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785A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785A
KR20220078785A KR1020200167711A KR20200167711A KR20220078785A KR 20220078785 A KR20220078785 A KR 20220078785A KR 1020200167711 A KR1020200167711 A KR 1020200167711A KR 20200167711 A KR20200167711 A KR 20200167711A KR 20220078785 A KR20220078785 A KR 2022007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inter
floor
waveform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5269B1 (en
Inventor
임재돈
Original Assignee
임재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돈 filed Critical 임재돈
Priority to KR102020016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269B1/en
Publication of KR2022007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7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7/00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B7/008MEMS characterised by an electronic circuit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or driving the s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1/00Specific applications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B81B2201/0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6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38Neur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서 층간 소음을 감지하고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이 감지된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정확한 신호 파형을 결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역위상의 상쇄 파형을 발생시켜 층간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particularly by detecting inter-floor noise in a room and inputting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to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at is machine-learned with a dataset of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s to determine an accurate signal wavefor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by generating a corresponding counter-phase cancellation waveform to prevent noise between floors.

Description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서 층간 소음을 감지하고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이 감지된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정확한 신호 파형을 결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역위상의 상쇄 파형을 발생시켜 층간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particularly by detecting inter-floor noise in a room and inputting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to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at is machine-learned with a dataset of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s to determine an accurate signal wavefor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by generating a corresponding counter-phase cancellation waveform to prevent noise between floors.

일반적으로, 층간 소음은 다세대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이 복수의 층이 형성된 건축물의 한 층에서 발생한 소리가 다른 층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의미한다. 과거 단독위주의 생활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으로 주거 환경이 일반화되면서 층간 소음에 의한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에 의해 살인사건이 발생하거나 정신질환이 유발되는 등 층간 소음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환경부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는 층간 소음 피해 기준을 주간 55dB(데시벨), 야간 45dB 이상에서 낮 40dB, 야간 30dB 이상으로 조정했고,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개정돼 2014년 5월 7일부터 공공주택의 바닥구조 기준과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기준이 강화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기준 등에 의거하여 건축물이 건축되어 층간 소음이 기준 이하가 되더라도 층간 소음이 유발되는 원인이나 개인의 민감도에 따라 층간 소음에 따른 피해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In general, inter-floor noise refers to noise generated from one floor of a building having a plurality of floors, such as a multi-family house or an apartment, transmitted to another floor. In the past, a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generalized from single-family living to apartment houses, etc., problems due to noise between floors began to appear.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Accordingly, the Central Environmental Dispute Mediation Committe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djusted the noise damage standard between floors from 55 dB (decibel) during the day and 45 dB at night to 40 dB during the day and 30 dB at night. The standards for floor structure and floor impact sound barrier performance have been strengthened. However, even if a building is buil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andards and the noise level becomes lower than the standard, damage due to the noise between floors still exists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noise between floors or the individual's sensitivity.

국내 등록 특허 공보 10-1616495호 공보(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층간 소음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층간 소음 방지 장치는 슬라브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층을 갖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 장치의 운용방법으로서, 슬라브의 상측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쇄 진동을 발생시켜 소음진동을 감쇄시키는 소음 감쇄부와, 소음 진동에 관한 정보 및 소음 감쇄부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감지부 및 소음 감쇄부의 상측 및 하측을 감싸는 지지부와, 감지부 및 소음감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가 구비된 층간 소음 방지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1649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iscloses an interlayer noise prevention device. This device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is an operating method of a device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in a building having a plurality of floors part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slab. A noise attenuating unit for attenuating noise vibration by generating a damping vibra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noise and vibration and whether the noise attenuating unit is in operation, a support unit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nsing unit and the noise attenuating unit, and sen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devic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 and the noise attenuator is provided.

