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347U -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 - Google Patents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347U
KR20130003347U KR2020130003852U KR20130003852U KR20130003347U KR 20130003347 U KR20130003347 U KR 20130003347U KR 2020130003852 U KR2020130003852 U KR 2020130003852U KR 20130003852 U KR20130003852 U KR 20130003852U KR 20130003347 U KR20130003347 U KR 201300033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tap water
guide tube
fixing piece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식
Original Assignee
김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식 filed Critical 김동식
Priority to KR2020130003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347U/ko
Publication of KR20130003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5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n extendable wate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7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space-saving features, e.g. retractable, demountable

Abstract

본 고안은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이 개시되는 것으로, 수돗물이 유로되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어 유로관을 개폐하는 개폐손잡이와 상기 유로관과 연결되어 개폐손잡이의 개방 시에 수돗물이 토출되고 개폐손잡이의 폐쇄 시에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되도록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수도꼭지로 이루어진 수도전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10)과 연결되는 가이드관(2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도꼭지(30)는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에서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인출입되어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유로관(10)의 내측에는 제1고정편이(11) 더 구비되고, 상기 수도꼭지(30)의 외면에는 상기 제1고정편에(11) 대응하는 제2고정편(31)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편(11)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편(31)에 타측이 고정되는 스프링(40)이 상기 수도꼭지(30)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에 더 구비되어, 수돗물이 토출될 때 발생되는 수압에 의해 상기 수도꼭(30)지가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인출되고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될 때 상기 스프링에(40) 의해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인출된 수도꼭지(30)가 가이드관(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수돗물이 토출되는 수압에 의해 자연스럽게 수도꼭지가 인출입됨으로써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하고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되면 인출된 수도꼭지가 다시 인입되어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머리를 감는 도중에 돌출된 수도꼭지에 의해 머리가 부딪히거나 하는 등의 상해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faucet with in-out type tap}
본 고안은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가 인출입 가능하도록 하여 수돗물을 잠근 상태에서 머리를 감을 때 돌출된 수도꼭지에 머리가 부딪혀 상해사고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전이라 함은 세면대, 욕조, 싱크대, 야외 수돗가 등의 급수장치에 설치되어 수돗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세면대에 구비되는 수도전을 예로 하면, 냉온수의 수돗물을 공급하는 유출관과 그 단부에 형성된 토출구를 구비한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도꼭지의 상부에 수돗물의 토출량과 냉온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개폐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수도전은 세면대의 저수부 다시 말해, 물이 담겨지는 부분에 수도꼭지가 소정의 길이가 돌출되도록 세면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세면 또는 머리를 감는 경우 머리가 수도꼭지에 충돌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돌출된 수도꼭지에 의하여 저수부에서 사용 가능한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429515호인 신축성 수도꼭지를 구비한 세면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유출관과 토출구를 구비한 수도꼭지, 수돗물의 토출량과 냉온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레버, 수돗물을 받아서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 및 사용한 수돗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로 이루어진 세면대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을 분리시킨 제1관 및 제2관, 상기 제1관의 분리된 단부로부터 직경이 축소되어 연장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서 외경방향으로 형성된 외향플랜지, 상기 제2관의 분리된 단부에서 내경방향으로 형성된 내향플랜지, 상기 내향플랜지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 및 상기 제2관의 내부면에 부착된 튜브형태의 수밀부재로 구비되어 수돗물 유출관을 제1관과 제2관으로 분리하고 연결관을 개재시킴으로써 수도꼭지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사용할 때마다 제2관을 연결관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인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수도꼭지를 인출한 상태에서 인출된 수도꼭지를 다시 인입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인출된 상태의 수도꼭지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가 부딪히거나 하여 상해사고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29515호(2006.10.17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28160호(2008.04.30 등록)
본 고안은 토출되는 수돗물의 수압에 의해 인입된 수도꼭지를 자동으로 인출하도록 하고 인입된 수도꼭지는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도중에도 수도꼭지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가 부딪히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은, 수돗물이 유로되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어 유로관을 개폐하는 개폐손잡이와 상기 유로관과 연결되어 개폐손잡이의 개방 시에 수돗물이 토출되고 개폐손잡이의 폐쇄 시에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되도록 내부가 중공형성되는 수도꼭지로 이루어진 수도전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과 연결되는 가이드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도꼭지는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서 가이드관으로부터 인출입되어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유로관의 내측에는 제1고정편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도꼭지의 외면에는 상기 제1고정편에 대응하는 제2고정편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편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편에 타측이 고정되는 스프링이 상기 수도꼭지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더 구비되어, 수돗물이 토출될 때 발생되는 수압에 의해 상기 수도꼭지가 가이드관으로부터 인출되고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될 때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이드관으로부터 인출된 수도꼭지가 가이드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수돗물이 토출되는 수압에 의해 자연스럽게 수도꼭지가 인출입됨으로써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하고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되면 인출된 수도꼭지가 다시 인입되어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머리를 감는 도중에 돌출된 수도꼭지에 의해 머리가 부딪히거나 하는 등의 상해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의 수도꼭지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의 수도꼭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의 수도꼭지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의 수도꼭지가 수압에 의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의 수도꼭지가 인출된 상태에서 인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은, 수돗물이 유로되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어 유로관을 개폐하는 개폐손잡이와 상기 유로관과 연결되어 개폐손잡이의 개방 시에 수돗물이 토출되고 개폐손잡이의 폐쇄 시에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되도록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수도꼭지로 이루어진 수도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은 상기 개폐손잡이의 일측을 상부 측으로 들어 올리면 상기 유로관이 개방되어 유로관을 통해 수돗물이 유로되어 수도꼭지를 통해 수돗물이 토출되고, 들어올려진 개폐손잡이의 일측을 누르면 개방된 유로관이 폐쇄되어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 및 작용은 공지된 수도전과 크게 다르지 않음에 따라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상기 유로관(10)과 연결되는 가이드관(2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도꼭지(30)는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에서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인출입되어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 형성되며 중공된 내부에 상기 수도꼭지(30)의 일측이 인입되어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유로관(10)의 내측에는 제1고정편이(11) 더 구비되고, 상기 수도꼭지(30)의 외면에는 상기 제1고정편에(11) 대응하는 제2고정편(31)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편(11)은 상기 유로관(10)의 내측에 유로관(10)의 내면과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편(31)은 상기 수도꼭지(30)의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수도꼭지(30)가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를 통해 인출입될 때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에서 수도꼭지(30)의 인출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30)가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2고정편(31)은 상기 제1고정편(11)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30)가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2고정편(31)은 상기 제1고정편(11)에 가까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편(11)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편(31)에 타측이 고정되며 상기 수도꼭지(30)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에 더 구비된 스프링(40)에 의해 수돗물이 토출될 때 발생되는 수압에 의해 상기 수도꼭지(30)가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인출되고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될 때 상기 스프링에(40) 의해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인출된 수도꼭지(30)가 가이드관(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유로관 11 : 제1고정편
20 : 가이드관 30 : 수도꼭지
31 : 제2고정편 40 : 스프링

