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126Y1 - 절첩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의자 - Google Patents

절첩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126Y1
KR200253126Y1 KR2020010023030U KR20010023030U KR200253126Y1 KR 200253126 Y1 KR200253126 Y1 KR 200253126Y1 KR 2020010023030 U KR2020010023030 U KR 2020010023030U KR 20010023030 U KR20010023030 U KR 20010023030U KR 200253126 Y1 KR200253126 Y1 KR 200253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chair
main body
slid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권하
Original Assignee
정권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권하 filed Critical 정권하
Priority to KR2020010023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126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부에 책상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의자부 이외에 책상이 형성이 되어져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본체부의 하중을 분담하기 위한 팔걸이부로 구성이 되어진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팔걸이부의 구성을 생략하여 본체부만으로서도 휼륭히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팔걸이부 만으로도 독자적인 기능을 충분히 달성할 수가 있으므로, 본 고안의 이러한 독자적인 기술 부분도 역시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한다. 본 고안은 책상과 의자를 모두 절첩을 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책상은 책상으로 사용을 하는 것과, 발목지지대로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을 하였다. 이를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책상을 특정위치에 위치토록 하는 슬라이더의 기능에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효과를 추구하기 위하여 의자에 책상이 형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의자의 좌판하부에 수납장을 형성하며, 책상의 전면에 절첩식 독서대를 구성키도 한다.

Description

절첩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의자{chair}
본 고안은 책상이 형성된 의자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책상을 절첩할 수가 있으며, 동시에 의자와 책상을 동시에 절첩 할 수도 있다. 의자와 책상을 동시에 절첩하면 보관시 공간을 활용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간편하므로 야외에 나갈 때에도 휴대를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기능에 있어서 책상을 사용하지 않고 의자로서 만의 기능을 담당케 할 수도 있으며, 또한 발목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구사할 수도 있다. 본 책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책상의 길이 등을 조절할 수가 있도록 구성을 하였다. 본 고안은 책상이 형성된 본체부와 이를 지지하는 팔걸이부를 통하여 견고히 책상을 지지할 수가 있도록 구성이 되어진다. 본 고안에서 책상이 형성이 되어진 본체부와 이를 지지하는 팔걸이부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양자를 동시에 사용을 할 수가 있으며, 이들을 비 사용시에는 절첩하여 보관을 할 수도 있게 하였다.
본 고안은 의자와 책상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가 있게 한 책상기능을 구성한 의자 또는 의자 기능을 구성한 책상에 대한 기술이다. 본 고안은 의자와 책상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도 하며, 책상을 사용하지 않고 의자만의 기능을 사용케 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로서는 강의용 책상으로 의자의 한쪽에 테이블을 구성하여 상기 테이블을 절첩할 수가 있도록 구성한 것이 있어 왔다.
책상의 기능이 구비되어진 의자에 있어서, 책상과 의자를 동시에 절첩을 행할 수가 있는 기술적 구성과, 또한 책상 사용시 견고하며 편리하게 사용자가 사용을 할 수가 있도록 본체부와 팔걸이부로 분리하여 책상이 받는 하중을 지지하게 하는 기술과, 발목지지대로서 책상을 사용할 수가 있는 기능 등 편리함을 주기 위한 본체부의 다양한 기능적 측면을 제고한 기술의 구현을 그 과제로 하였다.
제 1 도는 종래의 절첩식 의자의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절첩식 의자에 책상을 형성한 의자의 구성도이다.
제 3 도는 제 2 도의 상세 설명도이다.
제 4 도는 본체부의 구성도이다.
제 5 도는 회전수단의 실시예이다.
제 6 도는 팔걸이부의 구성도이다.
제 7 도는 동일 평면내의 회전수단의 구성도이다.
제 8 도는 책상으로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
제 9 도는 발목 지지대로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
제 10 도는 의자로만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
제 11 도는 제 10 도의 부가설명도이다.
제 12 도는 절첩상태도이다.
제 13 도는 슬라이더 정지홈을 형성시킨 구성의 설명도이다.
제 14 도는 길이조절 수단의 실시예이다.
제 15 도는 슬라이더와 버팀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16 도는 내부지지부재의 단면도이다.
제 17 도는 슬라이더에 연결된 버팀부재의 작용 설명도이다.