그러나 종래기술은 소음 진동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감쇄 진동을 발생시키더라도 소음 감쇄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oise attenuation effect is deteriorated even when the attenuated vibration is generated because an accurate analysis of the noise and vibration is not perform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층간 소음을 정확히 분석하여 이에 상응하는 상쇄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층간 소음을 현저하게 감쇄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that can significantly attenuate noise between floors by accurately analyzing noise between floors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offset signal.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은 소음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층간 소음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일 경우,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감지된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한 후, 이 층간 소음의 파형과 역위상의 파형 데이터를 결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소음 제거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출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역위상의 파형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상쇄 신호 발생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inter-floor noise sensed from the noise sensing uni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level, the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 data Noise reduction management configured to input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learned with three sets, acquire the inter-floor noise waveform, determine the inter-floor noise waveform and out-of-phase waveform data, and output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nd a server, wherein the outputted control signal is provided to a cancellation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waveform signal of an inverse phas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제거 관리 서버는 상기 소음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층간 소음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소음 레벨 결정부; 상기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인 경우,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감지된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소음 파형 결정부; 및 획득된 상기 층간 소음의 파형과 역위상의 파형 데이터를 결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상쇄 파형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noise reduction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inter-floor noise sensed by the noise detection uni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he noise level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set level. decision part; a noise waveform determiner configured to obtain a waveform of the interfloor noise by inputting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to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learning with a dataset of the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s when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set level; and an offset waveform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fter determining the obtained waveform data of the waveform and the inverse phase of the interlayer noise.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음 감지부 및 상쇄 신호 발생부는 하나의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noise sensing unit and the cancellation signal generating unit may be formed of a single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sensor.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감지된 상기 층간 소음은 상기 소음 제거 관리 서버에서 기계학습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빅데이터로서 누적될 수 있다.In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may be used for machine learning in the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or may be accumulated as big dat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방법은 소음 제거 관리 서버가 소음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층간 소음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일 경우, 상기 소음 제거 관리 서버가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감지된 상기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소음 제거 관리 서버가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층간 소음의 파형과 역위상의 파형 데이터를 결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제거 관리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역위상의 파형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쇄 신호 발생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reduction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noise between floors detected by the noise detection uni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whether the noise level between floors is above a set level determining a; When the noise level between floors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set level in the determining step, the noise reduction management server inputs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learned as a data set of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s to obtain a waveform of the inter-floor noise step; and outputting, by the noise reduction management server,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fter determining the waveform data of the inter-floor noise obtained in the acquiring step and the waveform data out of phase. is provided to the cancellation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waveform signal of an inverse phas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감지된 층간 소음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일 경우,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감지된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한 후, 이 층간 소음의 파형과 역위상의 파형 데이터를 결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역위상의 파형 신호를 발생시키도로 구성됨으로써, 층간 소음을 정확히 분석하여 이에 상응하는 상쇄 신호를 발생하므로 층간 소음을 현저하게 감쇄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higher than the set level by wirelessly receiving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it is detected by a machine-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a dataset of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s. After obtaining the waveform of the inter-floor noise by inputting the inter-floor noise, the waveform of the inter-floor noise and the waveform data of the opposite phase are determined,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output to generate the waveform signal of the opposite phase. Since the noise is accurately analyzed and a corresponding offset signal is generate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remarkably attenuating the noise between floo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floor noi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the system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of FIG. 1 .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construed as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도면에서 도시된 각 시스템에서, 몇몇 경우에서의 요소는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를 가져서 표현된 요소가 상이하거나 유사할 수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요소는 상이한 구현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거나 기술된 시스템 중 몇몇 또는 전부와 작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다양한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제1 요소로 지칭되는지 및 어느 것이 제2 요소로 불리는지는 임의적이다.In each system shown in the figures, elements in some instances may each have the same reference number or different reference numbers to suggest that the represented elements may be different or similar. However, elements may have different implementations and work with some or all of the systems shown or described herein.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Which one is referred to as the first element and which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element is arbitrary.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전달' 또는 '제공'한다 함은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물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y one component 'transmits', 'transfers' or 'provides'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one component directly transmits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of course, and transmitting data or signals to the other component via at least one further compon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floor noi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감지부(100), 소음 제거 관리 서버(200) 및 상쇄 신호 발생부(1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ise detection unit 100 , a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200 , and an offset signal generator 110 .

