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614A -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 Google Patents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614A
KR20220080614A KR1020200169909A KR20200169909A KR20220080614A KR 20220080614 A KR20220080614 A KR 20220080614A KR 1020200169909 A KR1020200169909 A KR 1020200169909A KR 20200169909 A KR20200169909 A KR 20200169909A KR 20220080614 A KR20220080614 A KR 20220080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sliding body
handle
surgical stap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908B1 (ko
Inventor
정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튤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튤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튤립
Priority to KR102020016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908B1/ko
Priority to PCT/KR2020/017984 priority patent/WO2022124443A1/ko
Publication of KR20220080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17/07207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the staples being applied sequ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46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구성이 간단한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신체의 조직을 절제하는 커터 및 절제 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스테이플을 가지는 로딩유닛과, 로딩유닛이 탈착되고 로딩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핸들유닛을 포함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로서, 핸들유닛은 핸들 케이스부, 구동 샤프트부, 작동 핸들부, 제1스토퍼부 그리고 제2스토퍼부를 포함한다. 구동 샤프트부는 핸들 케이스부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작동 핸들부는 핸들 케이스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제1스토퍼부는 구동 샤프트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작동 핸들부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구동 샤프트부의 전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한다. 제2스토퍼부는 구동 샤프트부의 전단부의 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승되면 구동 샤프트부의 하면에 밀착된다.

Description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STAPLE APPARATUS FOR SURGICAL}
본 발명은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한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조직을 클램핑(clamp) 또는 절단(cut)하기 위하여 그리고 클램핑 또는 절단된 조직을 스테이플(staple)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이,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조직을 클램핑 또는 절단하기 위한 메커니즘과, 조직을 관통해 스테이플 드라이브(drive)하기 위한 메커니즘들을 갖는다.
그리고,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클램핑 또는 절단된 조직의 적절한 스테이플링을 제공하기 위한 복잡한 메커니즘들과 함께 복수의 트리거(trigger)들 및 핸들(handle)의 구성을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복잡한 메커니즘은 장치의 고장이나, 사용자가 혼란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잠재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메커니즘은 부품의 수를 증가시켜 구성이 복잡해지게 되며, 제조 공정도 복잡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메커니즘을 가지지 않는 구성이 간단한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6409호(2020.11.06.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성이 간단한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신체의 조직을 절제하는 커터 및 절제 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스테이플을 가지는 로딩유닛과, 상기 로딩유닛이 탈착되고 상기 로딩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핸들유닛을 포함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로서, 상기 핸들유닛은 핸들 케이스부; 상기 핸들 케이스부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부; 상기 핸들 케이스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작동 핸들부;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작동 핸들부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전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제1스토퍼부;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전단부의 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승되면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부는 전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입력되도록 하면에 형성되는 제1래칫과, 측면에 상기 제1래칫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래칫을 가지며, 초기 상태에서 상기 작동 핸들부는 상기 제1스토퍼부를 밀어 올려 상기 제1스토퍼부가 상기 제2래칫에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 핸들부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스토퍼부는 하강되어 상기 제2래칫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부는 승강되도록 구비되는 제1슬라이딩 몸체와, 상단부는 상기 핸들 케이스부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가 하강되도록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홈을 가지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장홈에 구비되어 상단부는 상기 핸들 케이스부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장홈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를 하측으로 탄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 케이스부는 상기 장홈의 내측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고정돌기의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의 전단부에 상기 제2래칫에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가 상승 시에 상기 제2래칫에 결합되는 제1스톱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 케이스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의 앞면 및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안내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의 전단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Front)면이 제1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경사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 핸들부는 상기 작동 핸들부가 당겨진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회전되면 상기 제1경사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가 상승 이동되도록, 상기 작동 핸들부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누름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 핸들부의 