제 18 도는 고정책상부를 형성한 분할책상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본체부 2:의자 3:팔걸이부 4:독서대 7:결합돌출부 9:회전수단
11:버팀부재 18:결합요홈 35:슬라이더스토퍼 36:슬라이더 65:고정책 상부
본 고안은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에 책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책상이 형성이 되어져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본체부의 하중을 분담하기 위한 팔걸이부로 구성이 되어진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팔걸이부의 구성을 생략하여 본체부만으로서도 훌륭히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팔걸이부 만으로도 독자적인 기능을 충분히 달성할 수가 있으므로, 본 고안의 이러한 독자적인 부분도 역시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한다. 본 고안 책상은 책상으로 사용을 하는 것과, 발목지지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하였다, 이를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책상을 특정위치에 위치토록 하는 슬라이더의 기능 또한 큰 특징을 가진다. 본고안은 다양한 효과를 추구하기 위하여 의자에 책상이 형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의자의 좌판 하부에 수납장을 형성하며, 책상의 전면에 절첩식 독서대를 구성키도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을 하겠다.
제 1 도는 종래의 절첩식 의자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널지 알려진 절첩 가능한 의자이다. 본 고안은 제 1 도의 형상과 같은 절첩 가능한 의자만을 적용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본 도면은 그 대표적인 절첩의자를 예시한 것이다.
제 2 도와 제 3 도는 절첩식 의자에 책상을 형성한 의자의 구성도이다. 본 도면에서 본 고안은 종래의 절첩 의자부(2)에 책상이 형성된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팔걸이부(3)로 형성되었음을 알수가 있다. 책상에는 절첩 가능한 독서대(4)를 형성하며, 또한 컵을 고정시킬 수가 있는 컵고정구멍(5) 등을 형성을 할 수가 있다.
제 4 도는 본체부의 구성도이다. 본체부에는 책상(6)이 형성이 되어져 있으며, 책상은 회전수단(9)에 의하여 본체부지지부재(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이 된다. 본체부 지지부재에는 회전수단(9)이 결합이 되며, 본체부 지지부재의 다른 일단은 의지의 기둥에 회동부재(12)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이 되어진다. 본체부 지지부재에는 버팀부재(11)의 한쪽 단부가 슬라이더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이 되어진다. 슬라이더는 본체부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특정위치에 고정이 될 수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 13 도에서 하겠다. 상기 버팀부재의 다른 단부는 의자의 기둥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이 되어진다. 회전수단(9)은 책상을 본체부 지지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회전수단으로서는 경첩 등 다른 다양한 형태의 것들로도 회전수단을 구성을 할 수가 있다. 회전수단에 있어서 책상의 회전을 일정한 각도범위에만 회전을 시킬 수도 있으며, 각도의 제한 없이 자유롭게 회전만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양자 모두 각자의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모두 채택을 할 수가 있다. 책상의 밑바닥 면에는 상기 책상을 팔걸이부에 견고히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요홈을 가진 고정구(8)를 형성 할 수도 있다. 또한 책상의 하부면의 일부에 돌출되어진 결합돌출부(7)를 형성하며, 이를 팔걸이부의 결합요홈(18)에 결합시킨다. 본 고안에서 본체부의 기술구성은 중요한 부분을 감당한다. 본체부는 책상의 본체가 형성된 부분이며, 의자로 출입을 할 수가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출입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부에서는 책상을 회전시켜서 사용자가 들어가고 나올 수가 있도록 하는 구성을 취한다. 책상의 회전의 방법에 있어서, 후술될 제 7 도에서와 같이 책상이 형성된 평면 내에서 책상을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책상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을 시킬 수도 있다. 만약 본체부에 회전수단이 결합이 되어있지 않다면 그것은 이미 본체부의 기능이 아니라 팔걸이부의 기능으로 개념이 이동이 되어진다. 본 고안에서 본체부는 반드시 본체부 지지부재와 책상과 회전수단으로 구성이 되어진다. 지지부재에 책상이 형성이 된다 하더라도 회전수단을 가지지 않게 되면 본 고안의 개념상으로는 본체부에 해당하지 않고 오히려 후술되어질 팔걸이부에 해당이 된다하겠다.
