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267A - 기능성 두피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두피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267A
KR20220080267A KR1020200169186A KR20200169186A KR20220080267A KR 20220080267 A KR20220080267 A KR 20220080267A KR 1020200169186 A KR1020200169186 A KR 1020200169186A KR 20200169186 A KR20200169186 A KR 20200169186A KR 20220080267 A KR20220080267 A KR 20220080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support
functional pillow
us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492B1 (ko
Inventor
정영훈
안준호
Original Assignee
정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훈 filed Critical 정영훈
Priority to KR102020016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4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된 연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1 충전재,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경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2 충전재 및 상기 제1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2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2 공간을 구분하여 감싸도록 구성된 제1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본 개시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층 구조를 갖는 베개 내부에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충전재를 포함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람은 수면을 통해 다음날의 활동을 위한 에너지를 축적 및 보존하여 하루의 피로를 해소하는 생리활동을 한다. 수면은 멜라토닌과 성장호르몬 등이 분비되며, 기억을 저장하는 등의 역할을 하여, 수면을 취하지 못할 경우 피로감과 집중력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
베개는 사람이 이러한 숙면을 취함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종래의 단일한 충전재를 포함하는 베개들은, 사용자가 수면 시 신체를 지지하는 안정감과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안락감을 동시에 주기 어려웠다.
일반적으로 베개의 높이가 높거나 경도가 높아지면 사용자의 목 근육이 긴장되어 혈액순환을 방해하거나 경추가 꺾이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솜이 충전된 푹신한 베개는 베개의 높이가 낮아서 안락한 느낌을 줄 수 있지만 사용자의 후두부와 경추부가 베개에 지나치게 파묻혀 경추의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베개 사용자의 목, 어깨 또는 승모근 등에 피로를 주고 척추나 경추의 왜곡을 유발하기도 한다.
한편, 종래의 베개의 충전재는 작은 알갱이, 화학 섬유,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 등의 재질이 사용되었다. 이 재질들 중에서 메모리폼, 라텍스 등은 베개 사용 중에 베개의 접촉면에 사용자의 머리나 목의 압력을 잘 흡수하고 사용 후에는 형태 복원이 되는 점이 우수한 장점이었다. 그러나, 해당 재질들은 통풍이 수월하지 않아 사용자의 땀 또는 환경에 의한 수분을 쉽게 흡수하여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거나 세균 번식 또는 부패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의 충전재를 사용하여 수면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함께 줄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스터로 구성된 연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1 충전재,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경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2 충전재 및 상기 제1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2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2 공간을 구분하여 감싸도록 구성된 제1 커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베개는, 상기 기능성 베개 상부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대향된 타측면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측두부를 안착 또는 지지할 수 있는 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베개는, 상기 제1 커버의 중심부 일면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후두부를 안착 또는 지지할 수 있는 후두부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베개는, 상기 후두부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향면에 위치하여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경추 지지부 및 상기 제1 경추 지지부의 대향되는 위치에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제2 경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추 지지부 및 상기 제2 경추 지지부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여, 상기 제1 경추 지지부의 면적보다 넓거나 같은 특징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충전재는, 유연제 코팅하는 트리트먼트 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충전재는, 빨대 형태로, 겉면부와 공간의 사이 두께가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에어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에어칩은, 겉면부와 공간의 사이가 0.2mm이하의 두께로 구성된 제1 에어칩 및 겉면부와 공간의 사이가 상기 제1 에어칩의 두께보다 두껍거나 또는 같은 두께로 구성된 제2 에어칩을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의 상기 제2 충전재 비율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칩의 비율이 40%이상, 상기 제2 에어칩의 비율이 60%이하인 특징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베개는, 상기 제1 