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843A - 약산성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약산성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843A
KR20220078843A KR1020200168035A KR20200168035A KR20220078843A KR 20220078843 A KR20220078843 A KR 20220078843A KR 1020200168035 A KR1020200168035 A KR 1020200168035A KR 20200168035 A KR20200168035 A KR 20200168035A KR 20220078843 A KR20220078843 A KR 20220078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opening
closing unit
discharge open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윤
최대성
Original Assignee
이승윤
최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윤, 최대성 filed Critical 이승윤
Priority to KR1020200168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843A/ko
Publication of KR20220078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하는 수전에 체결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하는 유입개폐부;상기 유입개폐부 일단에 상부를 설치하는 토출개폐부; 상기 유입개폐부와 상기 토출개폐부가 연통하면 상기 물의 흐름에 의한 유압이 상기 토출개폐부에 발생하여 상기 토출개페부의 하단이 열리고, 상기 유입개폐부와 상기 토출개폐부가 연통하지 않으면 상기 유압은 상기 토출개폐부에서 소멸하여 상기 토출개페부의 하단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산성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산성수 공급장치에 의하면, 수전에 간편하게 체결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고, 치료 효과를 가지는 pH 5 내지 5.5의 약산성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약산성수 공급장치{Subacidity wat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약산성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는 물이 필수 불가결한 요소 중의 하나이며, 특히 물은 음용 및 세척용으로 다양으로 사용되고, 음용수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수돗물을 정수기를 통하여 정수한 후 음용하는 것이 상례화되어 있다.
최근 미세먼지, 황사 등의 공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스트레스와 기름진 음식 등으로 인해서 피부에 여드림, 아토피 등의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의 미용 측면에 더해서 위와 같은 피부 상태의 개선과 치료를 위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피부 세정에 사용하는 세정제는 일반적으로 알카리성이다. 하지만, 흔히 좋은 피부의 산도는 약산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 후에 피부의 산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화장품 등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은 세정제와 화장품을 그에 맞도록 잘 선택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세면대 등의 수전에 산성용액을 공급하여 수돗물과 섞이게 함으로써 세안만으로 피부에 약산성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1995-008290호 (공개 1995.02.01.)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피부 상태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약산성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하는 수전에 체결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하는 유입개폐부;상기 유입개폐부 일단에 상부를 설치하는 토출개폐부; 상기 유입개폐부와 상기 토출개폐부가 연통하면 상기 물의 흐름에 의한 유압이 상기 토출개폐부에 발생하여 상기 토출개페부의 하단이 열리고, 상기 유입개폐부와 상기 토출개폐부가 연통하지 않으면 상기 유압은 상기 토출개폐부에서 소멸하여 상기 토출개페부의 하단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산성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산성수 공급장치는 수전에 간편하게 체결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고, 치료 효과를 가지는 pH 5 내지 5.5의 약산성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산성수 공급장치에 대한 실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의 마개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산성수 공급장치에 대한 실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의 마개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수전(10)에 체결하는 몸체(100); 몸체(100)에 설치하는 유입개폐부(200, 300, 400); 유입개폐부(200, 300, 400) 일단에 상부를 설치하는 토출개폐부(500); 유입개폐부(200, 300, 400)와 토출개폐부(500)가 연통하면 물의 흐름에 의한 유압이 토출개폐부(500)에 발생하여 토출개페부(500)의 하단이 열리고, 유입개폐부(200, 300, 400)와 토출개폐부(500)가 연통하지 않으면 유압은 토출개폐부(500)에서 소멸하여 토출개페부(500)의 하단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00)는 물을 공급하는 수전(10)에 체결한다.
수전(10)은 세면대, 싱크대, 욕실, 주방, 세탁실 등에 설치하여, 온수 또는 냉수 또는 온수와 냉수가 혼합된 물을 토출구(11)로 토출한다. 수전은 온수의 양을 조절하거나 단속하는 온수밸브와, 냉수의 양을 조절하거나 단속하는 냉수밸브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몸체(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100)는 수전(10)의 토출구(11)에 체결한다. 몸체(100)는 상부의 외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을 형성한 수전결합부(미도시)를 가진다. 그리고 토출구(11)는 내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수전결합부와 토출구(11)의 나사산이 서로 나사결합하여 상기 수전결합부와 토출구(11)는 서로 체결할 수 있다.