소음 감지부(100)는 층간 소음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설치 위치는 예컨대 실내의 상부벽 또는 측면벽이 될 수 있으며, 층간 소음을 감지하기에 적절한 위치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noise detection unit 100 serves to detect noise between floors,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may be, for example, an upper wall or a side wall of a room,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uitable location for detecting noise between floors.

소음 감지부(100)는 상쇄 신호 발생부(110)와 하나의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센서로 이루어져 소형화가 구현될 수 있다. The noise detector 100 may be miniaturized by being composed of the cancellation signal generator 110 and one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sensor.

감지된 층간 소음은 소음 제거 관리 서버(200)에서 기계학습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빅데이터로서 누적되어 향후 층간 소음의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may be used for machine learning in the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200 or may be accumulated as big data and used for big data analysis of inter-floor noise in the future.

소음 제거 관리 서버(200)는 소음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층간 소음을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수신하여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예컨대, 40dB) 이상일 경우,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감지된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한 후, 이 층간 소음의 파형과 역위상의 파형 데이터를 결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쇄 신호 발생부(110)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The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the inter-floor noise detected from the noise detection unit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M, and when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above a set level (eg, 40 dB), data of the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 After obtaining the waveform of the interlayer noise by inputting the detected interlayer noise to the machine-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three sets, the waveform of the interlayer noise and the waveform data of the inverse phase are determined,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canceled by the offset signal generator 110 ) to output it.

소음 제거 관리 서버(200)는 소음 레벨 결정부(210), 소음 파형 결정부(220) 및 상쇄 파형 결정부(230)를 포함한다.The noise reduction management server 200 includes a noise level determiner 210 , a noise waveform determiner 220 , and an offset waveform determiner 230 .

소음 레벨 결정부(210)는 소음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층간 소음을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수신하여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noise level determining unit 210 receives the inter-floor noise detected by the noise sensing unit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M and determines whether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level.

소음 파형 결정부(220)는 소음 레벨 결정부(210)에 의해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인 경우로 결정되면,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소음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noise level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set level by the noise level determination unit 210, the noise detection unit 100 is applied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learned with the dataset of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s. It serves to acquire the waveform of the inter-floor noise by inputting the noise between floors detected by the

한편, 소음 파형 결정부(220)는 기계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대신 빅데이터분석을 통해 층간 소음에 대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oise waveform determiner 220 may acquire the waveform of the inter-floor noise with respect to the inter-floor noise through big data analysis instead of using the machine-learned artificial neural network.

상쇄 파형 결정부(230)는 소음 파형 결정부(220)에 의해 획득된 층간 소음의 파형을 층간 소음-역위상 파형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역위상의 파형 데이터를 결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상쇄 신호 발생부(11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offset waveform determiner 230 determines the waveform data of the inverse phase using the interlayer noise-antiphase waveform data table for the waveform of the interlayer noise obtained by the noise waveform determiner 220, and then send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user. It serves to provide to the cancellation signal generator 110 through the terminal (M).

상쇄 신호 발생부(110)는 소음 제거 관리 서버(200)의 상쇄 파형 결정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수신하여 이에 상응하는 역위상의 파형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The offset signal generator 11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offset waveform determiner 230 of the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user terminal M to generate a corresponding waveform signal of the opposite phase. do

상쇄 신호 발생부(110)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소음 감지부(100)와 통합되어 하나의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ncellation signal generator 110 may be integrated with the noise detector 100 to constitute a single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senso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the system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도 1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의미한다.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the system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of FIG. 1 , where S means a step.

먼저, 소음 감지부(100)에 의해 층간 소음이 감지되면(S100), 소음 제거 관리 서버(200)가 감지된 층간 소음을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수신하여(S200)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인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250).First, when inter-floor noise is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100 (S100), the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through the user terminal M (S200) to set the inter-floor noise level to the set leve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abnormal (S250).

상기 스텝(S250)에서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미만일 경우(N), 상기 스텝(S200)으로 진행된다. If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less than the set level in step S250 (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0.