커버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되고, 섬유 조직 간의 간격이 촘촘하여 세균 또는 해충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베개는, 상기 제1 커버를 감싸고 있고, 공기 유입이 자유로운 매쉬 재질 또는 직물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결합된 제2 커버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는, 상기 제2 커버는 저면이 바닥과 접촉하고, 폴리에스터 소재로 구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제2 커버의 바닥을 기준으로 윗면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베개 내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충전재 중 하나는 유연제 코팅 처리를 하는 트리트먼트(Treatment) 공정을 거쳐 볼륨감과 복원력을 가지며,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감싸주고, 부드럽고 포근한 촉감으로 사용자의 수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베개 내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충전재 중 하나는 다른 충전재에 비해 높은 경질을 갖는 서로 상이한 두께의 에어칩들을 포함하므로, 사용자의 수면 시 압력 분산에 도움을 주어 몸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충전재로 사용되는 에어칩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통풍성이 좋으며 땀이 차지 않고 탄성이 있는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베개는 연질의 소재를 트리트먼트(Treatment) 공정을 거쳐 볼륨감 및 복원력을 가진 하나의 충전재와, 빨대 형상의 서로 두께가 상이한 경질의 다른 충전재로 구성된 2중 구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능성 베개의 접촉부는 연질의 소재로 사용자의 두부를 포근하게 감싸주며, 바닥부는 경질의 소재로 체압을 고르게 분산하여 안정적으로 몸을 지지해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베개를 사용함에 있어서, 기능성 베개의 접촉부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경추 지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목(또는 경추) 길이에 따라 상이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경추 지지부 중 어느 하나를 취사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후두부를 후두부 지지부에 안착 시, 기능성 베개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추 지지부에 경추가 안착되도록 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베개의 측면 지지부가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수면 시 어깨 눌림 및 목에 가는 부담을 감소시켜주어 측면으로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수면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베개의 후두부 지지부는 주변 영역에 비해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후두부가 접촉될 때 후두부가 전체적으로 후두부 지지부와 주변 영역에 의해 편안하게 감싸지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제2 충전재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측면 수면 시 사용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사용자의 두부 또는 안면부가 접촉하는 접촉부(180)와, 기능성 베개(100)가 놓여지는 바닥과 접촉하는 바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베개(100)의 접촉부(180)는, 사용자의 두부와 접촉하는 후두부 지지부(120), 사용자의 측면 수면 시 사용자의 측두부와 접촉되는 측두부 지지부(140), 및 사용자의 경추부와 접촉되는 경추 지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능성 베개(100)를 사용 시, 바닥부(190)는 바닥, 침대 또는 침구류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접촉부(180)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에 따라 두부 또는 안면부 또는 측두부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기능성 베개(100)는 전체적으로, 충전재 및 충전재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제1 커버를 포함하는 속통(또는 본체), 및 본체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제2 커버(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커버는 복수 개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공간 중 상부에 위치한 제1 공간은 연질의 제1 충전재(미도시)를 구비하며, 하부에 위치한 제2 공간은 경질의 제2 충전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충전재는 연질의 충전재로 사용자의 접촉된 신체 일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부드럽게 감싸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제2 충전재는 경질의 충전재로 사용자의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편안함과 안정감을 동시에 증가시킬 수 있다.
측면 지지부(140)는 기능성 베개(100)의 일측면과,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측두부를 안착 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180)의 양 측면에 배치된 측면 지지부(140)는 사용자의 측면 수면 시 사용자의 두부를 접촉 및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측면 지지부(140)는 접촉부(18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부로 좀 더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지지부(140)의 구성을 위해, 측면 지지부(140)에 대응하는 접촉부(180) 부분의 하부 공간에는 접촉부(180)의 다른 부분의 하부 공간 보다 더 많은 충전재가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의 측면 수면 시 측면 지지부(140)가 측두부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두부 또는 목이 접촉부(180)에서 벗어나 내려가지 않게 구성되어 목의 통증 또는 부담을 완화해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측면 수면 시 측면 지지부(140)가 측두부를 지지하여 어깨가 눌리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어깨 눌림을 방지하여 어깨 결림 등과 같은 증상을 완화해 줄 수 있다.
