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537A -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삽입기 장치 - Google Patents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삽입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537A
KR20220079537A KR1020227010453A KR20227010453A KR20220079537A KR 20220079537 A KR20220079537 A KR 20220079537A KR 1020227010453 A KR1020227010453 A KR 1020227010453A KR 20227010453 A KR20227010453 A KR 20227010453A KR 20220079537 A KR20220079537 A KR 20220079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sidewall
implant
anchor member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던 애디슨
히더 스톰
콜틴 글래스피
Original Assignee
바드 퍼리퍼럴 배스큘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드 퍼리퍼럴 배스큘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바드 퍼리퍼럴 배스큘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2007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3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sealing trocar wounds through abdominal w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46Type of implements
    • A61B2017/00663Type of implements the implement being a su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09Lung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52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access to the l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는, 루멘과,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에서 종료하는 원위 단부 부분을 갖는 관형 몸체를 포함한다. 관형 몸체는 종축을 갖고 루멘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측벽을 갖는다. 측벽은 외부 표면을 갖는다. 관형 몸체에 앵커 부재가 연결되고, 앵커 부재는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된 상태로 관형 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관형 몸체에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는 관형 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삽입기 장치
본 발명은 폐 생검과 같은 폐 접근 절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삽입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흉은 벽측 흉막(parietal pleura)과 장측 흉막(visceral pleura)의 천공의 결과로서 공기 또는 유체가 흉막강(pleural space)으로 통과할 수 있는 폐 생검 절차의 문제적 합병증이다. 기흉, 특히 흉관(chest tube) 삽입이 필요한 기흉은 경피적 폐 생검을 수행하는 임상의와 이를 받는 환자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경피적 폐 생검을 받는 환자에서의 기흉의 발생률은 약 9% 내지 54%로 보고되었으며, 평균은 약 15%이다. 평균적으로, 모든 경피적 폐 생검의 6.6%에서 흉관을 삽입해야 하는 기흉이 발생하고, 평균 입원 기간은 2.7일이다.
기흉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환자 연령의 증가, 폐쇄성 폐 질환, 병변 깊이의 증가, 다중 흉막 통과, 접근 바늘이 흉막을 가로질러 놓이는 시간의 증가, 및 열구(fissure)의 횡단을 포함한다. 기흉은 수술 도중이나 직후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바늘의 제거 이후 해당 부위의 CT 스캔이 수행되기 때문이다. 덜 흔하지만, 경피적 폐 생검의 다른 합병증으로는 객혈(hemoptysis; 피가 섞인 가래를 토하는 증상), 혈흉(hemothorax; 흉막강에 혈액이 축적되는 일종의 흉막 삼출(pleural effusion)), 감염 및 공기 색전증(air embolism)이 있다.
본 기술 분야에서 필요한 것은 삽입기 장치를 통해 환자의 흉벽에 삽입될 수 있는 임플란트로서, 폐 생검 절차 전반에 걸쳐 기흉을 방지하기 위해, 폐 생검 절차 전에 흉막층(pleura layer) 사이에 기밀 밀봉(airtight seal)을 기계적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임플란트이다.
본 발명은 삽입기 장치를 통해 환자의 흉벽에 삽입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하며, 임플란트는 폐 생검 절차 전반에 걸쳐 기흉을 방지하기 위해, 폐 생검 절차 전에 흉막층 사이에 기밀 밀봉을 기계적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근위로 연장하는 봉합사(suture)를 갖는 임플란트를 전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임플란트는 예를 들어 동축 바늘(coaxial needle)과 같은 동축 삽입기의 위 또는 안에 배치되고, 임플란트가 배치된 동축 바늘은 흉벽 및 흉막층을 통해 삽입되어 접근 개구(access opening)를 생성한다. 임플란트는 접근 개구를 통해 환자의 피부 표면으로 다시 확장되는 하나 이상의 봉합사를 갖는다. 동축 바늘이 폐 실질(lung parenchyma)로 진입하면, 임플란트가 전개되고 임플란트에 부착된 봉합사가 뒤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임플란트의 뒤쪽 가장자리 및/또는 표면이 뒤로 당겨져서 접근 개구 주변의 영역에서 벽측 흉막에 대해 장측 흉막을 밀어 올리고, 따라서 흉막층을 함께 기계적으로 밀봉한다. 봉합사는 이후 벽측 흉막과 장측 흉막 사이의 기밀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테이프, 접착제 또는 봉합 등에 의해, 환자의 피부 표면에서 제자리에 고정되고, 폐 접근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본 발명은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루멘(lumen)과,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에서 종료하는 원위 단부 부분을 갖는 관형 몸체를 포함한다. 관형 몸체는 종축을 갖고 루멘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측벽을 갖는다. 측벽은 외부 표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에 앵커 부재(anchor member)가 연결되고, 앵커 부재는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된 상태로 관형 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관형 몸체에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는 관형 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 다른 형태에서 본 발명은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삽입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삽입기 시스템은 기다란 캐뉼라(elongate cannula)와 임플란트를 포함한다. 기다란 캐뉼라는 외부 표면과 종축을 갖는다. 임플란트는 기다란 캐뉼라와 동축이다. 임플란트는 루멘과,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에서 종료하는 원위 단부 부분을 갖는 관형 몸체를 포함한다. 