 전원이 연결되어 완속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을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OTA 서버(210), 차량상태 획득부(220) 및 충전 제어부(23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에 관한 룩업테이블을 구성하고, 룩업테이블을 통해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각각의 업데이트 대상의 리프로그램에 필요한 업데이트 시간에 대한 정보를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화하여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각각의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영역을 전체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부분 업데이트가 가능한 제 2 업데이트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업데이트 영역은 업데이트의 영역 중 전체 리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코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업데이트 영역은 업데이트의 영역 중 부분 리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배터리의 상태를 고려하여 판단된 업데이트가 가능한 전원 공급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배터리 상태 또는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해, 리프로그램이 가능하도록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차량의 배터리가 완속 충전 중인 경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이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전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보다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 내에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이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에서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부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OTA 업데이트 서버(210)는 도 2a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서버(210)는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와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서버(210)는 OMA-DM 통신을 통해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에 롬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차량상태 획득부(220)는 도 2a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로, 차량상태 획득부(220)는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상태 획득부(220)는 차량의 배터리의 상태 및 차량의 전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30)는 도 2a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충전 제어부(230)는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제어부(230)는 충전량 및 충전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제어부(230)는 완속 충전의 경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충전 스케줄에 따라 전원이 연결되어 완속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을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 및 OTA 업데이트 수행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스케줄 관리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OTA 서버(210), 차량상태 획득부(220), 충전 제어부(230) 및 OTA 업데이트 수행 제어부(25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에 관한 룩업테이블을 구성하고, 룩업테이블을 통해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각각의 업데이트 대상의 리프로그램에 필요한 업데이트 시간에 대한 정보를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화하여 파악할 수 있다.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각각의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영역을 전체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부분 업데이트가 가능한 제 2 업데이트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업데이트 영역은 업데이트의 영역 중 전체 리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코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업데이트 영역은 업데이트의 영역 중 부분 리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배터리의 상태를 고려하여 판단된 업데이트가 가능한 전원 공급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배터리 상태 또는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해, 리프로그램이 가능하도록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OTA 업데이트 수행 제어부(250)에 OTA 업데이트에 대한 명령을 전달하여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차량의 배터리가 완속 충전 중인 경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이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전체를 수행할 수 있다.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보다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 내에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는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이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에서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부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OTA 업데이트 수행 제어부(250)는 OTA 업데이트 수행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 수행 제어부(250)는 OTA 업데이트 관리 제어부(240)로부터 OTA 업데이트에 관한 명령을 전달받아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프로파일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 스케줄에 따라 표 (i)과 같이 충전기의 전력 공급량을 나타내는 표를 산출할 수 있다.
표 (i) 의 가로축은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에 해당하는 블록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표 (i)에 따르면, 시간이 0일 때 충전이 시작되는 첫 번째 블록에서 공급량의 최대값이 3000일 수 있다.
또한, 표 (i)에 따르면, 시간이 200일 때 충전되는 두 번째 블록에서 공급량의 최대값이 4000일 수 있다.
시간 및 공급량의 단위는 표기하지 않았지만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 값이므로 실제로는 각각 시간 및 전력의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표 (ii)와 같은 충전 스케줄에 따른 충전 가격을 나타내는 표를 산출할 수 있다.
표 (ii)에 따르면, 시간이 0일 때 시작되는 블록에서 충전 가격은 단위 시간당 1에 해당하는 가격일 수 있다.
표 (ii)에 따르면, 시간이 120일 때 시작되는 블록에서 충전 가격은 단위 시간당 3에 해당하는 가격일 수 있다.
시간 및 충전 가격의 단위는 표기하지 않았지만 각각 시간 및 단위 시간당 가격을 나타내는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표 (iii)과 같이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및 가용 공급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표를 산출할 수 있다.
표 (iii)에 따르면, 첫 번째 블록에서 0~T1의 시간 동안 3000에 해당하는 가용 공급량을 제공할 수 있다.
표 (iii)에 따르면, 두 번째 블록에서 T1~T2의 시간 동안 3000에 해당하는 가용 공급량을 제공할 수 있다.
표 (iii)에 따르면, 세 번째 블록에서 T2~T3의 시간 동안 0에 해당하는 가용 공급량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표 (iv)와 같이 각각의 블록에 대한 동작 시간(이용 가능 시간)을 나타내는 표를 산출할 수 있다.