제 5 도는 회전수단의 실시예이다. 회전수단이란 책상을 사용하고 있을 때, 책상이 형성된 평면 내에서 책상을 회전시키는 것과, 책상의 상하의 방향으로 책상을 회전시키는 수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회전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을 할 수가 있다. 상하방향으로 책상을 회전시키는 가장 간단한 하나의 실시예로서는 회전스토퍼(15)가 형성된 회전체(14)와 회전범위(13)가 형성된 정지체(16)를 결합하여 회전의 범위를 한정하는 구성을 들 수가 있다.
제 6 도는 팔걸이부의 구성도이다. 팔걸이부는 상기의 본체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으로 팔걸이부의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팔걸이부는 팔걸이지지부재(19)에 의하여 지지가 된다. 팔걸이부 지지부재에는 팔걸이(17)가 형성이 되고, 팔걸이 지지부재의 다른 일 단부는 의자의 프레임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회동부재로 연결이 되어진다. 또한 지지부재의 중간부에는 슬라이더를 통하여 버팀부재(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이 되어진다. 상기 버팀부재의 다른 일 단부는 의자의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이 되어진다. 슬라이더는 팔걸이 지지부재를 따라 슬라이더 이동을 행하며, 특정 위치에 정지할 수가 있도록 구성이 되어진다. 팔걸이(17)에는 본체부의 결합돌부가 결합이 되어지는 결합요홈(18)이 형성된다.
제 7 도는 동일 평면내의 회전수단의 구성도이다. 사용자가 의자 내부로 들어오고 나가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책상을 회전을 시켜야만 하는데 본 도면에서는 책상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상태 즉 수평 평면 내에서 책상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의 회전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책상은 사용자의 출입을 위하여 회전을 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 시 책상 위에 놓여있던 물건을 있는 그대로 둔 상태로 출입을 하면 더욱 효과적이라 하겠다.이를 위하여서는 책상이 놓여진 평면 내에서 책상을 회전시키면 이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체부 지지부재(24)에 회전대(23)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대에 책상(22)을 핀으로 결합시키면, 책상의 회전이 책상이 놓여진 평면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 8 도는 책상으로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 팔걸이부의 작용과 본체부의 작용이 동일하므로 본 도면에서부터는 팔걸이부의 작용을 중심으로 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책상(25)이 본체부지지부재(27)위에 위치가 되어져 있다. 물론 회전수단에 의하여 연결이 되어지나, 본 도면에서는 회전수단의 도시가 생략이 되어져 있다. 책상은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사용자의 앞뒤로 이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체부 지지부재에 길이조절수단(26)을 형성하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키로 한다. 본체부 지지부재에 슬라이더를 통하여 버팀부재(28)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버팀부재의 다른 일단부는 의자의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이 된다. 본체부 지지부재는 회동부재(29)에 의하여 의자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이 된다. 슬라이더를 지지부재의 특정부위에 위치를 하게 되면, 책상이 수평으로 견고히 위치를 하게 되는데 본 도면은 그 상태를 의미한다
제 9 도는 발목 지지대로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 제 8 도에서 슬라이더를 책상 쪽으로 이동을 시켜서 일정위치에 정지하게 되면, 버팀부재(31)와 책상(30)이 회전하다가 일정위치에 멈추게 된다. 이 위치는 의자의 사용자가 발목을 지지할 수가 있는 위치이다. 이와 같이 책상을 회전시켜서 발목 지지대로서 사용을 할 수가있다.
제 10 도는 의자로만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 제 9 도에서 슬라이더를 더욱 이동시키게 되면, 책상(33)이 의자 기둥과 만나는 위치가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책상의 용도는 사라지고 의자의 용도만 남게 된다.
제 11 도는 제 10 도의 부가설명도이다. 제 10 도의 상태에 있는 책상을 길이조절수단을 통하여 윗쪽으로 단정히 정리를 할 수가 있음을 보여준다.
제 12 도는 절첩상태도이다. 본 도면은 책상과 의자를 동시에 절첩한 경우를 설명한다. 책상만을 절첩할 수도 있으며, 책상과 의자를 동시에 절첩을 행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양자를 동시에 절첩을 행 할 경우는 운반이 용이하며, 보관 장소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제 13 도는 슬라이더 정지홈을 형성시킨 구성의 설명도이다. 슬라이더는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슬라이더는 이동이 되어진 특정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하여 있도록 구성을 할 수가 있다.