관형 몸체는 루멘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측벽을 갖는다. 측벽은 외부 표면을 갖는다. 기다란 캐뉼라의 일부는 관형 몸체의 루멘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앵커 부재는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앵커 부재는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된 상태로 관형 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관형 몸체에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는 관형 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임플란트가 폐 생검 절차 전에 흉막층 사이에 기밀 밀봉을 기계적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특징 및 이점,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식은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기 장치와 임플란트를 갖는 삽입기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삽입기 장치의 일부가 분해되어 있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삽입기 장치의 기다란 캐뉼라에서 스타일렛이 제거된, 도 1의 임플란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앵커 슬리브에 의해 덮인 관형 몸체의 일부 및 밸브가 파선으로 도시된, 도 1의 임플란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 4-4-4-4를 따라 취한 도 3의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앵커 슬리브가 팽창부(bulge)를 형성하는, 전개된 상태로 도시된 도 3의 임플란트의 측면도이고;
도 6은 환자의 흉벽과 폐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흉벽과 폐에 배치된 도 1 내지 도 5의 삽입기 장치와 임플란트의 측면도로서, 임플란트는 전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뒤로 당겨져서 흉막층을 기계적으로 밀봉하는 임플란트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의 임플란트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임플란트를 갖는 삽입기 장치의 사시도로서, 삽입기 장치의 일부가 분해되어 있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임플란트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임플란트의 상면도이고;
도 11은 도 8 및 도 9의 임플란트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환자의 흉벽과 폐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흉벽과 폐에 배치된 도 8의 삽입기 장치와 임플란트의 사시도로서, 뒤로 당겨져서 흉막층을 기계적으로 밀봉하는 임플란트를 도시하고;
도 13은 다수의 후퇴 가능한 결합 부재를 갖는 후퇴 가능한 앵커 부재를 접기 위해 외부 캐뉼라에 수용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임플란트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관형 몸체의 후퇴 슬롯이 파선으로 도시된, 도 13의 임플란트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임플란트가 접힌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임플란트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임플란트가 전개된 상태에 있는, 도 15의 임플란트의 사시도이고; 및
도 17은 임플란트가 전개된 상태에 있는, 도 15의 임플란트의 측면도이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본원에 제시된 예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예시하며, 이러한 예시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제 도면, 특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10)의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임플란트(10)는 삽입기 장치(12)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삽입기 장치(12)는 종축(18)을 갖는 스타일렛(16)과 기다란 캐뉼라(14)의 동축 배열 형태이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캐뉼라(14)는 루멘(14-1)과 외부 표면(14-2), 및 경사진 원위 단부 부분(14-3)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렛(16)은 피어싱 팁 부분(piercing tip portion, 16-1)을 갖는 기다란 투관침(trocar) 형태일 수 있다. 스타일렛(16)은 기다란 캐뉼라(14)의 루멘(1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피어싱 팁 부분(16-1)이 기다란 캐뉼라(14)의 경사진 원위 단부 부분(14-3)을 지나 말단으로 연장되는 크기를 갖는다. 피어싱 팁 부분(16-1)은 뾰족한 끝에서 원위로 종료하는 다수의 중공 연마 표면(hollow ground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임플란트(10)는 관형 몸체(20)와, 앵커 부재(22), 및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24)를 포함한다. 임플란트(10)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생체흡수성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 예를 들어,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또는 폴리디옥사논과 같은 완전 생체흡수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임플란트(10)의 적어도 관형 몸체(20)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니티놀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생체흡수성 생체적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봉합사(24-1)와 봉합사(24-2)로 각각 식별되는 다수의 봉합사,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봉합사가 존재한다. 봉합사(24-1, 24-2) 각각은 실 모양의 재료로 제조되며, 예를 들어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모노크릴 및 폴리디옥사논과 같은 흡수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흡수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임플란트(10)의 관형 몸체(20)는 루멘(20-1)과, 측벽(20-2)과, 근위 단부(20-3), 및 원위 단부(20-5)에서 종료하는 원위 단부 부분(20-4)을 포함한다. 측벽(20-2)은 외부 표면(20-6)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관형 몸체(20)의 원위 단부 부분(20-4)은 표면, 예를 들어, 원위 단부(20-5)를 향해 가늘어지는 환형 경사면(annular ramp surface, 20-7)을 포함한다. 환형 경사면(20-7)은 관형 몸체(20)의 루멘(20-1)에서 원위로 종료한다. 다르게 말하면, 환형 경사면(20-7)은 관형 몸체(20)의 원위 단부 부분(20-5)에서 원위로 종료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삽입기 장치(12)가 루멘(20-1)에서 제거될 때 루멘(20-1)을 폐쇄하기 위해, 관형 몸체(20)의 루멘(20-1) 내에 밸브(20-8)(예를 들어, 플랩 또는 멤브레인)가 배치될 수 있다.