상단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작동 핸들부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래칫에 걸려 상기 구동 샤프트부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걸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부는 승강되도록 구비되는 제2슬라이딩 몸체와, 하단부는 상기 핸들 케이스부에 밀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 몸체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 몸체를 상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부는 전단부 하면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과,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전단부 하면에서 상기 제2경사면의 후방에 형성되는 경사홈을 가지고, 상기 제2스토퍼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 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제3경사면을 가지는 제2스톱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3경사면이 상기 제2경사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스토퍼부는 하강한 후 다시 상승하면서 상기 경사홈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후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 케이스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 몸체의 앞면 및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 몸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2안내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샤프트부가 제2래칫을 가지고, 제2래칫과 결합되는 제1스토퍼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샤프트부가 의도하지 않게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핸들부가 당겨지고 구동 샤프트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제1스토퍼부 및 제2래칫은 자연스럽게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샤프트부가 전방으로 이동 시에 제2스토퍼부는 구동 샤프트부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동 핸들부 및 제2스토퍼부를 연결하는 별도의 링크 구조가 생략될 수 있어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서 핸들유닛의 내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핸들 케이스부를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구동 샤프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제1스토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핸들 케이스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제1스토퍼부와 핸들 케이스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서 제1스토퍼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제2스토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B"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서 제2스토퍼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신체의 조직을 절제하는 커터(미도시) 및 절제 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스테이플(미도시)을 가지는 로딩유닛(10)과, 로딩유닛(10)이 탈착되고 로딩유닛(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핸들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딩유닛(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는 커터 및 스테이플을 가진다면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핸들유닛(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서 핸들유닛의 내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인데, 구체적으로는 제1케이스부(110, 도 1 참조)를 제거하고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핸들 케이스부를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구동 샤프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유닛(20)은 핸들 케이스부(100), 구동 샤프트부(200), 작동 핸들부(300) 그리고 제1스토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케이스부(100)는 핸들유닛(20)의 외부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핸들 케이스부(100)는 제1케이스부(110) 및 제2케이스부(130)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케이스부(110) 및 제2케이스부(130)는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핸들유닛(20)에서 로딩유닛(10)으로의 방향을 전방 방향(FW)으로 하고, 로딩유닛(10)에서 핸들유닛(20)으로의 방향을 후방 방향(BW)으로 하며, 이를 기준으로, 전단/전단부/전방/전(Front)면/앞면, 후단/후단부/후방/후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구동 샤프트부(200)는 핸들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부(200)는 샤프트 몸체(210), 제1래칫(220) 및 제2래칫(230)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 몸체(210)는 구동 샤프트부(20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래칫(220)은 샤프트 몸체(210)의 하면(2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 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래칫(220)은 전방으로 가해지는 힘만 입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제1래칫(220)에 가해지면 샤프트 몸체(210)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 후방으로 가해지는 힘은 제1래칫(220)에는 입력되지 못하고, 샤프트 몸체(210)는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래칫(230)은 샤프트 몸체(210)의 측면(21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래칫(220)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래칫(230)이 고정된 구조물과 결합되면, 샤프트 몸체(210)는 전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부(200)의 전단부에는 로딩유닛(10)의 커터와 연결되는 연결로드(11)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부(20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연결로드(11)도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커터는 전방으로 밀려날 수 있다. 전방으로 밀려나는 커터는 신체의 조직을 절제할 수 있으며, 스테이플이 발사되어 조직이 봉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샤프트부(200)는 제2경사면(240), 경사홈(250) 및 걸림턱(225)을 가질 수 있다.
제2경사면(240)은 샤프트 몸체(210)의 전단부 하면(211)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홈(250)은 샤프트 몸체(210)의 전단부 하면(211)에서 제2경사면(24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225)은 샤프트 몸체(210)의 전단부 하면(211)에서 경사홈(25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작동 핸들부(300)는 상부는 핸들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핸들 케이스부(10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작동 핸들부(300)의 상부에는 제1힌지공(30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 케이스부(100)는 제1힌지축(111, 도 6 참조)을 가질 수 있으며, 제1힌지축(111)은 제1힌지공(30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동 핸들부(300)는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될 수 있다.