슬라이더를 여러 특정한 위치에 멈추도록 하기 위하여서 다단 슬라이더 정지홈을 형성한다. 지지부재(37)에 다수의 슬라이더 정지홈(39,40,41)를 형성하며, 슬라이더(36)는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미끄럼이동을 한다. 상기 슬라이더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가 되어지는 슬라이더 스토퍼(35)가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 스토퍼가 슬라이더 정지홈에 위치되어 특정위치에 슬라이더를 고정이 되어지게 한다. 슬라이더 스토퍼를 해제하여 다른 슬라이더 정지홈으로 이동을 시킬 수가 있는 구성이다. 슬라이더 스토퍼의 단면은 경사면(38)을 형성한다.
제 14 도는 길이조절 수단의 실시예이다. 본체부와 팔걸이부에 대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을 감안하여 그 전후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의 길이조절 수단의 실시예로서, 본체부 지지부재 또는 팔걸이부 지지부재(44)를 중공파이프로 구성하며, 상기 중공파이프 내부로 길이조절부재(43)를 삽입을 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길이조절부재를 슬라이더 시켜서 길이를 조절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때 지지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장공(45)을 형성하고, 길이조절부재에 길이조절핀(42)을 형성하며, 상기 길이조절핀이 장공의 바깥부로 돌출하여 장공내를 이동하게 한다. 상기 길이조절핀에 나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선부에 너트를 통하여 길이조절핀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서 길이를 조절 할 수가 있다.
제 15 도는 슬라이더와 버팀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길이조절을 하기 위하여 외부지지부재(46)의 내부에 내부지지부재(47)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지지부재는 상기 외부지지부재내에서 슬라이더 운동을 한다. 본체부 또는 팔걸이부의 내부지지부재의 내부에 슬라이더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버팀부재(49)의 한 단부를 핀 결합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버텀부재의 다른 일단은 프레임 기둥(50)에 핀결합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이 되어진다. 또한 내부지지부재는 지지 브라켓(48)에 의하여 의자 기둥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이 되어진다. 슬라이더는 전술한 제 13 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정지홈에서 슬라이더 스토퍼에 의하여 멈출 수가 있다.
제 16 도는 내부지지부재의 단면도이다. 내부지지부재(51)의 내부에는 내부 슬라이더(52)가 위치할 수 있는 슬라이더 홈이 형성이 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슬라이더 홈 속에서 미끄럼 운동을 한다.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핀(54)에 의하여 핀 결합으로 연결이 되는 버팀부재(53)가 구성이 된다. 버팀부재의 다른 단부는 의자의 기둥부에 역시 회전 가능하게 연결이 되어진다. 버팀부재는 프레임 기둥의 외면 형상과 부분적으로 동일한 표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구성을 하게 되면 절첩하였을 경우에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가 있다. 본 도면에서 예시한 것은 의자의 프레임의 기둥이 원형이므로 버팀부재가 원호상의 단면을 가지게 하였다.
제 17 도는 슬라이더에 연결된 버팀부재의 작용 설명도이다. 의자의 프레임기둥(62)에 연결핀(61)에 의하여 연결된 버팀부재(60)의 다른 단부는 슬라이더(56)에 핀 결합이 되어진다. 상기의 슬라이더는 내부지지부재(58)에 형성된 슬라이더 가이더 홈(59) 내에서 슬라이더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더 운동의 범위를 제한하는 슬라이더 리미트(57)가 내부지지부재에 형성이 된다. 상기 리미트의 앞부분에는 슬라이더 스토퍼(55)가 형성이 된다. 상기 슬라이더 스토퍼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슬라이더 정지홈에 의하여 슬라이더의 운동을 제한받게 된다.