삽입기 장치(12)에 설치될 때, 관형 몸체(20)는 종축(18)을 따라 기다란 캐뉼라(14) 및 스타일렛(16)과 동축이다. 측벽(20-2)은 루멘(20-1)을 방사상으로 둘러싸고, 다시 기다란 캐뉼라(14)의 외부 표면(14-2)을 방사상으로 둘러싼다. 본 실시형태에서, 관형 몸체(20)의 루멘(20-1)은 꼭 맞는 미끄럼 끼워 맞춤(snug sliding fit), 즉 미끄럼 마찰 끼워 맞춤(sliding friction fit)으로 기다란 캐뉼라(14)의 외부 표면(14-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를 가지며, 임플란트(10)의 관형 몸체(20)의 측벽(20-2)은 슬라이딩 가능한 마찰로 기다란 캐뉼라(14)의 외부 표면(14-2)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10)는 전개 후 기다란 캐뉼라(14)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원하는 경우, 임플란트(10)를 환자에게 삽입하는 것을 돕기 위해, 외부 캐뉼라(도시되지 않음)가 관형 몸체(20)의 근위 단부(20-3)와 결합하도록 기다란 캐뉼라(14) 위에 수용될 수 있다.
앵커 부재(22)는 관형 몸체(20)의 원위 단부 부분(20-4)에 연결되고, 앵커 부재(22)는 관형 몸체(20)에 대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접힌 상태(26)로부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28)로 관형 몸체(2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앵커 부재(22)가 전개된 상태(28)에 있을 때, 앵커 부재(22)의 적어도 일부는 측벽(20-2)의 외부 표면(20-6)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다, 즉 팽창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앵커 부재(22)는 관형 몸체(20)의 측벽(20-2)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슬리브(30)를 포함한다. 슬리브(30)는 제 1 단부(30-1)와, 제 2 단부(30-2), 및 제 1 단부(30-1)와 제 2 단부(30-2) 사이에 중앙 부분(30-3)을 갖는다. 슬리브(30)는 유연한 고무 또는 고분자 재료와 같은 유연한 재료 또는 메쉬 재료(mesh material)로 제조되며, 슬리브(30)의 측벽을 형성하는 재료는, 임플란트(10)가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리브(30)의 제 2 단부(30-2)가 장애물, 예를 들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장측 흉막과 결합할 때, 팽창(bulging) 및/또는 뭉침(bunching)이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얇은 두께를 갖는다.
슬리브(30)의 제 1 단부(30-1)는 관형 몸체(20)의 측벽(20-2)의 외부 표면(20-6)에 부착된다. 슬리브(30)의 제 2 단부(30-2)는 관형 몸체(20)의 측벽(20-2)의 외부 표면(20-6) 위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접힌 상태(26)에서 슬리브(30)는 제 1 종방향 길이(32)(도 4 참조)를 갖고, 전개된 상태(28)(도 5 참조)에서 슬리브(30)는 제 1 종방향 길이(32)보다 짧은 제 2 종방향 길이(34)를 갖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28)에서, 슬리브(30)의 중앙 부분(30-3)은 임플란트(10)의 관형 몸체(20)의 측벽(20-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멀리 팽창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봉합사(24-1, 24-2) 각각은 관형 몸체(20)에 연결되고, 봉합사(24-1, 24-2) 각각은 임플란트(10)의 관형 몸체(20)의 근위 단부(20-3)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봉합사(24-1, 24-2) 각각은 관형 몸체(20)의 근위 단부(20-3)에 연결될 수 있다. 봉합사(24-1, 24-2)는 접힌 상태(도 1 내지 도 4 참조)로부터 전개된 상태(도 5 및 6 참조)로 앵커 부재(22)의 슬리브(30)의 변형, 즉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팽창 및/또는 뭉침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환자의 흉벽(50)과 폐(52)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기다란 캐뉼라(14)의 외부 표면(14-2)에 임플란트(10)가 배치된 삽입기 장치(12)는 폐(52)의 내부에 대한 접근 개구(5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접근 개구(54)는 흉벽(50)의 흉곽 내의 인접한 늑골(56-1, 56-2) 사이에 형성되고, 벽측 흉막(58), 흉막강(60) 및 장측 흉막(62)을 통해 연장되어 폐 내부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임플란트(10)는 접근 개구(54)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앵커 부재(22)의 슬리브(30) 전체는 장측 흉막(62)의 원위, 즉 아래의 접근 개구(54) 내에 배치된다. 다수의 봉합사(24-1, 24-2) 각각은 접근 개구(54)를 통해 환자의 피부(50-1) 표면으로 다시 연장된다.