Claims (1)

  1. 수돗물이 유로되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어 유로관을 개폐하는 개폐손잡이와 상기 유로관과 연결되어 개폐손잡이의 개방시에 수돗물이 토출되고 개폐손잡이의 폐쇄시에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되도록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수도꼭지로 이루어진 수도전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10)과 연결되는 가이드관(2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도꼭지(30)는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에서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인출입되어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유로관(10)의 내측에는 제1고정편이(11) 더 구비되고,
    상기 수도꼭지(30)의 외면에는 상기 제1고정편에(11) 대응하는 제2고정편(31)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편(11)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편(31)에 타측이 고정되는 스프링(40)이 상기 수도꼭지(30)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에 더 구비되어,
    수돗물이 토출될 때 발생되는 수압에 의해 상기 수도꼭(30)지가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인출되고 수돗물의 토출이 중지될 때 상기 스프링에(40) 의해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인출된 수도꼭지(30)가 가이드관(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
KR2020130003852U 2013-05-14 2013-05-14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 KR201300033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52U KR20130003347U (ko) 2013-05-14 2013-05-14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52U KR20130003347U (ko) 2013-05-14 2013-05-14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47U true KR20130003347U (ko) 2013-06-05

Family

ID=5242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852U KR20130003347U (ko) 2013-05-14 2013-05-14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347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2592A1 (de) * 2018-05-23 2019-11-27 Hansgrohe SE Fluidauslaufvorrichtung mit teleskoprohrauslauf
KR102210116B1 (ko) * 2020-04-27 2021-01-29 방민배 세면기 수전
KR20220030846A (ko) * 2020-09-03 2022-03-11 홍기 욕실 슬라이드바용 컨트롤박스의 물분사장치
EP4058414A4 (en) * 2019-11-15 2024-01-03 As America Inc FAUCET ASSEMBL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2592A1 (de) * 2018-05-23 2019-11-27 Hansgrohe SE Fluidauslaufvorrichtung mit teleskoprohrauslauf
CN110528633A (zh) * 2018-05-23 2019-12-03 汉斯格罗欧洲公司 带有伸缩管出口的流体出口装置
CN110528633B (zh) * 2018-05-23 2021-04-27 汉斯格罗欧洲公司 带有伸缩管出口的流体出口装置
EP4058414A4 (en) * 2019-11-15 2024-01-03 As America Inc FAUCET ASSEMBLY
KR102210116B1 (ko) * 2020-04-27 2021-01-29 방민배 세면기 수전
KR20220030846A (ko) * 2020-09-03 2022-03-11 홍기 욕실 슬라이드바용 컨트롤박스의 물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571B2 (en) Fixing structure of a pull-out faucet
KR20130003347U (ko) 인출입형 수도꼭지가 구비된 수도전
US10047505B2 (en) Cool water draining switch valve and combination shower head
US8328119B2 (en) Water outlet for a low-pressure sanitary outlet fitting
ITMI20102289A1 (it) Doccetta perfezionata per lavello da cucina.
US9255388B2 (en) Switch structure of water outlet of wall-mounted faucet
KR200442201Y1 (ko)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체결장치
US8857471B2 (en) Control structure of wall-mounted faucet
US7120948B1 (en) Attachment for a showerhead to redirect water flow
JP6682072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JP2014166327A5 (ko)
KR200469478Y1 (ko) 변각 및 변위가 가능한 세면대용 배수유닛
EP3118380B1 (en) Sprayhead for a faucet, with an improved containment casing
US9790667B2 (en) Push-activated tub spout
NL2018832B1 (en) Automatically telescoping faucet
EP2967261B1 (en) A bath or basin waste
CN104652545B (zh) 水栓装置
KR20140002556U (ko) 플렉시블 수전 금구
WO2018126903A1 (zh) 一种排残留水切换组件
JP6489492B2 (ja) 水栓装置及びスパウト
RU2708993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ран
CN210421273U (zh) 一种抽拉花洒头护套装置
NL2018829B1 (en) Telescoping faucet
CN207512840U (zh) 触控式喷头
KR20220078843A (ko) 약산성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