경추 지지부(160)는, 접촉면(180)의 후두부 지지부(120)를 중심으로 상향부와 하향부에 위치하여, 각각 제1 경추 지지부(161) 및 제2 경추 지지부(162)로 구성된다. 제1 경추 지지부(161) 및 제2 경추 지지부(162)는 수면 시 사용자의 경추부를 안착 또는 지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경추부의 닿는 면적이 같거나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경추 지지부(161) 및 제2 경추 지지부(162)의 사용자의 두부 또는 경추부가 접촉되는 면적이 서로 상이하도록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면 시 본인의 경추 또는 목의 길이에 따라 본인의 경추 또는 목이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경추 지지부(160)를 취사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복수 개의 충전재를 구분하여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커버(240)와, 제1 커버(240)를 감싸도록 구성된 제2 커버(260)를 포함한다. 제1 커버(240)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구분된 공간 중 제1 공간에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연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1 충전재(200)가 수용되며, 제2 공간에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경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2 충전재(220)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커버(240)는 폴리에스터 50% 내지 100%를 포함하는 섬유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240)는 섬유 조직 간의 간격이 촘촘하게 구성되어, 세균 또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진드기 등과 같은 해충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을 막는 진드기 방지 처리 또는 항균처리가 된 원단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커버(240)에 사용되는 원단은 세탁에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공될 수도 있다.
제1 커버(240)의 제1 공간에 수용되는 제1 충전재(200)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된 고섬도의 연질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충전재(200)은 유연제 코팅을 하는 트리트먼트(Treatment) 공정을 추가적으로 거쳐서 가공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성 베개(100)의 접촉부(180)에 위치한 후두부 지지부(120) 및 측면 지지부(140)의 하부에 위치한 제1 공간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제1 충전재가 더 많이 수용되어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면 시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머리 또는 어깨 등)의 무게에 따른 압력으로 인해 제1 충전재(200)가 고르게 퍼지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줄 수 있다.
또한, 제1 충전재(200)는 트리트먼트(Treatment) 공정을 통해 충전재의 볼륨감이 높아지며, 그로 인한 복원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제1 충전재(200)의 이러한 특성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부(180)에 닿을 때 사용자는 더 부드럽고 포근함을 느낄 수 있으며, 접촉부(18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감싸줄 수 있다.
한편, 제2 충전재(220)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빨대 형태의 경질의 충전재(이하 “에어칩”이라 지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충전재(220)는, 두께가 상이한 복수의 에어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충전재(220)는, 약 0.2mm이하의 두께를 갖는 제1 에어칩과, 제1 에어칩보다 크거나 같은 두께를 갖는 제2 에어칩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베개(100)의 제2 충전재(220)에 포함되는 제1 에어칩과 제2 에어칩의 비율은, 제1 에어칩의 비율이 약 40% 내지 100%, 제2 에어칩의 비율이 약 0% 내지 60%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커버(260)는 제1 커버(240)를 감싸도록 구성된 외부 커버로, 공기유입이 자유로운 매시 소재 또는 직물 소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커버(260)는 저면이 바닥과 접촉하고 폴리에스터 소재로 구성되는 바닥부(190)와,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가 닿는 접촉부(180)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기능성 베개(100)의 본체(또는 속통)를 구성하는 제1 커버(240)가 제2 커버(260)에 의해 감싸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베개(100)는, 기능성 베개(100)를 사용 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접촉부(180)와, 기능성 베개의 저면이 바닥에 닿는 바닥부(190)와, 내부에 복수 개의 공간을 구비한 제1 커버(240)를 포함한다. 