삽입기 장치(12)가 폐 실질로 진입하면, 임플란트(10)는 봉합사(24-1, 24-2)를 당김으로써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된 상태로 이동하며, 임플란트(10)는 접근 개구(54)를 따라 뒤로 당겨진다. 임플란트(10)가 뒤로 당겨지면, 앵커 부재(22)의 슬리브(30)의 제 2 단부(30-2)(즉, 뒤쪽 가장자리 및/또는 표면)는 장측 흉막(62)과 접촉하도록 당겨지며, 앵커 부재(22)의 슬리브(30)의 중앙 부분(30-3)은 팽창 및/또는 뭉침이 시작되고, 따라서 슬리브(30)의 중앙 부분(30-3)의 외부와 장측 흉막(62)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봉합사(24-1, 24-2)가 더 당겨지면, 팽창된 슬리브(30)가 벽측 흉막(58)에 대해 장측 흉막(62)을 밀어 올리고, 따라서 접근 개구(54) 주변 영역에서 흉막층(58, 62)을 함께 기계적으로 밀봉하는 클램핑력을 제공한다. 봉합사(24-1, 24-2)는 이후 접근 개구(54) 주변 영역에서 장측 흉막(62)과 벽측 흉막(58)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테이프, 접착제 또는 봉합에 의해, 환자의 피부(50-1) 표면에서 제자리에 고정된다.
폐 생검과 같은 폐 접근 절차는 기다란 캐뉼라(14)에서 스타일렛(16)을 제거한 다음, 기다란 캐뉼라(14)의 루멘(14-1)을 통해 폐 내부로 폐 생검 장치를 삽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폐 접근 절차는 삽입기 장치(12) 전체를 제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폐 생검 장치는 임플란트(10)의 관형 몸체(20)의 루멘(20-1)을 통해 폐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임플란트(10)의 변형인 임플란트(10')를 도시하고 있다. 편의상, 임플란트(10)와 임플란트(10') 모두에 공통적인 구성요소는 동일한 요소 번호를 공유할 것이다. 임플란트(10')는 앵커 부재(22)가 앵커 부재(22)의 측벽을 분할하는 채널(23)을 갖는다는 점에서 임플란트(10)와 다르다. 채널(23)의 존재는 접힌 상태(26)(도 1 내지 도 4 참조)로부터 전개된, 즉 확장된 상태(28)(도 5 및 도 6 참조)로의 전환을 돕는다. 또한, 원하는 경우 봉합사(24-1)는 채널(23)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관형 몸체(20)의 원위 단부 부분(20-4)과 같은 관형 몸체(20)의 외부 표면(20-6)에 부착될 수 있다. 앵커 부재(22)는 예를 들어 봉합사(24-1, 24-2)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정반대 채널과 같은 두 개 이상의 채널(23)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10')는 임플란트(10)와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생체흡수성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같은 완전 생체흡수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임플란트(10')의 적어도 관형 몸체(20)는 임플란트(10)와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비-생체흡수성 생체적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또 다른 임플란트(110)를 도시하며, 여기서 임플란트(110)는 삽입기 장치(12)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삽입기 장치(12)는 위에서 설명되었으며, 간결성을 위해 본원에서 상세히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임플란트(110)는 관형 몸체(120)와, 앵커 부재(122), 및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124)를 포함한다. 임플란트(110)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생체흡수성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 예를 들어,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또는 폴리디옥사논과 같은 완전 생체흡수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임플란트(110)의 적어도 관형 몸체(120)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니티놀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생체흡수성 생체적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봉합사(124-1)와 봉합사(124-2)로 각각 식별되는 다수의 봉합사,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봉합사가 존재한다. 봉합사(124-1, 124-2) 각각은 실 모양의 재료로 제조되며, 예를 들어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모노크릴 및 폴리디옥사논과 같은 흡수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흡수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임플란트(110)의 관형 몸체(120)는 루멘(120-1)과, 측벽(120-2)과, 근위 단부(120-3), 및 원위 단부(120-5)에서 종료하는 원위 단부 부분(120-4)을 포함한다. 측벽(120-2)은 외부 표면(120-6)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관형 몸체(120)의 원위 단부 부분(120-4)은 표면, 예를 들어, 원위 단부(120-5)를 향해 가늘어지는 환형 경사면(120-7)을 포함한다. 환형 경사면(120-7)은 관형 몸체(120)의 루멘(120-1)에서 원위로 종료한다. 다르게 말하면, 환형 경사면(120-7)은 관형 몸체(120)의 원위 단부(120-5)에서 원위로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환형 경사면(120-7)은, 도 10 및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해 중공 연마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삽입기 장치(12)가 루멘(120-1)에서 제거될 때 루멘(120-1)을 폐쇄하기 위해, 관형 몸체(120)의 루멘(120-1) 내에 밸브(120-8)(예를 들어, 플랩 또는 멤브레인)가 배치될 수 있다.
삽입기 장치(12)에 설치될 때, 관형 몸체(120)는 종축(18)을 따라 기다란 캐뉼라(14) 및 스타일렛(16)과 동축이며, 관형 몸체(120)의 루멘(120-1)은 꼭 맞는 미끄럼 끼워 맞춤으로 기다란 캐뉼라의 외부 표면(14-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결합하는 크기를 갖는다. 측벽(120-2)은 루멘(120-1)을 방사상으로 둘러싸고, 다시 기다란 캐뉼라(14)의 외부 표면(14-2)을 방사상으로 둘러싼다.