약산성수를 만들기 위해서 몸체(100)에 산성용액을 공급한다. 산성용액은 저장팩(20)에 저장되어 있다. 저장팩(20)과 몸체(100)는 호스(30)로 연결되며, 산성용액은 호스(30)를 통해 약산성수 공급장치로 흘러 들어간다.
저장팩(20)의 산성용액은 몸체(100)로 들어가고, 수전(10)에서 공급된 물과 섞여서 pH 5 내지 5.5의 약산성수로 희섞된다.
유입개폐부(200)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몸체(100)에 설치한다.
물은 수전(10)의 토출구(11)에 설치된 몸체(100)의 내부를 흐른다. 유입개폐부(200)는 흐르는 물의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몸체(100)에 설치한다.
유입개폐부(200)는 일단은 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몸체(100)의 외주면에 배치되도록 몸체(100)에 설치된다. 유입개폐부(200)는 몸체(10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몸체(100)의 내부로 들어간다. 타단을 통해 유입개폐부(200)의 조작이 이루어지며, 일단을 통해 물의 흐름을 조절한다.
토출개폐부(500)는 유입개폐부(200) 일단에 상부를 설치한다.
토출개폐부(500)는 유입개폐부(200) 일단의 하부에 배치하도록 상부를 유입개폐부(300) 일단에 설치한다.
토출개폐부(5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내부로 산성용액이 공급된다. 산성용액은 공급관(510)을 통해 토출개폐부(500) 내부로 흘러 들어간다. 공급관(510)은 일단부는 토출개폐부(5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부는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외부로 돌출된 타단부에 호스(30)를 연결하여 산성용액이 공급된다.
유입개폐부(200)가 토출개폐부(500)로 수전(10)에서 공급된 물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해서, 토출개폐부(500)는 유입개폐부(200)의 일단 하부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때, 토출개폐부(500)는 상부가 유입개폐부(200) 일단에 설치한다. 또한, 토출개폐부(500)는 공급관(510)에 고정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로 몸체(100)의 내주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유입개폐부(200)와 토출개폐부(500)가 연통하면 물의 흐름에 의한 유압이 토출개폐부(500)에 발생하여 토출개페부(500)의 하단이 열리고, 유입개폐부(200)와 토출개폐부(500)가 연통하지 않으면 상기 유압은 토출개폐부(500)에서 소멸하여 토출개페부(500)의 하단이 닫힌다.
수전(10)에서 물이 공급되기 시작하면, 수전(10) 내부에는 물의 흐름으로 인한 수압이 발생하고, 토출개폐부(500) 하단이 열리면서 토출개폐부 내부에서 산성용액이 공급된다. 그러면 몸체(100) 하부에서 산성용액은 물과 섞여 약산성수를 형성한다.
수전(10)에서 공급되는 물은 일정한 속도로 흐르기 때문에 몸체(100) 내부에는 유압이 발생한다. 토출개폐부(500)와 연통하도록 유입개폐부(200)를 조절하면, 물은 토출개폐부(500)로 흘러 들어가고, 상기 유압은 토출개폐부(200) 내부에도 형성한다.
유압은 토출개폐부(500)의 하단을 열고, 토출개폐부(500) 내부의 공급관(510)에서 산성용액이 공급되어 몸체(100)의 하부에서 물과 썩여 약산성수를 형성한다.
그리고, 토출개폐부(500)와 연통하지 않도록 유입개폐부(200)를 조절하면, 토출개폐부(500)에 형성했던 유압은 소멸하여 토출개페부(500)의 하단이 닫힌다.
이때, 공급관(510)도 같이 닫혀 산성용액이 나오는 것을 막는다. 공급관(510)은 토출개폐부(500)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토출개폐부(500)의 하단이 닫히면, 공급관(510)도 같이 닫히게 되는 것이다.
유입개폐부(200)는, 일단에 형성한 유입홀(210); 및 타단에 몸체의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한 조절손잡이(220); 를 포함하고, 조절손잡이(220)가 회전하여 유입홀(210)이 상기 물을 통과하도록 하면 토출개폐부(500)에 상기 유압이 발생하고, 조절손잡이(220)가 회전하여 유입홀(210)이 상기 물의 통과를 막으면 상기 유압이 소멸한다.