핸들 케이스부(100)의 내측에는 핸들 스프링(340)이 구비될 수 있다. 핸들 스프링(340)의 후단부는 핸들 케이스부(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핸들 스프링(340)의 전단부는 작동 핸들부(30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핸들 스프링(340)은 수축 복원력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 스프링(340)은 작동 핸들부(300)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고, 회전되는 작동 핸들부(300)의 상단부가 제1스토퍼부(400)에 밀착되면 회전이 멈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작동 핸들부(300)의 상단부가 제1스토퍼부(400)에 밀착되면서 회전이 멈춘 상태를 "초기 상태"라 한다.
제1스토퍼부(400)는 작동 핸들부(300)의 상단부 후방에서 구동 샤프트부(20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샤프트부(200)가 핸들 케이스부(100)의 제일 후방에 위치된 상태(이하 "기본 상태"라 함)일 때, 제1스토퍼부(400)는 구동 샤프트부(200)의 제2래칫(23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제1스토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핸들 케이스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제1스토퍼부와 핸들 케이스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스토퍼부(400)는 제1슬라이딩 몸체(410), 제1스톱돌기(420) 그리고 경사돌기(430)를 가질 수 있다.
제1슬라이딩 몸체(410)는 제1스토퍼부(40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슬라이딩 몸체(4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홈(411)을 가질 수 있다.
핸들 케이스부(10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제1안내돌기(113a,113b)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슬라이딩 몸체(410)는 제1안내돌기(113a,113b) 사이의 제1설치공간(114)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안내돌기(113a,113b)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슬라이딩 몸체(410)는 제1설치공간(114)에서 승강 이동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 몸체(410)가 제1설치공간(114)에 구비되면, 제1슬라이딩 몸체(410)의 앞면은 전방의 제1안내돌기(113a)에 밀착될 수 있고, 제1슬라이딩 몸체(410)의 후면은 후방의 제1안내돌기(113b)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슬라이딩 몸체(410)가 승강 이동 시에, 제1안내돌기(113a,113b)는 제1슬라이딩 몸체(410)가 안정적으로 승강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 케이스부(100)는 고정돌기(112)를 가질 수 있다. 고정돌기(112)는 제1설치공간(114)의 상측에 돌출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설치공간(114)에 제1슬라이딩 몸체(410)가 위치되었을 때, 고정돌기(112)는 장홈(411)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돌기(112)는 장홈(411) 내측에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스톱돌기(420)는 제1슬라이딩 몸체(410)의 전단부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래칫(2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톱돌기(420)의 상면(421)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돌기(430)는 제1슬라이딩 몸체(410)의 전단부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앞면이 제1경사면(4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부(400)는 제1탄성부재(450)를 가질 수 있다. 제1탄성부재(450)는 상단부는 핸들 케이스부(100)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제1슬라이딩 몸체(410)에 밀착되어 제1슬라이딩 몸체(410)가 하강되도록 탄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탄성부재(450)는 장홈(411)에 구비될 수 있다. 장홈(411)에 삽입된 제1탄성부재(450)의 상단부는 고정돌기(112)의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고, 하단부는 장홈(411)의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450)는 신장 복원력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돌기(112)를 기준으로 했을 때, 제1탄성부재(450)는 장홈(411)의 하단부를 하측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1탄성부재(450)는 제1슬라이딩 몸체(410)를 하측으로 탄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작동 핸들부(300)는 누름돌기(310)를 가질 수 있다. 누름돌기(310)는 작동 핸들부(300)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 핸들부(300)가 핸들 스프링(340)에 의해 당겨져 회전되면 누름돌기(310)는 제1경사면(431)을 가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서 제1스토퍼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의 (a)에서와 같이, 구동 샤프트부(200)가 기본 상태이고, 작동 핸들부(300)가 초기 상태일 때, 작동 핸들부(300)의 누름돌기(310)는 제1경사면(431)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제1슬라이딩 몸체(410)는 상승 이동되고, 제1탄성부재(450)는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톱돌기(420)는 제2래칫(230)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구동 샤프트부(200)는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다. 이는 구동 샤프트부가 의도하지 않게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걸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걸쇠부(600)는 작동 핸들부(300)의 상단부에 제2힌지축(610)에 의해 결합되어 제2힌지축(610)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될 수 있다. 