앵커 부재(122)는 관형 몸체(120)의 원위 단부 부분(120-4)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앵커 부재(122)는, 서로 이격되고 원위 단부 부분(120-4)에서 관형 몸체(120)의 측벽(120-2)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 부재(126)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삼각 기둥으로 도시된 다수의 결합 부재(126)는 개별 결합 부재(126-1, 126-2, 126-3, 126-4)를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다수의 결합 부재(126)의 각각의 결합 부재, 예를 들어 삼각 기둥은 각각의 경사면(128-1, 128-2, 128-3, 128-4) 및 각각의 근위면(proximal surface; 130-1, 130-2, 130-3, 130-4)을 가지며, 각각의 근위면(130-1, 130-2, 130-3, 130-4)은 측벽(120-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각각의 경사면(128-1, 128-2, 128-3, 128-4)은 측벽(120-2)에 대해 예각으로 측벽(120-2)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어 각각의 근위면(130-1, 130-2, 130-3, 130-4)과 연결되고 각각의 정점(132-1, 132-2, 132-3, 132-4)을 형성한다. 본원에 사용된 "실질적으로 수직"이라는 용어는 수직 및 수직으로부터 ±10도까지의 변형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결합 부재(126-1, 126-2, 126-3, 126-4)는 정반대의 쌍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결합 부재(126-1, 126-2, 126-3, 126-4)는 실질적으로 직각삼각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삼각형 프로파일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각각의 근위면(130-1, 130-2, 130-3, 130-4)의 방사상 길이는 일부 결합 부재 사이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126-1, 126-2, 126-3, 126-4)는 관형 몸체(120)의 측벽(120-2)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엇갈릴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봉합사(124-1, 124-2) 각각은 관형 몸체(120), 예를 들어 관형 몸체(120)의 근위 단부(120-3)에 연결되고, 봉합사(124-1, 124-2)는 임플란트(110)의 관형 몸체(120)의 근위 단부(120-3)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봉합사(124-1, 124-2)는 당겨지면 근위 방향으로, 즉 사용자를 향해 임플란트(110)의 종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흉벽(50)의 흉곽 내의 인접한 늑골(56-1, 56-2) 사이에 형성되고, 벽측 흉막(58), 흉막강(60) 및 장측 흉막(62)을 통해 연장되어 폐 내부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접근 개구(54)를 포함하는, 환자의 흉벽(50)과 폐(52)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임플란트(110)는 접근 개구(54)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앵커 부재(122) 전체는 장측 흉막(62) 아래의 접근 개구(54) 내에 배치된다. 다수의 봉합사(124-1, 124-2)는 접근 개구(54)를 통해 환자의 피부(50-1) 표면으로 다시 연장된다.
삽입기 장치(12)가 폐 실질로 진입하면, 임플란트(110)는 봉합사(124-1, 124-2)를 당김으로써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며, 임플란트(110)는 접근 개구(54)를 따라 뒤로 당겨진다. 임플란트(110)가 뒤로 당겨지면, 앵커 부재(122)의 결합 부재(126-1, 126-2, 126-3, 126-4)의 근위면(130-1, 130-2, 130-3, 130-4)(도 10 및 도 11도 참조) 중 적어도 일부는 장측 흉막(62)과 접촉하도록 당겨진다. 봉합사(124-1, 124-2)가 더 당겨지면, 앵커 부재(122)의 결합 부재(126-1, 126-2, 126-3, 126-4) 중 적어도 일부는 벽측 흉막에 대해 장측 흉막(62)을 위로 밀어 올리고, 따라서 접근 개구(54) 주변 영역에서 흉막층(58, 62)을 함께 기계적으로 밀봉하는 클램핑력을 제공한다.
폐 생검과 같은 폐 접근 절차는 기다란 캐뉼라(14)에서 스타일렛(16)을 제거한 다음, 기다란 캐뉼라(14)의 루멘(14-1)을 통해 폐 내부로 폐 생검 장치를 삽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폐 접근 절차는 삽입기 장치(12) 전체를 제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폐 생검 장치는 임플란트(110)의 관형 몸체(120)의 루멘(120-1)을 통해 폐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8 내지 도 12의 임플란트(110)의 변형인 임플란트(110')를 도시하고 있다. 편의상, 임플란트(110)와 임플란트(110') 모두에 공통적인 구성요소는 동일한 요소 번호를 공유할 것이다. 임플란트(110')는 앵커 부재(122)의 각각의 결합 부재(126-1, 126-2, 126-3, 126-4)가 외부 힘에 의해 작동될 때, 예를 들어, 외부 캐뉼라(114)의 루멘(114-1)에 삽입될 때 슬롯으로 후퇴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임플란트(110)와 다르다.