유입개폐부(200)의 일단은 유입홀(210)을 형성한다. 유입홀(210)은 유입개폐부(200)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형성한 홀이다. 토출개폐부(500)는 유입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유입개폐부(200) 타단은 조절손잡이(220)를 형성하는데, 조절손잡이(220)는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한다. 따라서, 조절손잡이(220)가 돌면 유입개폐부(200)가 회전하면서 유입홀(21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유입홀(210)을 물이 흐르는 방향과 일치시키도록 조절손잡이(220)가 돌면, 유입홀(210)을 통해 물이 통과하고, 토출개페부(500)에 유압이 발생한다. 반대로, 유입홀(210)을 물이 흐르는 것을 막도록 조절손잡이(220)가 돌면, 물은 유입홀(210)을 통과하지 못해 토출개폐부(500)에 유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토출개폐부(500)는, 토출개폐부(500)의 하단을 개폐하는 마개(600); 및 일단은 토출개폐부(5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하고, 타단은 마개(600)를 부착한 탄성부재(610, 620); 를 포함하고, 유압에 의해 마개(600)는 열리고, 유압이 소멸하면 탄성부재(610, 620)의 탄성으로 마개(600)는 닫힌다.
마개(600)는 탄성부재(610, 620)에 연결되어 유압이 없을 때 탄성부재(610, 620)의 탄성력으로 마개(600)는 닫힌다. 탄성부재(610, 620)의 탄성력은 유압보다 작기 때문에 토출개폐부(500)에 물이 들어오면 마개(600)는 열리고, 물이 들어오지 않으면 마개(600)는 닫히는 것이다.
탄성부재(610)는 인장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유압에 의해 스프링이 늘어났다가 유압이 소멸하면 스프링이 줄어드는 것이다.
상기 인장코일 스프링은 토출개폐부(5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일단은 토출개폐부(500)의 내부에 부착하고, 타단에는 마개(600)를 부착한다. 상기 인장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고리(미도시)를 형성하여 공급관(5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토출개폐부(500)의 내주면에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구성하여, 이 고정부재에 인장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할 수도 있다.
공급관(510)의 지름은 상기 인장코일 스프링의 지름보다 작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공급관(510)은 인장코일 스프링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토출개폐부(500)의 하단까지 연장한다.
또한, 탄성부재(620)는 스프링 힌지를 사용할 수 있다.
마개(600)는 상기 스프링 힌지에 연결되어 토출개폐부(500)의 하단을 막는다. 스프링 힌지의 일판은 마개(600)에 부착하고, 타판은 토출개폐부(500)의 하단 외주면에 부착한다. 그리고 스프링 힌지의 일판과 타판은 마개(600)를 부착한 일판이 토출개폐부(500)의 하단을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스프링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힌지로 구성한 탄성부재(620)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2 및 3의 (a), (b)에서 나타난 것처럼, 물이 공급되면 유압에 의해 마개(600)가 열리고,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유압이 소멸하여 마개(600)가 닫힌다.
마개(600)가 열리면, 공급관(510)에서 산성수가 나오면 몸체(100)의 하부에서 물과 섞여 약산성수를 형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의 제 2 실시예이다.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유입개폐부의 구성에서 차이를 가진다.
유입개폐부(300)는, 일단에 형성한 개폐날개(310); 및 타단에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한 조절손잡이(320); 를 포함하고, 조절손잡이(320)가 회전하여 개폐날개(310)가 물을 통과하도록 하면 토출개폐부(500)에 유압이 발생하고, 조절손잡이(320)가 회전하여 개폐날개(310)가 상기 물의 통과를 막으면 상기 유압이 소멸한다.
유입개폐부(300) 일단은 개폐날개(310)를 형성한다. 개폐날개(310)는 판형상을 가진다.