한편, 상기 스텝(S250)에서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일 경우(Y), 소음 제거 관리 서버(200)가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스텝(S100)에서 감지된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한다(S300).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higher than the set level (Y) in the step (S250), the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200 detects in step (S100)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learned with the dataset of the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s. By inputting the noise between floors, a waveform of the noise between floors is obtained (S300).

다음, 소음 제거 관리 서버(200)가 상기 스텝(S300)에서 획득된 층간 소음의 파형과 역위상의 파형 데이터를 결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400).Next, the noise reduction management server 200 determines the waveform data of the inter-floor noise obtained in step S300 and the waveform data out of phase and outpu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S400).

다음, 상쇄 신호 발생부(110)가 소음 제거 관리 서버(2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수신하여 이에 상응하는 역위상의 파형 신호를 발생한다(S500). 이에 따라 발생되는 층간 소음을 역위상의 파형 신호가 상쇄시킴으로써 층간 소음이 제거된다.Next, the cancellation signal generating unit 11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user terminal M to generate a corresponding waveform signal of the opposite phase (S500). The noise between the floors is removed by canceling the noise between the floors, which is generated by this, by the waveform signal having an out-of-phase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에 의하면, 감지된 층간 소음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일 경우,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감지된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한 후, 이 층간 소음의 파형과 역위상의 파형 데이터를 결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역위상의 파형 신호를 발생시키도로 구성됨으로써, 층간 소음을 정확히 분석하여 이에 상응하는 상쇄 신호를 발생하므로 층간 소음을 현저하게 감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higher than the set level by wirelessly receiving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the inter-layer noise detected by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learned with a dataset of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s. After obtaining the waveform of the inter-floor noise by inputting the noise, the waveform of the inter-floor noise and the waveform data of the opposite phase are determined, and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output to generate a waveform signal of the opposite phase, thereby reducing the inter-floor noise. By accurately analyzing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offset signal,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noise between floors.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n optimal embodiment is disclosed, and specific terms are used, but these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didn't happen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소음 감지부
110: 상쇄 신호 발생부
M: 사용자 단말
200: 소음 제거 관리 서버
210: 소음 레벨 결정부
220: 소음 파형 결정부
230: 상쇄 파형 결정부
100: noise detection unit
110: offset signal generator
M: user terminal
200: noise cancellation management server
210: noise level determination unit
220: noise waveform determining unit
230: offset waveform determining unit

Claims (5)

소음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층간 소음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일 경우,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감지된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한 후, 이 층간 소음의 파형과 역위상의 파형 데이터를 결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소음 제거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출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역위상의 파형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상쇄 신호 발생부로 제공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When the inter-floor noise level detected from the noise detector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above the set level, the inter-floor noise wave and a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configured to output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fter determining the waveform data of the inter-floor noise and the waveform data out of phase after obtaining
The outputted control signal is provided to an offset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waveform signal of an inverse phas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제거 관리 서버는
상기 소음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층간 소음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소음 레벨 결정부;
상기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인 경우,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감지된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소음 파형 결정부; 및
획득된 상기 층간 소음의 파형과 역위상의 파형 데이터를 결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상쇄 파형 결정부;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is
a noise level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inter-floor noise sensed by the noise sensing unit through a use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level;
a noise waveform determiner configured to obtain a waveform of the interfloor noise by inputting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to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learning with a dataset of the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s when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set level; and
and an offset waveform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fter determining the obtained waveform data of the waveform and the inverse phase of the interlayer noi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감지부 및 상쇄 신호 발생부는 하나의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센서로 이루어져 있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noise detection unit and the cancellation signal generating unit ar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system consisting of a single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된 상기 층간 소음은 상기 소음 제거 관리 서버에서 기계학습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빅데이터로서 누적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is used for machine learning in the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or accumulated as big data.
제 1 항에 기재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방법으로서,
소음 제거 관리 서버가 소음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층간 소음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층간 소음 레벨이 설정 레벨 이상일 경우, 상기 소음 제거 관리 서버가 층간 소음과 신호 파형의 데이터셋으로 기계학습 된 인공 신경망에 감지된 상기 층간 소음을 입력시켜 층간 소음의 파형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소음 제거 관리 서버가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층간 소음의 파형과 역위상의 파형 데이터를 결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제거 관리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역위상의 파형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쇄 신호 발생부로 제공되는 층간 소음 방지 방법.
A metho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using the system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determining, by the noise reduction management server, whether the inter-floor nois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level by receiving the inter-floor noise detected by the noise detection unit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the determining step, when the noise level between floors is higher than the set level, the noise reduction management server inputs the detected interfloor noise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learned as a dataset of inter-floor noise and signal waveforms to obtain a waveform of the inter-floor noise. step; and
and outputting, by the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fter determining the waveform data of the inter-floor noise obtained in the acquiring step and the waveform data out of phase;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noise removal management server is provided to an offse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waveform signal of an inverse phas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KR1020200167711A 2020-12-03 2020-12-03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KR102565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11A KR102565269B1 (en) 2020-12-03 2020-12-03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11A KR102565269B1 (en) 2020-12-03 2020-12-03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785A true KR20220078785A (en) 2022-06-13
KR102565269B1 KR102565269B1 (en) 2023-08-09