도 13 및 도 14의 실시형태에서, 관형 몸체(120)의 측벽(120-2)은 외부 표면(120-6)으로부터 관형 몸체(120)의 루멘(120-1)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종방향 슬롯(134-1, 134-2, 134-3, 134-4)을 포함한다. 다수의 결합 부재(126-1, 126-2, 126-3, 126-4) 각각은 예를 들어 각각의 결합 부재를 관형 몸체(120)에 연결하는 메모리 재료로 제조되는 원위 힌지(136-1, 136-2, 136-3, 136-4)를 포함한다. 다수의 종방향 슬롯(134-1, 134-2, 134-3, 134-4)의 각각의 종방향 슬롯은 앵커 부재(122)의 다수의 결합 부재(126-1, 126-2, 126-3, 126-4)의 각각의 결합 부재를 방사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임플란트(110')가 외부 캐뉼라(114)의 루멘(114-1)에 삽입될 때, 다수의 결합 부재(126-1, 126-2, 126-3, 126-4) 각각은 각각의 원위 힌지(136-1, 136-2, 136-3, 136-4)에서 회전하고 다수의 종방향 슬롯(134-1, 134-2, 134-3, 134-4)의 각각의 종방향 슬롯으로 후퇴한다. 임플란트(110')가 예를 들어 푸시로드(pushrod) 의해 눌려져서 외부 캐뉼라(114)의 루멘(114-1)에서 제거될 때, 다수의 결합 부재(126-1, 126-2, 126-3, 126-4) 각각은 원위 힌지(136-1, 136-2, 136-3, 136-4)에서 회전하여 연장된 위치로 복귀한다, 즉 다수의 종방향 슬롯(134-1, 134-2, 134-3, 134-4)의 각각의 종방향 슬롯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임플란트(210)가 도시되어 있다.
임플란트(210)는 관형 몸체(212)와, 앵커 부재(214), 및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216)를 포함한다. 임플란트(210)는 생체흡수성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 예를 들어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또는 폴리디옥사논과 같은 완전 생체흡수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임플란트(210)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니티놀,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생체흡수성 생체적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봉합사(216-1)와 봉합사(216-2)로 각각 식별되는 다수의 봉합사,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봉합사가 존재한다. 봉합사(216-1, 216-2)는 메쉬 슬리브(218)의 제 1 단부(218-1)에 연결될 수 있다. 봉합사(216-1, 216-2) 각각은 실 모양의 재료로 제조되며, 예를 들어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모노크릴 및 폴리디옥사논과 같은 흡수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흡수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앵커 부재(214)는 유연한 고무 또는 고분자 재료와 같은 유연한 재료로 제조되는 메쉬 슬리브(218)를 포함한다. 메쉬 슬리브(218)는 제 1 단부(218-1)와, 제 2 단부(218-2), 및 제 1 단부(218-1)와 제 2 단부(218-2) 사이에 중앙 부분(218-3)을 갖는다.
메쉬 슬리브(218)는 도 15에 도시된 접힌 상태(220)로부터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222)로 관형 몸체(212)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앵커 부재(214)의 메쉬 슬리브(218)가 전개된 상태(222)에 있을 때, 앵커 부재(214)의 적어도 일부는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다, 즉 팽창부를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222)에서, 메쉬 슬리브(218)의 중앙 부분(218-3)은 임플란트(210)의 관형 몸체(212)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팽창한다.
봉합사(216-1, 216-2)는 임플란트(210)의 관형 몸체(212)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봉합사(216-1, 216-2)가 당겨지면 메쉬 슬리브(218)의 제 2 단부(218-2)에 대해 메쉬 슬리브(218)의 제 1 단부(218-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봉합사(216-1, 216-2)는 접힌 상태(222)(참조: 도 15)로부터 전개된, 즉, 팽창된 상태(222)(도 16 및 도 17 참조)로 앵커 부재(214)의 메쉬 슬리브(218)의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환자에서 전개하기 위해, 임플란트(210)는 도 13에 도시된 외부 캐뉼라(114)의 루멘(114-1)과 같은 삽입기 캐뉼라의 루멘에 배치될 수 있고, 푸시로드를 사용하여 루멘 밖으로 밀려날 수 있다.
다음 사항도 본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 형태에서, 본 발명은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루멘과,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에서 종료하는 원위 단부 부분을 갖는 관형 몸체를 포함할 수 있고, 관형 몸체는 종축을 갖고 루멘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측벽을 가지며, 측벽은 외부 표면을 갖는다. 관형 몸체에 앵커 부재가 연결될 수 있고, 앵커 부재는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된 상태로 관형 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관형 몸체에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가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는 관형 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임의의 실시형태에서, 앵커 부재가 전개된 상태에 있을 때, 앵커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앵커 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관형 몸체의 측벽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결합 부재의 각각의 결합 부재는 경사면과 근위면을 가질 수 있으며, 근위면은 측벽에 수직일 수 있고 경사면은 측벽에 대해 예각으로 측벽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어 근위면과 연결되고 정점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관형 몸체의 측벽은 외부 표면으로부터 루멘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종방향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종방향 슬롯의 각각의 종방향 슬롯은 다수의 결합 부재의 각각의 결합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앵커 부재는 측벽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슬리브는 유연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슬리브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제 1 단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 2 단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 위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으며, 접힌 상태에서 슬리브는 제 1 종방향 길이를 갖고, 전개된 상태에서 슬리브는 제 1 종방향 길이보다 짧은 제 2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바로 위에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전개된 상태에서, 슬리브의 중앙 부분은 관형 몸체의 측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멀리 팽창할 수 있다.