제2힌지축(610)에는 걸쇠부(600)의 전단부가 상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걸쇠부(600)의 전단에는 푸셔(6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a)에서와 같이 작동 핸들부(300)가 초기 상태일 때, 걸쇠부(600)의 후단부는 제1안내돌기(113a, 도 7 참조)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걸쇠부(600)의 회전이 구속되어 푸셔(620)는 구동 샤프트부(200)의 하면에서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다가, 도 9의 (b)에서와 같이 작동 핸들부(300)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A1), 즉,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작동 핸들부(300)의 상부가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면, 누름돌기(310)는 경사돌기(430)를 누르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제1탄성부재(4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스토퍼부(400)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제1스톱돌기(420)는 제2래칫(230)에서 분리되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동시에, 걸쇠부(600)의 후단부도 제1안내돌기(113a)로부터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제1안내돌기(113a)에 의한 구속도 해제될 수 있다. 그러면 토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쇠부(600)의 전단부는 상향 회전될 수 있으며, 푸셔(620)는 구동 샤프트부(200)의 하면(211)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핸들부(300)의 회전(A1)이 계속되면, 푸셔(620)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구동 샤프트부(200)의 걸림턱(225)에 걸리게 되고, 구동 샤프트부(200)를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작동 핸들부(300)를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핸들 스프링(340, 도 3 참조)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작동 핸들부(300)는 다시 초기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구동 샤프트부(200)는 이미 전방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스토퍼부(400)가 상승되더라도 제1스토퍼부(400)는 제2래칫(230)과 결합되지는 못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작동 핸들부(300)가 다시 당겨지게 되면, 푸셔(620)는 제1래칫(220)에 결합될 수 있고, 푸셔(620)가 제1래칫(220)을 전방으로 밀어냄에 따라 구동 샤프트부(200)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제2스토퍼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토퍼부(500)는 구동 샤프트부(200)의 전단부의 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제2스토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6의 "B"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서 제2스토퍼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과 함께,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스토퍼부(500)는 제2슬라이딩 몸체(510), 제2스톱돌기(520) 및 제2탄성부재(550)를 가질 수 있다.
제2슬라이딩 몸체(510)는 제2스토퍼부(50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핸들 케이스부(10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제2안내돌기(115a,115b)를 가질 수 있으며, 제2슬라이딩 몸체(510)는 제2안내돌기(115a,115b) 사이의 제2설치공간(116)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안내돌기(115a,115b)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슬라이딩 몸체(510)는 제2설치공간(116)에서 승강 이동될 수 있다. 제2슬라이딩 몸체(510)가 제2설치공간(116)에 구비되면, 제2슬라이딩 몸체(510)의 앞면(511)은 전방의 제2안내돌기(115a)에 밀착될 수 있고, 제2슬라이딩 몸체(510)의 후면(512)은 후방의 제2안내돌기(115b)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슬라이딩 몸체(510)가 승강 이동 시에, 제2안내돌기(115a,115b)는 제2슬라이딩 몸체(510)의 안정적인 승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스톱돌기(520)는 제2슬라이딩 몸체(5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톱돌기(520)의 상면에는 제3경사면(5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슬라이딩 몸체(510)가 상승 이동되면, 제2스톱돌기(520)는 구동 샤프트부(200)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스톱돌기(520)의 제3경사면(521)은 구동 샤프트부(200)의 제2경사면(240)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탄성부재(550)는 제2설치공간(116)에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550)의 상단부는 제2슬라이딩 몸체(510)의 하단부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핸들 케이스부(100)에 밀착될 수 있다. 핸들 케이스부(100)에는 제2탄성부재(550)의 하단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요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550)는 제2스토퍼부(500)를 상측으로 탄발 지지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부(200)가 기본 상태인 경우, 제2스톱돌기(520)의 제3경사면(521)은 구동 샤프트부(200)의 제2경사면(240)에 밀착된 상태일 수 있다(도 12의 (a) 참조). 이 상태에서, 작동 핸들부(300)가 당겨지고, 푸셔(620)가 걸림턱(225)에 걸려 구동 샤프트부(200)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면, 제3경사면(521)이 제2경사면(240)에서 미끄러지면서 제2스토퍼부(500)는 자연스럽게 하강될 수 있다(도 12의 (b) 참조). 