제 18 도는 고정책상부를 형성한 분할책상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사용의 편리함을 위하여 책상을 좌우로 분할을 한다. 사용자가 본 고안의 의자에 앉았을 경우에 보이는 상태에 의하여 좌우를 구별하는 개념이다. 좌우분할의 가장 큰 목적은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책상의 회전시, 책상에 놓여진 물건은 일부의 회전을 하지 않는 책상에 그대로 놓아두고, 나머지 일부의 책상을 회전시켜서 그 회전되어진 부분을 통하여 사용자가 출입을 할 수가 있도록 구성을 하는 것이다. 이제 고정책상부의 기술을 상술하겠다. 사용자가 외부로 출입을 하기 위하여 책상을 회전시킬 때, 책상 위에 남아있는 물건들이 놓여질 장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용도를 위하여 책상을 좌우로 분할을 하여 회전되는 부분과 회전되지 아니하는 부분으로 나누게 된다. 회전되지 않고 책상의 일부가 평면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책상을 고정책상부라 명칭하며, 회전하는 책상부분을 회전책상부라 명칭한다. 고정책상부(65)는 본체부지지부재(68)에 의하여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고정책상부(65)와 회전책상부(63)는 경첩과 같은 회전수단(66)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회전책상부(63)는 한쪽 단은 고정책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이 되며, 다른 한쪽 단은 팔걸이부 지지부재 위에 놓여지며, 이때 회전책상부에 형성된 결합돌출부와 팔걸이부에 형성된 결합요홈에 의하여 결합된다. 고정책상부는 가능한 면적이 넓으면 활용이 편리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도시된 그림과 같이 고정책상부를 크게 형성을 하며, 몸쪽으로 넓은 면적을 형성 할 수가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몸쪽으로 넓게 여유 면적분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의자와 책상을 동시에 구성을 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또한 동시에 절첩을 할 수가 있게하여 이동과 보관에 편리하게 구성을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을 통하여 의자와 책상의 기능을 극대화시키었다. 즉 의자만 사용하는 기능, 의자와 책상을 동시에 사용하는 기능, 팔걸이부만 사용하는 기능, 본체부만 사용하는 기능, 본체부와 팔걸이부를 동시에 사용하는 기능, 발목지지대 기능등 다양한 형태의 기능적 응용을 할 수가 있게 하였다.

Claims (5)

  1. 의자부와, 책상이 형성되며 절첩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부와, 상기 책상의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여 주는 절첩 가능한 팔걸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책상과 본체부 지지부재와 회전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책상을 겸한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수단이 책상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을 겸한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책상이 형성된 수평 평면 내에서 회전수단이 책상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을 겸한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팔걸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버팀부재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버팀부재의 다른 일단부는 의자의 프레임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을 겸한 의자.
  5. 의자부와, 상기 의자의 일측에는 책상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의자의 다른 일측에는 책상의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여 주는 팔걸이부로 형성된 책상을 겸한의자에 있어서, 상기 책상을 좌우로 분할하여 회전책상부와 고정책상부로 나누며, 상기 고정책상부와 회전책상부는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을 겸한 의자.
KR2020010023030U 2001-07-26 2001-07-26 절첩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의자 KR200253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030U KR200253126Y1 (ko) 2001-07-26 2001-07-26 절첩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030U KR200253126Y1 (ko) 2001-07-26 2001-07-26 절첩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126Y1 true KR200253126Y1 (ko) 2001-11-22

Family

ID=7306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030U KR200253126Y1 (ko) 2001-07-26 2001-07-26 절첩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1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29163A1 (en) Tri-fold mirror organizer
US5685600A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KR20130001825U (ko) 접이식 테이블
US8397651B2 (en) Configurable table and methods of use
KR200253126Y1 (ko) 절첩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의자
CN106724246B (zh) 一种便于收纳的会议椅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KR20030006852A (ko) 의자기능을 겸한 책상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20030006767A (ko) 슬라이더 고정위치를 형성한 책상이 형성된 강의용 의자
JPH0744172Y2 (ja) リバーシブルテーブル
KR101847351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565301B1 (ko) 테이블용 다리장치
CN212480710U (zh) 一种笔记本电脑支架
KR20040014894A (ko) 의자의 회전을 통하여 출입공간을 형성하는책상일체형의자 및 회전의자
JP2967467B2 (ja) 卓上三面鏡
US11622630B2 (en) Mobile barber chair
CN219680139U (zh) 一种折叠式家具装置
CN212661453U (zh) 一种折叠椅
KR102205600B1 (ko) 다목적 가구
CN215776623U (zh) 一种组合桌凳
KR20030010363A (ko) 좌우 회전책상을 갖는 의자
KR20030006448A (ko) 고정 책상부를 형성한 분할책상을 가지는 강의용 의자
KR20010088648A (ko) 절첩책상을 형성한 책상 겸용 의자
KR20030006665A (ko) 좌판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책상을 형성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