임의의 실시형태에서,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은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의 루멘에서 원위로 종료하는 환형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실시형태에서,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은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에서 원위로 종료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실시형태에서, 관형 몸체와 앵커 부재 각각은 생체흡수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 본 발명은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삽입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외부 표면과 종축을 갖는 기다란 캐뉼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는 기다란 캐뉼라와 동축일 수 있다. 임플란트는 루멘과,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에서 종료하는 원위 단부 부분을 갖는 관형 몸체를 포함할 수 있고, 관형 몸체는 루멘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측벽을 갖고, 측벽은 외부 표면을 가지며, 기다란 캐뉼라의 일부는 관형 몸체의 루멘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앵커 부재는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앵커 부재는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된 상태로 관형 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관형 몸체에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다수의 봉합사가 연결될 수 있고, 봉합사(들)는 관형 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임의의 실시형태에서, 앵커 부재가 전개된 상태에 있을 때, 앵커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앵커 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관형 몸체의 측벽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결합 부재의 각각의 결합 부재는 경사면과 근위면을 가질 수 있으며, 근위면은 측벽에 수직일 수 있고 경사면은 측벽에 대해 예각으로 측벽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어 근위면과 연결되고 정점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관형 몸체의 측벽은 외부 표면으로부터 루멘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종방향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종방향 슬롯의 각각의 종방향 슬롯은 다수의 결합 부재의 각각의 결합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앵커 부재는 측벽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슬리브는 유연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슬리브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제 1 단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 2 단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 위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으며, 접힌 상태에서 슬리브는 제 1 종방향 길이를 갖고, 전개된 상태에서 슬리브는 제 1 종방향 길이보다 짧은 제 2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바로 위에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전개된 상태에서, 슬리브의 중앙 부분은 관형 몸체의 측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멀리 팽창할 수 있다.
임의의 실시형태에서,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은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의 루멘에서 원위로 종료하는 환형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실시형태에서,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은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에서 원위로 종료하는 평면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실시형태에서, 임플란트의 관형 몸체의 측벽은 기다란 캐뉼라의 외부 표면과 마찰 끼워 맞춤될 수 있고, 임플란트는 기다란 캐뉼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수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추가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일반적인 원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사용 또는 적응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거나 통상적인 관행 내에 있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본 개시로부터의 이러한 이탈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20)

  1.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로서, 임플란트는:
    루멘과,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에서 종료하는 원위 단부 부분을 갖는 관형 몸체로서, 관형 몸체는 종축을 갖고 루멘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측벽을 가지며, 측벽은 외부 표면을 갖는, 관형 몸체와;
    관형 몸체에 연결되는 앵커 부재로서,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된 상태로 관형 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앵커 부재; 및
    관형 몸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로서, 관형 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앵커 부재가 전개된 상태에 있을 때, 앵커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임플란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앵커 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관형 몸체의 측벽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4. 제 3 항에 있어서,
    다수의 결합 부재의 각각의 결합 부재는 경사면과 근위면을 갖고, 근위면은 측벽에 수직이고 경사면은 측벽에 대해 예각으로 측벽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어 근위면과 연결되고 정점을 형성하는, 임플란트.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관형 몸체의 측벽은 외부 표면으로부터 루멘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종방향 슬롯을 포함하고, 다수의 종방향 슬롯의 각각의 종방향 슬롯은 다수의 결합 부재의 각각의 결합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임플란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앵커 부재는 측벽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유연한 재료로 제조되고, 슬리브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제 1 단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제 2 단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 위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접힌 상태에서 슬리브는 제 1 종방향 길이를 갖고, 전개된 상태에서 슬리브는 제 1 종방향 길이보다 짧은 제 2 종방향 길이를 갖는, 임플란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전개된 상태에서, 슬리브의 중앙 부분은 관형 몸체의 측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멀리 팽창하는, 임플란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은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의 루멘에서 원위로 종료하는 환형 경사면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은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에서 원위로 종료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몸체와 앵커 부재 각각은 생체흡수성 재료로 제조되는, 임플란트.
