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262A -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262A
KR20220078262A KR1020200167611A KR20200167611A KR20220078262A KR 20220078262 A KR20220078262 A KR 20220078262A KR 1020200167611 A KR1020200167611 A KR 1020200167611A KR 20200167611 A KR20200167611 A KR 20200167611A KR 20220078262 A KR20220078262 A KR 20220078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memo pad
coupled
opening
rot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904B1 (ko
Inventor
김석준
박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교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교구
Priority to KR102020016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9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는 지지대에 돌출 형성된 개폐축에 결합되는 하부회전체;와 상기 하부회전체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회전체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회전체와 상부회전체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마찰감소판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회전체는 하부몸체의 상면 중심에 보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스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에는 대략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회전안내홈이 형성되어, 이에 결합되는 상부회전체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Rotating Device For Writing Table Of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설치된 메모대를 펴거나 접어 보관 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 강의실, 세미나실 또는 교회 등에는 의자 등받이에 메모대가 구비되어 뒤쪽 의자에 앉는 착석자가 책을 올려놓거나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수강용 의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강용 의자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공간활용도를 높이면서 보관 관리가 용이하도록 메모대를 접거나 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메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메모대를 펼쳐 휴대품 및 책을 올려놓거나 필기를 보다 편안하게 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메모대을 등받이에 밀착되는 상태로 접어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사용 시 링크부재 힌지부위가 시야에 노출됨으로써 외관이 산만하고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링크부재와 등받이 및 메모대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손가락 등이 끼어들 수 있어 특히 어린이들이 다칠 염려가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를 개선한 의자를 특허 제10-1004398호로 등록한 바 있다. 상기 특허 제10-1004398호는 의자에서 지지대로 연장된 메모대를 회전시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하되, 그 회전장치를 메모대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용 시 시야 노출을 피하고, 회전 작동 시 손가락 등의 끼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회전 장치 몸체에서 상하회전부와 좌우회전부를 나누어 서로 다른 소켓에서 작동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해졌으며, 기다란 지지대와 상하회전안내부를 일체로 성형 사출해야 했기 때문에 금형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004398호(공고일: 2010년12월28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회전장치를 하나의 몸체를 이용하여 메모대의 상하 및 좌우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는 지지대에 돌출 형성된 개폐축에 결합되는 하부회전체;와 상기 하부회전체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회전체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회전체와 상부회전체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마찰감소판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회전체는 하부몸체의 상면 중심에 보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스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에는 대략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회전안내홈이 형성되어, 이에 결합되는 상부회전체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회전체는, 하부몸체의 측면에 개폐축이 삽입 결합되는 개폐축공이 형성되고, 하부몸체의 하면과 측면을 동시에 절개하여 개폐가이드공도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는 하나의 몸체만을 사용하여도 메모대를 자유롭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고, 또한 수납위치로 회전시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는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구조가 대단히 단순하므로 제조 및 조립 설치가 대단히 쉽게 된다.
또한, 회전장치 뿐만 아니라 지지대 등의 부속 구성도 단순한 구조로 설계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고장 등의 문제 발생 소지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장치에 메모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의 외부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의 분해하여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의 분해하여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회전장치에 의한 메모대의 접힘 및 펼침에 따른 회전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실질적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 '하', '앞', '뒤', '전', '후', '좌, '우', '선단',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분리할 수 없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 및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6 및 도 7에는 본 실시예의 회전장치(100)에 메모대(200)가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자는 통상의 의자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구성된 좌판, 좌판의 후방에 적당한 각도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및 좌판의 하측에 결합되어 좌판를 받치는 다리가 상호 조립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 다리에는 메모대(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장치(100)를 설치하는 지지대(30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등받이가 있는 부분을 후방으로 칭하고, 그 반대 방향을 전방으로 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적용된 의자는 다리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대(300), 이 지지대(300)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장치(100) 및 상기 회전장치(100)의 상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메모대(2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브래킷(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대(300)은 한 쪽 다리에 사선 방향으로 상향 설치된다.
즉, 지지대(300)의 하단은 볼트 등의 고정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의자의 다리에 고정 결합되며, 상단에는 설치부(31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310)의 끝부분에는 개폐축(320)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전장치(100)를 끼워 결합할 수 있다.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장치(100)를 설명한다.
회전장치(100)은 서로 결합되는 하부회전체(10)와 상부회전체(30) 및 상기 하부회전체(10)와 상부회전체(30)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마찰감소판(20)으로 구성된다.