동작 시간(이용 가능 시간)은 충전 및 배터리 상태에 따라서 업데이트의 수행이 가능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표 (iv)에 따르면 첫 번째 블록에서 △T1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업데이트의 수행이 가능하고, 두 번째 블록에서 T2-T1으로 산출되는 △T2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업데이트의 수행이 가능하고, 세 번째 블록에서 T3-T2로 산출되는 △T3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업데이트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에 관한 룩업테이블을 통해 산출된 업데이트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룩업테이블을 통해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각각의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영역을 전체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부분 업데이트가 가능한 제 2 업데이트 영역을 분류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룩업테이블은, 제 1 업데이트 대상, 제 2 업데이트 대상 및 제 3 업데이트 대상에 대한 프로토콜, 제 1 업데이트 영역에 해당하는 업데이트 시간 및 제 2 업데이트 영역에 해당하는 업데이트 시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제 1 업데이트 대상은 CAN 통신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은 100,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은 10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업데이트 대상은 이더넷(Ethernet)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은 200,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은 15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제 3 업데이트 대상은 CAN-FD 통신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은 300,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은 25로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 및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의 단위들은 생략되었으며, 시간의 단위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래프 (i)은 충전 시간에 따른 충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 (i)에 따르면, 각각의 시간마다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다를 수 있고, 공급량이 없는 부분은 충전이 진행되지 않는 부분이다. 따라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 동안 업데이트가 진행되도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그래프 (ii)는 충전 시간이 제 1 업데이트 대상 및 제 2 업데이트 대상의 각각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경우,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첫 번째 블록에서 제 1 업데이트 대상의 업데이트를 전부 수행할 수 있어,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업데이트 대상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두 번째 블록에서 제 2 업데이트 대상의 업데이트를 전부 수행할 수 있어,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제 2 업데이트 대상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그래프 (iii)은 제 1 업데이트 대상의 업데이트 시간이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경우,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제 1 업데이트 대상의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이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을 초과하지 않아 충전이 진행될 동안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이 진행될 동안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면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 동안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보다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에서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이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에서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충전이 진행되는 중에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부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두 번째 블록에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에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남은 부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제 1 업데이트 대상의 업데이트가 종료된 후 제 2 업데이트 대상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업데이트 룩업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S601).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업데이트 대상별로 업데이트에 필요한 데이터의 사이즈의 정보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업데이트 대상별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업데이트 룩업테이블을 구성한 후, 업데이트의 영역을 전체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부분 업데이트가 가능한 제 2 업데이트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S602).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전체 리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코드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부분 리프로그램이 가능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업데이트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업데이트의 영역을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부분 업데이트가 가능한 제 2 업데이트 영역으로 분류한 후, 충전 시간 프로파일을 구성할 수 있다(S603).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 공급량, 충전 가격 및 가용 공급량의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이용 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시간 프로파일을 구성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 시간 프로파일을 구성한 후, 업데이트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S604).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룩업테이블을 통해 업데이트 시간을 연산할 수 있고,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제 2 업데이트 영역을 분리하여 각각의 업데이트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룩업테이블에 포함된 업데이트 대상별로 업데이트에 필요한 데이터의 사이즈의 정보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업데이트 시간을 연산한 후, 충전 시간이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605).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 시간 프로파일을 통해 충전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한 충전 시간이 룩업테이블을 통해 산출된 전체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 시간이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업데이트의 전체를 수행할 수 있다(S606).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 시간이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시간 동안 안정적인 배터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업데이트의 전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 시간이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충전 시간이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607).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 시간 프로파일을 통해 충전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한 충전 시간이 룩업테이블을 통해 산출된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 시간이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608).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충전 시간에서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뺀 잔여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609).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충전 시간에서 제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뺀 잔여 시간을 산출한 후, 잔여 시간이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610).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산출된 잔여 시간이 룩업테이블을 통해 산출된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잔여 시간이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전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611).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잔여 시간이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시간 동안 안정적인 배터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전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잔여 시간이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부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612).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잔여 시간이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잔여 시간 동안 수행 가능한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부분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충전 시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업데이트 방법은 배터리가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되는 차량에 대해, OTA 업데이트의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710) 및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S7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의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710)는 구성된 룩업테이블을 통해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OTA 업데이트의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710)는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영역을 전체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부분 업데이트가 가능한 제 2 업데이트 영역으로 분류하여,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S720)는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이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전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S720)는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 내에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S720)는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이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에서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부분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S720)는 배터리의 상태를 고려하여 판단된 업데이트가 가능한 전원 공급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배터리의 상태가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공급이 불가능할 정도로 적게 충전되어 있고, 충전을 통해서도 소비되는 전력의 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배터리가 일정량 충전된 후에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S720)는 차량의 배터리가 완속 충전 중인 경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차량의 배터리가 급속 충전되는 경우는, 충전스케줄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고, 충전시간이 작아 업데이트 시간 및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의 방식대로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 업데이트 방법은 OTA 업데이트에 소비된 배터리의 소모량을 반영하여, 충전 스케줄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업데이트 장치(100)는 OTA 업데이트에 소비된 배터리의 소모량만큼 혹은 OTA 업데이트에 소비된 배터리의 소모량에서 여유 충전량을 더한 양만큼 더 충전하도록 충전 스케줄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배터리가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되는 차량에 대해, OTA 업데이트의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에 관한 룩업테이블을 구성하고, 상기 룩업테이블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이 상기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전체를 수행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영역을 전체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부분 업데이트가 가능한 제 2 업데이트 영역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보다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 내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이 상기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에서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부분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고려하여 판단된 업데이트가 가능한 전원 공급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OTA 업데이트에 소비된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반영하여, 상기 충전 스케줄을 재설정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완속 충전 중인 경우,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차량 업데이트 장치.