제1 커버(240)의 내부는, 접촉부(180) 측에 위치하는 제1 공간에 수용된 제1 충전재(200)와, 바닥부(190) 측에 위치하는 제2 공간에 수용된 제2 충전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180)의 일측과,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 지지부(140)는 제1 커버(240)의 내측에 구성된 제1 공간에 수용된 연질의 제1 충전재(200)가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라, 측면 지지부(140)는, 측면 수면 시 사용자의 측두부 또는 측면 안면부의 형태에 맞게 감싸지듯이 안착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90) 측에 위치하는 제1 커버(240) 내측에 구성된 제2 공간에는 경질의 제2 충전재(220)가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측두부 또는 측면 안면부가 안착되어 생기는 압력이 제2 공간의 제2 충전재(220)에 의해 분산되는 동시에 측두부 또는 측면 안면부를 지지하여, 측면 수면 시 편안함과 안정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접촉부(18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후두부 지지부(120)는, 제1 커버(24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공간에 수용된 연질의 충전재인 제1 충전재(200)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후두부 지지부(120)는, 수면 시 사용자의 후두부가 제1 충전재(200)를 향해 눌러질 때, 후두부의 형태에 따라 감싸주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빨대 형태의 경질의 충전재인 제2 충전재(220)는 바닥부(190) 상의 내측에 형성된 제2 공간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접촉되는 신체 일부의 무게로 인한 압력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해당 신체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준다. 또한, 빨대 형태의 제2 충전재(220)는, 빨대 내부의 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땀과 같은 분비물 또는 세탁 후의 수분이 빠르게 건조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커버(260)는 제1 커버(240)를 감싸주도록 구성되며, 매시 재질 또는 직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260)의 재질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버(240) 내부에는, 접촉면(180)과 맞닿는 상부측에 형성된 제1 공간과, 바닥부(190)와 맞닿는 하부측에 형성된 제2 공간이 포함된다. 제1 공간은 유연제 코팅의 트리트먼트(Treatment) 공정을 거친 연질의 폴리에스터 충전재가 수용되며, 제2 공간은 두께가 서로 상이한 빨대 형태의 폴리에틸렌 충전재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커버(260)는 접촉부(180)와 바닥부(190)의 재질을 상이하게 구성 수 있다. 즉, 제2 커버(160)의 접촉부(180) 측의 재질은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커버(260)의 바닥부(190) 측의 재질은 폴리에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260)는, 통기성이 뛰어나고, 건조가 빠르며, 세균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 처리가 된 메시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베개(100)의 상부는, 그 중심부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후두부 지지부(120)와, 후두부 지지부(120)를 기준으로 상향부 및 하향부에 위치하는 경추 지지부(160)와, 기능성 베개(100)의 일측면과, 일측면과 대향된 타측면에 돌출되어 위치하는 측면 지지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후두부 지지부(120)는, 내부에 구성된 제1 커버(240)의 복수 개의 구분된 공간 중 접촉부(180)와 근접한 제1 공간에 위치하는 제1 충전재(200)가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돌출된 제1 충전재(200)는 후두부 지지부(120)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안착 시 부드럽고 포근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능성 베개(100)를 사용하여 수면 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후두부 지지부(120)는, 그 하부에 제1 충전재(200)가 채워져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후두부를 안착 또는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목 또는 어깨 부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부드럽게 감싸는 느낌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접촉되는 신체 곡선의 압력을 대부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수면 중에도 사용자는 머리, 목 또는 어깨의 정상적인 만곡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기능성 베개(100)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측면 지지부(140)는 제1 커버(240)의 제1 공간에 위치하는 제1 충전재(200)가 후두부 지지부(120)보다 더 돌출되거나 후두부 지지부(120)와 같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기능성 베개(100)를 사용하여 측면 수면 시 측면 안면부 또는 측두부가 측면 지지부(140)에 안착 또는 지지될 수 있으며, 연질의 제1 충전재가 그 하부에 채워져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두부 및 목 부분에 대한 곡선의 압력을 대부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중에도 사용자는 두부 및 목이 측면 지지부(140)에 안착 및 지지됨에 따라서 어깨 눌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수면 중에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경추 지지부(160)는 후두부 지지부(120)을 중심으로 상향부 및 하향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경추 지지부(161) 및 제2 경추 지지부(162)로 구성될 수 있다. 