유입개폐부(300)가 토출개폐부(500)로 수전(10)에서 공급된 물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해서, 토출개폐부(500)는 유입개폐부(300)의 일단 하부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때, 토출개폐부(500)는 상부가 유입개폐부(200) 일단에 설치한다. 토출개폐부(500)는 공급관(510)에 고정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로 몸체(100)의 내주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토출개폐부(500) 상부의 측면에서 개폐날개(310)를 토출개폐부(500)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유입개폐부(300)의 타단에는 조절손잡이(320)를 형성하는데, 조절손잡이(320)는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한다. 따라서, 조절손잡이(320)가 돌면 유입개폐부(300)가 회전하면서 개폐날개(31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개폐날개(310)를 물이 흐르는 방향과 일치시키도록 조절손잡이(320)가 돌면, 개폐날개(310)를 형성하는 판이 물의 흐름방향과 일치하게 되고,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물은 상기 공간으로 통과하고, 토출개페부(500)에 유압이 발생한다.
반대로, 개폐날개(310)를 형성하는 판이 물이 흐르는 것을 막도록 조절손잡이가 돌면, 물은 개폐날개(310)의 판에 막혀 통과하지 못하고, 토출개폐부(500)에 유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4의 (a), (b)에서 나타난 것처럼, 물이 공급되면 유압에 의해 마개(600)가 열리고,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유압이 소멸하여 마개(600)가 닫힌다.
마개(600)가 열리면, 공급관(510)에서 산성수가 나오면 몸체(100)의 하부에서 물과 섞여 약산성수를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의 제 3 실시예이다. 제 3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유입개폐부의 구성에서 차이를 가진다.
유입개폐부는(400), 일단에 형성한 유입홀(410); 유입홀(410)에 연결한 탄성부(420); 및 타단에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한 조절손잡이(430); 를 포함하고, 조절손잡이(430)에 의해 탄성부(420)가 유입홀(410)이 열리도록 탄성력을 전달하면 상기 물이 통과하여 토출개폐부(500)에 상기 유압이 발생하고, 조절손잡이(430)에 의해 탄성부(420)가 유입홀(410)이 닫히도록 탄성력을 전달하면 상기 유압이 소멸한다.
유입개폐부(400)의 일단은 유입홀(410)을 형성한다. 유입홀(410)은 유입개폐부(410) 일단부를 관통하여 형성한 홀이다. 토출개폐부(500)는 유입홀(410)의 하부에 배치하는 것이다.
유입개폐부(400)의 타단은 조절손잡이(430)를 형성하는데, 조절손잡이(430)는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한다.
조절손잡이(430)는 탄성부(420)를 눌러 유입홀(410)을 열고, 유입홀(410)을 통해 물이 통과하여 토출개페부(500)에 유압이 발생한다. 반대로, 조절손잡이(430)는 탄성부(420)를 눌러 유입홀(410)을 닫고, 유입홀(410)에 물이 흐르는 것을 막고, 물은 유입홀(410)을 통과하지 못해 토출개폐부(500)에 유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유입홀(410)에 연결한 탄성부(420)를 통해 유입홀(410)이 이동하면서 토출개폐부(500)에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거나 소멸시킨다.
도 6은 상기 제 3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이다.
탄성부(420)는 개폐판(421), 연결부재(422), 탄성부재(423)로 구성한다.
개폐판(421)은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23)가 연결되어 조절손잡이(430)가 개폐판(421)을 누르면 유입홀(421)이 열리고, 조절손잡이(430)가 다시 개폐판(421)을 누르면 유입홀(421)이 닫힌다.