  11. 배터리가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되는 차량에 대해, OTA 업데이트의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데이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에 관한 룩업테이블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데이트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이 상기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전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데이트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의 영역을 전체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부분 업데이트가 가능한 제 2 업데이트 영역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 및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업데이트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보다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업데이트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스케줄을 통해 파악한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 내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데이트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이 상기 충전이 진행되는 시간에서 상기 제 1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간을 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업데이트 영역의 부분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업데이트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고려하여 판단된 업데이트가 가능한 전원 공급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업데이트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OTA 업데이트에 소비된 상기 배터리의 소모량을 반영하여, 상기 충전 스케줄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업데이트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중에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완속 충전 중인 경우, 상기 업데이트 대상별 업데이트 시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데이트 방법.
KR1020200170858A 2020-12-08 2020-12-08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81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58A KR20220081212A (ko) 2020-12-08 2020-12-08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US17/478,436 US11880673B2 (en) 2020-12-08 2021-09-17 Apparatus for updating a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58A KR20220081212A (ko) 2020-12-08 2020-12-08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212A true KR20220081212A (ko) 2022-06-15

Family

ID=8184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858A KR20220081212A (ko) 2020-12-08 2020-12-08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80673B2 (ko)
KR (1) KR202200812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6594A1 (zh) * 2022-07-30 2024-0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升级方法、装置及系统
CN117873537B (zh) * 2024-03-11 2024-05-03 广东知业科技有限公司 一种边缘计算ota升级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7791B2 (en) * 2009-01-06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arging cable with controller
JP6148457B2 (ja) * 2012-11-20 2017-06-14 株式会社東芝 充放電管理計画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18107645A (ja) * 2016-12-27 2018-07-05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会議システム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84198A (ko) * 2017-01-16 2018-07-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US10988091B2 (en) * 2018-01-08 2021-04-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rase-replace OTA smart power strategy
WO2019168907A1 (en) * 2018-02-27 2019-09-06 Excelfore Corporation Broker-based bus protocol and multi-client architecture
US11135937B2 (en) * 2018-04-06 2021-10-05 Cisco Technology, Inc. Vehicle charging leveraging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WO2021177224A1 (ja) * 2020-03-06 2021-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のデータ更新装置及び電子制御装置のデータ更新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79638A1 (en) 2022-06-09
US11880673B2 (en)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9397B2 (en) Vehicle,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and charging system
CN108136981B (zh) 在机动车的控制器中调整配置数据组的方法
CN107215218B (zh) 用于经由多个充电器对电动车辆充电的设备和方法
US10026998B2 (en) Electric vehicle operation to manage battery capacity
CN104136267B (zh) 车辆、充电装置以及充电系统
CN107074119B (zh) 用于智能电动车辆充电的调解器装置
CN104978217A (zh) 具有电池soc估计器的智能车辆重新刷新
KR102352434B1 (ko)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환 제어방법 및 장치
KR20220081212A (ko) 차량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CN105094932A (zh) 一种通过充电设备对电动汽车内部软件升级的方法
CN108183518B (zh) 电池组均衡控制方法和装置、以及均衡控制设备
CN112166049B (zh) 用于运行可电运行的机动车的电能量存储器的装置和方法
CN109941149A (zh) 多源电池包充放电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0380510B (zh) 充电调控系统
CN103010039A (zh) 一种电池管理系统引导加载方法
CN112440802B (zh) 车辆充电系统、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US20160200204A1 (en) Method for charging an accumulator incorporated in an electrical motor vehicle
US10186877B2 (en) Battery controller for multiple battery technologies
KR101466438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KR20220059453A (ko)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기반 이산 충전 방법 및 soc 기반 충전 제어 시스템
CN111886774B (zh) 车载充电器的电流控制方法以及电流控制装置
CN106274551A (zh) 电机控制器固件升级系统、方法及电机控制器
CN105607515B (zh) 一种电动助力车智能升级方法
CN116691412A (zh) 充电桩、充电桩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充电桩系统
JP7226282B2 (ja) 充電システム、車両、充電方法、およ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