하부회전체(10)는 원통형상의 하부몸체(11)를 가지고 있으며, 하부몸체(11)의 상면 중심에는 보스(14)가 돌출된다. 상기 보스는 후술하는 상부회전체(30)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보스(14)의 상면에는 와셔(38)를 끼울 수 있는 와셔돌기(15)가 형성되고, 그 중심축 방향으로는 고정볼트(39)를 체결할수 있는 고정볼트공(16)이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부몸체(31)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보스삽입공(35)에 보스(14)를 관통시키고 고정볼트(39)를 고정볼트공(16)에 체결하면 상부회전체(30)는 하부회전체(1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스(14)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에는 대략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회전안내홈(17)이 형성되어 이에 결합되는 상부회전체(30)의 회전을 안내한다.
또한, 하부몸체(11)의 상면에는 회전안내홈(17) 바깥쪽으로 원형 홈을 파서 단턱을 형성하는데 가장 깊이가 깊은 홈면이 제 2마찰면(19)가 되고, 그 위쪽 단턱면이 제1 마찰면(18)이 된다.
그리고 하부몸체(11)의 측면에는 지지대(300)의 설치부 끝부분에 형성된 개폐축(320)이 삽입 결합되는 개폐축공(12)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몸체(11)의 하면과 측면을 동시에 절개하여 개폐가이드공(13)도 형성하는데, 이 개폐가이드공(13)은 개폐축공(12)과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대(300)의 개폐축(320)이 개폐축공(12)에 삽입되면 개폐가이드공(13)을 통해 가이드볼트(40)를 개폐축공(1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장치(100)을 개폐축(320)을 중심으로 회전 시킬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볼트(40)는 개폐가이드공(13)의 내벽에 막혀 개폐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량을 제한하게 된다.
상부회전체(30)는 하부회전체(10)에 대응 결합되도록 대략 원통형의 상부몸체(31)가 구비되며, 이 상부몸체(31)의 중심에는 보스삽입공(35)이 형성되어 이 보스삽입공(35)을 통해 보스(14)가 관통하여 상부회전체(30)는 하부회전체(10)가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회전체(10)와 마주보는 상부회전체(30)의 하면에는 안내돌기(33)가 돌출 형성되어 상부회전체(30)의 상하 회전시 회전안내홈(17)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회전안내홈(17)의 양 끝단에 안내돌기(33)가 도달할 경우 안내돌기(33)는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겸하게 된다.
상부몸체(31)의 상면에는 위치결정돌기(34)이 돌출 형성되고, 브래킷(50)과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36)이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돌기(34)는 브래킷(50)의 위치결정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회전체(30)를 브래킷에 결합시킬 때 서로 끼워 맞추게 되는데, 이렇게 끼워 맞추면 상부회전체(30)의 하면에 형성된 안내돌기(33)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세팅할 수 있다.
한편, 상부회전체(30)와 하부고정체(10) 사이에는 마찰감소판(20)이 개재되어 결합된다.
마찰감소판(20)의 몸체(21)는 환형 링 형상의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면에는 제1돌기(22)와 제2돌기(23)가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제1돌기(22)는 상기 제1마찰면(18)에, 그리고 제2돌기(23)는 제2마찰면(19)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회전체(30)와 하부고정체(10)의 상대회전 시 제1돌기(22)와 제1마찰면(18) 및 제2돌기(23)와 제2마찰면(19)의 마찰 면적은 환형 링 형상 전체면적보다 매우 작으므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회전체(30)와 하부고정체(10)의 상대회전이 원활해지고 마찰소음도 감소한다.
브래킷(50)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회전장치(100) 상면에 결합된다. 또한, 브래킷(50)의 상면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메모대(200)를 설치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회전장치(100)에 의해 메모대(200)를 펴거나 접어 보관하는 작용을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메모대(200)을 상하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면, 도 1과 도 5에서 설명한 개폐축(320)을 중심으로 회전장치(100)의 몸체가 회전하게 되며, 개폐축(320)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 볼트(40)도 개폐가이드공(13) 내에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대 회전은 가이드 볼트(40)가 개폐가이드공 내면에 막히게 되면 정지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 볼트(40)가 개폐가이드공의 중심쪽 내면에 접하여 막힐 때 메모대(200)은 수평을 이루며, 메모대는 이 상태로 정지된다.
다음 메모대(200) 상방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도 7처럼 후방(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메모대(200)를 하부 보관 위치로 정돈할 수 있다.