Family

ID=8198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711A KR102565269B1 (en) 2020-12-03 2020-12-03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26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829A (en) * 2013-03-14 2014-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in apartment house
KR20150088169A (en) * 2014-01-23 2015-07-3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Noise Reduction And Inducement thereto
RU2663535C1 (en) * 2017-10-03 2018-08-07 Олег Савельевич Кочетов Workshop acoustic construction with vibroactive equipment
KR101903938B1 (en) * 2018-06-26 2018-10-02 이윤근 An interlayer noise preventing structure having a triple structure
KR20180123319A (en) * 2017-05-08 2018-11-16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KR20190126886A (en) * 2017-03-16 2019-11-12 유사운드 게엠바하 Amplifier unit and sound generation unit for sound transduc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829A (en) * 2013-03-14 2014-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in apartment house
KR20150088169A (en) * 2014-01-23 2015-07-3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Noise Reduction And Inducement thereto
KR20190126886A (en) * 2017-03-16 2019-11-12 유사운드 게엠바하 Amplifier unit and sound generation unit for sound transducer
KR20180123319A (en) * 2017-05-08 2018-11-16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RU2663535C1 (en) * 2017-10-03 2018-08-07 Олег Савельевич Кочетов Workshop acoustic construction with vibroactive equipment
KR101903938B1 (en) * 2018-06-26 2018-10-02 이윤근 An interlayer noise preventing structure having a tripl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269B1 (en)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308B1 (en)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Inter sound alerts
US20200312315A1 (en) Acoustic environment aware stream selection for multi-stream speech recognition
KR20190094529A (en) System for noise alarming between floors
US20130329863A1 (en) System and method to use enterprise communication systems to measure and control workplace noise
KR101690006B1 (en) floor noise and floor vibration sensing system
KR101444175B1 (en) System for managing noise in apartment house and operting method thereof
KR20160146111A (en) Self-recognition Monitoring system of Interlayer noise and Interior Noise
Cabrera et al. Critical methodological assessment of the distraction distance used for evaluating room acoustic quality of open-plan offices
KR20170091455A (en) Inter-floor noise measur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KR2022007878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KR20220105239A (en) 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KR2015003104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ound insulation
KR20160080522A (en) Interfloor Noise Prevention System
KR102097990B1 (en) System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JPWO2014024559A1 (en) Vibration detector
JP2005106288A (en) Piping system discriminating method and system
JP6485739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intercom device, and intercom system
JP3751628B2 (en) Noise detection system
JP2009153044A (en) Shared interphone
KR102008332B1 (en) Floor noise notice system
KR202001144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KR102469970B1 (en) System for having function alert floor noise
KR101561849B1 (en) Device and system for tracing floor noise
JP7379269B2 (en) Building health diagnosis system
KR20200010676A (en) Artificial intelligent voice terminal device and voice service system that prevent multiple trigg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