개폐판(421)에는 연결부재(422)가 결합하여, 개폐판(42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연결부재(422)는 일단이 개폐판(421)에 형성한 원형의 경로에 연결되어, 상기 경로를 돌면서 개폐판(421)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산성수 공급장치는 수전에 간편하게 체결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고, 치료 효과를 가지는 pH 5 내지 5.5의 약산성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몸체
200: 유입개폐부
210: 유입홀
220: 조절손잡이
300: 유입개폐부
310: 개폐날개
320: 조절손잡이
400: 입개폐부
410: 유입홀
420: 탄성부
430: 조절손잡이
500: 출개폐부
510: 공급관
600: 마개

Claims (5)

  1. 물을 공급하는 수전에 체결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하는 유입개폐부;
    상기 유입개폐부 일단에 상부를 설치하는 토출개폐부;
    상기 유입개폐부와 상기 토출개폐부가 연통하면 상기 물의 흐름에 의한 유압이 상기 토출개폐부에 발생하여 상기 토출개페부의 하단이 열리고, 상기 유입개폐부와 상기 토출개폐부가 연통하지 않으면 상기 유압은 상기 토출개폐부에서 소멸하여 상기 토출개페부의 하단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산성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개폐부는,
    일단에 형성한 유입홀; 및
    타단에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한 조절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손잡이가 회전하여 상기 유입홀이 상기 물을 통과하도록 하면 상기 토출개폐부에 상기 유압이 발생하고, 상기 조절손잡이가 회전하여 상기 유입홀이 상기 물의 통과를 막으면 상기 유압이 소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산성수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개폐부는,
    일단에 형성한 개폐날개; 및
    타단에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한 조절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손잡이가 회전하여 상기 개폐날개가 상기 물을 통과하도록 하면 상기 토출개폐부에 상기 유압이 발생하고, 상기 조절손잡이가 회전하여 상기 개폐날개가 상기 물의 통과를 막으면 상기 유압이 소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산성수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개폐부는,
    일단에 형성한 유입홀;
    상기 유입홀에 연결한 탄성부; 및
    타단에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한 조절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손잡이에 의해 상기 탄성부가 상기 유입홀이 열리도록 탄성력을 전달하면 상기 물이 통과하여 상기 토출개폐부에 상기 유압이 발생하고, 상기 조절손잡이에 의해 상기 탄성부가 상기 유입홀이 닫히도록 탄성력을 전달하면 상기 유압이 소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산성수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개폐부는,
    상기 토출개폐부의 하단을 개폐하는 마개; 및
    일단은 상기 토출개폐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하고, 타단은 상기 마개를 부착한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에 의해 상기 마개는 열리고, 상기 유압이 소멸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으로 상기 마개는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산성수 공급장치.
KR1020200168035A 2020-12-04 2020-12-04 약산성수 공급장치 KR20220078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035A KR20220078843A (ko) 2020-12-04 2020-12-04 약산성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035A KR20220078843A (ko) 2020-12-04 2020-12-04 약산성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843A true KR20220078843A (ko) 2022-06-13

Family

ID=8198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035A KR20220078843A (ko) 2020-12-04 2020-12-04 약산성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88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90A (ja) 1990-02-08 1995-01-13 Centre Internatl Rech Dermatrolog (Cird) ヒト表皮角質層の抗原を特異的に認識することができる抗体,その調製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90A (ja) 1990-02-08 1995-01-13 Centre Internatl Rech Dermatrolog (Cird) ヒト表皮角質層の抗原を特異的に認識することができる抗体,その調製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449B2 (en) Outlet nozzle
US9289784B2 (en) Showerhead for generating micro air bubbles
US7871057B2 (en) Sensor actuated faucet
US3536294A (en) Foot-operated control valve attachment device for water faucets
PL180178B1 (pl) Zawór napelniajacy rezerwuaru spluczki klozetowej PL PL
KR101843317B1 (ko) 샤워헤드 연결용 꼬임 방지기구
US7090144B2 (en) Water fountain attachment for a faucet
KR20220078843A (ko) 약산성수 공급장치
JP3806299B2 (ja) 止水機構付給水具
KR20130003347U (ko)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
JP2001026954A (ja) 切り替え弁
CN103669519B (zh) 活塞式冲水阀
KR102371303B1 (ko)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KR100799457B1 (ko) 절수장치가 내설되는 벽 샤워기
CA2979011A1 (en) Variable dual flow fitting
JP2005264979A (ja) 開閉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栓装置
CN216158354U (zh) 一种出水龙头
US2009651A (en) Tub and shower fitting
FR2547013A1 (fr) Reglage de debit sur robinet a fermeture automatique
KR200281206Y1 (ko) 샤워기용 토출량 조절기
JP2008075749A (ja) 止水栓
KR200356297Y1 (ko) 샤워본체와 호스의 연결구조
CN113738909A (zh) 一种出水龙头
JP4415336B2 (ja) 吐水具
RU186104U1 (ru) Регулятор расхода жид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