즉 메모대(20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방으로 메모대를 회전시키면 지지대(300)에 결합된 상부회전체(3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돌기(33)가 회전안내홈(17)을 보스(14)를 중심으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다 회전안내홈(17)의 끝단에서 저지되면서 상부회전체(30)는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렇게 회전이 제한된 상태가 메모대(200)를 하부 보관 위치로 온 상태이다.
한편, 메모대(200)를 다시 사용하려면 위에 언급된 역순으로 메모대(200)을 원위치시켜 수평으로 펴고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이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상기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쉬운 것이라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회전장치 200: 메모대
300: 지지대 320: 개폐축
10: 하부회전체 12: 개폐축공
13: 개폐가이드공 17: 회전안내홈
20: 마찰감소판 30: 상부회전체
33: 안내돌기 34: 위치결정돌기
40: 가이드볼트 50: 브래킷

Claims (4)

  1. 지지대(300)에 돌출 형성된 개폐축(320)에 결합되는 하부회전체(10);와
    상기 하부회전체(1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회전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회전체(10)와 상부회전체(30)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마찰감소판(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회전체(10)는
    하부몸체(11)의 상면 중심에 보스(1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스(14)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에는 대략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회전안내홈(17)이 형성되어, 이에 결합되는 상부회전체(30)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회전체(10)는,
    하부몸체(11)의 측면에 개폐축(320)이 삽입 결합되는 개폐축공(12)이 형성되고,
    하부몸체(11)의 하면과 측면을 동시에 절개하여 개폐가이드공(13)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
KR1020200167611A 2020-12-03 2020-12-03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 KR102512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611A KR102512904B1 (ko) 2020-12-03 2020-12-03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611A KR102512904B1 (ko) 2020-12-03 2020-12-03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262A true KR20220078262A (ko) 2022-06-10
KR102512904B1 KR102512904B1 (ko) 2023-03-22

Family

ID=8198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611A KR102512904B1 (ko) 2020-12-03 2020-12-03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9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9109A (ja) * 2003-12-05 2005-06-30 Pro Cord Srl 筆記板付き椅子
KR20100016682A (ko) * 2008-08-05 2010-02-16 주식회사 한성교구 의자용 간이책상 절첩장치
KR20110001595U (ko) * 2009-08-10 2011-02-17 서원호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101058554B1 (ko) * 2011-06-15 2011-08-23 일진씨앤에이(주) 의자의 메모대 절첩장치
KR101302422B1 (ko) * 2013-07-19 2013-09-10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강의실 의자의 수강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9109A (ja) * 2003-12-05 2005-06-30 Pro Cord Srl 筆記板付き椅子
KR20100016682A (ko) * 2008-08-05 2010-02-16 주식회사 한성교구 의자용 간이책상 절첩장치
KR101004398B1 (ko) 2008-08-05 2010-12-28 주식회사 한성교구 의자용 간이책상 절첩장치
KR20110001595U (ko) * 2009-08-10 2011-02-17 서원호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101058554B1 (ko) * 2011-06-15 2011-08-23 일진씨앤에이(주) 의자의 메모대 절첩장치
KR101302422B1 (ko) * 2013-07-19 2013-09-10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강의실 의자의 수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904B1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7128B1 (en) Chair with fold-down tablet assembly
KR20220078262A (ko) 의자 메모대 회전장치
KR100893387B1 (ko) 테이블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102055571B1 (ko) 노트북 지지대
JP5982151B2 (ja) 折畳み式テーブルを備えた家具
JP5953088B2 (ja) 折畳み式テーブルを備えた家具
KR101004398B1 (ko) 의자용 간이책상 절첩장치
JP5647169B2 (ja) 脚付家具
KR200404422Y1 (ko) 절첩형 수강판이 구비된 의자
KR200242483Y1 (ko) 받침대가 부설된 다이어리
KR102064735B1 (ko) 노트북 지지대
KR101847849B1 (ko) 의자의 좌우 공용 메모장치
KR200261289Y1 (ko) 접철식 의자용 간이 책상
JP2785786B2 (ja) 椅 子
CN219643946U (zh) 电子设备支架
KR19980060619U (ko)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KR20240028189A (ko) 테이블 높낮이 기능성 조절장치
JP2721143B2 (ja) 椅 子
KR200253126Y1 (ko) 절첩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의자
KR200303632Y1 (ko) 보조 책상
KR200180152Y1 (ko) 상다리 절첩장치
US20020195866A1 (en) Seating chair with a supporting frame
KR20230111976A (ko) 연결식 의자용 후면 메모판
JP2824565B2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