그리고, 구동 샤프트부(200)의 전방 이동이 계속되면, 제2탄성부재(550)가 탄성 복원되면서 제2스토퍼부(500)는 다시 상승하게 되고, 제2스톱돌기(520)는 구동 샤프트부(200)의 경사홈(250)에 결합될 수 있다(도 12의 (c) 참조). 구동 샤프트부(20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2스톱돌기(520)가 경사홈(250)에 결합된 상태일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래칫(230)도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1스토퍼부(400)의 상측에 위치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 핸들부(300)가 다시 초기 상태로 복귀되더라도, 제1스토퍼부(400)는 제2래칫(230)에 결합될 수 없게 되지만, 제2스토퍼부(500)에 의해 구동 샤프트부(200)는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다. 이는 구동 샤프트부가 의도하지 않게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로딩유닛 20: 핸들유닛
100: 핸들 케이스부 112: 고정돌기
114: 제1설치공간 116: 제2설치공간
200: 구동 샤프트부 220: 제1래칫
230: 제2래칫 300: 작동 핸들부
310: 누름돌기 400: 제1스토퍼부
410: 제1슬라이딩 몸체 411: 장홈
420: 제1스톱돌기 430: 경사돌기
450: 제1탄성부재 500: 제2스토퍼부
510: 제2슬라이딩 몸체 520: 제2스톱돌기
550: 제2탄성부재 600: 걸쇠부
620: 푸셔

Claims (13)

  1. 신체의 조직을 절제하는 커터 및 절제 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스테이플을 가지는 로딩유닛과, 상기 로딩유닛이 탈착되고 상기 로딩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핸들유닛을 포함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로서,
    상기 핸들유닛은
    핸들 케이스부;
    상기 핸들 케이스부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부;
    상기 핸들 케이스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작동 핸들부;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작동 핸들부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전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제1스토퍼부;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전단부의 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승되면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부는 전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입력되도록 하면에 형성되는 제1래칫과, 측면에 상기 제1래칫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래칫을 가지며,
    초기 상태에서 상기 작동 핸들부는 상기 제1스토퍼부를 밀어 올려 상기 제1스토퍼부가 상기 제2래칫에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 핸들부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스토퍼부는 하강되어 상기 제2래칫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부는
    승강되도록 구비되는 제1슬라이딩 몸체와,
    상단부는 상기 핸들 케이스부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가 하강되도록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홈을 가지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장홈에 구비되어 상단부는 상기 핸들 케이스부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장홈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를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케이스부는 상기 장홈의 내측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고정돌기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의 전단부에 상기 제2래칫에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가 상승 시에 상기 제2래칫에 결합되는 제1스톱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케이스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의 앞면 및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안내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의 전단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Front)면이 제1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경사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핸들부는
    상기 작동 핸들부가 당겨진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회전되면 상기 제1경사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 몸체가 상승 이동되도록, 상기 작동 핸들부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누름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핸들부의 상단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작동 핸들부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래칫에 걸려 상기 구동 샤프트부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걸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부는
    승강되도록 구비되는 제2슬라이딩 몸체와,
    하단부는 상기 핸들 케이스부에 밀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 몸체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 몸체를 상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부는 전단부 하면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과,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전단부 하면에서 상기 제2경사면의 후방에 형성되는 경사홈을 가지고,