경추 지지부(160)는 사용자가 후두부 지지부(120)에 신체의 일부분을 안착 시 경추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추 지지부(160) 중 제1 경추 지지부(161)와 제2 경추 지지부(162)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제1 경추 지지부(161)의 길이(h1)는 제2 경추 지지부(162)의 길이(h2)보다 짧거나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경추 지지부(161)와 제2 경추 지지부(162)의 길이(h1, h2)가 상이함에 따라, 사용자가 후두부 지지부(120)에 신체의 일부분을 안착 시 사용자의 경추(또는 목)의 길이에 따라 제1 경추 지지부(161) 또는 제2 경추 지지부(16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경추 또는 목의 길이에 적합한 경추 지지부(160)가 해당 경추 또는 목을 안착 및 지지해줌으로써 사용자의 두부, 목 및 어깨가 만곡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건강한 수면 자세를 유지해줄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베개(100)의 상부는 사용자의 두부를 안착 및 지지해주는 후두부 지지부(120)와, 측면 수면 시 측두부 또는 안면의 측면을 안착 또는 지지해주는 측면 지지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180)에 위치한 후두부 지지부(120) 또는 측면 지지부(140)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을 하게 되면, 그 하부에 채워진 연질의 충전재인 제1 충전재(200)가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사용자의 두부, 목 및 어깨 부분의 압력은 대부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후두부 지지부(120) 또는 측면 지지부(140)의 돌출된 형태는 사용자의 접촉된 두부, 목 또는 어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에 맞게 눌리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감싸주어 숙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1 커버(240)의 제2 공간에 위치하는 제2 충전재(220)는 바닥부(190)의 내측에 위치하며, 경질의 충전재로 구성된다. 제2 충전재(220)는 빨대 형태로 원통 형상의 내부에 공간이 관통 되어있는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서로 크기 또는 두께가 상이한 복수 개의 에어칩(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충전재(220)는 제1 충전재보다 딱딱한 재질이며, 바닥부(190)에 지지되어 베개(100)에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와 바닥을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두부, 목 또는 어깨의 형상과는 무관하게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베개(100)에 있어서, 제1 충전재(2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압력을 분산해주고, 제2 충전재(220)는 사용자의 신체와 바닥 사이의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충전재(220)로 빨대 형태의 충전재를 사용하여, 기능성 베개(100)에서 통풍이 잘 실행되므로 수면 시 사용자의 분비물 또는 세탁 후의 수분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의 제2 충전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충전재(220)는 서로 두께가 상이한 두께로 형성된 복수의 에어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충전재(220)는, 약 0.2mm이하의 두께인 제1 에어칩(280)과, 제1 에어칩(280)보다 두께가 두껍거나 같도록 구성된 제2 에어칩(29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충전재(220)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경질의 충전재로, 빨대 형태로 구성되어 겉면부(221)와 내부면(222) 사이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복수 개 종류의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충전재(220)의 복수 개의 종류의 충전재 중 제1 에어칩(280)은, 겉면부(221)와 내부 공간의 내부면(222) 사이의 두께는 약 0.2mm 이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폭은 약 3mm 내지 20mm로, 길이는 약 5mm 내지 30mm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충전재(220)의 복수 개의 종류의 충전재 중 제2 에어칩(290)은, 제1 에어칩(280)과 상이한 두께로, 겉면부(221)와 내부 공간의 내부면(222) 사이의 두께는 제1 에어칩(280)보다 두껍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폭은 약 3mm 내지 20mm로, 길이는 약 5mm 내지 30mm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충전재(220)에 포함된 제1 에어칩(280)의 충전 비율은 약 60% 이하이며, 제2 에어칩(290)의 충전 비율은 약 40%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칩(280) 및 제2 에어칩(290)은 빨대 형태로 구성되어 통풍이 잘되며,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경질의 충전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면 시 사용자 신체의 무게로 인한 압력을 분산해주고, 사용자의 신체를 안착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제2 충전재(220)에 있어서 제1 에어칩(280)보다 더 큰 두께를 갖고 단단한 특성을 갖는 제2 에어칩(290)의 비율이 60%이상일 경우, 사용자의 접촉되는 신체 무게의 압력을 분산 시 일정 수준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능성 베개(100)는 사용자에게 안정감 및 편안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의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베개(100)는, 사용자(P)가 정자세로 누웠을 때 사용자(P)의 후두부가 접촉되는 제1 커버(240)와, 제1 커버(240)의 복수 개의 공간 중 제1 공간에 구비된 제1 충전재(200)와, 제2 공간에 구비된 제2 충전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P)가 천장을 보고 눕는 정자세로 취침 시, 사용자(P)의 후두부는 후두부 지지부(120)에 안착되고, 사용자(P)의 경추부는 사용자(P)의 목 또는 경추의 길이와 맞는 경추 지지부(161, 162)에 안착된다. 