  11.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삽입기 시스템으로서, 삽입기 시스템은:
    외부 표면과 종축을 갖는 기다란 캐뉼라; 및
    기다란 캐뉼라와 동축인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임플란트는:
    루멘과,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에서 종료하는 원위 단부 부분을 갖는 관형 몸체로서, 관형 몸체는 루멘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측벽을 갖고, 측벽은 외부 표면을 가지며, 기다란 캐뉼라의 일부는 관형 몸체의 루멘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관형 몸체와;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 앵커 부재로서,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된 상태로 관형 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앵커 부재; 및
    관형 몸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로서, 관형 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를 포함하는, 삽입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앵커 부재가 전개된 상태에 있을 때, 앵커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삽입기 시스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앵커 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관형 몸체의 측벽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삽입기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다수의 결합 부재의 각각의 결합 부재는 경사면과 근위면을 갖고, 근위면은 측벽에 수직이고 경사면은 측벽에 대해 예각으로 측벽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어 근위면과 연결되고 정점을 형성하는, 삽입기 시스템.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관형 몸체의 측벽은 외부 표면으로부터 루멘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종방향 슬롯을 포함하고, 다수의 종방향 슬롯의 각각의 종방향 슬롯은 다수의 결합 부재의 각각의 결합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삽입기 시스템.
  16. 제 11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앵커 부재는 측벽을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유연한 재료로 제조되고, 슬리브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제 1 단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제 2 단부는 측벽의 외부 표면 위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접힌 상태에서 슬리브는 제 1 종방향 길이를 갖고, 전개된 상태에서 슬리브는 제 1 종방향 길이보다 짧은 제 2 종방향 길이를 갖는, 삽입기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전개된 상태에서, 슬리브의 중앙 부분은 관형 몸체의 측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멀리 팽창하는, 삽입기 시스템.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은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의 루멘에서 원위로 종료하는 환형 경사면을 포함하는, 삽입기 시스템.
  19.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 부분은 관형 몸체의 원위 단부에서 원위로 종료하는 평면 경사면을 포함하는, 삽입기 시스템.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관형 몸체의 측벽은 기다란 캐뉼라의 외부 표면과 마찰 끼워 맞춤되고, 임플란트는 기다란 캐뉼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삽입기 시스템.
KR1020227010453A 2019-09-03 2019-09-03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삽입기 장치 KR20220079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9/049337 WO2021045729A1 (en) 2019-09-03 2019-09-03 Implant and introducer device for use in a lung access procedure to aid in preventing pneumothora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537A true KR20220079537A (ko) 2022-06-13

Family

ID=6805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453A KR20220079537A (ko) 2019-09-03 2019-09-03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삽입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80142A1 (ko)
EP (1) EP4025134A1 (ko)
JP (1) JP7443496B2 (ko)
KR (1) KR20220079537A (ko)
CN (1) CN114340509A (ko)
WO (1) WO20210457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2501A (en) * 1992-10-02 1994-06-21 Mahmud Durrani Ayaz Continent urethral stent for treating and preventing urethral stricture after surgery
US5954732A (en) * 1997-09-10 1999-09-21 Hart; Charles C. Suturing apparatus and method
US7621924B2 (en) * 2003-04-16 2009-11-24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cal prostatectomy anastomosis including an anchor for engaging a body vessel and deployable sutures
US7811251B2 (en) * 2005-10-13 2010-10-12 Tyco Healthcare Group Lp Trocar anchor
US20080109033A1 (en) * 2006-10-31 2008-05-08 Texas Heart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on of pneumothorax during vascular access
WO2015168387A2 (en) * 2014-04-30 2015-11-05 Soffio 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a hyper-inflated lung
MX2017007565A (es) * 2014-12-11 2017-10-31 Smith & Nephew Inc Anclaje de dos partes con insertador de anclaje.
AU2016266953B2 (en) * 2015-05-22 2020-10-15 Spinal Simplicity, Llc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having a body with a removable end portion
AU2019207781A1 (en) * 2018-01-10 2020-07-30 The Provost, Fellows, Scholars And Other Members Of Board Of Trinity College Dublin System and methods for sealing a channel in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40509A (zh) 2022-04-12
WO2021045729A1 (en) 2021-03-11
US20220280142A1 (en) 2022-09-08
EP4025134A1 (en) 2022-07-13
JP2022553487A (ja) 2022-12-23
JP7443496B2 (ja)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019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vascular closure device to a body lumen
EP1453420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while delivering a closure device
CN111343932A (zh) 具有增强跟踪的翻转血栓切除设备
US20170112530A1 (en) Foam introduction system including modified port geometry
US20100081867A1 (en)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 Having Integrated Introducer
AU2002232508A1 (en) Apparatus for delivering a closure device to an opening of a body lumen
WO2009023546A1 (en) Cardiac harness delivery device
KR20220079537A (ko) 기흉 예방을 돕기 위해 폐 접근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삽입기 장치
US202200087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a site within the body
JP2022519795A (ja) 中空又は管状の身体構造を管腔内で閉塞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803255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ling a puncture of a vessel
EP4031030B1 (en) Implant and system to facilitate access across pleura layers
US20230390539A1 (en) Introducer and dilator for surgical instrument
US20220323104A1 (en) Intra-body passageway device and method
KR20220123412A (ko) 흉막층을 횡단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흉막 접근 라이너를 갖는 삽입 캐뉼라
AU2021203936A1 (en) Cartridge alignment mechanism for use with surgic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