    상기 제2스토퍼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 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제3경사면을 가지는 제2스톱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3경사면이 상기 제2경사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스토퍼부는 하강한 후 다시 상승하면서 상기 경사홈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후방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케이스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 몸체의 앞면 및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 몸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2안내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KR1020200169909A 2020-12-07 2020-12-07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KR102554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909A KR102554908B1 (ko) 2020-12-07 2020-12-07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PCT/KR2020/017984 WO2022124443A1 (ko) 2020-12-07 2020-12-09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909A KR102554908B1 (ko) 2020-12-07 2020-12-07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614A true KR20220080614A (ko) 2022-06-14
KR102554908B1 KR102554908B1 (ko) 2023-07-13

Family

ID=8197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909A KR102554908B1 (ko) 2020-12-07 2020-12-07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4908B1 (ko)
WO (1) WO202212444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38144A1 (en) * 2011-10-17 2016-02-11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CN108403176A (zh) * 2018-03-29 2018-08-17 盈甲医疗器械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保险装置的吻合器
KR20200126409A (ko) 2018-02-27 2020-11-06 어플라이드 메디컬 리소시스 코포레이션 전동 핸들을 갖는 수술용 스테이플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0453A (en) * 1983-10-04 1985-07-23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fastener applying apparatus
DE69217808T2 (de) * 1991-10-18 1997-07-24 United States Surgical Corp Gerät zum Anbringen von chirurgischen Befestigungen
CA2100532C (en) * 1992-09-21 2004-04-20 David T. Green Device for applying a meniscal staple
US5810848A (en) * 1996-08-21 1998-09-22 Hayhurst; John O. Suturing system
JP4086621B2 (ja) * 2002-10-28 2008-05-14 株式会社トップ 外科用器具のハンドル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38144A1 (en) * 2011-10-17 2016-02-11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KR20200126409A (ko) 2018-02-27 2020-11-06 어플라이드 메디컬 리소시스 코포레이션 전동 핸들을 갖는 수술용 스테이플러
CN108403176A (zh) * 2018-03-29 2018-08-17 盈甲医疗器械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保险装置的吻合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443A1 (ko) 2022-06-16
KR102554908B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6090B2 (ja) 均一なステープル形成のための可変高さドライバを備えた外科用ステープラ
JP6512740B2 (ja) 外科手術ステープル留め装置
JP3862803B2 (ja) 固定機構を備えた外科用縫合機
US9700319B2 (en) Surgical stapling and cutting apparatus, clamp mechanisms, systems and methods
JP6882301B2 (ja) 係止並進可能なピンを備えた外科用ステープラ
JP6891179B2 (ja) 湾曲した外面をアンビルに有する外科用ステープラ
CN102860851B (zh) 手术紧固件施加装置
US5636779A (en) Apparatus for applying surgical fasteners
US10314581B2 (en) Reloadable and disposable multifunctional surgical device
JPH0320251B2 (ko)
NO324987B1 (no) Anordning for a justere drivdybden pa et festemiddel drivverktoy med utskiftbart kontaktelement og metode for a skifte kontaktelementer
CN113747842A (zh) 用于直角外科缝合器的基于夹持的闭锁机构
CN111820971B (zh) 一种具有保险机构的吻合器手柄装置及吻合器
CN217907878U (zh) 平台组件及吻合器
US6244489B1 (en) Retractable staple remover jaws utilizing stapler machine as lever handles
JP5065411B2 (ja) ステープラ
CN218684551U (zh) 闭合驱动机构及医用吻合器
KR20220080614A (ko)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US11779333B2 (en) Driving switching mechanism for stapling instrument and stapling instrument
KR102610685B1 (ko)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CN209996389U (zh) 击发机构及吻合器
EP3607894B1 (en) End effector with staple cartridge ejector
KR102554909B1 (ko)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US10265070B2 (en) Linear cutting stapler
CN218684549U (zh) 平台组件及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