사용자(P)의 신체는 제1 커버(240)의 접촉부(180)에 접촉하게 되고, 제1 커버(240)의 제1 공간에 구비된 제1 충전재(200)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된 트리트먼트(Treatment) 공정을 거친 연질의 충전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P)의 두부, 목 또는 어깨 부분의 곡선의 압력을 대부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P)는 수면 시 신체 부위가 접촉되는 제1 충전재(200)의 볼륨감 및 복원력을 통해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제1 커버(240)의 제2 공간에 위치하는 제2 충전재(220)는 빨대 형태의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경질의 충전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P)의 신체 일부의 무게에 따라 접촉면과 바닥 사이의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사용자(P)의 머리, 목 또는 어깨의 형상에 맞게 제2 충전재(220)의 제1 에어칩(280)과 제2 에어칩(290)이 압력부를 기준으로 소폭 분산되어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도 7은 제2 커버(260)의 미착용 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2 커버(260)를 사용 시 제1 커버(240)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공기유입이 자유로운 매시소재 또는 직물 소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매시 소재는 통풍이 잘되는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면 시 사용자가 배출하는 땀 또는 침 등과 같은 분비물을 빠르게 건조할 수 있으며, 세탁 후 잔여 수분을 빠르게 건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P)가 측면 수면 시 기능성 베개(100)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베개(100)는, 사용자(P)가 측면으로 누워 수면 시에 사용자(P)의 측두부 또는 측면 안면부가 접촉되는 제1 커버(240)와, 제1 커버(240)의 내부에 구성된 복수 개의 공간 중 제1 공간에 구비된 제1 충전재(200)와, 제2 공간에 구비된 제2 충전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P)가 측면으로 누워 수면 시, 사용자(P)의 측두부 또는 측면 안면부는 측면 지지부(140)에 안착 및 지지되고, 제1 커버(240)의 제1 공간에 구비된 제1 충전재(200)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된 연질의 충전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중 접촉면에 대한 압력을 흡수하며 접촉되는 신체의 형태에 맞게 감쌀 수 있다.
제1 커버(240)의 제2 공간에 구비된 제2 충전재(220)는 빨대 형태의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경질의 충전재로 구성되어 통풍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P)의 비말 또는 땀 등과 같은 분비물이 빠르게 마를 수 있다. 또한, 경질의 충전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P)의 신체 일부의 압력에 따라 접촉면과 바닥의 일정 높이를 유지하여 사용자(P)의 어깨가 눌리는 것을 감소시켜주며, 어깨 결림 등과 같은 증상을 줄여준다. 또한, 사용자(P)의 신체 일부와 접촉하는 부위의 형상에 맞게 제2 충전재(220)가 접촉부를 기준으로 소폭 분산되어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도 8은 제2 커버(260)의 미착용 시의 기능성 베개(100)를 사용자(P)가 사용하는 점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2 커버(260)의 소재는 매시 소재 또는 직물 소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커버(260)의 접촉부(180)과 바닥부(190)의 재질은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매시 소재 또는 직물 소재는 세균 또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진드기 등과 같은 해충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을 막는 진드기 방지 처리 또는 항균 처리가 된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 기능성 베개
120 : 후두부 지지부
140 : 측면 지지부
160 : 경추 지지부
161 : 제1 경추 지지부
162 : 제2 경추 지지부
180 : 접촉부
190 : 바닥부
200 : 제1 충전재
220 : 제2 충전재
221 : 겉면부
222 : 내부면
240 : 제1 커버
260 : 제2 커버
280 : 제1 에어칩
290 : 제2 에어칩
P : 사용자

Claims (10)

  1. 기능성 베개에 있어서,
    폴리에스터로 구성된 연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1 충전재;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경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2 충전재; 및
    상기 제1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2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2 공간을 구분하여 감싸도록 구성된 제1 커버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베개 상부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대향된 타측면 각각에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측두부를 안착 또는 지지할 수 있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개 커버의 중심부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후두부를 안착 또는 지지할 수 있는 후두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향면에 위치하여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경추 지지부; 및
    상기 제1 경추 지지부의 대향되는 하향면에 위치에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제2 경추 지지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추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1 경추 지지부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기능성 베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재는, 유연제 코팅을 위한 트리트먼트 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재는, 빨대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빨대 형태의 겉면부와 내부면 사이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에어칩을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에어칩은,
    겉면부와 내부 공간의 사이의 두께가 0.2mm 이하로 구성된 제1 에어칩; 및
    겉면부와 내부 공간의 사이의 두께가 상기 제1 에어칩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성된 제2 에어칩을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에스터 재질로 구성된 섬유 조직 간의 간격이 촘촘하여 세균 또는 해충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를 감싸고 있고, 공기 유입이 자유로운 매쉬 재질 또는 직물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커버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200169186A 2020-12-07 2020-12-07 기능성 두피 베개 KR10248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86A KR102482492B1 (ko) 2020-12-07 2020-12-07 기능성 두피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86A KR102482492B1 (ko) 2020-12-07 2020-12-07 기능성 두피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267A true KR20220080267A (ko) 2022-06-14
KR102482492B1 KR102482492B1 (ko) 2022-12-27

Family

ID=8198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186A KR102482492B1 (ko) 2020-12-07 2020-12-07 기능성 두피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4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26Y1 (ko) * 2003-08-22 2004-03-04 서해원 냉온 베개
KR20050088552A (ko) * 2004-03-02 2005-09-07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베개
JP3205184U (ja) * 2016-04-27 2016-07-07 株式会社篠原化学 クッション材
JP2019017647A (ja) * 2017-07-14 2019-02-07 株式会社エイティー今藤 寝具用枕
KR102136495B1 (ko) * 2019-10-11 2020-07-21 정영훈 기능성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184B2 (ja) * 1994-08-12 2001-09-04 三菱鉛筆株式会社 焼成鉛筆芯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26Y1 (ko) * 2003-08-22 2004-03-04 서해원 냉온 베개
KR20050088552A (ko) * 2004-03-02 2005-09-07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베개
JP3205184U (ja) * 2016-04-27 2016-07-07 株式会社篠原化学 クッション材
JP2019017647A (ja) * 2017-07-14 2019-02-07 株式会社エイティー今藤 寝具用枕
KR102136495B1 (ko) * 2019-10-11 2020-07-21 정영훈 기능성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492B1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04764A1 (en) Multi-airbag inflatable pillow
KR200321358Y1 (ko) 건강베개
KR101977730B1 (ko)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
US20050125901A1 (en) Head support having sleep inhibiting characteristics
KR200484097Y1 (ko) 베개
KR102482492B1 (ko) 기능성 두피 베개
US20230027662A1 (en) Bedsore relieving bed
WO2009038278A1 (en) A pillow with multi-layered structure
US20210353080A1 (en) Functional pillow
US11779139B2 (en) Disc pillow for supported range of motion and attenuation
KR200438607Y1 (ko) 베개
KR20230064167A (ko) 베개 구조체
KR101998556B1 (ko) 온도제어가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1913999B1 (ko) 라텍스 누빔 매트
KR102656579B1 (ko) 베개용 충전재 및 이를 가지는 베개 구조체
JP2001137076A (ja) 寝 具
KR100808022B1 (ko) 기능성 베개
CN212995831U (zh) 软硬双面珠子枕芯
KR102090134B1 (ko) 다목적 기능성 베개
KR100584040B1 (ko) 건강베개
KR102243232B1 (ko) 기능성 베개커버를 포함하는 베개
JP3917250B2 (ja)
KR200490055Y1 (ko) 메모리폼 베개
CN217137333U (zh) 护肩护腰床垫及具有该护肩护腰床垫的床
WO2023135858A1 (ja) マットレス、面状体、及びマットレスト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